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946A -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 Google Patents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946A
KR20130003946A KR1020110065607A KR20110065607A KR20130003946A KR 20130003946 A KR20130003946 A KR 20130003946A KR 1020110065607 A KR1020110065607 A KR 1020110065607A KR 20110065607 A KR20110065607 A KR 20110065607A KR 20130003946 A KR20130003946 A KR 20130003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outlet
main body
guide
duct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486B1 (ko
Inventor
문치영
Original Assignee
문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치영 filed Critical 문치영
Priority to KR102011006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24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3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성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파티션이 대향되면서 상호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하여, 덕트에서 제공되는 기류의 방향전환 및 토출량을 용이하게 제어함에 따라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제트방식의 블로어가 사용되는 천정이 높은 공간에서 공기조화시스템의 공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취출구(100)는, 일단이 상기 덕트챔버(2)의 끝단에 위치되고 타단에 토출구(112)가 구성된 본체프레임(110);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대향되는 내측면 각각에 마련되고 일측에 가이드홈(122)이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프레임(120); 상기 복수의 가이드프레임(120)의 가이드홈(122) 각각에 양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홈(122)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 및 토출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파티션(130)(140); 상기 본체프레임(110)과 덕트챔버(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챔버(2)로부터 상기 본체프레임(110)을 착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체결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LINE DIFFUSER FOR AIR CONDITIONING DUCT}
본 발명은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구성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파티션이 대향되면서 상호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하여, 덕트(duct)에서 제공되는 기류의 방향전환 및 토출량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 또는 '스월링(swirling)' 현상을 방지하면서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있고, 특히 제트방식의 블로어(blower)가 사용되는 강당, 대합실, 이벤트홀이나 전시장 또는 극장과 같은 천정이 높은 공간에서도 공기조화시스템의 공조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공간 또는 사무공간과 같은 대중이 모이는 장소나 기계설비 등을 설치한 공장 내부 등에서는, 쾌적한 실내온도 및 습도를 유지시키고자 공기조화시스템(air conditioning system)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조화시스템은,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방장치부와, 온기를 발생시키는 난방장치부와, 상기 냉방 또는 난방장치부에서 발생한 냉기 또는 온기(이하, '기류'라 한다)를 실내공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송풍시키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에 연결되어 기류를 실내 공간으로 유도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의 출구에 설치되어 기류가 '콜드 드래프트' 또는 '스월링' 현상없이 실내로 토출이 용이하도록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취출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로어는 지면과 천정까지의 높이가 대략 2~3m인 주거 또는 사무실의 실내공간에 사용이 적합한 일반 블로어와, 3m 이상의 실내공간 즉, 강당, 대합실, 이벤트홀이나 전시장 또는 극장과 같이 천정이 높은 장소에 사용이 적합한 제트방식 블로어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출구는 단면형상에 따라 주거나 사무공간에 사용이 적합한 원형취출구와, 천정이 높은 장소에 사용이 적합한 직사각형 형태의 선형취출구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형 취출구의 설치상태 단면도로서, 천정(1) 내부에 설치된 덕트챔버(2)의 하부에 취출구가 장착되어, 덕트를 통하여 강제로 송풍되는 기류가 덕트챔버(2)로 유입된 후 취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토출된다.
