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4998A -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4998A
KR20160044998A KR1020150002894A KR20150002894A KR20160044998A KR 20160044998 A KR20160044998 A KR 20160044998A KR 1020150002894 A KR1020150002894 A KR 1020150002894A KR 20150002894 A KR20150002894 A KR 20150002894A KR 20160044998 A KR20160044998 A KR 20160044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ifugal fan
discharge
scroll
flow pat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민수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10053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987022B/zh
Priority to US14/879,132 priority patent/US10465697B2/en
Priority to EP15189449.0A priority patent/EP3009752A1/en
Publication of KR2016004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9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와; 임펠러를 둘러싸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을 포함하며, 스크롤 하우징은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컷 오프부터 스크롤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롤 벽과; 스크롤 벽에서 연장되는 토출 벽을 포함하고, 베이스판에는 공기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유로 확장부가스크롤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스크롤 벽이 확장되는 방향 및 유로 확장부가 돌출된 방향의 2 방향으로 확장 유로가 형성되어 토출기류의 정압 회복 능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송풍 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유로 확장부가 베이스판에서 돌출 형성되어 유로 확장부 주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가 스크롤 벽을 따라 유동되는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심팬은 날개차(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공기를 날개차 안쪽에서 원심력에 의해 원주 방향으로 내보내는 팬으로서, 시코로팬과, 후터보팬 등이 있다.
시로코팬은 다수의 짧은 전방 만곡형(彎曲形) 날개(이하, 전곡형 블레이드라 칭함)를 가진 팬으로서, 소음이 적으므로 환기장치나 공기조화기에 널리 사용되는 있다.
시로코팬은 전곡형 블레이드가 복수개 배치된 임펠러와, 임펠러를 감싸는 스크롤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스크롤 하우징은 임펠러의 좌,우 중 적어도 일면에 공기의 흡입을 안내하는 벨마우스가 형성될 수 있다.
KR 10-0789817 B1 (2007년12월31일 공고)
종래 기술에 따른 원심팬은 측면 전체가 외측으로 확대되는 구배각으로 경사지므로, 원심팬의 전체적인 크기가 증대되어 원심팬 주변의 공간 활용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컷 오프부터 스크롤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롤 벽과; 상기 스크롤 벽에서 연장되는 토출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공기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유로 확장부가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후판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후판부를 마주볼 수 있고, 상기 유로 확장부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확장부는 상기 스크롤 벽 및 토출 벽을 따라 유로 단면적이 점차 확대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확장부는 기준각도부터 180ㅀ 내지 270ㅀ에서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유로 확장부와 이격되는 이너 토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로 확장부와 이너 토출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토출유로가 형성된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로가 형성된 제2토출유닛과; 상기 제2토출유로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원심팬과; 상기 제1원심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에어 덕트가 구비된 제2원심팬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와 상기 제1원심팬의 외면 사이에 상기 제1토출유로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원심팬과 제2원심팬 각각은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컷 오프부터 스크롤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롤 벽과; 상기 스크롤 벽에서 연장되는 토출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공기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유로 확장부가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다.
상기 제2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제1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흡입구는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후판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후판부를 마주볼 수 있고, 상기 유로 확장부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확장부는 상기 스크롤 벽 및 토출 벽을 따라 유로 단면적이 점차 확대될 수 있다.
상기 유로 확장부는 기준각도부터 180°내지 270°에서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유로 확장부와 이격되는 이너 토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로 확장부와 이너 토출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는 상기 제1원심팬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는 상기 제1원심팬의 유로 확장부 옆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는 단면 형상이 반원형일 수 있다.
