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576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576A
KR20200119576A KR1020190041936A KR20190041936A KR20200119576A KR 20200119576 A KR20200119576 A KR 20200119576A KR 1020190041936 A KR1020190041936 A KR 1020190041936A KR 20190041936 A KR20190041936 A KR 20190041936A KR 20200119576 A KR20200119576 A KR 20200119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air conditioner
discharg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건
이승택
정창우
천성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19576A/ko
Priority to US16/845,519 priority patent/US11662102B2/en
Priority to CN202010279216.1A priority patent/CN111811050B/zh
Publication of KR2020011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24F1/003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in combination with simultaneous exhaustion of in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캐비닛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한다.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장치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홀을 갖는 배출 패널 및 상기 배출 패널과 상기 송풍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적어도 두 방향으로 분배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도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송풍팬 등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는 열 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사용자가 배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배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줄이기 위해, 열 교환된 공기를 복수의 홀을 통해 저속으로 배출하는 공기조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열 교환된 공기를 복수의 홀을 통해 저속으로 배출하는 공기조화기의 경우, 복수의 홀이 마련되는 패널의 일부 영역에 이슬이 맺힐 수 있다. 이는 공기조화기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캐비닛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배출 패널의 가장자리(edge) 영역에서, 배출 패널 외부의 공기가 배출 패널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장치와,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홀을 갖는 배출 패널 및 상기 배출 패널과 상기 송풍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적어도 두 방향으로 분배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배출 패널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출 패널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배출 패널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배출 패널의 가장자리(edge) 영역에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 패널의 내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 패널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좌우로 분배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대해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대해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가 상기 개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때,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가 상기 개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때,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기류 가이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는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송풍팬과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지지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개구의 전방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지지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그 단면이 V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패널은 상기 복수의 송풍팬 각각과 대응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구의 직경이 D이고, 상기 기류 가이드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H일 때, 0.8 < H/D < 1.3일 수 있다.
상기 개구의 직경이 D이고, 상기 개구와 상기 기류 가이드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의 최단거리가 L일 때, 0.07 < L/D < 0.11일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제1송풍장치와,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는 제2유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제2송풍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와,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팬 케이스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좌우로 분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팬 케이스에 결합되는 기류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홀을 갖는 배출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좌우로 분배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대해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대해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그 단면이 V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가 상기 개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때,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 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부가 상기 개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때,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기류 가이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캐비닛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배출 패널의 가장자리(edge) 영역에서, 배출 패널 외부의 공기가 배출 패널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송풍팬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1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송풍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송풍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표시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기류 가이드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송풍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송풍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전방”, “상부”, “하부”, “좌측” 및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하고, 냉매와 열교환한 조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각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나 증발기의 역할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난방기가 되고, 증발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냉방기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1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2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가 제3모드로 작동할 때, 도 1에 표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장치(60)와,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하는 열 교환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송풍장치(60) 및 열 교환기(30)가 장착되는 바디 케이스(11)와, 바디 케이스(11)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면 패널(16)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1유입구(12)와, 제2유입구(15)와, 메인 배출구(17)와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는 공기조화기(1)의 후면, 양 측면, 상면 및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는 전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전면은 바디 케이스 개구(11a)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바디 케이스 개구(11a)는 전면 패널(16) 및 배출 패널(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전면 패널(16)은 바디 케이스 개구(11a)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전면 패널(16)이 바디 케이스(11)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전면 패널(16)과 바디 케이스(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 패널(16)에는 메인 배출구(17)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하우징(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전면 패널(16)을 관통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전면 패널(16)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제1유입구(12)와 대략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열 교환된 공기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는 제1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가 형성된 전면 패널(16)의 일 부분에는 배출 패널(40)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부재(17a)가 형성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재(17a)는 메인 배출구(17)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패널 지지부재(17a)는 배출 패널(40)의 배면을 지지할 수 있다.
