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69Y1 - 공조용 디퓨저 - Google Patents

공조용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69Y1
KR200489269Y1 KR2020180004386U KR20180004386U KR200489269Y1 KR 200489269 Y1 KR200489269 Y1 KR 200489269Y1 KR 2020180004386 U KR2020180004386 U KR 2020180004386U KR 20180004386 U KR20180004386 U KR 20180004386U KR 200489269 Y1 KR200489269 Y1 KR 2004892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me
inner housing
discharge port
opening
main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이갑
Original Assignee
서이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이갑 filed Critical 서이갑
Priority to KR2020180004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공조용 디퓨저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공조용 디퓨저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 상기 덕트 내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메인 토출구가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내부 하우징; 상기 내부 하우징의 메인 토출구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토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개도 조절용 돔; 및 상기 개도 조절용 돔의 업/다운(up/down)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토출구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개도 조절용 돔부와 상기 내부 하우징에 연결되어 상기 개도 조절용 돔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돔 업/다운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조용 디퓨저{Diffuser}
본 고안은, 공조용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가 보이지 않아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음은 물론 풍량의 세기와 상관없이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조용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air conditioning)란 실내의 온도와 습도, 기류, 박테리아, 먼지, 냄새, 유해가스 등의 조건을 실내의 사람이나 물품에 대해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공기조화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 난방, 냉방, 온습도 조절, 건조, 냉각, 유해가스 제거, 분진 등의 장치를 총칭하여 공기조화장치라 한다.
보통 밀폐된 공간의 공기는 생명체의 호흡에 의해 시간이 지나면서 이산화탄소의 함량이 증가하게 되어 생명체의 호흡에 지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되는 경우,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의 신선한 공기로 수시로 대체해 주어야 하며, 이 때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환기시스템이다.
최근에는 내부의 오염공기를 실외공기와 교환하여 환기시키는 환기시스템과 실내오염공기를 가지고 신선한 공기로 정화시키는 공기정화시스템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공기조화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공기조화장치에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정화된 공기는 건물의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에어 토출구 즉, 디퓨저를 통해 실내로 제공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디퓨저는 천정 내에 매설되어 있는 덕트에 연결되어 각 실내로 냉풍이나 온풍을 공급하거나, 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은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디퓨저, 특히 사각 디퓨저는 본체(10)와 코어(11)로 구성된다.
상기 코어(11)는 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고, 천정(33)에는 코어(11)가 결합된 본체(10)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홀(31)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본체(11)의 둘레가 천정(100)의 홀(31)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홀(31) 내에 끼워진 본체(10)의 상부는 천정(3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덕트(12)가 연결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사각 디퓨저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냉난방시 바람의 방향을 일률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구조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도 3과 같은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50)는 도 1과 달리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중간 구조물(60)이 회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에는 바람이 나오는 공간이 좁아서 풍량이 센 경우에는 진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후단의 풍량 조절구를 통해 통풍공간의 크기를 조절한 예가 있기는 하지만 이는 외부에서 보이기 때문에 미관이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두루 고려해 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공조용 디퓨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3976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13227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0685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2-0007438호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가 보이지 않아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음은 물론 풍량의 세기와 상관없이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공조용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한편, 상기 목적은,
연통 형상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110); 상기 덕트(110) 내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메인 토출구(121)가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토출구(121)의 둘레에 일정 높이의 벽체(122)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122)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내부 하우징(120);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메인 토출구(12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상부는 평면을 이루고, 하부는 중앙이 하향으로 볼록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개도 조절용 돔(150); 상기 개도 조절용 돔(150)의 업/다운(up/down)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개도 조절용 돔(150)과 내부 하우징(120)에 연결되어 개도 조절용 돔(15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돔 업/다운 구동부(160); 일단부가 상기 덕트(110)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120)과의 사이에 사이드 토출개구(131)를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30); 상기 외부 하우징(130)과 내부 하우징(120)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30)과 내부 하우징(120)을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이격 브래킷(140)을 포함하며, 상기 돔 업/다운 구동부(160)는, 상기 메인 토출구(121)의 지름 영역에서 메인 토출구(121)를 가로지르게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벽체(122)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메인 지지대(161); 상기 메인 지지대(161)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163a)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163a)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경사부(163b)와, 상기 한 쌍의 경사부(163b)를 연결하되 상기 메인 지지대(6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연결부(163c)를 구비하는 서브 지지대(163); 상기 서브 지지대(163)의 연결부(163c)와 메인 지지대(161)를 통과해서 단부가 개도 조절용 돔(150)에 연결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개도 조절용 돔(15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볼 스크루(165); 상기 볼 스크루(165)가 서브 지지대(163)에서 완전히 빠져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볼 스크루(165)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스토퍼(267)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130)에 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130)의 노출 단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라운딩 곡면부(1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디퓨저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가 보이지 않아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음은 물론 풍량의 세기와 상관없이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설치 상태 정면 이미지이다.