상기 에어 덕트는 하단이 상기 제2원심팬의 유로 확장부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에어 덕트와 마주보는 에어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에는 상기 에어 덕트와 마주보는 함몰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함몰 가이드부는 상단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롤 벽이 확장되는 방향 및 유로 확장부가 돌출된 방향의 2 방향으로 확장 유로가 형성되어, 토출기류의 정압 회복 능력이 높을 뿐만 아니라 송풍 성능이 향상될 수 있고, 유로 확장부가 베이스판에서 돌출 형성되어 유로 확장부 주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원심팬이 제1원심팬 하측에 위치하고 제1원심팬의 외면과 에어 덕트 사이로 제2원심팬에서 송풍된 공기가 안내되어, 제1원심팬과 제2원심팬을 상,하 위치되게 하면서 전후 방향 폭 및 좌우 방향 폭 각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원심팬 및 에어 덕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제1원심팬와 에어 덕트가 차지하는 공간 주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과 제1원심팬 및 제2원심팬이 도시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원심팬 및 제2원심팬이 도시된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원심팬 및 제2원심팬이 도시된 정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제1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제1원심팬을 후방측에서 볼 때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제2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제2원심팬을 후방측에서 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과 제1원심팬 및 제2원심팬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이하, '공기조화기'라 칭함)는 제1토출유로(3)가 형성된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로(5)가 형성된 제2토출유닛(6)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적어도 하나의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원심팬은 임펠러와; 임펠러를 둘러싸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을 포함한다.
스크롤 하우징은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컷 오프부터 스크롤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롤 벽과; 스크롤 벽에서 연장되는 토출 벽을 포함한다.
베이스판에는 공기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유로 확장부가 스크롤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흡입구는 스크롤 하우징의 후판부에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는 스크롤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판은 후판부를 마주볼 수 있고, 유로 확장부는 베이스판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유로 확장부는 스크롤 벽 및 토출 벽을 따라 유로 단면적이 점차 확대될 수 있다. 유로 확장부는 기준각도부터 180°내지 270°에서 시작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은 유로 확장부와 이격되고 유로 확장부와 사이에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는 이너 토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2토출유로(5)를 향해 공기를 송풍하는 제1원심팬(8)과; 제1원심팬(8)의 전방에 배치되는 에어 덕트(14)가 구비된 제2원심팬(1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덕트(14)와 제1원심팬(8)의 외면 사이에 제1토출유로(3)를 향해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통로(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은 제1원심팬(8)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원심팬(8)은 제2토출유닛(6)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원으로 기능함과 아울러 제2원심팬(10)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1토출유닛(4)으로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을 통해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바디(16)와; 흡입바디(16)로 흡입된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7)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바디(16)에는 공기흡입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바디(16)는 공기조화기의 후방부에 위치될 수 있고, 제1원심팬(8) 및 제2원심팬(10)은 흡입바디(16)의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7)를 통과시킬 수 있다.
흡입바디(16)에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18)이 설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18)은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 중의 이물질을 방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교환기(17)는 공기유동방향으로 공기흡입구(15) 이후에 위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7)는 공기유동방향으로 제1송풍팬(8) 및 제2원심팬(10) 이전에 위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7)는 흡입바디(16)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실내에서 흡입바디(16)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17)를 통과하여 제1원심팬(8)과 제2원심팬(10) 중 적어도 하나로 흡인될 수 있다. 열교환기(17)는 후술하는 케이스(20)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베이스(2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흡입바디(16)를 포함할 수 있고, 흡입바디(16)는 베이스(21) 후방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공기조화기의 전방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22)은 베이스(21)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패널(22)은 제1원심팬(8)의 전방 및 제2원심팬(10)의 전방을 덮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4) 및 제2토출유닛(6)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는 상판(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판(23)은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토출유닛 서포터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판(23)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제1토출유닛(4)의 후방부 및 제2토출유닛(6)의 후방부를 마주보는 백 커버(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4)의 상면 및 제2토출유닛(6)의 상면을 덮는 탑 커버(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25)는 제1토출유닛(4) 및 제2토출유닛(6)의 상측에 위치되게 백 커버(24)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벽(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벽(26)은 제1토출유닛(4)과 우측 토출유닛(6) 사이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구획벽(26)은 좌측면이 제1토출유닛(4)의 일부를 마주볼 수 있고, 우측면이 제2토출유닛(6)의 일부를 마주볼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 각각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 각각은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토출유닛(4)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구(31)와; 제2토출유닛(6)을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기구(31)는 제1토출유닛(4)을 