도 2는 종래의 선형 취출구의 분해 사시도로서, 종래의 선형 취출구(이하, '취출구'라 함)는 통상 알루미늄으로 제조되는 프레임(10)과 블레이드(20)와 홀더(30)와 힌지핀(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직사각의 수직벽(12)에 의하여 통풍구(11)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벽(12)에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13)는 천정(1)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20)는 그 길이방향으로 중공부(21)가 구비되어 있어, 힌지핀(40)에 고무링(34)을 끼운 후 이를 블레이드(20)의 양단에 삽입시켜 조립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3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축설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설홈(31)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20)의 양단에 결합된 힌지핀(40)을 각각 홀더(30)의 축설홈(31)에 끼운 후에, 상기 홀더(30)를 프레임(10)의 통풍구(11)에 나사로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상기한 취출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플랜지(13)부분이 천정(1)에 밀착되도록, 덕트챔버(2)에 있는 브라켓(3)에 홀더(30)의 관통공(32)을 통하여 볼트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시공된 취출구의 블레이드(20)는 힌지핀(40)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최대 180°범위 내에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취출구의 블레이드(20)는 천정(1)에 설치되기 전 '콜드 드래프트' 또는 '스월링' 현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설치위치에 따라 설치각도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취출구의 블레이드(20)는, 양단 각각이 힌지핀(40)에 의해 홀더(30)에 결합되므로, 블로어를 통해 송풍되는 기류의 영향으로 상기 블레이드(20)가 상기 힌지핀(40)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강당, 대합실, 이벤트홀이나 전시장 또는 극장과 같은 천정이 높은 공간에서 기류의 세기를 증폭하고자 채택한 제트방식 블로어에서 더욱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즉, 기류의 세기에 의해 취출구에 구성된 블레이드(20)의 각도가 변경될 경우, '콜드 드래프트' 또는 '스월링'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쾌적한 실내공간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취출구는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블레이드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류의 토출량 및 토출방향을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결국, 공기조화시스템 전체의 공조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출구에서 기류의 방향을 바꿔주기 위해 구성되는 제1 및 제2파티션을 상기 취출구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왕복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취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에 간섭되지 않고 최초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사용에도 취출구에 구성된 제1 및 제2파티션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조화시스템의 공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취출구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도록 제1 및 제2파티션을 구성하여, 사용목적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류의 방향전환 및 토출량을 제공할 수 있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덕트챔버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덕트챔버를 통해 유도된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토출하는 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는, 일단이 상기 덕트챔버의 끝단에 위치되고 타단에 토출구가 구성된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대향되는 내측면 각각에 마련되고 일측에 가이드홈이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복수의 가이드프레임의 가이드홈 각각에 양단이 일정깊이 삽입되고 상호 대향되게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본체프레임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 및 토출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파티션; 및 상기 본체프레임과 덕트챔버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챔버로부터 상기 본체프레임을 착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프레임은, 직사각형태를 이루고, 외주연에 일정 높이로 세워지며 끝단부가 덕트챔버의 끝단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수직벽; 상기 수직벽의 하단에서 내측 및 외측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수평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착탈되게 마련되고 중앙에 일정 깊이를 가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구성된 돌출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파티션은, 직사각 형태의 패널형상이며 일측에 기류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2파티션은, 양단 일부가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수평판; 상기 가이드홈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수평판에서 수직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수직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구에서 기류의 방향을 바꿔주기 위해 구성되는 제1 및 제2파티션을 상기 취출구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왕복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취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세기에 간섭되지 않고 최초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시간 사용에도 취출구에 구성된 제1 및 제2파티션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공기조화시스템의 공조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취출구의 폭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되도록 제1 및 제2파티션을 구성함으로써, 사용목적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기류의 방향전환 및 토출량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선형 취출구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선형 취출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취출구의 일부 단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취출구의 설치상태 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취출구의 설치상태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취출구의 100% 수직 토출상태 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취출구의 50% 수직 토출상태 측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취출구의 좌측편향 토출상태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취출구의 45˚우측 편향 토출상태 측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취출구(100)는 덕트챔버(2)의 끝단에 구성되어, 블로어를 통해 제공되는 기류가 상기 취출구(1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출구(100)는, 덕트챔버(2)의 끝단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 블로어에 위해 제공되는 기류가 토출되는 토출구(112)가 형성된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폭 방향 내측면 각각에 마련되는 복수의 가이드프레임(12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호 대향되면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제1파티션(130)과, 상기 제1파티션(130)의 하방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에 일단이 삽입되어 상호 대향되도록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제2파티션(140)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취출구(100)에는 상기 본체프레임(110)을 덕트챔버(2)에 체결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수단(150)이 구비된다.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덕트챔버(2)의 끝단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폭보다 길이방향이 더 긴 형태의 직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테두리를 형성하는 수직벽(114)과, 상기 수직벽(114)의 하단에 일정 폭을 가지며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벽(1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벽(114)은 상단부분이 덕트챔버(2)의 내측으로 일정 깊이로 삽입되어 기류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수직벽(114)이 덕트챔버(2)의 외측으로 일정 깊이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덕트챔버(2)의 끝단에 밀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직벽(114)의 내측 일부에는 체결수단(150)에 의해 덕트챔버(2)에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브라켓(118)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벽(114)의 폭 방향 내측면에는 가이드프레임(120)이 체결고정된다.