도 5는 공조용 디퓨저의 요부 사시 이미지이다.
도 6은 공조용 디퓨저의 배면 이미지이다.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8은 공조용 디퓨저의의 단면도로서 개도 조절용 돔이 다운(down) 동작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공조용 디퓨저의의 단면도로서 개도 조절용 돔이 업(up) 동작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동작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설치 상태 정면 이미지, 도 5는 공조용 디퓨저의 요부 사시 이미지, 도 6은 공조용 디퓨저의 배면 이미지, 도 7은 도 6의 요부 확대도, 도 8은 공조용 디퓨저의의 단면도로서 개도 조절용 돔이 다운(down) 동작된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9는 공조용 디퓨저의의 단면도로서 개도 조절용 돔이 업(up) 동작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100)는 내부가 보이지 않아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음은 물론 풍량의 세기와 상관없이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100)는 덕트(110), 내부 하우징(120), 외부 하우징(130), 개도 조절용 돔(150), 그리고 돔 업/다운 구동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110)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일종의 연통이다. 볼 스크루(165)를 제외하고 다른 구성들의 대부분이 플라스틱의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데 반해 덕트(110)는 알루미늄 재질의 원통형 구조물로 적용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1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100)의 내부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내부 하우징(120)에는 덕트(110) 내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메인 토출구(121)가 중앙 영역에 형성된다.
이때, 메인 토출구(121)의 둘레에는 일정 높이의 벽체(122)가 형성된다. 이러한 벽체(122)를 매개로 해서 돔 업/다운 구동부(160)의 메인 지지대(161)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30)은 일단부가 덕트(110)와 연결되되 내부 하우징(1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구조물로서, 내부 하우징(120)과의 사이에 사이드 토출개구(131)를 형성한다. 따라서 덕트(110) 측의 공기는 메인 토출구(121)를 비롯해서 사이드 토출개구(131)로 토출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30)의 노출 단부는 라운딩 처리되는 라운딩 곡면부(133)를 형성한다. 따라서 외관의 미가 높아질 수 있음은 물론 공기의 가이드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130)의 일측에는 통공(132)이 형성된다.
외부 하우징(130)과 내부 하우징(120) 사이에는 이격 브래킷(140)이 마련된다. 이격 브래킷(140)은 외부 하우징(130)과 내부 하우징(120)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며, 해당 위치에서 외부 하우징(130)과 내부 하우징(120)을 이격 가능하게 지지한다.
한편, 개도 조절용 돔(150)은 내부 하우징(120)의 메인 토출구(121) 영역에 배치되며,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개도 조절용 돔(150)이 구비되어 있어서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풍량 조절이 자유로워지는 이점이 있다. 개도 조절용 돔(150)은 해당 위치에서 업/다운(up/down) 동작되면서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가 조절될 수 있게끔 한다.
돔 업/다운 구동부(160)는 개도 조절용 돔(150)의 업/다운(up/down) 동작에 기초하여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개도 조절용 돔(150)부와 내부 하우징(120)에 연결되어 개도 조절용 돔(15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돔 업/다운 구동부(160)는 메인 지지대(161), 서브 지지대(163) 및 볼 스크루(16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지대(161)는 메인 토출구(121)의 지름 영역에서 메인 토출구(121)를 가로지르게 배치되고 양단부가 벽체(122)에 결합되는 일종의 고정 브래킷이다.