제1수직중심축(P)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32)는 제2토출유닛(6)을 제2수직중심축(Q)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수직중심축(P)과 제2수직중심축(Q)은 각각은 상하 방향일 수 있고,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은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의 서로 다른 영역을 향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 중 어느 하나가 실내의 좌측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때,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 중 다른 하나는 실내의 우측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은 모두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은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상부 일부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 중 어느 하나는 좌측에 위치하는 제1토출유닛(4)일 수 있고,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 중 다른 하나는 제1토출유닛(4)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2토출유닛(6)일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은 그 위치가 상이하고,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은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이외에 동일 구조일 수 있고, 이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 토출유닛(4)(6)으로 칭하여 설명하며,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6)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제1회전기구(31)와 제2회전기구(32)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회전기구(31)(32)로 칭하여 설명하고,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는 제1회전기구(31)와 제2회전기구(32)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토출유닛(4)(6)은 토출유로가 형성된 토출바디(4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4)(6)은 하부에 공기유입구(36)가 형성되고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장방향인 공기토출구(37)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4)(6)은 하부에 공기유입구(36)가 형성되고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장방향인 공기토출구(37)가 형성된 토출바디(4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36)와 공기토출구(37)는 토출바디(40)에 서로 직교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36)은 토출바디(40)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37)은 토출바디(40)에 수평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토출바디(40)는 공기토출구(37)가 형성된 중공 원통체(42)와, 중공 원통체(44)의 상면을 막는 상판(4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는 토출바디(40)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는 상판(44)을 상하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는 중공 원통체(42)의 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중공 원통체(42)의 하부에 배치된 하판(46)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공 원통체(42) 내부에는 공기유입구(36)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토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로는 상하 방향으로 길 수 있고, 중공 원통체(42)의 내둘레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20)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토출바디(40)의 공기유입구(36)를 통과하여 중공 원통체(42) 내부로 송풍될 수 있고, 중공 원통체(42)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중공 원통체(42) 내부에서 공기토출구(37)를 향해 유동되어 공기토출구(37)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유닛(4)(6)은 토출바디(40)를 통해 안내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베인(51)(52)(53)(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1)(52)(53)(54)은 토출바디(4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1)(52)(53)(54)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1)(52)(53)(54)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1)(52)(53)(54)에 접촉된 공기는 복수개의 베인(51)(52)(53)(54)을 따라, 그 토출 방향이 전환될 수 있고, 복수개의 베인(51)(52)(53)(54)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기류가 바뀔 수 있다.
회전기구(31)(32)는 모터(33)와, 모터(33)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34)와, 토출유닛(4)(6)에 형성되고 구동기어(34)에 치합되고 토출유닛(4)(6)에 형성된 종동기어(3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3)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될 수 있고, 토출유닛(4)(6)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일 수 있다. 모터(33)는 회전축이 상향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모터(33)는 케이스(20)에 설치될 수 있다. 모터(33)는 백 커버(24)와 상판(25)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회전기구(31)의 모터(33)와, 제2회전기구(32)의 모터(33)는 동일한 각도 또는 속도로 구동되는 것이 가능하고, 상이한 각도 또는 속도로 제어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동기어(34)는 모터(33)의 구동력을 전달방아 종동기어(35)을 전달할 수 있고, 모터(33)와 종동기어(35)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모터(33)의 구동시 종동기어(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종동기어(35)는 토출유닛(4)(6)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모터(33)의 구동시, 구동기어(34)에 의해 회전되어 토출유닛(4)(6)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제1회전기구(31)의 종동기어(35)는 제1토출유닛(4)에 형성될 수 있고, 제2회전기구(32)의 종동기어(35)는 제2토출유닛(4)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은 제2원심팬(10)의 상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는 제1원심팬(8)과 제2원심팬(10)을 모두 설치하기 위한 공간의 좌우 폭과 전후 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원심팬(8)과 제2원심팬(10)은 풍량이 서로 상이하게 제어될 수 있고, 제1원심팬(8)의 풍량과 제2원심팬(10)의 풍량이 상이할 때, 제1원심팬(8) 및 제2토출유닛(6)이 공조시키는 실내영역과, 제2원심팬(10) 및 제1토출유닛(4)이 공조시키는 실내영역은 온도가 서로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원심팬 및 제2원심팬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1원심팬 및 제2원심팬이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8는 도 5에 도시된 제1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제1원심팬을 후방측에서 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제2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1는 도 5에 도시된 제2원심팬을 후방측에서 볼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1원심팬(8)은 임펠러(80)와; 임펠러(80)를 둘러싸는 스크롤 하우징(82)을 포함한다.
