KR101157619B1 -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 Google Patents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619B1
KR101157619B1 KR1020100039763A KR20100039763A KR101157619B1 KR 101157619 B1 KR101157619 B1 KR 101157619B1 KR 1020100039763 A KR1020100039763 A KR 1020100039763A KR 20100039763 A KR20100039763 A KR 20100039763A KR 101157619 B1 KR101157619 B1 KR 10115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user
wind
air conditioning
main body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0381A (ko
Inventor
최진규
Original Assignee
이영우
최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최진규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102010003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619B1/ko
Publication of KR20110120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0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냉방 및 난방시 천정에 설치되는 사각 디퓨저 본체의 외측으로 바람유도용 커버체를 결합하고, 이를 천정의 홀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게 설치 형성함으로써 디퓨저 본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향으로 흐르는 바람을 효과적으로 저지, 아래쪽으로 안내하여 디퓨저 본체 주위의 천정면이 먼지나 이물질로 인해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Square diffuser for air conditioning of room}
본 발명은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의 냉방 및 난방시 천정에 설치되는 사각 디퓨저 본체의 외측으로 바람유도용 커버체를 결합하고, 이를 천정의 홀 가장자리에서 돌출되게 설치 형성함으로써 디퓨저 본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향으로 흐르는 바람을 효과적으로 저지, 아래쪽으로 안내하여 디퓨저 본체 주위의 천정면이 먼지나 이물질로 인해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air conditioning)는 실내의 온도와 습도, 기류, 박테리아, 먼지, 냄새, 유해가스 등의 조건을 실내의 사람이나 물품에 대해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기조화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 난방, 냉방, 온습도 조절, 건조, 냉각, 유해가스 제거, 분진 등의 장치를 총칭하여 공기조화장치라 한다.
보통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하며, 이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시스템이다.
최근에는 내부의 오염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여 환기시키는 환기시스템과 실내오염공기를 가지고 신선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시스템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정화된 공기는 건물의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토출구 즉, 디퓨저(Diffuser)를 통해 실내로 제공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디퓨저(Diffuser)는 통상 원형이나 사각형의 틀로 이루어져 있으며, 천정부에 설치되어 있는 덕트관에 연결되어 각 실내로 냉풍이나 온풍을 공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각 디퓨저는 본체(10)와 코어(1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어(11)는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로 연결되고, 천정(100)에는 코어(11)가 결합된 본체(1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홀(11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1)의 선단 가장자리 둘레가 천정(100)의 홀(110)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홀(110) 내에 끼워진 본체(10)의 상부는 천정(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덕트관(120)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디퓨저 본체(10)에 결합되는 코어(11)는 도면과 같이 본체상의 내측에서 분리되는 코어 분리형 구조가 있으며, 또한 코어를 본체상에 용접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일체형이 있다.
하지만 사각 디퓨저의 경우 내측이 사각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코어 또한 사각의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코어를 회전시키지 못하므로 코어 회전형은 사각 디퓨저에서 채택될 수 없음은 주지된 기술임을 밝힌다.
그러나, 종래의 사각 디퓨저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디퓨저 본체(10) 선단 가장자리 내측 부위에 실내로 토출되는 바람의 수직하강을 유도하기 위한 수직면(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렇게 수직면(12)이 형성되어 있는 관계로 측방향 바람 유도에 불리한 점이 있다.
이에 측방향 바람을 유도하기 위해 본체(10)의 선단부 가장자리의 외측 노출되는 수직면 높이를 짧게 형성하여 천정면과 거의 동일한 면으로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관계로 측방향으로 진행되는 바람이 본체(10)의 가장자리쪽으로 흐르면서 본체(10) 주변의 천정면이 바람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이물질 등으로 인해 쉽게 오염된다.