서브 지지대(163)는 메인 지지대(161)에 연결된다. 즉 서브 지지대(163)는 메인 지지대(161)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163a)와, 한 쌍의 결합부(163a)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경사부(163b)와, 한 쌍의 경사부(163b)를 연결하되 메인 지지대(16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연결부(163c)를 포함한다.
서브 지지대(163)가 마련되어 메인 지지대(161)와 함께 볼 스크루(165)를 이중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볼 스크루(165)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개도 조절용 돔(150)에 의한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 조절작업이 안정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특히, 돔 업/다운 구동부(160)는 개도 조절용 돔(150)에 의해 가려진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외부가 보이지 않아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다.
볼 스크루(165)는 서브 지지대(163)의 연결부(163c)와 메인 지지대(161)를 통과해서 단부가 개도 조절용 돔(150)에 연결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개도 조절용 돔(15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개도 조절용 돔(150)을 예컨대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 스크루(165)의 작용에 의해 도 9처럼 개도 조절용 돔(150)이 업(up) 동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가 좁아져 공기 토출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반대로 개도 조절용 돔(150)을 예컨대 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 스크루(165)의 작용에 의해 도 8처럼 개도 조절용 돔(150)이 다운(down) 동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가 넓어져 공기 토출량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가 보이지 않아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음은 물론 풍량의 세기와 상관없이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200) 역시, 덕트(110), 내부 하우징(120), 외부 하우징(130), 개도 조절용 돔(150), 그리고 돔 업/다운 구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돔 업/다운 구동부(260)는 역시, 메인 지지대(161), 서브 지지대(163) 및 볼 스크루(16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볼 스크루(165)의 단부에는 스토퍼(267)가 결합된다. 스토퍼(267)는 볼 스크루(165)가 서브 지지대(163)에서 완전히 빠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내부가 보이지 않아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음은 물론 풍량의 세기와 상관없이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동작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조용 디퓨저(300) 역시, 전술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덕트(110), 내부 하우징(320), 외부 하우징(130), 개도 조절용 돔(350), 그리고 돔 업/다운 구동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개도 조절용 돔(350)의 단부에는 도킹용 돌기(355)가 마련되고,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내부 하우징(320)에는 도킹용 홈(325)이 형성된다.
이에, 도 11에서 도 12처럼 개도 조절용 돔(350)을 완전히 업(up) 동작시키면 개도 조절용 돔(350)의 도킹용 돌기(355)가 내부 하우징(320)의 도킹용 홈(325)에 도킹될 수 있어 개도 조절용 돔(350)이 안정적인 위치를 찾을 수 있음은 물론 이 상태에서 메인 토출구(121)를 통한 공기 토출이 정지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내부가 보이지 않아 미관이 미려해질 수 있음은 물론 풍량의 세기와 상관없이 진동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효과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공조용 디퓨저 110 : 덕트
120 : 내부 하우징 121 : 메인 토출구
122 : 벽체 130 : 외부 하우징
131 : 사이드 토출개구 132 : 통공
133 : 라운딩 곡면부 140 : 이격 브래킷
150 : 개도 조절용 돔 160 : 돔 업/다운 구동부
161 : 메인 지지대 163 : 서브 지지대
163a : 결합부 163b : 경사부
163c : 연결부 165 : 볼 스크루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연통 형상으로 공기를 가이드하는 덕트(110);
    상기 덕트(110) 내의 공기를 토출시키는 메인 토출구(121)가 중앙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토출구(121)의 둘레에 일정 높이의 벽체(122)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122)의 하부에서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내부 하우징(120);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메인 토출구(121)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를 조절하도록 상부는 평면을 이루고, 하부는 중앙이 하향으로 볼록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개도 조절용 돔(150);
    상기 개도 조절용 돔(150)의 업/다운(up/down)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토출구(121)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개도 조절용 돔(150)과 내부 하우징(120)에 연결되어 개도 조절용 돔(15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돔 업/다운 구동부(160);
    일단부가 상기 덕트(110)와 연결되되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하우징(120)과의 사이에 사이드 토출개구(131)를 형성하는 외부 하우징(130); 및
    상기 외부 하우징(130)과 내부 하우징(120) 사이에 다수 개 배치되어 상기 외부 하우징(130)과 내부 하우징(120)을 이격 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의 이격 브래킷(140)을 포함하며,
    상기 돔 업/다운 구동부(160)는,
    상기 메인 토출구(121)의 지름 영역에서 메인 토출구(121)를 가로지르게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기 내부 하우징(120)의 벽체(122) 상단부에 결합되는 메인 지지대(161);
    상기 메인 지지대(161)에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163a)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163a)에서 경사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경사부(163b)와, 상기 한 쌍의 경사부(163b)를 연결하되 상기 메인 지지대(6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연결부(163c)를 구비하는 서브 지지대(163);
    상기 서브 지지대(163)의 연결부(163c)와 메인 지지대(161)를 통과해서 단부가 개도 조절용 돔(150)에 연결되며, 정역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에 기초하여 개도 조절용 돔(150)을 업/다운(up/down) 구동시키는 볼 스크루(165);
    상기 볼 스크루(165)가 서브 지지대(163)에서 완전히 빠져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볼 스크루(165)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스토퍼(267)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하우징(130)에 통공(132)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 하우징(130)의 노출 단부가 라운딩 처리되는 라운딩 곡면부(13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용 디퓨저.