제1원심팬(8)의 임펠러(80)는 시로코팬의 블로워로 구성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판(80a)과, 주판(80a)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80b)와, 복수개 블레이드(80b)를 연결하는 림(8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원심팬(8)은 임펠러(80)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임펠러(8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모터는 회전축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모터는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 또는 케이스(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모터의 구동시, 제1원심팬(8)의 임펠러(80)는 제1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고, 임펠러(80)의 회전시 유동된 공기는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에 안내되어 제2토출유닛(6)로 송풍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은 흡입구(83) 및 토출구(84)가 형성될 수 있고, 흡입구(83)와 토출구(84)가 상이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은 베이스판(90)과, 컷 오프(86)부터 스크롤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롤 벽(88)을 포함한다. 스크롤 벽(88)은 베이스판(90)에 연결될 수 있다. 스크롤 벽(88)은 베이스판(90)에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은 스크롤 벽(88)에서 연장되는 토출 벽(9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벽(88)은 토출 벽(92)과 가까워질수록 임펠러(80)와 멀어지게 확장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토출 벽(92)은 공기유동방향으로 스크롤 벽(88)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토출구(84)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토출 벽(92)은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은 컷 오프(86)에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원심팬(8)의 토출 벽(92)과 사이에 토출구(84)를 형성하는 토출 가이드(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94)는 상측으로 갈수록 토출 벽(92)과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은 흡입구(83)가 형성된 흡입판(9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흡입구(83)는 벨마우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은 컷 오프(86)와 스크롤 벽(88)과 베이스판(90)과 토출 벽(92)가 형성된 하우징 바디(95)와, 하우징 바디(95)에 결합된 흡입판(96)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94)는 하우징 바디(95) 또는 흡입판(96)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은 흡입판(96)이 하우징 바디(95)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흡입판(96)은 스크롤 하우징(82)의 후판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베이스판(90)은 제1원심팬(8)의 흡입구(83)를 마주보는 흡입구 대향판일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베이스판(90)은 스크롤 하우징(82)의 전판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임펠러(80)는 제1원심팬(8)의 베이스판(90)과 흡입판(96) 사이에서 수평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베이스판(90)은 공기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유로 확장부(98)가 스크롤 하우징(82)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동방향은 제1원심팬(8)의 임펠러(8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제1원심팬(8)의 스크롤 벽(88) 내면 및 토출 벽(92)의 내면을 따라 토출구(84)로 유동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흡입구(83)는 스크롤 하우징(82)의 후판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1원심팬(8)의 토출구(84)는 스크롤 하우징(8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원심팬(8)의 베이스판(90)은 후판부를 마주보는 전판부일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는 베이스판(90)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는 스크롤 벽(88) 및 토출 벽(92)을 따라 유로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는 제1원심팬(8)의 토출구(84)와 가까워질수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각도(0°)부터 임펠러 회전 방향으로 150°내지 300° 사이의 소정 각도에서 시작될 수 있고 토출구(84)까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각도(0°)는 제1원심팬(8)의 스크롤 벽(88)이 제1원심팬(8)의 토출 벽(92)과 만나는 경계일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는 에어 덕트(14)의 위치를 고려하여, 기준각도(0°)부터 260° 내지 280°사이의 소정 각도에서부터 시작되면서 그 유로 단면적이 점차 확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는 그 상단의 유로 단면적이 가장 클 수 있다. 