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5597A -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 Google Patents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5597A
KR20190005597A KR1020170086489A KR20170086489A KR20190005597A KR 20190005597 A KR20190005597 A KR 20190005597A KR 1020170086489 A KR1020170086489 A KR 1020170086489A KR 20170086489 A KR20170086489 A KR 20170086489A KR 20190005597 A KR20190005597 A KR 20190005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tribution
air
opening
damp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558B1 (ko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086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558B1/ko
Priority to CN201821067618.XU priority patent/CN209027010U/zh
Publication of KR2019000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24F2003/1667
    • F24F2003/16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08Perforated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배기와 점검구 및 디퓨져 기능을 일체로 겸비한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1)는, 공기 유입관(110)과, 상기 공기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을 구비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슬롯(220)을 구비한 점검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Multifunctional distributor with integrated access hole}
본 발명은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배기와 점검구가 일체형 구조로 구비됨과 아울러 디퓨져의 기능을 겸비한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덕트 타입의 환기장치를 아파트 등에 설치할 경우, 환기장치와 거리가 가까운 방과 먼 방 사이에는 정압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환기장치와 가까운 방에는 과도한 풍량이 공급되고, 환기장치와 먼 방에는 필요한 풍량이 도달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풍량의 불균형한 공급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분배기가 사용된다. 상기 분배기는 환기장치를 통하여 실내로 급기되는 공기를 분배하여 각 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분배기는 천장의 천장면과 천장 마감면 사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데, 분배기를 유지보수하는 경우에 천장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기까지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으며, 별도의 점검구를 설치하지 않는 한 천장에 설치된 분배기의 내부가 보이지 않아 고장의 원인을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분배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단순히 공기를 분배하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어, 분배기가 설치되는 하측 공간으로 공기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분배기와는 별도로 디퓨져를 추가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분배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013727호에 개시된 분배기는, 환기장치의 실내측에 다수의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를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실내 토출구마다 길이가 서로 달라 풍량 차이가 심하게 발생하고, 분배기와 가까운 방에는 많은 풍량이 토출되고, 분배기와 먼 방에는 과도한 정압 손실로 인하여 풍량이 적게 토출되어, 각 방의 재실이 일정치 않을 가능성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 등록특허 제10-0857668호에 개시된 환기유니트용 분배기의 경우, 풍량 분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방마다 풍량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아 공기 공급이 필요 없는 공간에 대한 공기 공급을 차단할 수 없어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분배기와 점검구 및 디퓨져 기능을 일체로 겸비한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1)는, 공기 유입관(110)과, 상기 공기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을 구비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슬롯(220)을 구비한 점검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공기 분배관(12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분배 댐퍼(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는,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각각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관(110)은 상기 본체(100)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은 상기 본체(100)의 양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는,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이 상기 공기 유입관(11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가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조절하는 댐퍼 플레이트(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점검구(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개구부(101,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1,102)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디퓨져 댐퍼(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01,102)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양측으로 이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200)에는 상기 개구부(101,102)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하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롯(220)이 상기 커버(2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01,102)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개구부(101)를 개폐하기 위한 제1디퓨져 댐퍼(140-1)와, 타측에 위치하는 제2개구부(102)를 개폐하기 위한 제2디퓨져 댐퍼(140-2)는, 상기 제1개구부(101)의 개도와 상기 제2개구부(102)의 개도를 상이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슬롯(220)은 상기 커버(210)에 길이방향, 폭방향, 사선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퓨져 댐퍼(140)는,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42)과, 상기 회전축(14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개구부(101,102)의 개도를 조절하는 댐퍼 플레이트(14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점검부(200)는 상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의 공기 유입관(110) 측에는 살균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160)는, 플라즈마 이온발생기 또는 