배출 패널(40)에는 복수의 홀(4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41)은 배출 패널(4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41)은 배출 패널(40)의 차단부(40a, 도 2 참조)를 제외한 전(全)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 패널(40)은 복수의 홀(41)이 형성되지 않는 차단부(40a)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에는 제1유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구(12)는 바디 케이스(11)의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제1유입구(12)는 바디 케이스(11)의 배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유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유입구(12)가 2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유입구(1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1유입구(12)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유입구(1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에는 제2유입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구(15)는 바디 케이스(11)의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제2유입구(15)는 바디 케이스(11)의 배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구(15)는 제1유입구(1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유입구(15)를 통해 외부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유입구(12)와 같이, 제2유입구(15)의 개수 및/또는 형상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전면 패널(16)은 배출 패널(40)과 함께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와 동일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의 좌측 및/또는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가이드 배출구(13)와, 메인 배출구(17)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가이드 배출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바디 케이스(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메인 배출구(17)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제2유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는 가이드 배출구(13, 1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형성하는 전면 패널(16)의 일 부분에는 가이드 배출구(13, 14)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가이드 배출구(13, 14)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부(13a, 14a, 도 3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가이드 곡면부(13a, 14a)를 따라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 곡면부(13a, 14a)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곡면부(13a, 14a)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 상에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블레이드(61, 62, 도 3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61, 62)는 가이드 배출구(13, 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이드 배출구(13)에는 제1블레이드(61)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가이드 배출구(14)에는 제2블레이드(6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유입구(12)와 메인 배출구(17)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1유로(S1)라고 하고, 제2유입구(15)와 제1가이드 배출구(13)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2유로(S2)라고 하며, 제2유입구(15)와 제2가이드 배출구(14)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3유로(S3)라고 한다. 여기서, 제1유로(S1)는 제2유로(S2) 및 제3유로(S3)와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유로(S1)를 흐르는 공기는 제2유로(S2) 및 제3유로(S3)를 흐르는 공기는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제2유로(S2) 및 제3유로(S3)는 일부 구간이 겹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유로(S2) 및 제3유로(S3)는 제2유입구(15)로부터 제2송풍장치(80)까지의 구간이 공통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유로(S1)와 제2유로(S2)를 구획하는 제1덕트(18)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덕트(18)는 제1송풍장치(7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덕트(18)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덕트(18)는 제2송풍장치(80)와 연통될 수 있다. 제1덕트(18)는 제2송풍장치(70)가 송풍한 공기의 일부를 제1가이드 배출구(13)로 안내할 수 있다. 제1덕트(18)에는 제2송풍장치(8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제1덕트 필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유로(S1)와 제3유로(S3)를 구획하는 제2덕트(19)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19)는 제1송풍장치(70)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덕트(19)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덕트(19)는 제2 송풍장치(80)와 연통될 수 있다. 제2덕트(19)는 제2송풍장치(80)가 송풍한 공기의 일부를 제2가이드 배출구(14)로 안내할 수 있다. 제2덕트(19)에는 제2송풍장치(8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제2덕트 필터(도번 미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열 교환기(30)와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고,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열 교환기(30)를 거치지 않은 공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배출구(13, 14)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유로(S1) 상에는 열 교환기(30)가 배치되므로,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열 교환된 공기일 수 있다.