즉,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는 그 시작단(98a)이 기준각도(0°)부터 260° 내지 280° 사이의 소정 각도인 지점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상단(98b)의 유로 단면적이 가장 클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베이스판(90)은 그 전체가 소정각도 구배지게 형성되지 않고, 유로 확장부(98)만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는 제1원심팬(8)의 베이스판(90) 중 스크롤 벽(88) 및 토출 벽(92)과 가까운 일부 영역에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은 베이스판(90) 전체가 소정각도 구배지게 형성되는 경우 보다 유로 확장부(98) 옆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에어 덕트(14)와 제1원심팬(8)을 최대한 컴팩트화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제1원심팬(8)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토출 가이드부(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토출 가이드부(97)는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와 이격되고 유로 확장부(98)와 사이에 토출구(84)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은 임펠러(100)와; 임펠러(100)를 둘러싸는 스크롤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제2원심팬(10)의 임펠러(100)는 시로코팬의 블로워로 구성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판(100a)과, 주판(100a)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레이드(100b)와, 복수개 블레이드(100b)를 연결하는 림(10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은 임펠러(100)에 회전축이 연결되어 임펠러(100)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모터는 회전축이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모터는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 또는 케이스(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모터의 구동시, 제2원심팬(10)의 임펠러(100)는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고, 임펠러(100)의 회전시 유동된 공기는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에 안내되어 공기통로(12)로 송풍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은 흡입구(103) 및 토출구(104)가 형성될 수 있고, 흡입구(103)와 토출구(104)가 상이한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은 베이스판(110)과, 컷 오프(106)부터 스크롤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롤 벽(108)을 포함한다. 스크롤 벽(108)은 베이스판(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벽(108)은 제2원심팬(10)의 베이스판(110)에 직교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은 스크롤 벽(108)에서 연장되는 토출 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벽(108)은 토출 벽(112)과 가까워질수록 임펠러(100)와 멀어지게 확장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토출 벽(112)은 스크롤 벽(108)이 끝나는 지점에서 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토출구(104)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토출 벽(112)은 사각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은 컷 오프(106)에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원심팬(10)의 토출 벽(112)과 사이에 토출구(104)를 형성하는 토출 가이드(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114)는 상측으로 갈수록 토출 벽(112)과의 거리가 점차 멀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은 흡입구(103)가 형성된 흡입판(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흡입구(103)는 벨마우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은 컷 오프(106)와 스크롤 벽(108)과 베이스판(110)과 토출 벽(112)이 형성된 하우징 바디(115)와, 하우징 바디(116)에 결합된 흡입판(116)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 가이드(114)는 하우징 바디(115) 또는 흡입판(116)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은 흡입판(116)이 하우징 바디(115)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고, 흡입판(116)은 스크롤 하우징(102)의 후판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베이스판(110)는 제2원심팬(10)의 흡입구(103)를 마주보는 흡입구 대향판일 수 있고, 제2원심팬(10)의 베이스판(110)는 스크롤 하우징(102)의 전판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임펠러(100)는 제2원심팬(10)의 베이스판(110)과 흡입판(116) 사이에서 수평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베이스판(110)은 공기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유로 확장부(118)가 스크롤 하우징(102)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유동방향은 제2원심팬(10)의 임펠러(1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벽(108)의 내면 및 토출 벽(112)의 내면을 따라 유동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흡입구(103)는 스크롤 하우징(102)의 후판부에 형성될 수 있고, 제2원심팬(10)의 토출구(104)는 스크롤 하우징(102)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원심팬(10)의 베이스판(110)은 후판부를 마주보는 전판부일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유로 확장부(118)는 베이스판(110)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유로 확장부(118)는 스크롤 벽(108) 및 토출 벽(112)을 따라 유로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유로 확장부(118)는 제2원심팬(10)의 토출구(104)와 가까워질 수록 유로 단면적이 점차 커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유로 확장부(11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각도(0°)부터 임펠러(100)의 회전방향으로 150° 내지 300°에서 시작될 수 있고 토출구(104)까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각도(0°)는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벽(108)이 제2원심팬(10)의 토출 벽(112)과 만나는 경계일 수 있다. 