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991A - 풍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풍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991A
KR20150004991A KR1020130077967A KR20130077967A KR20150004991A KR 20150004991 A KR20150004991 A KR 20150004991A KR 1020130077967 A KR1020130077967 A KR 1020130077967A KR 20130077967 A KR20130077967 A KR 20130077967A KR 20150004991 A KR20150004991 A KR 20150004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direction
air
direction adjusting
mode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843B1 (ko
Inventor
김주상
이도한
김한국
정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843B1/ko
Priority to CN201410183277.2A priority patent/CN104279732B/zh
Priority to EP14175528.0A priority patent/EP2821717B1/en
Publication of KR2015000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cylindrical or spherical bodies which are rota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에 설치된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풍향조절장치는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풍향조절부재와; 제 1 풍향모드시 풍향조절부재의 일단이 본체 내부를 향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타단이 실내를 향하게 풍향조절부재를 구동시키고, 제 2 풍향모드시 제 1 풍향모드에서 본체 내부를 향하던 일단이 실내를 향하고 제 1 풍향모드에서 실내를 향하던 타단이 본체 내부를 향하게 풍향조절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여, 간단한 구조 및 간단한 제어로 다양한 기류를 선택하여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풍향조절장치{Wind adjus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기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일정한 공간을 인간이 활동하기에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氣流) 분포로 조절하고, 동시에 공기 속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바닥과 벽과 천장 중 일측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공기흡입구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공조하여 공기토출구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조하고자 하는 실내 이외에 설치되고 실내와 흡입덕트 및 토출덕트로 연결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덕트를 통해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공조하여 공기토출구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는 실내를 향해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풍향조절부재와, 풍향조절부재를 동작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KR 10-0400462 B1 (2003.10.01)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풍향조절 베인의 상하 풍향조절부 일면 좌측에 좌측 가이드가 좌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하 풍향조절부의 일면 우측에 우측 가이드가 우향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공기를 좌우 확산시킬 수 있는데, 공기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가 좌우로 분산되기 때문에, 공기를 가운데로 모아서 집중시키기 곤란하고, 다양한 기류를 형성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에 설치된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풍향조절부재와; 제 1 풍향모드시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일단이 본체 내부를 향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타단이 실내를 향하게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구동시키고, 제 2 풍향모드시 상기 제 1 풍향모드에서 본체 내부를 향하던 일단이 실내를 향하고 상기 제 1 풍향모드에서 실내를 향하던 타단이 본체 내부를 향하게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제 1 풍향 모드시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고 상기 제 2 풍향 모드시 실내를 향하는 제 1 공기 출입면과, 상기 제 1 풍향 모드시 실내를 향하고 상기 제 2 풍향 모드시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제 2 공기 출입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기 출입면과 제 2 공기 출입면 사이에 공기안내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기 출입면의 면적과 상기 제 2 공기 출입면의 면적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제 1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과 제 2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베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제 1 베인부와; 상기 제 1 베인부에 형성되고, 제 1 풍향모드시와 제 2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이 상이한 제 2 베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제 1 베인부에 형성되고, 제 1 풍향모드시와 제 2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이 동일한 제 3 베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부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베인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베인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부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부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 2 베인부는 일단 상호간의 이격 거리가 타단 상호간의 이격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제 1 풍향모드는 상기 복수개 제 2 베인부 각각의 일단이 본체 내부를 향하는 와이드 토출모드일 수 있고, 상기 제 2 풍향모드는 상기 복수개 제 2 베인부 각각의 일단이 실내를 향하는 집중 토출모드일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는 제 1 풍향모드에서 제 2 풍향모드로 변경되거나 반대로 변경될 때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60°~ 300°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각각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 공기안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공기 출입면의 면적이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제 2 공기 출입면의 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와이드 토출모드시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각각의 제 1 공기 출입면이 본체의 내부를 향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각각의 제 2 공기 출입면이 실내를 향할 수 있다.
집중 토출모드시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각각의 제 1 공기 출입면이 실내를 향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각각의 제 2 공기 출입면이 본체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편향 토출모드시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제 1 공기 출입면이 본체의 내부를 향하고 제 2 공기 출입면이 실내를 향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중 다른 하나는 제 2 공기 출입면이 본체의 내부를 향하고 제 1 공기 출입면이 실내를 향할 수 있다.
