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008B1 -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008B1
KR102105008B1 KR1020190054467A KR20190054467A KR102105008B1 KR 102105008 B1 KR102105008 B1 KR 102105008B1 KR 1020190054467 A KR1020190054467 A KR 1020190054467A KR 20190054467 A KR20190054467 A KR 20190054467A KR 102105008 B1 KR102105008 B1 KR 102105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rill
sound absorbing
heat exchange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4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filed Critical 오충록
Priority to KR1020190054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0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2003/166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소자가 구비되는 전열교환부와 전열교환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상부그릴부 및 전열교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그릴부로 구성되는 전열교환기에 있어, 상부그릴부의 내측은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상부공기통로부와 하부공기통로부로 구획되면서 하부공기통로부에는 흡음재를 충진하고 상부공기통로부에는 서로 이격된 간격과 경사도를 다르게 한 흡음판을 다수 설치하여 급기팬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가 하부공기통로부를 통해 상부공기통로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흡음재와 흡음판에 의해 획기적으로 저감되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A Ventilator}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환기시키는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소자가 구비되는 전열교환부와 전열교환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상부그릴부 및 전열교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그릴부로 구성되는 전열교환기에 있어, 상부그릴부의 내측은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상부공기통로부와 하부공기통로부로 구획되면서 하부공기통로부에는 흡음재를 충진하고 상부공기통로부에는 서로 이격된 간격과 경사도를 다르게 한 흡음판을 다수 설치하여 급기팬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가 하부공기통로부를 통해 상부공기통로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흡음재와 흡음판에 의해 획기적으로 저감되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내부에 구비되는 밀폐된 활동공간의 공기는 거주자의 호흡이나 활동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거나 오염되어 거주자의 내부 활동이나 건강에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과 같은 밀폐공간과 같이 협소한 공간에 사람이 머물게 되는 경우, 내부 공간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환기시켜 주어야 한다. 이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장치이다.
종래에 알려진 대부분의 환기장치는 하나의 송풍팬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외부로 강제 배출시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런데 하나의 송풍팬을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만을 강제로 배출시킬 경우, 실내의 냉기 또는 열기가 여과없이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실외의 공기가 문이나 창틈 등을 통해 열교환 없이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를 난방 및 냉방시키는데 드는 경비가 불필요하게 많이 들게 되었다.
또한, 갑작스런 냉기 및 열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됨으로 인해 실내공기의 급격한 온도변화로 그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고, 특히 실내의 창문이나 문틀이 닫혀진 상태에서 실내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외부의 신선한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어 산소결핍현상이 발생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습도조절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환기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도 불구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때 그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시킨 다음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가 제시되었다
상기와 같은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함과 동시에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실내로 토출하는 과정에서, 실외로 배출하는 실내 공기와 실내로 유입하는 실외 공기 사이에서 이들을 서로 열교환시켜서, 실내로 유입시키는 실외 공기의 온도를 높여 실내 공기에 가깝게 한다.
이에, 실외 공기로 실내를 유입시켜 환기시키더라도 실내 온도의 변화를 낮추어서, 냉방 또는 난방에 소요되는 부하의 증가를 최소화한다.