그리고, 제2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118)는 기준각도(0°)부터 170° 내지 190° 사이의 소정 각도부터 시작되면서 그 유로 단면적이 점차 확장될 수 있다. 즉, 제2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118)는 그 시작단(118a)이 기준각도(0°)부터 170° 내지 190° 중 소정 각도인 지점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상단(118b)의 유로 단면적이 가장 클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베이스판(110)은 그 전체가 소정각도 구배지게 형성되지 않고, 유로 확장부(118)만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유로 확장부(118)는 제2원심팬(10)의 베이스판(110) 중 스크롤 벽(108) 및 토출 벽(112)과 가까운 일부 영역에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은 베이스판(110) 전체가 소정각도 구배지게 형성되는 경우 보다 유로 확장부(118) 옆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제2원심팬(10)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 내부에 배치되는 이너 가이드 판부(1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 판부(117)는 제2원심팬(10)의 유로 확장부(118)와 이격되고 유로 확장부(118)와 사이에 토출구(104)를 형성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은 제1원심팬(8)과 임펠러의 회전 방향이 반대일 수 있고, 제1원심팬(8)의 임펠러(80)가 시계방향(C)으로 회전될 때, 제2원심팬(10)의 임펠러(100)는 반시계방향(CW)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는 제2토출유닛(6)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에어 덕트(14)는 제1토출유닛(4)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2원심팬(10)의 유로 확장부(118)는 에어 덕트(14)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은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 보다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은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 보다 높이가 낮게 설치될 수 있다. 에어 덕트(14)는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 덕트(14)는 제1원심팬(8)과 함께 제2원심팬(10)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1토출유닛(4)으로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로 기능할 수 있다.
에어 덕트(14)는 제1토출유닛(4)과 제2원심팬(10)의 토출구(104)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에어 덕트(14)는 수평방향 단면 형상이 반원형일 수 있다.
에어 덕트(14)는 상단(142)이 제1토출유닛(4)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 덕트(14)는 상부 일부가 제1토출유닛(4)의 공기유입구(36)로 내삽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 덕트(14)와 제1토출유닛(4)은 그 사이에 위치되는 별도의 커넥터(미도시)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토출유닛(4)은 커넥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에어 덕트(14)는 상부 일부가 커넥터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 덕트(14)는 하단(144)이 제2원심팬(10)의 유로 확장부(118) 상단(118b)에 위치될 수 있다.
에어 덕트(14)는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과 별도로 제작된 후, 유로 확장부(118) 상측에 위치되게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에어 덕트(14)는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하우징(102)에서 상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원심팬(10)의 유로 확장부(118)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에어 덕트(14)의 내둘레면과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 외면 일부 사이로 유입되어 안내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은 에어 덕트(14)와 마주보는 에어 가이드면(99)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가이드면(99)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심팬(8)의 베이스판(90) 중 에어 덕트(14)에 의해 덮혀지는 베이스판(90)의 일부분일 수 있다. 에어 가이드면(99)은 적어도 일부가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원심팬(10)에서 송풍된 공기는 에어 덕트(14) 내둘레 곡면과 에어 가이드면(99) 평면 사이를 통과하면서 안내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스크롤 하우징(82)에는 에어 덕트(14)를 마주보는 함몰 가이드부(100)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 가이드부(100)는 상단이 개방될 수 있다. 함몰 가이드부(100)는 에어 가이드면(99)과 함께 에어 덕트(14)를 마주볼 수 있다. 에어 가이드면(99)은 에어 덕트(14)의 하부를 마주볼 수 있고, 함몰 가이드부(100)는 에어 덕트(14)의 상부를 마주볼 수 있으며, 에어 가이드면(99)에 안내된 공기는 함몰 가이드부(100)로 유입되어 함몰 가이드부(100)에 안내될 수 있다. 함몰 가이드부(100)는 상측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증가되는 하부 가이드부(101A)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 가이드부(100)는 상단(101B)이 개방될 수 있다.