상기 편향 토출모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좌편향 토출모드와 우편향 토출모드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풍향조절부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풍향조절부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 1 풍향조절모터와, 상기 풍향조절부재 중 다른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 2 풍향조절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풍향조절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풍향조절부재는 제 1 풍향조절모터와 가까울수록 곡률 반경이 작은 복수개의 베인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 2 풍향조절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풍향조절부재는는 제 2 풍향조절모터와 가까울수록 곡률 반경이 작은 복수개의 베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 및 간단한 제어로 다양한 기류를 선택하여 형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2개의 풍향조절부재로 와이드 토출모드와 집중 토출모드와 좌편향 토출모드와 우편향 토출모드를 선택할 수 있어, 실내를 보다 효율적으로 공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가 도시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가 제 1 풍향모드일 때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가 제 2 풍향모드일 때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의 구동기구가 풍향조절부재를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로 전환하는 일예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의 구동기구가 풍향조절부재를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로 전환하는 다른예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2실시예가 와이드 토출모드일 때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2실시예가 집중 토출모드일 때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2실시예가 제 1 편향 토출모드일 때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2실시예가 제 2 편향 토출모드일 때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3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가 도시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가 제 1 풍향모드일 때의 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가 제 2 풍향모드일 때의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공기 흡입구(2)와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된 본체(6)에 설치되어 본체(6)에서 공기 토출구(4)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체(6)는 공기 토출구(4)가 실내(R)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고, 풍향조절장치는 공기 토출구(4)를 통과하는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본체(6)는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공기조화기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6)는 열교환기 및 송풍기가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연결되어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된 공기를 실내(R)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 덕트로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공기조화기가 아닌 토출 덕트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공기조화기에서 공조된 후 토출 덕트로 유동된 공기가 토출 덕트에서 실내로 토출될 때 토출 덕트의 공기 토출구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6)가 공기조화기 특히, 천장형 공기조화기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매립 혹은 돌출되게 고정 설치된 케이스(12)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2)는 저면이 개방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된 토출 패널(14)이 케이스(12)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된 흡입 패널(미도시)이 토출 패널(14)과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흡입 패널은 토출 패널(14)과 함께 케이스(1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토출 패널(14)에 공기 흡입구(2)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토출 패널(14)은 공기가 흡입될 수 있고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흡,토출패널로 구성되는 것이 간으하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케이스(12)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16)와, 공기 흡입구(2)로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6)를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4)로 토출시키는 송풍기(18)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8)는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과, 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는 공기 토출구(4)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풍향조절부재(22)와; 풍향조절부재(22)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구(24)는 복수개의 풍향모드를 갖을 수 있다. 구동기구(24)는 제 1 풍향모드시 풍향조절부재(22)의 일단(26)이 본체(6) 내부(I)를 향하고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실내(R)를 향하게 풍향조절부재(22)를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풍향조절부재(22)의 일단(26)은 풍향조절부재(22)의 공기 안내 방향으로 한쪽 끝일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은 풍향조절부재(22)의 공기 안내 방향으로 다른쪽 끝일 수 있다.
구동기구(24)는 제 2 풍향모드시 제 1 풍향모드에서 본체(6) 내부를 향하던 일단(26)이 실내(R)를 향하고 제 1 풍향모드에서 실내(R)를 향하던 타단(28)이 본체(6) 내부(I)를 향하게 풍향조절부재(22)를 구동시킬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일단(26)과 타단(28) 각각에 공기 출입면(P1)(P2)이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일단(26)과 타단(28) 사이에 공기안내통로(P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풍향조절부재(22)는 일단(26)에 제 1 공기 출입면(P1)이 형성되고, 타단(28)에 제 2 공기 출입면(P2)이 형성되며, 공기 안내통로(P3)는 제 1 공기 출입면(P1)과 제 2 공기 출입면(P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공기 출입면(P1)은 제 1 풍향 모드시 본체(6)의 내부를 향하고 제 2 풍향 모드시 실내(R)를 향할 수 있다. 제 2 공기 출입면(P2)은 제 1 풍향 모드시 실내(R)를 향하고 제 2 풍향 모드시 본체(6)의 내부를 향할 수 있다.
제 1 공기 출입면(P1)과 제 2 공기 출입면(P2)은 풍향조절부재(22)로 공기가 유입되게 풍향조절부재(22)에 개구된 개구면일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22)로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게 풍향조절부재(22)에 개구된 개구면일 수 있다.
제 1 공기 출입면(P1)과 제 2 공기 출입면(P2)은 둘 중 하나가 본체(6) 내부(I)를 향할 때, 다른 하나가 실내(R)를 향할 수 있다. 제 1 공기 출입면(P1)이 본체(6) 내부(I)를 향하는 풍향모드일 때, 제 2 공기 출입면(P2)은 실내(R)를 향할 수 있고, 공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공기 출입면(P1)과 공기안내통로(P3)와 제 2 공기 출입면(P2) 순서로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22)가 공기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 출입면(P1)이 실내(R)를 향하는 풍향모드일 때, 제 2 공기 출입면(P2)은 본체(6)의 내부(I)를 향할 수 있고, 공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공기 출입면(P2)과 공기안내통로(P3)와 제 1 공기 출입면(P1) 순서로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22)가 공기를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공기 출입면(P1)은 제 1 공기 출입면(P1)이 본체(6)의 내부를 향할 때 본체(6)의 공기가 풍향조절부재(22)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될 수 있고, 제 1 공기 출입면(P1)이 실내(R)를 향할 때, 풍향조절부재(22)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공기 출입구가 될 수 있다. 즉, 제 1 공기 출입면(P1)은 겸용 출입구가 될 수 있다.