자외선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에 의하면, 본체의 하부에 점검구를 일체로 구비하고, 점검구에는 공기의 확산을 위한 슬롯을 형성함으로써, 분배기와 점검구 및 디퓨져 기능을 하나의 제품에 겸비할 수 있어, 종래 분배기와는 별도로 점검구와 디퓨져를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품의 설비 비용을 절감하고 부피를 줄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제품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복수의 공기 분배관이 공기 유입관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여복수의 공기 분배관에 설치되는 공기분배 댐퍼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함으로써, 공기 유입관을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균일한 유량으로 분배되어 복수의 공기 분배관으로 공급될 수 있어, 복수의 공기 분배관에 연결된 각 방에 일정한 유량의 공기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기분배 댐퍼와 디퓨져 댐퍼를 모터와 회전축 및 댐퍼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전동식 댐퍼로 구성함으로써, 공기의 공급유량의 제어가 용이하고, 공기 공급이 필요 없는 공간에 대한 공기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관 측에는 플라즈마 이온발생기 또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진 살균부를 구비함으로써, 본체 내부와 공기 분배관에 연결된 덕트의 내부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의 설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가 천장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의 저면도,
도 4은 도 3의‘A’방향에서 바라본 배면도,
도 5는 도 3의‘B’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6는 도 3의‘C’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7은 점검구의 평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1)는, 환기장치(300)의 급기측(SA)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복수의 방(방1~방6)에 균일한 유량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배기의 기능과, 분배기의 유지보수를 위한 점검구의 기능, 및 분배기(1)의 하측 공간에 공기를 확산시켜 공급하는 디퓨져의 기능을 겸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1)는, 천장면(410)과 천장 마감면(420) 사이의 공간으로 정의되는 천장(400)에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점검구(200)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점검부(200)는 상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의 전단부(도 2를 기준으로 상단부) 중간에는 환기장치(300)로부터 급기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관(110)이 구비되고, 본체(100)의 양측부에는 전후 방향(도 2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이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상기 공기 분배관(120)은, 본체(100)의 좌측부에 구비된 제1 내지 제3공기 분배관(120-1,120-2,120-3)과, 본체(100)의 우측부에 구비된 제4 내지 제6공기 분배관(120-4,120-5,120-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120-1,120-2,120-3,120-4,120-5,120-6)의 내부에는, 각각의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분배 댐퍼(130;130-1,130-2,130-3,130-4,130-5,130-6)가 구비된다.
일실시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조절하는 댐퍼 플레이트(133)를 포함하는 전동 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분배 댐퍼(130)를 전동 댐퍼로 구성할 경우, 공기의 공급유량의 제어가 용이하고, 공기 공급이 필요 없는 공간에 대한 공기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 플레이트(133)가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되면, 공기 분배관(120)의 내부 유로는 막힌 상태가 되어 공기 분배관(120)을 통한 공기의 공급은 차단되고, 댐퍼 플레이트(133)가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서 공기 분배관(120)의 내부 유로의 개도가 조절된다.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는,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각각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 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는,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이 상기 공기 유입관(11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여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가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관(110)이 본체(100)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경우, 공기 유입관(110)으로부터 가까운 본체(100)의 상부 양측에 구비된 제1공기 분배관(120-1)과 제4공기 분배관(120-4)에는 풍압이 강하게 작용하므로, 제1공기분배 댐퍼(130-1)와 제4공기분배 댐퍼(130-4)는 제1공기 분배관(120-1)과 제4공기 분배관(120-4)의 개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지도록 댐퍼 플레이트(133)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중간부 양측에 구비된 제2공기 분배관(120-2)과 제5공기 분배관(120-5)에는 상기 제1공기 분배관(120-1)과 제4공기 분배관(120-4)에 작용하는 풍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풍압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2공기분배 댐퍼(130-2)와 제5공기분배 댐퍼(130-5)는 제2공기 분배관(120-2)과 제5공기 분배관(120-5)의 개도가 상기 제1공기 분배관(120-1)과 제4공기 분배관(120-4)의 개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댐퍼 플레이트(133)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그리고, 본체(10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제3공기 분배관(120-3)과 제6공기 분배관(120-6)에는 상기 제2공기 분배관(120-2)과 제5공기 분배관(120-5)에 작용하는 풍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풍압이 작용하게 되므로, 제3공기분배 댐퍼(130-3)와 제6공기분배 댐퍼(130-6)는 제3공기 분배관(120-3)과 제6공기 분배관(120-6)의 개도가 상기 제2공기 분배관(120-2)과 제5공기 분배관(120-5)의 개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댐퍼 플레이트(133)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이 공기 유입관(11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여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가 점차 커지도록 각각의 공기분배 댐퍼(13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에 균일한 유량의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점검구(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개구부(101,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1,102)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디퓨져 댐퍼(140;140-1,140-2)가 구비된다. 상기 개구부(101,102)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양측으로 이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된다.