KR2020180004386U 2018-09-20 2018-09-20 공조용 디퓨저 KR200489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386U KR200489269Y1 (ko) 2018-09-20 2018-09-20 공조용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386U KR200489269Y1 (ko) 2018-09-20 2018-09-20 공조용 디퓨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69Y1 true KR200489269Y1 (ko) 2019-05-27

Family

ID=66651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386U KR200489269Y1 (ko) 2018-09-20 2018-09-20 공조용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703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퓨저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327Y1 (ko) * 2006-02-03 2006-04-18 김충집 디퓨저
KR20100039763A (ko) 2008-10-08 2010-04-16 주식회사 영동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KR20100008247U (ko) * 2009-02-11 2010-08-19 김송이 전동 디퓨저
KR20100132279A (ko) 2009-06-09 2010-12-17 신정훈 요추 견인 치료장치
KR20110007377U (ko) *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풍향 변환이 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20006856U (ko) 2011-03-28 2012-10-08 이지원 염수 분수
KR20120007438U (ko) 2011-04-19 2012-10-29 대신메라민산업(주) 방화 방음 판넬 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327Y1 (ko) * 2006-02-03 2006-04-18 김충집 디퓨저
KR20100039763A (ko) 2008-10-08 2010-04-16 주식회사 영동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KR20100008247U (ko) * 2009-02-11 2010-08-19 김송이 전동 디퓨저
KR20100132279A (ko) 2009-06-09 2010-12-17 신정훈 요추 견인 치료장치
KR20110007377U (ko) * 2010-01-18 2011-07-26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풍향 변환이 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20006856U (ko) 2011-03-28 2012-10-08 이지원 염수 분수
KR20120007438U (ko) 2011-04-19 2012-10-29 대신메라민산업(주) 방화 방음 판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703A1 (ko) * 2021-12-07 2023-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6215A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N104676759A (zh) 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100957122B1 (ko) 환기덕트의 디퓨저
CN113007809B (zh) 壁挂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204555019U (zh) 空调器室内机
CN104697052A (zh) 空调器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200489269Y1 (ko) 공조용 디퓨저
KR100978862B1 (ko) 가변형 코어를 갖는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KR200414327Y1 (ko) 디퓨저
WO2018235947A1 (ja) 空調室内機
KR101669254B1 (ko)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101204305B1 (ko) 바닥용 디퓨저
JP2009127910A (ja) 吹出口装置
US20090233539A1 (en) Anemostat
JP200708566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438466Y1 (ko) 건물 지붕용 환기장치
JP2005290754A (ja) 扉用換気装置
CN113932293A (zh) 室内机、空调器及室内机控制的方法
JP7015645B2 (ja) 空調システム
KR101194721B1 (ko) 급기디퓨저의 역류방지장치
JP6963912B2 (ja) ダクト空調・照明一体型システム
KR101157619B1 (ko) 실내 공조용 사각 디퓨저
JP2007247957A (ja) 送風装置
CN204629714U (zh) 空调器室内机
JP2000205642A (ja) 天井埋め込み形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