에어 덕트(14)의 좌측 후단과 에어 덕트(14)의 우측 후단 각각은 제1원심팬(8)의 베이스판(90)에 접촉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위치는 제1원심팬(8)의 유로 확장부(98) 옆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원심팬(8)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될 수 있고, 청정유닛(18)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공기는 열교환기(17)로 유동되어 열교환기(17)와 열교환될 수 있고, 이후, 제1원심팬(8)의 흡입구(83)로 흡인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흡입구(83)로 흡입된 공기는 제1원심팬(8)의 임펠러(80)에 의해 제1원심팬(8)의 임펠러(80) 회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1원심팬(8)의 스크롤 벽(88) 및 유로 확장부(98)을 따라 2 방향으로 확장 유동되면서 정압이 회복될 수 있으며, 제1원심팬(8)의 토출 벽(92)과 유로 확장부(98)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1원심팬(8)의 토출구(84)로 토출될 수 있다. 제1원심팬(8)의 토출구(84)로 토출된 공기는 제2토출유닛(6)의 제2토출유로(5)로 송풍될 수 있고, 제1토출유닛(4)을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2원심팬(8)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흡입구(15)를 통해 흡입될 수 있고, 청정유닛(18)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공기는 열교환기(17)로 유동되어 열교환기(17)와 열교환될 수 있고, 이후, 제2원심팬(10)의 흡입구(103)로 흡인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흡입구(103)로 흡입된 공기는 제2원심팬(10)의 임펠러(100)에 의해 제2원심팬(10)의 임펠러(100) 회전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2원심팬(10)의 스크롤 벽(108) 및 유로 확장부(118)를 따라 2 방향으로 확장 유동되면서 정압이 회복될 수 있으며, 제2원심팬(10)의 토출 벽(112)과 유로 확장부(118)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2원심팬(10)의 토출구(104)로 토출될 수 있다. 제2원심팬(10)의 토출구(104)로 토출된 공기는 제1원심팬(8)과 에어 덕트(14) 사이의 공기통로(12)로 송풍되고, 제2원심팬(10)에서 공기통로(12)로 송풍된 공기는 공기통로(12)를 통과해 제1토출유닛(4)의 제1토출유로(3)로 유입될 수 있고, 제1토출유로(3)로 유입된 공기는 제1토출유닛(4)에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제1원심팬(8)과 제2원심팬(10)은 풍량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원심팬(8)이 고풍량으로 구동되고, 제2원심팬(10)이 저풍량이 구동되며, 제1토출유닛(4)의 공기토출구(37)가 전방 방향과, 전방 우측의 경사 방향과,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고, 제2토출유닛(6)의 공기토출구(37)가 전방 방향과, 전방 좌측의 경사방향과, 좌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중앙을 기준으로 실내의 우측영역으로 더 많은 찬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실내의 우측영역이 실내의 좌측영역 보다 저온으로 냉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3: 제1토출유로 4: 제1토출유닛
5: 제2토출유로 6: 제2토출유닛
8: 제1원심팬 10: 제2원심팬
12: 공기통로 14: 에어 덕트
80: 임펠러 82: 스크롤 하우징
83: 흡입구 84: 토출구
88: 스크롤 벽 90: 베이스판
92: 토출 벽 98: 유로 확장부
100: 임펠러 102: 스크롤 하우징
103: 흡입구 104: 토출구
108: 스크롤 벽 100: 베이스판
102: 토출 벽 108: 유로 확장부
142: 에어 덕트의 하단 144: 에어 덕트의 상단

Claims (17)

  1.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컷 오프부터 스크롤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롤 벽과;
    상기 스크롤 벽에서 연장되는 토출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공기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유로 확장부가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원심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후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후판부를 마주보고,
    상기 유로 확장부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원심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확장부는 상기 스크롤 벽 및 토출 벽을 따라 유로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원심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확장부는 기준각도부터 180° 내지 270°에서 시작되는 원심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유로 확장부와 이격되는 이너 토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로 확장부와 이너 토출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원심팬.