제 2 공기 출입면(P2)은 제 2 공기 출입면(P2)이 본체(6)의 내부를 향할 때 본체(6)의 공기가 풍향조절부재(22)로 유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될 수 있고, 제 2 공기 출입면(P2)이 실내(R)를 향할 때, 풍향조절부재(22)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가 실내로 유출되는 공기 출입구가 될 수 있다. 즉, 제 2 공기 출입면(P2)은 겸용 출입구가 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제 1 공기 출입면(P1)의 면적(A1)과 제 2 공기 출입면(P2)의 면적이 상이할 수 있다. 제 1 공기 출입면(P1)과 제 2 공기 출입면(P2)은 둘 중 하나의 개구 면적이 다른 하나의 개구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하, 제 1 공기 출입면(P1)의 면적(A1)이 제 2 공기 출입면(P2)의 면적(A2) 보다 작을 경우를 설명한다.
풍향조절부재(22)는 제 1 풍향모드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넓게 확산시키게 안내할 수 있다. 제 1 풍향모드는 와이드 토출모드일 수 있다. 제 1 풍향모드시, 제 1 공기 출입면(P1)은 본체(6)의 내부(I)를 향하고 제 2 공기 출입면(P2)은 실내(R)를 향하게 되는데, 공기는 제 1 공기 출입면(P1)과 제 2 공기 출입면(P2) 사이의 공기안내통로(P3)를 통과하면서 넓게 퍼질 수 있다. 공기안내통로(P3)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공기 출입면(P2)을 통과해 실내(R)로 토출될 수 있는데,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X) 뿐만 아니라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X)의 옆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다. 제 1 풍향모드는 제 2 풍향모드 보다 넓게 퍼지는 확산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풍향조절부재(22)는 제 2 풍향모드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집중시키게 안내할 수 있다. 제 2 풍향모드는 집중 토출모드일 수 있다. 제 2 풍향모드시, 제 1 공기 출입면(P1)은 실내(R)를 향하고 제 2 공기 출입면(P2)은 본체(6)의 내부(I)를 향하게 되는데, 공기는 제 2 공기 출입면(P2)과 제 1 공기 출입면(P1) 사이의 공기안내통로(P3)를 통과하면서 좁게 모아질 수 있다. 공기안내통로(P3)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공기 출입면(P1)을 통과해 실내(R)로 토출될 수 있는데, 풍향조절부재(22)의 일단(26)이 향하는 방향(Y)으로 집중될 수 있다. 즉, 제 2 풍향모드는 제 1 풍향모드 보다 집중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집중 기류는 풍향조절부재(22)의 일단(26)이 향하는 방향(Y)으로 빠르고 신속하게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제 1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과 제 2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베인부(36)(38)(40)(42)(44)(46)(48)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베인부(36)(38)(40)(42)(44)(46)(48)는 제 1 공기 출입면(P1)이 실내를 향할 때의 공기안내방향과 제 2 공기 출입면(P2)이 실내를 향할 때의 공기안내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제 1 베인부(32)(34)와; 제 1 베인부(32)(34)에 형성되고, 제 1 풍향모드시와 제 2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이 상이한 제 2 베인부(36)(38)(40)(42)(44)(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6)는 공기 토출구(4)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1 베인부(32)(34)는 공기 토출구(4)의 장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공기 토출구(4)의 단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단수개의 제 1 베인부(32)와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와 적어도 하나의 베인부(36)(38)(40)(42)(44)(46)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풍향조절부재(22)가 단수개의 제 1 베인부(32)를 포함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베인부(36)(38)(40)(42)(44)(46)는 제 1 베인부(32)의 양면 중 일면에 함께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제 1 베인부(32)의 양면에 각각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가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를 포함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가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를 포함할 경우,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 사이에는 공기안내통로(P3)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 중 어느 하나(32) 일단과 다른 하나(34)의 일단 사이에 제 1 공기 출입면(P1)이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 중 어느 하나(32)의 타단과 다른 하나(34)의 타단 사이에 제 2 공기 출입면(P2)이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한 쌍의 제 1 베인부(32)(34)가 그 사이에 공기안내통로(P3)를 형성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3개 이상의 제 1 베인부가 나란하게 배치되어 복수개의 공기안내통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복수개의 공기안내통로는 공기 토출 방향으로 병렬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를 잇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50)(52)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풍향조절부재(22)는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를 잇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50)(5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와 측벽(50)(52)이 풍향조절부재(22)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와 측벽(50)(52)이 형성하는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 각각과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의 각각에 연결되어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게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복수개 제 1 베인부(32)(34)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일단(54)이 제 1 베인부(32)(32)의 중심선(C)과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고, 타단(56)가 제 1 베인부(32)(32)의 중심선(C)과 평행하지 않는 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의 일단(54)은 제 1 공기 출입면(P1)에 위치하거나 제 1 공기 출입면(P1)과 제 2 공기 출입면(P2) 중 제 1 공기 출입면(P1)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의 타단(56)은 제 1 베인부(32)(32)의 중심선(C) 또는 중심선(C)의 가상 평행선(C')과 예각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 방향(D)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의 타단(56)은 제 2 공기 출입면(P2)에 위치하거나 제 1 공기 출입면(P1)과 제 2 공기 출입면(P2) 중 제 2 공기 출입면(P2)에 더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일단(54)과 타단(56) 사이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 중 어느 한 모드일 때, 공기를 직진 방향으로 토출 안내할 수 있고, 다른 모드일 때, 공기를 경사 방향으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54)이 