일반적인 전열교환 방식 환기장치의 구성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중공형상의 몸체 내부에 실외공기가 실내로 안내되는 급기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급기덕트와 소정 위치에서 교차하며 실내공기가 실외로 안내되는 배기덕트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가 교차하는 지점에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열교환하는 전열교환기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는 몸체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격벽에 의해 서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272674호 및 공개특허 제10-2008-0024379호는 실내외 공기의 유동을 고르게 하여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켰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들에서 개시한 전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는 환기할 시의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이용하여 열교환 효율을 개선하는 데 치우쳐서 실질적으로 단일 용도로만 사용되는 사용상 한계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급기덕트와 배기덕트를 생략하고 전열기 본체의 상하단부에 공기가 출입하는 상하부 환기그릴부를 구비하는 무덕트형 전열교환기를 설치하여 단일 공간에서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무덕트형 전열교환기는 사무공간이나 생활공간의 설치환경에 따라 높이가 높은 스탠드형(가로형) 타입과 높이가 낮은 상치형(가로형) 타입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무덕트형 전열교환기는 주로 밀폐된 단일 공간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내기나 외기를 강제로 급기 또는 배기하기 위해 전열교환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급기팬과 배기팬에서 발생되는 소음(騷音)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는 환경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272674 (등록번호) 2013.07.03. KR 10-2008-0024379 (공개번호) 2008.03.18. KR 10-0532188 (등록번호) 2005.11.23.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교환소자가 구비되는 전열교환부와 전열교환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상부그릴부 및 전열교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그릴부로 구성되는 전열교환기에 있어, 상부그릴부의 내측은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상부공기통로부와 하부공기통로부(소음저감챔버)로 구획되고 하부공기통로부에는 흡음재를 충진하여 급기팬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가 하부공기통로부를 통과하면서 소음(騷音)이 흡음재에 의해 획기적으로 저감될 수 있도록 하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그릴부의 상부공기통로부에도 서로 이격된 간격과 경사도를 다르게 한 흡음판을 다수 설치하여 하부공기통로부를 거쳐 상부공기통로부 유입되는 급기팬의 소음이 흡음판에 의해 이중으로 저감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그릴부의 상부공기통로부 내벽면에는 구리망체를 설치 부착하여 급기팬의 소음(騷音)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구리제에 의해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시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기와 내기가 교차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소자(111)가 몸체내부에 설치되되, 급기팬(140)에 의해 외기가 상기 열교환소자(111)를 통과하여 모여지는 정화공기부(115)가 구비되는 전열교환부(110)와; 상기 전열교환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상부그릴부(1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그릴부(120)는, 상기 정화공기부(115)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정화개방부(126)와, 상기 정화개방부(126)를 통과한 외기가 관통하며 흡음재(A)가 충진된 하부공기통로부(121)와,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와 하부공기통로부(12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상부공기통로부(122)를 상하부로 각각 구획 형성하는 격벽플레이트(123)와, 상기 격벽플레이트(123)의 개방된 면으로 정화개방부(126)의 반대편 전면부에 위치하며 지면에 수직인 측면플레이트(124a)가 측면에 배치되고 후면부가 개방된 공기유입통로(124)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내부가 중공인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흡음판(122a)이 전면부와 중간부 사이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공기유입통로(124)의 상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전면부에는 외기가 배출되는 그릴부(125)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음판(122a)은 상기 공기유입통로(124)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흡음판(122a)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일측면에서 상기 공기유입통로(124)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24a) 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내측 후면부에는 진동을 흡수하고 오염 공기를 살균하는 구리재질의 망 형상인 동망체(16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측면플레이트(124a)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유입통로(124)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흡음판(122a)의 상부로 배출하는 공기통공(124h)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공(124h) 높이에서의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전면부에는 상기 그릴부(125)가 제외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는 열교환소자가 구비되는 전열교환부와 전열교환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상부그릴부 및 전열교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그릴부로 구성되는 전열교환기에 있어, 상부그릴부의 내측은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상부공기통로부와 하부공기통로부(소음저감챔버)로 구획되고 하부공기통로부에는 흡음재를 충진하여 급기팬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가 하부공기통로부를 통과하면서 급기팬의 소음(騷音)이 흡음재에 의해 획기적으로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그릴부의 상부공기통로부에도 서로 이격된 간격과 경사도를 다르게 한 흡음판을 다수 설치하여 하부공기통로부를 거쳐 상부공기통로부 유입되는 급기팬의 소음이 흡음판에 의해 이중으로 저감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그릴부의 상부공기통로부 내벽면에는 구리망체를 설치 부착하여 급기팬의 소음(騷音)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구리제에 의해 통과하는 공기를 살균시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의 스탠드형(세로형)과 상치형(가로형)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투영 사시상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의 상태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의 상부환기그릴부의 상세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의 상부환기그릴부의 상태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의 상부그릴부를 통해 공기가 유입 환기되는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100)는 도 1 내지 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기와 내기가 교차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소자(111)가 몸체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열교환소자(111)의 하부측에 외부급기부(112) 및 내부공기유입부(113)가, 상기 열교환소자(111)의 상부측에 오염공기배출부(114) 및 정화공기부(115)가 각각 형성되는 전열교환부(110)와;