이는 냉방의 경우 바람이 습기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더욱 심하며, 난방의 경우에는 열기에 의해 그을려 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사각 디퓨저의 경우에는 본체(10)의 성형시 사각형상의 금속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성형하게 되므로, 각이 형성되는 본체(10) 선단부 모서리부 때문에 가장자리면을 크게 성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천정의 홀 내에 설치되는 본체의 외측으로 바람유도 커버체를 마련하여, 본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향으로 흐르는 바람을 효과적으로 완벽하게 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문제점인 디퓨저 주위의 먼지나 이물질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는 천정 내에 설치되어 있는 덕트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지지되면서 바람의 분산을 위한 다수의 가이드를 갖는 코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서 본체의 선단부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본체 주변의 측방향으로 흐르는 바람을 저지, 안내함으로써 디퓨저 주위가 먼지나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막아주는 바람유도 커버체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사각 디퓨저 주변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바람유도 커버체는 천정면에 밀착되는 사각틀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각틀의 내측에는 본체가 자리잡을 수 있는 받침턱이 마련되어, 본체가 받침턱에 얹혀져 안착되면서 커버체와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람유도 커버체에는 사각틀의 선단면을 따라가면서 일정 깊이로 파여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측방향으로 흐르는 미세한 잔여 바람을 한 차례 더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제공한다.
디퓨저 본체의 외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바람유도 커버체가 측방향으로 흐르는 바람을 효과적으로 차단, 안내함으로써, 사각 디퓨저 주변이 바람에 직접 닿지않아 먼지나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사각 디퓨저를 포함하는 그 주변의 외관을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디퓨저 본체의 외부 노출되는 가장자리 면이 천정면과 거의 동일하여 외관상 밋밋하며 또 코어 사이로 디퓨저 내부가 투시되어 미관상에도 좋지 못하므로, 이에 디퓨저 외측을 커버체로 입체감 있게 돌출 형성함으로써 미관상에도 좋고 또 커버체로 인해 코어 사이의 내부구조가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므로 이중의 효과를 가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에서 바람유도 커버체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조용 에어 토출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각 디퓨저는 디퓨저 주변을 통해 측방향으로 흘러 천정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바람을 차단하여 디퓨저 주위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천정(100)의 내부에는 중앙 코어(11)를 포함하는 디퓨저 본체(10)가 배치되고, 이때의 본체(10)는 천정(10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덕트(120)와 연결되는 동시에 후술하는 바람유도 커버체(14)의 내측 상면으로 안착조립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코어(11)는 다수의 가이드(13)를 이용하여 실내측으로 토출되는 바람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고, 이때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공지의 댐퍼(23) 등이 다수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본체(10)의 가장자리에는 사각틀 모양으로 이루어진 바람유도 커버체(14)가 배치되어, 천정(100)에 뚫어놓은 설치 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착 마감하게 되며, 이때의 바람유도 커버체(14)는 천정면과 거의 동일면을 이루는 본체(10)의 선단부보다 아래쪽으로 약 25~35㎜ 정도 돌출되므로서, 코어(11)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을 하측방향으로 유도하게 되고, 결국 바람이 디퓨저 옆쪽으로 꺾여 천정면에 부딪히며 흐르지 못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디퓨저 주변이 먼지나 이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바람유도 커버체(14)의 사각틀은 우측테두리 단면형상이
Figure 112010027695026-pat00001
로 되어 하부가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이 천정면으로부터 실내쪽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사각틀이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바람유도 커버체(14)는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내경이 기존의 사각 디퓨저 규격이나 크기에 맞게 제작되어 기존 본체 및 코어의 사양 변경없이 그대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바람유도 커버체(14)의 내측에는 사각틀 내측 둘레를 따라가면서 연속해서 이어지는 평면의 받침턱(15)이 마련되어 있으며, 받침턱(15) 아래로는 양쪽에서 모아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경사면을 이루고 있다. 