본체(6) 내부(I)를 향할 때, 타단(56)이 실내(R)를 향할 수 있고, 이때,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제 1 베인부(32)(32)의 중심선(C) 또는 중심선(C)의 가상 평행선(C')과 예각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 방향(D)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54)이 실내(R)를 향할 때, 타단(56)이 본체(6)의 내부(I)를 향할 수 있고, 이때,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제 1 베인부(32)(32)의 중심선(C)과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제 1 베인부(32)(34)의 길이 방향(E)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일단(54) 상호간의 이격 거리가 타단(56) 상호간의 이격 거리 보다 짧을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일단(54)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이격 거리(F)가 점차 짧아질 수 있고, 타단(56)으로 갈수록 상호간의 이격 거리(F)가 점차 길어질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와이드 토출모드시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 각각의 일단(54)이 본체(6)의 내부를 향할 수 있고, 집중 토출모드시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 각각의 일단(54)이 실내(R)를 향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제 1 베인부(32)(34)에 형성되고, 제 1 풍향모드시와 제 2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이 동일한 제 3 베인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베인부(60)는 일단과 타단이 제 1 베인부(32)(34)의 중심선(C)과 일치되거나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제 3 베인부(60)가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42)(44)(46)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 3 베인부(60)는 제 1 베인부(32)(34)의 중심선(C)에 위치되거나 중심선(C)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제 3 베인부(60)와 제 1 측벽(50) 사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고, 제 3 베인부(60)와 제 2 측벽(52) 사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제 3 베인부(60)와 제 1 측벽(50) 사이에 적어도 2개 형성될 수 있고, 제 3 베인부(60)와 제 2 측벽(52) 사이에 적어도 2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베인부(36)(38)(40)(42)(44)(46)는 제 3 베인부(60)에 가까울수록 베인부일수록 곡률 반경이 클 수 있고, 측벽(50)(52)에 가까운 베인부일수록 곡률 반경이 작을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22)는 제 1 베인부(32)(34)의 길이 방향(E)과 같거나 나란한 회전 중심축(62)(64)을 갖을 수 있다. 회전 중심축(62)(64)은 측벽(50)(52)에 구비될 수 있고, 제 1 측벽(50)에 형성된 제 1 회전 중심축(62)과, 제 2 측벽(52)에 형성된 제 2 회전 중심축(64)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중심축(62)(64)은 풍향조절부재(22)가 별도의 측벽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복수개의 제 2 베인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제 1 회전 중심축(62)과, 복수개의 제 2 베인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제 2 회전 중심축(64)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 1 회전 중심축(62)과 제 2 회전 중심축(64) 중 어느 하나는 구동기구(24)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하나는 본체(6) 특히 토출 패널(14)에 형성된 중심축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기구(24)는 제 1 회전 중심축(62)과 제 2 회전 중심축(64) 중 어느 하나에 회전축이 연결된 풍향조절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기구(24)는 풍향조절모터와, 제 1 회전 중심축(62)과 제 2 회전 중심축(64) 중 어느 하나와 풍향조절모터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고, 동력전달부재는 기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기구(24)는 본체(6)에 설치될 수 있고, 특히 본체(6)의 토출패널(14)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의 구동기구가 풍향조절부재를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로 전환하는 일예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1실시예의 구동기구가 풍향조절부재를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로 전환하는 다른예가 도시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구동기구(24)가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풍향조절부재(22)를 최대 회전시키는 경우이고, 도 5는 구동기구(24)가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풍향조절부재(22)를 최소 회전시키는 경우이다.
구동기구(24)는 제 1 풍향모드에서 제 2 풍향모드로 변경되거나 반대로 변경될 때 풍향조절부재(22)를 설정 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기구(24)가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풍향조절부재(22)를 회전시키는 설정 범위는 풍향조절부재(22)가 본체(6) 내부(I)의 공기를 실내(R)로 원활하게 토출 안내할 수 있는 범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0°~ 300°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구동기구(24)는 풍향조절부재(22)를 180°회전시킬 때, 풍향조절부재(22)의 일단과 타단의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300°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를 전환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60°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풍향모드와 제 2 풍향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2실시예가 와이드 토출모드일 때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2실시예가 집중 토출모드일 때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2실시예가 제 1 편향 토출모드일 때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2실시예가 제 2 편향 토출모드일 때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가 본체(6)에 일렬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는 공기 토출구(4)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본체(6)는 하나의 공기 토출구(4)가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는 하나의 공기 토출구(4)로 토출되는 공기를 함께 풍향 조절할 수 있다. 본체(6)에는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가 일렬로 이격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는 하나의 공기 토출구 당 적어도 하나가 배치되되 전체적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공기 토출구로 분산되어 토출되는 공기는 본체(6)에 일렬로 배치된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에 토출 안내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공기 토출구(4)로 토출되는 공기가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에 의해 풍향 조절되는 예로 설명한다.