상기 디퓨져 댐퍼(140)는,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42)과, 상기 회전축(14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개구부(101,102)의 개도를 조절하는 댐퍼 플레이트(143)를 포함하는 전동 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퓨져 댐퍼(140)를 전동 댐퍼로 구성할 경우, 공기 공급이 필요 없는 공간에 대한 공기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어,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점검구(200)는,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에 형성된 슬롯(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점검구(200)에는 상기 개구부(101,102)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하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롯(220)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220)은 상기 커버(210)에 길이방향, 폭방향, 사선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슬롯(220)이 커버(210)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였다.
상기 개구부(101,102)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개구부(101)를 개폐하기 위한 제1디퓨져 댐퍼(140-1)와, 타측에 위치하는 제2개구부(102)를 개폐하기 위한 제2디퓨져 댐퍼(140-2)는, 상기 제1개구부(101)의 개도와 상기 제2개구부(102)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검구(200)의 하측 공간 중 일측에는 주방이 있고, 타측에는 거실이 있는 경우, 거실에 비하여 주방을 향하여 공기의 공급유량을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개구부(101)의 개도량이 제2개구부(102)의 개도량보다 커지도록 제1디퓨져 댐퍼(140-1)와 제2디퓨져 댐퍼(140-2)의 회전량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미설명부호 150은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와 디퓨져 댐퍼(14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공기 유입관(110) 측에는 살균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160)는, 플라즈마 이온발생기 또는 자외선 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 유입관(110) 측에 살균부(160)를 구비함으로써, 본체(100) 내부와 공기 분배관(120)에 연결된 덕트(500)의 내부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100 : 본체
101 : 제1개구부 102 : 제2개구부
110 : 공기 유입관 120 : 공기 분배관
130 : 공기분배 댐퍼 131 : 모터
132 : 회전축 133 : 댐퍼 플레이트
140 : 디퓨져 댐퍼 141 : 모터
142 : 회전축 143 : 댐퍼 플레이트
150 : 제어부 160 : 살균부
200 : 점검구 210 : 커버
220 : 슬롯 300 : 환기장치
400 : 천장 410 : 천장면
420 : 천장 마감면 500 : 덕트

Claims (13)

  1. 공기 유입관(110)과, 상기 공기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된 공기를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을 구비하며 천장에 설치되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천장에 설치되는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에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슬롯(220)을 구비한 점검구(200);
    를 포함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배관(120)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공기분배 댐퍼(1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는,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을 통과하는 공기의 유량이 각각 동일하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관(110)은 상기 본체(100)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은 상기 본체(100)의 양측부에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는,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이 상기 공기 유입관(110)으로부터 이격되는 거리에 비례하여 상기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가 커지도록 상기 복수의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상이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배 댐퍼(130)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32)과, 상기 회전축(13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공기 분배관(120)의 개도를 조절하는 댐퍼 플레이트(13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점검구(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영역에 개구부(101,102)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01,102)의 개도를 조절하기 위한 디퓨져 댐퍼(140)를 더 포함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01,102)는 상기 본체(100)의 바닥면에 양측으로 이격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형성되고,