상기 수평벽(116)은 수직벽(114)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내측 공간으로 바람이 토출되는 토출구(112)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천정(1)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본체프레임(110)의 폭 방향 내측면에 마련되고, 일단은 본체프레임(110)의 수직벽(114)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타단은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의 일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되도록 일정 길이를 가진 복수의 돌출편(1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124)의 돌출 길이는,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벽(116)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본체프레임(110)과 별도로 구성하여 착탈식으로 구성하거나,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수직벽(114)에 가이드홈(122)을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목적 또는 제조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을 본체프레임(110)에 고정하는 방식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직결피스 또는 나사로 체결 고정하거나 또는 용접으로 융착시켜 일체화할 수 있다.
상기 제1파티션(130)은, 본체프레임(1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양단 각각에 대칭되게 구비되어, 상호 슬라이딩시키면서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의 토출공간을 제한한다.
상기 제1파티션(130)은 직사각 형태의 패널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파티션(130)에는, 제트방식의 블로어에서 발생한 강한 바람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32)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132)는,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티션(130)의 상단면의 양끝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파티션(130)의 하단이나 중앙 또는 일측, 경우에 따라서는 폭 방향 등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제1파티션(130)을 보강할 수 있는 위치 및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채택 가능하다.
또한, 보강리브(132)는 제1파티션(130)의 끝단이 가이드홈(122)에 삽입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의 길이방향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파티션(140)은, 가이드홈(122)에 일부가 삽입되는 수평판(142) 및 상기 수평판(142)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는 수직판(144)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판(142)은 제1파티션(13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 및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판(144)은 상기 수평판(142)이 가이드홈(122)에 삽입되는 것을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판(142) 또는 수직판(144)에는, 기류의 영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46)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판(144)의 연장 길이는 본체프레임(110)의 수평벽(116)의 상단에 맞닿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덕트챔버(2)를 통해 유도된 기류가 유실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로 토출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수단(150)은 덕트챔버(2)에서 취출구(100)를 고정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체결하는 수단으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52) 및 너트(154)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복수의 클립을 이용하는 등 덕트챔버(2)에 취출구(100)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수단(150)은 덕트챔버(2)의 내측에 마련된 챔버브라켓(2a)과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에 마련된 고정브라켓(118) 사이를 볼트(152)와 너트(154)로 체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취출구의 사용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취출구 제조공장에서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에 가이드프레임(120)을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의 가이드홈(12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을 구비하여 설치현장으로 이송한다.