  6. 제1토출유로가 형성된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로가 형성된 제2토출유닛과;
    상기 제2토출유로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원심팬과;
    상기 제1원심팬의 전방에 배치되는 에어 덕트가 구비된 제2원심팬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덕트와 상기 제1원심팬의 외면 사이에 상기 제1토출유로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원심팬과 제2원심팬 각각은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를 둘러싸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에 연결되고 컷 오프부터 스크롤 형상으로 형성된 스크롤 벽과;
    상기 스크롤 벽에서 연장되는 토출 벽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은 공기유동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단면적이 확장되는 유로 확장부가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외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제1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 하측에 위치하는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후판부에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스크롤 하우징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후판부를 마주보고,
    상기 유로 확장부는 상기 베이스판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확장부는 상기 스크롤 벽 및 토출 벽을 따라 유로 단면적이 점차 확대되는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확장부는 기준각도부터 180° 내지 270°에서 시작되는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유로 확장부와 이격되는 이너 토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유로 확장부와 이너 토출 가이드부 사이에 형성된 원심팬.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는 상기 제1원심팬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는 상기 제1원심팬의 유로 확장부 옆에 위치되는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는 단면 형상이 반원형인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덕트는 하단이 상기 제2원심팬의 유로 확장부 상단에 위치되는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에어 덕트와 마주보는 에어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에는
    상기 에어 덕트와 마주보는 함몰 가이드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 가이드부는 상단이 개방된 원심팬을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150002894A 2014-10-16 2015-01-08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6004499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53168.3A CN105987022B (zh) 2014-10-16 2015-02-02 离心风扇及具有该离心风扇的空调机
US14/879,132 US10465697B2 (en) 2014-10-16 2015-10-09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EP15189449.0A EP3009752A1 (en) 2014-10-16 2015-10-13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9922 2014-10-16
KR20140139922 2014-10-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998A true KR20160044998A (ko) 2016-04-26

Family

ID=55919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894A KR20160044998A (ko) 2014-10-16 2015-01-08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44998A (ko)
CN (1) CN10598702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7010A (zh) * 2018-09-26 2018-11-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面板组件及出风装置
KR102256310B1 (ko) 2020-11-06 2021-05-25 이준엽 전력 관리형 공조 장치
KR20210119141A (ko) * 2020-03-24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60146A (zh) * 2019-06-25 2019-08-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器
CN110259726A (zh) * 2019-06-25 2019-09-20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离心风机蜗壳及空调器
CN110159592A (zh) * 2019-06-25 2019-08-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风机蜗壳渐变结构及空调器
KR20220007362A (ko) *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67636A (en) * 1980-09-24 1983-01-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US4738188A (en) * 1984-02-25 1988-04-19 Nishida Tekko Corporation Room air circulating apparatus
US20040240994A1 (en) * 2003-02-28 2004-12-02 Cole Eric S. Fan housing
KR20060095058A (ko) * 2005-02-2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7862410B2 (en) * 2006-01-20 2011-01-04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Air removal unit
JP4769118B2 (ja) * 2006-04-21 2011-09-07 サンデン株式会社 遠心式多翼送風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17010A (zh) * 2018-09-26 2018-11-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面板组件及出风装置
CN108917010B (zh) * 2018-09-26 2023-10-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面板组件及出风装置
KR20210119141A (ko) * 2020-03-24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KR102256310B1 (ko) 2020-11-06 2021-05-25 이준엽 전력 관리형 공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87022A (zh) 2016-10-05
CN105987022B (zh) 202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5697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20160044998A (ko)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7666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EP3534076B1 (en) Indoor machine and air conditioner
KR102320677B1 (ko) 공기조화기
JP6272489B2 (ja) 除湿機
CN107278255B (zh) 空调的室内机
CN111201403B (zh) 空调
CN108489055A (zh) 用于空调室内机的补风装置和空调室内机
CN109073266B (zh) 空气调节机
KR20200119576A (ko) 공기조화기
JP4863696B2 (ja) 換気装置
CN110914599A (zh) 空气调节机
JP6429204B2 (ja) 空気調和機
KR20150004991A (ko) 풍향조절장치
US20060254304A1 (e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EP1970636B1 (en) Air conditioner
CN112682850A (zh) 空调器
JP2020176803A (ja) 空気調和機
JP2016188578A (ja) 送風装置
JP2019196866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3039282B2 (ja) 空気調和機用室内ユニット
KR20140004090A (ko) 공기 조화기
JPH09280644A (ja)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
KR102584604B1 (ko)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