공기 토출구(4)는 본체(6)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은 공기 토출구(4)의 장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으며, 공기 토출구(4)의 장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24')(24")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는 각각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풍향조절부재(22)와 같이, 제 1 공기 출입면(P1)과 제 2 공기 출입면(P2)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안내통로(P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는 각각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풍향조절부재(22)와 같이, 제 1 공기 출입면(P1)과 제 2 공기 출입면(P2) 중 어느 하나가 본체(6) 내부(I)를 향할 때 다른 하나가 실내(R)를 향할 수 있다.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는 각각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풍향조절부재(22)와 같이, 제 1 공기 출입면(P1)의 면적(A1)이 제 2 공기 출입면(P2)의 면적(A2)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가 본체(6)에 일렬 배치되는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이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풍향조절부재(22)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는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를 포함할 수 있고, 이하,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는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와,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는 측벽(50')(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풍향조절부재(22)와 같이,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와, 측벽(50')(52')이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이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는 제 1 베인부(32')(34')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베인부(36)(38)(40)는 일단부로 갈수록 상호간의 이격 거리(F)가 점차 짧아질 수 있고, 타단부로 갈수록 상호간의 이격 거리(F)가 점차 길어질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는 측벽(50')(52')에 제 1 회전 중심축(6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풍향조절부재(22")는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와, 복수개의 제 2 베인부(42)(44)(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는 측벽(50")(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풍향조절부재(22)와 같이,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와, 측벽(50")(52")이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제 2 베인부(42)(44)(46)가 복수개의 제 1 베인부(32")(34") 사이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베인부(42)(44)(46)는 제 1 베인부(32")(34")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 베인부(42)(44)(46)는 일단부로 갈수록 상호간의 이격 거리(F)가 점차 짧아질 수 있고, 타단부로 갈수록 상호간의 이격 거리(F)가 점차 길어질 수 있다. 제 2 풍향조절부재(22")는 측벽(50")(52")에 제 2 회전 중심축(62")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는 상호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힌지축(64')과,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힌지축(6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 지지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기구(24')(24")는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 중 어느 하나(22')를 회전시키는 제 1 풍향조절모터(24')와,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 중 다른 하나(22")를 회전시키는 제 2 풍향조절모터(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모터(24')와 제 2 풍향조절모터(24")는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장치는 공기 토출구(4)의 개구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제 1 풍향조절모터(24')와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모터(24")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모터(24')는 제 1 풍향조절부재(22')를 직접 또는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모터(24')는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제 1 회전 중심축(6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풍향조절모터(24")는 제 2 풍향조절부재(22")를 직접 또는 기어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회전시킬 수 있다. 제 2 풍향조절모터(24")는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제 2 회전 중심축(62")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은 제 2 베인부 각각의 곡률 반경이 상이할 수 있고, 제 2 베인부 각각은 구동기구(24')(24")와 가까울수록 곡률 반경이 작을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복수개의 제 2 베인부는 제 1 풍향조절모터(24')와 가까울수록 곡률 반경이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 2 풍향조절부재(22') 복수개의 제 2 베인부는 제 2 풍향조절모터(24")와 가까울수록 곡률 반경이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넓게 확산시키는 와이드 토출모드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집중시키는 집중 토출모드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를 좌측 방향이나 우측 방향으로 편향되게 토출시키는 편향 토출모드를 갖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와이드 토출모드와 집중 토출모드시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제 2 베인부(36)(38)(40)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제 2 베인부(42)(44)(46)가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경계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편향 토출모드시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제 2 베인부(36)(38)(40)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제 2 베인부(42)(44)(46)가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경계를 중심으로 좌우 비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 내지 도 8의 좌측을 좌측 방향으로 칭하고, 도 6 내지 도 8의 우측을 우측 방향으로 칭하며, 도 6 내지 도 8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와이드 토출모드시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의 제 1 공기 출입면(P1)이 본체(6)의 내부(I)를 향하고,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의 제 2 공기 출입면(P2)이 실내(R)를 향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각이 제 1 풍향모드일 수 있고, 제 1 풍향조절부재(22')에 안내되는 공기는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과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의 옆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으며,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안내되는 공기는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과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의 옆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하측 방향과 좌측 방향으로 넓게 퍼지고,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하측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넓게 퍼지며,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집중 토출모드시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의 제 1 공기 출입면(P1)이 실내를 향하고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의 제 2 공기 출입면(P2)이 본체(6)의 내부(I)를 향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각이 제 2 풍향모드일 수 있고, 제 1 풍향조절부재(22')에 안내되는 공기는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일단(26)이 향하는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으며,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안내되는 공기는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일단(26)이 향하는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좌측 방향으로 퍼지지 않고, 하측 방향으로 집중되고,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우측 방향으로 퍼지지 않고 하측 방향으로 집중되며,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좌측 방향과 우측 방향으로 넓게 퍼지지 않고, 하측 방향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편향 토출모드시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 중 어느 하나의 제 1 공기 출입면(P1)이 본체(6)의 내부(I)를 향하고 제 2 공기 출입면(P2)이 실내(R)를 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편향 토출모드시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중 다른 하나는 제 2 공기 출입면(P2)이 본체(6)의 내부(I)를 향하고 제 1 공기 출입면(P1)이 실내(R)를 향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는 편향 토출모드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풍향조절부재(22')가 제 1 풍향모드일 때, 제 2 풍향조절부재(22")가 제 2 풍향모드일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는 편향 토출모드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풍향조절부재(22')가 제 2 풍향모드일 때, 제 2 풍향조절부재(22")가 제 1 풍향모드일 수 있다.