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 상에는 열 교환기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본원발명은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2 유로(S2) 및 제3 유로(S3) 상에도 열 교환기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열 교환시키기 위한 열 교환기는 바디 케이스(11)의 수용공간(11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 및 가이드 배출구(13, 14) 모두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바디 케이스(11)는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 방향에 따른 단면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라 하우징(10)은 바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바디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전장품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11b)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1b)에는 공기조화기(1)의 구동에 필요한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수용공간(11b)에는 제2송풍장치(8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60)는 제1송풍장치(70)와 제2송풍장치(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송풍장치(80)는 제1송풍장치(70)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80)의 회전 속도는 제1송풍장치(70)의 회전 속도와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70)는 제1유입구(12)와 메인 배출구(17) 사이에 형성된 제1유로(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70)에 의해 공기는 제1유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유로(S1)를 따라 이동하여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송풍장치(70)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송풍팬(7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장치(70)는 복수의 제1송풍팬(72, 73)을 각각 구동하는 제1팬 구동부(74, 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팬(71)은 축류 팬 또는 사류 팬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제1송풍팬(71)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송풍팬(71)은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제1송풍팬(71)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도 2에서 제1송풍팬(71)은 2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1송풍팬(71)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1팬 구동부(74, 75)는 제1송풍팬(71)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1 팬 구동부(74, 75)는 제1송풍팬(71)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팬 구동부(74, 75)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송풍장치(80)는 제2유입구(15)와 가이드 배출구(13, 14) 사이에 형성된 제2유로(S2) 및 제3유로(S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80)에 의해 공기는 제2유입구(15)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2유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제2유로(S2)를 따라 이동하여 제1가이드 배출구(13)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거나 제3유로(S3)를 따라 이동하여 제2가이드 배출구(14)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2송풍장치(80)는 제2송풍팬(81)과, 제2팬 구동부(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송풍팬(81)은 원심 팬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제2송풍팬(81)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송풍팬(81)은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제2송풍팬(81)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도 2에서 제2송풍팬(81)은 1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2송풍팬(81)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2팬 구동부(82)는 제2송풍팬(81)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2팬 구동부(82)는 제2송풍팬(81)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팬 구동부(82)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제1송풍장치(70)와 제1유입구(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제1유로(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제1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제1유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열 교환기(30)는 튜브와, 튜브에 결합되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열 교환기(3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가 형성된 전면 패널(16)의 일 부분에 배치되는 배출 패널(4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 패널(40)은 메인 배출구(17)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가이드 배출구(13, 14)에서 배출되는 공기보다 느리게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홀(41, 도 1 참조)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홀(41)은 배출 패널(40)의 내외면을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홀(41)은 미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홀(41)은 배출 패널(40)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복수의 홀(41)에 의해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는 균일하게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 패널(40)의 하단부에는 복수의 홀(41)이 형성되지 않은 차단부(40a)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바디 케이스(11)의 제1유입구(12)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제1흡입그릴(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그릴(51)은 제1유입구(12)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흡입그릴(51)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그릴(51)은 제1유입구(12)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바디 케이스(11)의 제2유입구(15)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제2흡입그릴(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흡입그릴(52)은 제2유입구(15)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흡입그릴(52)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흡입그릴(52)은 제2유입구(15)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전면 패널(16)의 제1배출구(17)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배출그릴(5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그릴(53)은 패널 지지부재(17a)에 장착될 수 있다. 배출그릴(53)은 제1배출구(17)를 통해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그릴(53)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그릴(53)은 제1배출구(17)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공기조화기(1)의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만을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1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메인 배출구(17)에는 배출 패널(4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실내는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가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공기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될 때, 배출 패널(40)의 복수의 홀(41)을 지나며 풍속이 저감되어 저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끼는 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송풍장치(70)가 구동됨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 공기는 제1유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 교환기(30)를 통과하며 열 교환될 수 있다. 