상기 전열교환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외기를 내부로 공급하는 상부그릴부(120); 및
상기 전열교환부(110)의 하부측에 구비되어 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하부그릴부(13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그릴부(120)는 상기 정화공기부(115)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하부공기통로부(121)와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상부공기통로부(122)가 상하부에 각각 구획 형성되도록 격벽플레이트(1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상기 열교환소자(111)를 통해 유입되면서 전열된 외기가 상기 정화공기부(115)를 통해 상기 상부그릴부(120)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로 들어와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를 거쳐 실내로 공급되면서 환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정화공기부(115)에는 외기를 강제로 유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팬(14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급기팬(140)이 가동되면, 상기 외부와 연통 설치되는 외부급기부(112)의 급기구(112a)를 통해 외기가 외부급기부(112)로 유입되고 이어 상기 열교환소자(111)를 지나면서 전열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정화공기부(115)로 들어간 후 정화개방부(126)를 통과하여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를 통해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로 들어간 후 실내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소자(111)의 입구부에는 외기를 정화시키는 필터(111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염공기배출부(114)에는 내기를 강제로 유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팬(150)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실내의 오염된 공기는 상기 배기팬(150)이 가동되면서 상기 하부그릴부(130)를 통해 상기 내부공기유입부(113)로 유입되고 상기 열교환소자(111)를 지나면서 전열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오염공기배출부(114)로 들어간 후 외부와 연통 설치되는 배기구(114a)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 배기팬(150)은 외부로 배출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열교환소자(111)를 통과한 후 하부그릴(130)에 맞닿으므로 소음이 실내로 유출될 위험이 적다. 이에 비하여 급기팬(140)은 상부그릴(120)만 통과하면 실내와 연통되므로 실내의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그릴부(120)는 정화공기부(115)와 연통된 정화개방부(126)을 통하여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를 통해 유입된 외기가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로 들어가는 공기유입통로(1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입통로(124)는 상기 격벽플레이트(123)의 개방된 공간으로, 상기 정화개방부(126)와 반대편에 위치한다.
즉, 상기 정화개방부(126)는 가능한 격벽플레이트(123)의 일측 끝단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기유입통로(124)는 격벽플레이트(123)의 반대측 끝단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는 정화개방부(126)를 통하여 유입된 외기가 하부공기통로부(121)에 구비되는 흡음재를 최대한 많이 통과하며 급기팬(140)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판 형상인 하부공기통로부(121)는 상기 정화개방부(126)를 제외하면 막혀있어 급기팬(140)에 의하여 배출되는 외기가 다른 곳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전면부는 그릴부(125)가 형성된 방향이다.
상기 공기유입통로(124)는 정화개방부(126)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그릴부(125) 방향인 전면부에 배치되며, 그 상부에 그릴부(125)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공기유입통로(124)로 유입된 공기는 그릴부(125)로 즉시 나갈 수 없고, 상부공기통로부(122)를 지나 흠음판(122a) 사이를 통과한 후 그릴부(125)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유입통로(124)와 그릴부(125) 사이에는 측면플레이트(124a)가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후면부는 개방된다. 즉, 격벽플레이트(123)는 정화개방부(126)가 배치되는 반대편 전면부에 공기유입통로(124)가 구비되고, 공기유입통로(124) 가장자리에는 지면에 수직된 측면플레이트(124a)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를 통해 흡음재(A)를 통과하는 외기는 상기 공기유입통로(124)의 후면부를 통해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즉, 상기 전열교환부(110)의 상기 열교환소자(111)를 통해 유입되면서 전열된 외기는 상기 정화공기부(115)를 통해 상기 상부그릴부(120)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로 들어와 상기 공기유입통로(124)의 후면을 통해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통로(124)의 내측면부에 형성되는 측면플레이트(124a) 상단부에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통공(124h)이 다수개 형성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입통로(124)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통공(124h)을 통해서도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다수의 공기통공(124h)은 서로 연통되어 사각의 넓은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통공(124h)는 상기 그릴부(125)의 상부에 위치하여 공기통공으로 이동된 공기가 그릴부에서 실내로 즉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에는 소음(騷音)을 저감시시키는 흡음재(A)가 전체적으로 충진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로 공기가 유동되면서 그 내부에 충진된 상기 흡음재(A)에 의해 상기 급기팬(140)의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에는 서로 다른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개의 흡음판(122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흡음판(122a)은 내부가 중공인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중간부에서 전면부까지 상부 천장면을 향해 수직하게 설치되며 공기유입통로(124)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경사각θ) 설치된다. 이는 공기유입통로(124)의 후면부로 배출된 공기가 상부공기통로부(122)의 후면부를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그릴부(125) 전체에서 균일한 공기가 배출시키기 위하여 흡음판의 경사도를 다르게 한 것이다. 내부가 흡음재로 충진된 흡음판(122a)는 후면부 사이가 넓고, 전면부 사이가 좁으며, 후술하듯이 흡음판(122a) 사이의 간격도 공기유입통로(124)쪽으로 갈수록 그 간격을 넓게 하여 그릴부(125)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비한다.