이렇게 이송된 취출구(100)는, 덕트챔버(2)에 고정하기 전에 '콜드 드래프트' 또는 '스월링' 현상을 방지하면서 최상의 공기조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토출구(112)를 형성하도록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을 조절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토출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100% 수직 토출>
100% 수직 토출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을 본체프레임(110)의 양단 각각에 밀착시켜, 본체프레임(110)의 수평벽(116)의 끝단에 제2파티션(140)의 수직판(144)을 위치시켜 덕트챔버(2)에서 제공되는 기류가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 전체를 통해 수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50% 수직 토출>
50% 수직 토출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되게 마련된 복수의 제1파티션(130)을 상기한 100% 수직 토출과 같이 본체프레임(110)의 내측 양단으로 밀착한 상태에서 제2파티션(140)을 중앙으로 당겨, 상기 제2파티션(140)의 수직판(144)이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를 50%만 개방한 상태로 하여 상기 토출구(112)를 통해 50%의 기류만이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2파티션(140)을 본체프레임(110)의 내측 양단에 밀착시키고 제1파티션(130)을 중앙으로 당겨,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를 50% 개방한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제1파티션(130)의 하단과 제2파티션(140)의 수직판(144)의 길이만큼의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 기류가 토출될 때 상기한 공간에 와류가 발생하여 기류의 토출을 방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좌측 또는 우측 편향 토출>
좌측 또는 우측 편향 토출은,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되게 마련된 복수의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을 본체프레임(1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완전 밀착시켜, 기류의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의 사선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을 본체프레임(110) 좌측방향으로 밀착시키면, 덕트챔버(2)를 통해 유도된 기류가, 본체프레임(110)의 좌측으로 밀착된 복수의 제1파티션(130)의 폭만큼 토출이 제한됨에 따라 완전 개방된 우측으로 쏠리면서 하방으로 유도되지만,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우측에 형성된 수평벽(116)의 폭만큼 토출이 제한됨에 따라 재차 좌측방향으로 쏠리면서 토출이 이루어진다.
결국, 본체프레임(11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향된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에 의해,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는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의 편향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일정각 편향 토출>
일정각 편향 토출은,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의 위치에 따라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 및 토출량을 제어하는 것이다.
가령,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각도 45°이면서 100% 토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우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을 본체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다.
또한, 좌측에 위치한 제1 및 제2파티션(130)(140)을 본체프레임(110)의 중앙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파티션(140)의 수직판(144)이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 중앙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덕트챔버(2)에서 유도된 기류는, 본체프레임(110)의 우측에 밀착된 제1파티션(130)과 중앙에 이동된 좌측의 제1파티션(130)의 폭만큼 제한됨에 따라, 개방된 우측의 제1파티션(130)과 좌측의 제1파티션(130)사이공간 및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좌측 수직벽(114)과 좌측의 제1파티션(130)사이공간을 통해 하방으로 토출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토출되는 기류는, 본체프레임(110)의 우측에 위치한 제2파티션(140)의 수직판(144)과 좌측의 제2파티션(140) 수직판(144) 사이공간 및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우측 수평벽(116)과 좌측의 제2파티션(140) 수직판(144) 사이공간으로 토출되어 꺾이게 되므로, 결국, 우측 45°사선방향으로 100% 토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우측 45°로 50% 토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한 우측 45°100% 토출상태에서 본체프레임(110)의 우측에 위치한 제2파티션(140) 및 좌측의 제1파티션(130)을 각각 좌측방향의 중간지점에 위치시키면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프레임의 내측에 대향되게 설치된 제1 및 제2파티션의 설정위치에 따라, 수직토출, 또는 한 방향 편향토출 및 사선토출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토출량도 설치위치 및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취출구 110: 본체프레임
112: 토출구 114: 수직벽
116: 수평벽 118: 고정브라켓
120: 가이드프레임 122: 가이드홈
124: 돌출편 130: 제1파티션
132, 146: 보강리브 140: 제2파티션
142: 수평판 144: 수직판
150: 체결수단 152: 볼트
154: 너트

Claims (5)

  1. 덕트챔버의 끝단에 구성되어 상기 덕트챔버를 통해 유도된 기류의 방향을 전환시켜 토출하는 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100)는,
    일단이 상기 덕트챔버(2)의 끝단에 위치되고 타단에 토출구(112)가 구성된 본체프레임(110);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대향되는 내측면 각각에 마련되고 일측에 가이드홈(122)이 구성된 복수의 가이드프레임(120);