편향 토출모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좌편향 토출모드와 우편향 토출모드를 갖을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가 제 1 풍향모드일 때, 제 2 풍향조절부재(22")가 제 2 풍향모드일 경우, 제 1 풍향조절부재(22')에 안내되는 공기는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과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의 옆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고,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다. 한편,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안내되는 공기는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일단(26)이 향하는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고,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하측 방향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우측 방향으로 넓게 퍼지지 않고, 좌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풍향조절장치는 전체적으로 좌측으로 편향된 기류를 형성하는 좌편향 토출모드일 수 있고, 실내(R)는 좌측 공간이 주로 공조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가 제 2 풍향모드일 때, 제 2 풍향조절부재(22")가 제 1 풍향모드일 경우, 제 1 풍향조절부재(22')에 안내되는 공기는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일단(26)이 향하는 방향으로 집중될 수 있고, 제 1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하측 방향으로 집중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안내되는 공기는 제 2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과 제 1 풍향조절부재(22')의 타단(28)이 향하는 방향의 옆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고,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우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넓게 퍼질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에 토출 안내되는 공기는 좌측 방향으로 넓게 퍼지지 않고, 우측 방향과 하측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고, 풍향조절장치는 전체적으로 우측으로 편향된 기류를 형성하는 우편향 토출모드일 수 있고, 실내(R)는 우측 공간이 주로 공조될 수 있다.
구동기구(24')(24")는 풍향모드 변경시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중 적어도 하나를 60°~300°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24')(24")는 와이드 토출모드에서 편향 토출모드로 전환될 때,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중 하나만을 60°~300°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24')(24")는 와이드 토출모드에서 집중 토출모드로 전환될 때,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을 60°~300°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24')(24")는 집중 토출모드에서 와이드 토출모드로 전환될 때,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을 60°~300°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기구(24')(24")는 집중 토출 모드에서 편향 토출모드로 전환될 때,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중 하나만을 60°~300°범위 내에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를 공기 토출구(4)의 단방향으로 상이한 각도를 갖게 구동시킬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일예로, 제 1 풍향조절부재(22')가 공기 토출구(4) 하측의 전방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때, 제 2 풍향조절부재(22")가 공기 토출구(4)의 하측 후방 영역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와이드 토출모드와, 집중 토출모드와, 편향 토출 모드 각각의 경우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제 2 풍향조절부재(22")를 전후 방향으로 상이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풍향조절장치는 보다 다양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풍향조절장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풍향조절장치는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사이에 위치되고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풍향조절부재 지지부(80)를 포함할 수 있고, 풍향조절부재 지지부(80)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풍향조절부재 지지부(80)는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사이에 위치되게 본체(6) 특히 토출패널(14)에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 지지부(80)는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22')(22") 각각을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풍향조절부재(22')와 풍향조절부재 지지부(80) 중 어느 하나에는 제 1 힌지축(82)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 1 힌지축(8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힌지축 지지부(84)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풍향조절부재(22")와 풍향조절부재 지지부(80) 중 어느 하나에는 제 2 힌지축(86)이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하나에는 제 2 힌지축(8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 힌지축 지지부(88)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6)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실내의 바닥에 세워져 설치되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의 풍향조절장치는 벽결이형 공기조화기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또는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체(6)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로 구성될 경우, 본체(6)의 공기 토출구(4)는 본체(6)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풍향조절부재(22)는 본체(6)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기 토출구(4)에 설치되어 공기 토출구(4)의 전방 좌,우로 넓게 공기를 토출 안내하거나 공기 토출구(4)의 전방으로 공기를 집중 토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는 되어, 본체(6)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기 토출구(4)에 설치되어 공기 토출구(4)의 전방 좌,우로 넓게 공기를 토출 안내하거나 공기 토출구(4)의 전방으로 공기를 집중 토출 안내하거나 공기 토출구(4)의 전방 좌측으로 편향되게 공기를 토출 안내하거나 공기 토출구(4)의 전방 우측으로 편향되게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기류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제1실시예의 풍향조절부재(22)는 본체(6)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기 토출구(4)에 설치되어 공기 토출구(4)의 전방 상하로 넓게 공기를 토출 안내하거나 공기 토출구(4)의 전방으로 공기를 집중 토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는 되어, 본체(6)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공기 토출구(4)에 설치되어 공기 토출구(4)의 전방 상하로 넓게 공기를 토출 안내하거나 공기 토출구(4)의 전방으로 공기를 집중 토출 안내하거나 공기 토출구(4)의 전방 상측으로 편향되게 공기를 토출 안내하거나 공기 토출구(4)의 전방 하측으로 편향되게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 제 2 실시예의 복수개 풍향조절부재(22')(22")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방향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고, 보다 다양한 기류의 조합을 형성할 수 있다.