열 교환기(30)를 통과하며 열 교환된 공기는 제1송풍장치(70)를 지나 배출 패널(40)을 통과하며 속도가 저감된 상태로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제1유로(S1)를 거치며 배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는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풍속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모드에서 제2송풍장치(80)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서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가이드 배출구(13, 14)만을 통해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배출하는 제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제2유로(S2) 및 제3유로(S3) 상에는 열 교환기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공기조화기(1)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에는 가이드 곡면부(13a, 14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1)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 배출구(13, 14) 상에는 블레이드(61, 6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전방을 향해 더 멀리 송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송풍장치(80)가 구동됨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 공기는 제2유입구(15)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송풍장치(80)를 통과한 후, 제1 유로(S1)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된 제2유로(S2) 및 제3유로(S3)로 이동할 수 있다. 제2유로(S2) 및 제3유로(S3) 상에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한 후,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가이드 곡면부(13a, 14a)를 따라 공기조화기(1)의 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2모드에서 제1송풍장치(70)는 구동되지 않으므로, 메인 배출구(17)를 통해서는 공기가 배출되지 않는다. 즉, 제2모드에서 공기조화기(1)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송풍하므로, 단순히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강한 바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메인 배출구(17) 및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배출하는 제3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1모드로 구동될 때보다 제3모드로 구동될 때 냉기를 더 멀리까지 배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1)가 제3모드로 구동될 때,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된 냉기 또는 온기와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혼합될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보다 빠른 속도로 배출되므로,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된 열 교환된 공기를 더 멀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열 교환된 공기와 실내공기가 혼합된 쾌적한 냉기 또는 온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조화기(1)는 제1송풍장치(70) 및/또는 제2송풍장치(80)의 구동력을 변경시킴에 따라, 냉기를 다양한 거리에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1송풍장치(70)는 메인 배출구(1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송풍장치(80)는 가이드 배출구(13, 1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송풍장치(80)의 구동력을 증가시켜 가이드 배출구(13, 1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증가시킬 때, 공기조화기(1)는 열 교환된 공기를 더 멀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제2송풍장치(80)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가이드 배출구(13, 14)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감소시킬 때, 공기조화기(1)는 열 교환된 공기를 비교적 근거리에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송풍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1송풍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표시된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기류 가이드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기류 가이드의 구조 및 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송풍장치(70)는 복수의 제1송풍팬(71)과, 복수의 제1송풍팬(71)을 하우징(10)의 내부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팬 케이스(76, 77, 도 2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송풍팬(71)은 상하로 배치되는 제1a송풍팬(72)과, 제1b송풍팬(73)을 포함할 수 있다.
팬 케이스(76, 77)는 복수의 제1송풍팬(71)의 전방으로부터 결합되는 제1팬 케이스(76)와, 복수의 제1송풍팬(71)의 후방으로부터 결합되는 제2팬 케이스(77)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케이스(76, 77)의 전방에는 지지 패널(90)이 결합될 수 있다. 지지 패널(90)은 복수의 개구(91, 92, 도 2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패널(90)은 팬 케이스(76, 77)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지지 패널(90)은 팬 케이스(76, 77)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제1송풍팬(71) 각각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복수의 개구(91, 92)를 통해 각각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제1팬 케이스(76)에는 복수의 제1송풍팬(7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나선형으로 가이드하는 나선형 그릴(78, 79)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제1송풍장치(70)는 제1송풍팬(7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여 배출 패널(4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기류 가이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제1모드로 구동될 때, 제1송풍장치 또는 공기조화기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와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 사이의 비(ratio)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에 의해 배출 패널 전방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배출 패널의 전방 일부 영역에서, 고온 다습한 외부 공기가 배출 패널을 향해 이동하여 배출 패널과 접촉할 수 있다. 즉, 배출 패널 외부의 공기가 배출 패널을 향해 이동하여 배출 패널과 접촉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본 명세서에서는 배출 패널의 전방에 음압(陰壓) 또는 저압이 발생했다고 표현하기로 한다.
배출 패널의 전방에 음압 또는 저압이 발생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 패널 외부의 공기가 배출 패널 내부를 향해 이동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배출 패널 외부의 공기가 배출 패널과 접촉하게 된다.