이때 경사면의 각도는 40~45도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디퓨저 본체(10)는 그 하단의 가장자리 부분이 받침턱(15)에 딱 맞게 얹혀져 안착되는 형태로 지지될 수 있게 되며, 본체(10) 가장자리를 통과한 바람은 바람유도 커버체(14)의 외측방향으로 퍼진 경사면을 더 거치면서 천정면에 부딪힘이 없이 실내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바람유도 커버체(14)의 사각틀 선단면, 즉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 중 밑면에는 일정 깊이로 파여 있는 홈(16)이 선단면 전체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경사면을 타고 넘어오는 미세한 측방향 흐름의 잔여 바람이 홈(16)에 의해 한 차례 더 저지당할 수 있게 되고, 결국 토출구 주변의 천정면측으로 진행되는 바람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바람유도 커버체(14)는 천정(100)의 내부를 지나가는 케링바(130)상에 클립(22)을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지지된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22)의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위를 향해 벤딩되어 있는 훅(24a)이 형성되고, 상기 바람유도 커버체(14)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아래를 향해 벤딩되어 있는 훅(24b)이 형성되어, 이때의 내외측 훅(24a,24b)이 서로 맞물려 걸려지게 되므로서, 바람유도 커버체(14)는 클립(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22)의 상단부는 케링바(130)측에 스크류 체결구조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에 따르면 디퓨저 본체 주변에 바람유도 커버체를 마련하여, 본체 가장자리를 따라 측방향으로 흘러 천정면에 직접적으로 부딪히는 바람을 차단하여 아래쪽으로 유도시킴으로서, 디퓨저 주위의 천정면에 먼지나 이물질로 인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 본체 11 : 코어
12 : 수직면 13 : 가이드
14 : 바람유도 커버체 15 : 받침턱
16 : 홈
22 : 클립 23 : 댐퍼
24a,24b : 훅
100 : 천정 110 : 홀
120 : 덕트관 130 : 케링바

Claims (4)

  1.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에 있어서,
    천정(100) 내에 설치되어 있는 덕트관(120)에 연결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지지되면서 바람의 분산을 위한 다수의 가이드(13)를 갖는 코어(11)와, 상기 본체(10)의 선단부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배치 결합되며 본체(10)의 선단부보다 아래쪽으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본체 주변의 측방향으로 흐르는 바람이 천정면에 부딪히는 것을 저지, 아래쪽으로 꺾어지도록 안내함으로써 디퓨저 주위가 먼지나 이물질로 인해 오염되는 것을 막아주는 바람유도 커버체(14)를 포함하며,
    상기 바람유도 커버체(14)는 테두리 단면형상이
    Figure 112011101062310-pat00002
    로 되어 중간 외측이 천정면에 밀착되는 사각틀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각틀의 내측에는 본체(10)가 자리잡을 수 있는 받침턱(15)이 마련되어, 본체(10)가 받침턱(15)에 얹혀져 안착되면서 커버체와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람유도 커버체(14)에는 사각틀의 선단면을 따라가면서 일정 깊이로 파여 있는 홈(16)이 형성되어 있어서 측방향으로 흐르는 잔여 바람을 한 차례 더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람유도 커버체(14)의 상단부에는 외측으로 아래를 향해 벤딩되어 있는 훅(24b)이 형성되어, 하단부 내측으로 위를 향해 벤딩되어 있는 훅(24a)이 형성된 클립(22)을 매개로 하여 천정(100)의 내부를 지나가는 케링바(130)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1020100039763A 2010-04-29 2010-04-29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10115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63A KR101157619B1 (ko) 2010-04-29 2010-04-29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763A KR101157619B1 (ko) 2010-04-29 2010-04-29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81A KR20110120381A (ko) 2011-11-04
KR101157619B1 true KR101157619B1 (ko) 2012-07-02

Family

ID=45391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763A KR101157619B1 (ko) 2010-04-29 2010-04-29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7168A (zh) * 2018-09-18 2019-02-01 袁长勃 一种便于安装的散流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673A (ja) 2000-04-20 2001-10-3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673A (ja) 2000-04-20 2001-10-3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0381A (ko) 201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6962B1 (ja) 輻射空調ユニット
KR101455212B1 (ko) 결로방지형 환기 시스템
KR100943859B1 (ko) 풍량조절구가 구비된 바닥 공조용 취출구
KR100978862B1 (ko) 가변형 코어를 갖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101558141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일체형 환기구 챔버.
KR101865613B1 (ko) 무동력 실내기류 배기장치
KR101157619B1 (ko)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101204305B1 (ko) 바닥용 디퓨저
KR102225287B1 (ko) 필터가 구비되는 환기 디퓨저
WO2011096186A1 (ja) 外壁端末換気口
KR200458718Y1 (ko)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KR200489269Y1 (ko) 공조용 디퓨저
JP3218042U (ja) 換気装置
CN105864891A (zh) 一种壁挂式空调
KR101839603B1 (ko) 경사연결장치를 구비하는 디퓨저
JP2010169277A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0611881B1 (ko)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JP2020148386A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KR20210078968A (ko) 환기 유니트 시스템
JP2001027428A (ja) 空気調和装置
KR200367863Y1 (ko) 빌트업 공기조화기를 위한 조립식 보온패널 구조체
JP3194867U7 (ko)
JP3194867U (ja) 壁掛けエアコンのショートサーキット防止装置
KR102105008B1 (ko)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200164658Y1 (ko) 공조용 공기 토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