상기 흡음판(122a)의 설치 경사각θ는 설치 환경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에 힌지 또는 회전후 고정하는 돌기와 홈 구조를 둘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중간부에서 후면부까지의 공간부는 공기 유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흡음판(122a)이 설치되지 않는 비설치공간부로 된다.
또한 상기 흡음판(122a)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천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흡음판(122a)의 상단부와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천장면 사이의 공간부는 이격공간부로 된다. 또한, 그릴부(125)도 도5와 같이 상단부에 설치되지 않아 흡음판(122a)을 통과하지 않은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음판(122a) 사이의 간격과 높이는 동일하지 않고 공기의 유동 경로를 고려하여 각각 다르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흡음판(122a)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일측면에서 상기 공기유입통로(124)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24a) 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고 그 설치높이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24a) 측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도록 구비된다. 상기 공기통공(124h)으로 유입된 공기는 그 양이 많지 않고 세기도 약하기에 흡음판(122a) 사이의 간격에 의하여 공기유입통로(124)쪽에서 더 많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치로,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로 공기가 유동되어 상기 공기유입통로(124)를 통해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내부로 유입될 때 그 유입량이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상기 흡음판(122a)은 외곽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흡음부재를 내설할 수도 있고 별도의 지지프레임을 가로 또는 세로로 설치하고 이들 사이에 흡음부재를 내설할 수도 있으며 그 외 다양한 구성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흡음판(122a)이 설치되는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는 상기 공기유입통로(124)로 외기가 유입되면, 그 유입된 외기는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에 형성되는 비설치공간부와 이격공간부, 상기 흡음판(122a) 사이의 공간부 및 상기 공기통공(124h)으로 각각 유동되면서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내부 공간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전면부에 구비되는 그릴부(125,일명 루바)를 통해 전면으로 균일하게 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이때 유입된 외기는 상기 흡음판(122a)을 통과하면서 소음이 저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전열교환부(110)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가 상기 상부그릴부(120)를 형성하는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와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를 통해 실내로 공급된 과정에서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의 상기 흡음재와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흡음판에 의해 각각 소음이 저감됨으로써 쾌적하고 조용한 실내 환경을 조성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내측 후면부에는 진동을 흡수하고 오염된 공기를 살균할 수 있는 구리재질의 망 형상인 동망체(16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를 거쳐 상기 공기유입통로(124)를 통해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로 유입되는 공기와 상기 급기팬(140)의 진동은 상기 동망체(160)에서 살균 및 감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는 열교환소자가 구비되는 전열교환부와 전열교환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상부그릴부 및 전열교환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부그릴부로 구성되는 전열교환기에 있어, 상부그릴부의 내측은 격벽플레이트에 의해 상부공기통로부와 하부공기통로부로 구획되면서 하부공기통로부에는 흡음재를 충진하고 상부공기통로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흡음판을 다수 설치하여 급기팬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가 하부공기통로부를 통해 상부공기통로부를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흡음재와 흡음판에 의해 획기적으로 저감된다.