    상기 복수의 가이드프레임(120)의 가이드홈(122) 각각에 양단이 일정 깊이로 삽입되고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홈(122)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토출구(112)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의 방향 및 토출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의 제1 및 제2파티션(130)(140); 및
    상기 본체프레임(110)과 덕트챔버(2)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덕트챔버(2)로부터 상기 본체프레임(110)을 착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체결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프레임(110)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외주연에 일정 높이로 세워지며 끝단부가 덕트챔버(2)의 끝단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일정 깊이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수직벽(114);
    상기 수직벽(114)의 하단에서 내측 및 외측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내측으로 토출구(112)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수평벽(1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20)은,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내측에 착탈되게 마련되고 중앙에 일정 깊이를 가지는 가이드홈(122)이 형성되도록 내측으로 일정 길이로 돌출되게 구성된 돌출편(1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티션(130)은,
    직사각형 형상의 패널형상이며 일측에 기류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리브(1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파티션(140)은,
    양단 일부가 가이드홈(122)에 삽입되는 수평판(142); 및
    상기 가이드홈(122)에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수평판(142)에서 수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수직판(14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KR1020110065607A 2011-07-01 2011-07-01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KR101332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607A KR101332486B1 (ko) 2011-07-01 2011-07-01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5607A KR101332486B1 (ko) 2011-07-01 2011-07-01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946A true KR20130003946A (ko) 2013-01-09
KR101332486B1 KR101332486B1 (ko) 2013-11-26

Family

ID=4783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5607A KR101332486B1 (ko) 2011-07-01 2011-07-01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24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3752A (en) * 2014-03-03 2015-09-09 Polypipe Ltd Plenum chamber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210001321U (ko) * 2019-12-05 2021-06-15 박일문 제트 노즐 디퓨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71066U (ko) * 1974-11-29 1976-06-04
JP2002122349A (ja) 2000-10-16 2002-04-26 Kyoritsu Air Tech Inc 空気吹出口の気流調節装置
JP3891850B2 (ja) 2002-01-30 2007-03-14 株式会社三菱地所設計 ラインディフューザ
KR200452346Y1 (ko) * 2008-12-15 2011-02-18 안진혁 라인 디퓨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3752A (en) * 2014-03-03 2015-09-09 Polypipe Ltd Plenum chamber
GB2523752B (en) * 2014-03-03 2020-02-12 Polypipe Ltd Plenum chamber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210001321U (ko) * 2019-12-05 2021-06-15 박일문 제트 노즐 디퓨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2486B1 (ko)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50394B2 (en) Ceiling-mounted air-conditioner indoor-unit system
US10041691B2 (en) Ceiling-embedded air conditioner
US20190301768A1 (en) Air diffuser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CA2994480A1 (en) Ventilation kit and recessed light fixture assembly with ventilation
KR101332486B1 (ko)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KR100910615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JP2017534045A (ja) ウィンドブロッカーを備える空調機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KR200414327Y1 (ko) 디퓨저
JPWO2018235947A1 (ja) 空調室内機
JP7412149B2 (ja) 空調制御室
CN204853859U (zh) 风道组件及立式空调器
KR200459987Y1 (ko) 공기 조화 장치
JP2005265266A (ja) 吹出しグリル
JP3176500U (ja) 空調吹出口及び省エネ空調システム
KR101093764B1 (ko) 다방향 토출형 에어컨
CN203928314U (zh) 一种多功能条缝风口
KR20130108792A (ko) 공조장치 덕트용 선형 취출구
KR20210153947A (ko) 라인형 제트 드로우 디퓨져
EP3224443B1 (en) Ventilation profile with ventilation device
KR101429572B1 (ko) 환기용 또는 냉,난방 공조장치용 그릴
KR200461342Y1 (ko) 착탈이 용이한 디퓨져
JP6581393B2 (ja) 空気調和機
CN104697138A (zh) 嵌入式空调面板以及嵌入式空调
KR200239027Y1 (ko) 풍향조절기능이 부여된 건물용 통풍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