2: 공기 흡입구 4: 공기 토출구
6: 본체 14: 토출패널
22: 풍향조절부재 22': 제 1 풍향조절부재
22" : 제 2 풍향조절부재 24: 구동기구
24': 제 1 풍향조절모터 24" : 제 2 풍향조절모터
26: 풍향조절부재의 일단 28: 풍향조절부재의 타단
32,34: 제 1 베인부 32'.34': 제 1 베인부
32",34": 제 1 베인부 36,38,40,42,44,46: 제 2 베인부
50,52: 측벽 P1: 제 1 공기 출입면
P2: 제 2 공기 출입면 P3: 공기안내통로

Claims (22)

  1. 공기 흡입구와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에 설치된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장치는
    상기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풍향조절부재와;
    제 1 풍향모드시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일단이 본체 내부를 향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타단이 실내를 향하게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구동시키고, 제 2 풍향모드시 상기 제 1 풍향모드에서 본체 내부를 향하던 일단이 실내를 향하고 상기 제 1 풍향모드에서 실내를 향하던 타단이 본체 내부를 향하게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풍향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제 1 풍향 모드시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고 상기 제 2 풍향 모드시 실내를 향하는 제 1 공기 출입면과,
    상기 제 1 풍향 모드시 실내를 향하고 상기 제 2 풍향 모드시 상기 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제 2 공기 출입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공기 출입면과 제 2 공기 출입면 사이에 공기안내통로가 형성된 풍향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 출입면의 면적과 상기 제 2 공기 출입면의 면적은 상이한 풍향조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제 1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과 제 2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베인부를 포함하는 풍향조절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제 1 베인부와;
    상기 제 1 베인부에 형성되고, 제 1 풍향모드시와 제 2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이 상이한 제 2 베인부를 포함하는 풍향조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상기 제 1 베인부에 형성되고, 제 1 풍향모드시와 제 2 풍향모드시의 공기안내방향이 동일한 제 3 베인부를 더 포함하는 풍향조절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부는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부는 상기 복수개의 제 1 베인부 사이에 형성된 풍향조절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부는 일단과 타단 사이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풍향조절장치.
  9.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베인부는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 풍향조절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 2 베인부는 일단 상호간의 이격 거리가 타단 상호간의 이격 거리 보다 짧은 풍향조절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풍향모드는 상기 복수개 제 2 베인부 각각의 일단이 본체 내부를 향하는 와이드 토출모드이고,
    상기 제 2 풍향모드는 상기 복수개 제 2 베인부 각각의 일단이 실내를 향하는 집중 토출모드인 풍향조절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제 1 풍향모드에서 제 2 풍향모드로 변경되거나 반대로 변경될 때 상기 풍향조절부재를 60°~ 300°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풍향조절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부재는 복수개가 일렬로 배치된 풍향조절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각각은
    일단과 타단 사이에 공기안내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공기 출입면의 면적이 상기 풍향조절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제 2 공기 출입면의 면적 보다 작은 풍향조절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와이드 토출모드시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각각의 제 1 공기 출입면이 본체의 내부를 향하고,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각각의 제 2 공기 출입면이 실내를 향하는 풍향조절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집중 토출모드시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각각의 제 1 공기 출입면이 실내를 향하고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각각의 제 2 공기 출입면이 본체의 내부를 향하는 풍향조절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편향 토출모드시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중 어느 하나는 제 1 공기 출입면이 본체의 내부를 향하고 제 2 공기 출입면이 실내를 향하며,
    상기 복수개 풍향조절부재 중 다른 하나는 제 2 공기 출입면이 본체의 내부를 향하고 제 1 공기 출입면이 실내를 향하는 풍향조절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토출모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좌편향 토출모드와 우편향 토출모드를 갖는 풍향조절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힌지축과,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 지지부를 포함하는 풍향조절장치.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풍향조절부재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풍향조절부재 지지부를 포함하는 풍향조절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풍향조절부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 1 풍향조절모터와,
    상기 풍향조절부재 중 다른 하나를 회전시키는 제 2 풍향조절모터를 포함하는 풍향조절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풍향조절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풍향조절부재는 제 1 풍향조절모터와 가까울수록 곡률 반경이 작은 복수개의 베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풍향조절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풍향조절부재는는 제 2 풍향조절모터와 가까울수록 곡률 반경이 작은 복수개의 베인부를 포함하는 풍향조절장치.