100: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110:전열교환부
111:열교환소자 112:외부급기부 112a:급기구 113:내부공기유입부
114:오염공기배출부 114a:배기구 115:정화공기부 111a:필터
120:상부그릴부
121:하부공기통로부 122:상부공기통로부 122a:흡음판
123:격벽플레이트 124:공기유입통로 124a:측면플레이트
124h:공기통공 125:그릴부 126:정화개방부
130:하부그릴부
140:급기팬
150:배기팬 160:동망체 A:흡음재 θ:경사각

Claims (7)

  1. 외기와 내기가 교차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소자(111)가 몸체내부에 설치되되, 급기팬(140)에 의해 외기가 상기 열교환소자(111)를 통과하여 모여지는 정화공기부(115)가 구비되는 전열교환부(110)와;
    상기 전열교환부(110)의 상부측에 구비되어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상부그릴부(120);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그릴부(120)는,
    상기 정화공기부(115)로부터 외기가 유입되는 정화개방부(126)와, 상기 정화개방부(126)를 통과한 외기가 관통하며 흡음재(A)가 충진된 하부공기통로부(121)와, 상기 하부공기통로부(121)와 하부공기통로부(121)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상부공기통로부(122)를 상하부로 각각 구획 형성하는 격벽플레이트(123)와, 상기 격벽플레이트(123)의 개방된 면으로 정화개방부(126)의 반대편 전면부에 위치하며 지면에 수직인 측면플레이트(124a)가 측면에 배치되고 후면부가 개방된 공기유입통로(124)를 포함하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인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에는 서로 다른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개의 흡음판(122a)이 전면부와 중간부 사이에 구비되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통로(124)의 상부를 제외한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전면부에는 외기가 배출되는 그릴부(125)가 구비되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122a)은 상기 공기유입통로(124) 쪽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판(122a) 사이의 간격은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일측면에서 상기 공기유입통로(124)의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24a) 측으로 갈수록 점점 넓어지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기통로부(122)의 내측 후면부에는 진동을 흡수하고 오염 공기를 살균하는 구리재질의 망 형상인 동망체(160)가 더 구비되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플레이트(124a)의 상부에는 상기 공기유입통로(124)로 유입된 외기가 상기 흡음판(122a)의 상부로 배출하는 공기통공(124h)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통공(124h) 높이에서의 상부공기통로부(122)의 전면부에는 상기 그릴부(125)가 제외되는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0190054467A 2019-05-09 2019-05-09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105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67A KR102105008B1 (ko) 2019-05-09 2019-05-09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4467A KR102105008B1 (ko) 2019-05-09 2019-05-09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008B1 true KR102105008B1 (ko) 2020-04-27

Family

ID=70467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4467A KR102105008B1 (ko) 2019-05-09 2019-05-09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0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752A (ja) * 2001-12-17 2003-07-03 Kobe Steel Ltd パッケージ形油冷式圧縮機
KR100532188B1 (ko) 2004-05-19 2005-12-05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80024379A (ko)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EP2306108A1 (en) * 2009-09-25 2011-04-06 Hans Östberg A ventilating arrangement
KR101272674B1 (ko) 2010-11-29 2013-06-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열교환 환기장치
KR101855482B1 (ko) * 2017-02-17 2018-05-04 은성화학(주)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4752A (ja) * 2001-12-17 2003-07-03 Kobe Steel Ltd パッケージ形油冷式圧縮機
KR100532188B1 (ko) 2004-05-19 2005-12-05 서번산업엔지니어링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080024379A (ko) 2006-09-13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EP2306108A1 (en) * 2009-09-25 2011-04-06 Hans Östberg A ventilating arrangement
KR101272674B1 (ko) 2010-11-29 2013-06-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열교환 환기장치
KR101855482B1 (ko) * 2017-02-17 2018-05-04 은성화학(주) 바닥형 열회수 환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0987B1 (ko) 환기유니트를 이용한 공기청정시스템
KR102011247B1 (ko) 온도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환기 시스템
KR102105006B1 (ko)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039106B1 (ko) 무덕트 노출형 열회수 환기장치
KR20090022638A (ko) 환기장치
KR20180045896A (ko) 공기 정화 및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창문 환기장치
KR102105127B1 (ko) 스탠드형 전열교환장치
KR102424786B1 (ko) 실내 스탠드형 전열교환기
KR101819046B1 (ko)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KR101931723B1 (ko) 필터장치를 이용한 컨버전스 전열교환기
KR102052348B1 (ko) 환기장치
KR102317245B1 (ko) 원통형 광촉매 장치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JP5741880B2 (ja) 窓戸用の換気装置
KR20210151666A (ko) 멸균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환기방법
KR102105008B1 (ko) 소음 개선용 환기그릴이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2079214B1 (ko) 소음 개선용 챔버가 구비된 전열교환기
KR100598130B1 (ko) 여과환기시스템
KR102225598B1 (ko) 대용량 필터를 포함하는 전열교환기
KR102105026B1 (ko) 대형 공간용 열회수 환기장치
KR102202404B1 (ko) 환기장치
KR20180130981A (ko) 슬림형 복합 공조장치
KR100753976B1 (ko) 하부 흡입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열교환 환기 장치
KR102039116B1 (ko) 팬구동부와 열교환부가 분리된 환기장치
JP7228836B2 (ja) 加圧型熱交換換気式建屋
KR102067232B1 (ko) 벽부형 전열교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