    상기 점검구(200)에는 상기 개구부(101,102)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하방향으로 확산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롯(220)이 상기 커버(21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01,102) 중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개구부(101)를 개폐하기 위한 제1디퓨져 댐퍼(140-1)와, 타측에 위치하는 제2개구부(102)를 개폐하기 위한 제2디퓨져 댐퍼(140-2)는, 상기 제1개구부(101)의 개도와 상기 제2개구부(102)의 개도를 상이하도록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220)은 상기 커버(210)에 길이방향, 폭방향, 사선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댐퍼(140)는, 모터(141)와, 상기 모터(14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42)과, 상기 회전축(142)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상기 개구부(101,102)의 개도를 조절하는 댐퍼 플레이트(14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부(200)는 상기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의 공기 유입관(110) 측에는 살균부(1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160)는, 플라즈마 이온발생기 또는 자외선 램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KR1020170086489A 2017-07-07 2017-07-07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KR102431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89A KR102431558B1 (ko) 2017-07-07 2017-07-07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CN201821067618.XU CN209027010U (zh) 2017-07-07 2018-07-06 检查口一体型多功能分配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89A KR102431558B1 (ko) 2017-07-07 2017-07-07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597A true KR20190005597A (ko) 2019-01-16
KR102431558B1 KR102431558B1 (ko) 2022-08-11

Family

ID=65280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489A KR102431558B1 (ko) 2017-07-07 2017-07-07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1558B1 (ko)
CN (1) CN20902701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2561A (zh) * 2020-08-17 2020-11-17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大型邮轮公共处所通风末端
EP4279827A1 (en) * 2022-05-17 2023-11-22 Simply Control s.r.o. Air flow control equip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488Y1 (ko) * 2002-12-11 2003-03-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풍량 방식을 이용한 배열회수장치
KR20080099843A (ko) * 2008-10-01 2008-11-13 신기빈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00002036U (ko) * 2008-08-18 2010-02-26 서인범 실내 환기 시스템용 공기 분배기
KR20100007803U (ko) * 2009-01-28 2010-08-05 김송이 전동 리니어 디퓨저
KR20110023400A (ko) * 2009-08-31 2011-03-08 (주)케이디디앤티 가변 댐퍼가 내장되는 다구형 공기 분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6488Y1 (ko) * 2002-12-11 2003-03-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풍량 방식을 이용한 배열회수장치
KR20100002036U (ko) * 2008-08-18 2010-02-26 서인범 실내 환기 시스템용 공기 분배기
KR20080099843A (ko) * 2008-10-01 2008-11-13 신기빈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00007803U (ko) * 2009-01-28 2010-08-05 김송이 전동 리니어 디퓨저
KR20110023400A (ko) * 2009-08-31 2011-03-08 (주)케이디디앤티 가변 댐퍼가 내장되는 다구형 공기 분배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42561A (zh) * 2020-08-17 2020-11-17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大型邮轮公共处所通风末端
EP4279827A1 (en) * 2022-05-17 2023-11-22 Simply Control s.r.o. Air flow control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9027010U (zh) 2019-06-25
KR102431558B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447B1 (ko) 환기장치
CN106140769B (zh) 通风柜
AU2018250394B2 (en) Ceiling-mounted air-conditioner indoor-unit system
US9095637B2 (en) Ion generator and air cleaner
KR101681870B1 (ko) 환기장치
KR20190005597A (ko) 점검구 일체형 다기능 분배기
KR20200115182A (ko) 배기장치
JP2011152260A (ja) 加湿機付きイオン発生機
KR20080099843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180013323A (ko) 정수를 가습용수로 사용하는 가습기
JP6234468B2 (ja) 送風装置
KR20150004991A (ko) 풍향조절장치
KR200459987Y1 (ko) 공기 조화 장치
KR200477600Y1 (ko) 풍량 및 풍향 제어장치
KR20170065519A (ko) 에어컨 송풍 방법
KR101882629B1 (ko) 환기장치용 슬리브 어셈블리 및 그 설치방법
CN102798178A (zh) 送风装置
KR20100109666A (ko) 일체형 급배기 후드
KR100729801B1 (ko) 바닥용 디퓨져
KR20070064907A (ko) 공기조화기
KR100851589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CN111706942A (zh) 一种公共空间"三风"等效平衡通风空调防疫系统
KR200453512Y1 (ko)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CN214536527U (zh) 空调室内机
KR102551811B1 (ko) 공간별 환기량 제어가 가능한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