KR1020130077967A 2013-07-03 2013-07-03 풍향조절장치 KR102127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967A KR102127843B1 (ko) 2013-07-03 2013-07-03 풍향조절장치
CN201410183277.2A CN104279732B (zh) 2013-07-03 2014-04-30 风向调节装置
EP14175528.0A EP2821717B1 (en) 2013-07-03 2014-07-03 Wind direction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967A KR102127843B1 (ko) 2013-07-03 2013-07-03 풍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991A true KR20150004991A (ko) 2015-01-14
KR102127843B1 KR102127843B1 (ko) 2020-06-29

Family

ID=5103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967A KR102127843B1 (ko) 2013-07-03 2013-07-03 풍향조절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821717B1 (ko)
KR (1) KR102127843B1 (ko)
CN (1) CN1042797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54A1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6253B (zh) * 2015-08-18 2018-12-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管机
CN108361944B (zh) * 2018-04-28 2023-11-17 安徽扬子空调股份有限公司 送风系统以及空调器
CN108489064B (zh) * 2018-05-07 2023-07-1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CN110068053A (zh) * 2019-05-27 2019-07-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用于空调设备的导流装置及空调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6858A (en) * 1970-03-24 1973-06-05 Peugeot & Renault Air vents
KR100400462B1 (ko) 2001-05-28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식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 베인
JP2009183338A (ja) * 2008-02-04 2009-08-20 Panasonic Corp 衣類乾燥装置
JP2010014326A (ja) * 2008-07-03 2010-01-21 Panasonic Corp 風向変更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類乾燥機
JP2010069286A (ja) * 2008-08-21 2010-04-02 Panasonic Corp 衣類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80093A (en) * 1943-12-20 1946-08-27 Albert Noel Brand Improvements in ventilators and controllable air inlets for buildings and the like
DE2230239A1 (de) * 1972-06-21 1974-01-17 Volkswagenwerk Ag Ausstroemerduese, insbesondere fuer die belueftung von kraftfahrzeugen
DE2430216C2 (de) * 1974-06-24 1983-12-01 Ltg Lufttechnische Gmbh, 7000 Stuttgart Lufteinlaß
AU583505B2 (en) * 1984-05-10 1989-05-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ow deflecting assembly
EP0703105A1 (en) * 1994-09-26 1996-03-27 Ford Motor Company Air outlet register for an opening in a vehicle
CN1147077A (zh) * 1995-07-28 1997-04-09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机的排风口自动开关系统
DE202004004229U1 (de) * 2004-03-17 2004-06-03 Dr. Schneider Engineering Gmbh Luftdüse
CN202018109U (zh) * 2011-03-03 2011-10-26 尤飞鹏 一种出风口结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6858A (en) * 1970-03-24 1973-06-05 Peugeot & Renault Air vents
KR100400462B1 (ko) 2001-05-28 2003-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 펌프식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 베인
JP2009183338A (ja) * 2008-02-04 2009-08-20 Panasonic Corp 衣類乾燥装置
JP2010014326A (ja) * 2008-07-03 2010-01-21 Panasonic Corp 風向変更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衣類乾燥機
JP2010069286A (ja) * 2008-08-21 2010-04-02 Panasonic Corp 衣類乾燥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78354A1 (ko) * 2015-11-02 2017-05-1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US11614241B2 (en) 2015-11-02 2023-03-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843B1 (ko) 2020-06-29
CN104279732A (zh) 2015-01-14
EP2821717B1 (en) 2017-11-08
CN104279732B (zh) 2017-05-17
EP2821717A1 (en) 2015-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5305B2 (ja) 空気調和機
US10465697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9964324B2 (en) Controller circuit for air conditioner with cool air guided with room temperature airstream
US9726384B2 (en) Room air conditioner with movable side fan units
JP4539353B2 (ja) 空気調和装置
KR20160038678A (ko) 공기조화기
EP3714214B1 (en) Air conditioner
KR20150004991A (ko) 풍향조절장치
US9250028B2 (en) Air conditioner
WO2014199590A1 (ja) 空気調和機
CN114046563B (zh) 空调室内机
KR20160044998A (ko)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JP2008215801A (ja) 空気調和機
KR20070060880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3074417B (zh) 空气调节器
CN110914599A (zh) 空气调节机
KR20190052388A (ko) 공기조화기
JP3840577B2 (ja) 床置き型空気調和機
JP2020176803A (ja) 空気調和機
JP4752142B2 (ja) 空気調和機用室内機
KR20140004090A (ko) 공기 조화기
KR101899659B1 (ko) 공기조화기
JP2014238237A (ja) 空気調和機
JP3852012B2 (ja) 床置き型空気調和機
KR102362389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