배출 패널 외부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이고, 배출 패널 내부의 공기는 열 교환기를 거친 저온 저습한 냉기이며, 배출 패널의 온도는 이러한 냉기에 의해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배출 패널 외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차가운 상태의 배출 패널과 접촉하게 되면, 배출 패널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 즉, 배출 패널의 표면에 이슬 맺힘이 발생한다. 달리 표현하면, 공기조화기의 캐비닛 표면에 이슬 맺힘이 발생한다. 이슬이 계속해서 맺히면, 이슬은 공기조화기 표면을 타고 흘러 공기조화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이게 되고, 이는 위생과 안전에 모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슬 맺힘 현상을 없애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기류 가이드(100)를 포함함으로써, 배출 패널(40)의 전방에서 음압 또는 저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배출 패널(40)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류 가이드(100)는 배출 패널(40)의 가장자리(edge) 영역에서, 제1송풍팬(71)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배출 패널(40)의 내부로부터 복수의 홀(41)을 통과하여 배출 패널(40)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배출 패널(40) 내부로부터 복수의 홀(41)을 통과하여 배출 패널(40)의 외부로 이동한다는 것은, 공기의 흐름이 배출 패널(4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흐른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의 흐름이 배출 패널(4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흐르면, 배출 패널(40)의 전방에는 음압 또는 저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배출 패널(40)의 전방에 음압 또는 저압이 발생하면, 공기의 흐름이 배출 패널(4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흐르게 된다. 기류 가이드(100)는 배출 패널(40)의 가장자리(edge) 영역에서, 공기의 흐름이 배출 패널(4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흐르도록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기류 가이드(100)는 복수의 개구(91, 92) 중 아래에 마련되는 개구(92)의 전방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개구(92)의 전방 양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기류 가이드(100a, 100b)는 동일한 형상을 갖되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류 가이드(100)는 제1b송풍팬(73)으로부터 개구(9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좌우로 분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류 가이드(100)는 제1b송풍팬(73)의 회전축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 (131, 도 8 참조)와, 제1가이드부(131)의 일단으로부터 제1b송풍팬(73)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132,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는 각각 제1b송풍팬(73)의 전방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b송풍팬(73)의 회전축은 개구(92)의 중심을 관통하는 가상의 선을 가리킬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의 길이는 서로 다르게 마련되되, 제1가이드부(131)가 제1b송풍팬(73)의 회전축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면, 제1가이드부(131)는 제2가이드부(132)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반대로, 제2가이드부(132)가 제1b송풍팬(73)의 회전축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면, 제2가이드부(132)는 제1가이드부(131)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기류 가이드(100)는 제1b송풍팬(73)의 회전축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131)와, 제1b송풍팬(73)의 회전축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1)는 제1b송풍팬(73)의 회전축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이드부(131)의 길이는 제2가이드부(132)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가이드부(131)의 길이가 제2가이드부(132)의 길이보다 길게 마련되면, 길이가 짧은 제2가이드부(132)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가 기류 가이드(100)의 전방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 사이에 형성되는 홈(recess)에서 와류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와류에 의해 배출 패널(40)의 가장자리(edge) 영역에서 음압 또는 저압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배출 패널(40)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 사이에 형성되는 홈(recess)은 후술할 리브(133)가 마련되는 소정의 공간을 가리킬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의 길이가 동일하게 마련되면,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의 사이에 형성되는 홈(recess)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아, 기류 가이드(100)와 대응되는 배출 패널(40)의 가장자리(edge) 영역에 이슬이 맺힐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가이드부(131)의 길이가 제2가이드부(132)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면,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 사이에 형성되는 홈(recess)에서 와류가 발생하지 않아, 기류 가이드(100)와 대응되는 배출 패널(40)의 가장자리(edge) 영역에 이슬이 맺힐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개구(92)의 직경을 D라 하고, 기류 가이드(100)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H라 한다. 이하에서, 기류 가이드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를 기류 가이드의 높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개구(92)의 직경이 D이고, 기류 가이드(100)의 높이가 H일 때, 개구의 직경에 대한 기류 가이드의 높이의 비(H/D)는 0.8 < H/D < 1.3를 만족한다. 달리 표현하면, 기류 가이드의 높이(H)는 개구의 직경(D)의 0.8배 보다 크고, 1.3배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류 가이드의 높이(H)의 범위를 개구의 직경(D)에 대해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류 가이드의 높이가 개구의 직경보다 너무 작으면, 기류 가이드의 공기 가이드 효과가 약해져 배출 패널의 이슬 맺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기류 가이드의 높이가 개구의 직경보다 너무 높으면,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송풍팬 1개와 한 쌍의 기류 가이드를 모듈화하여 제작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제1송풍팬 1개와 한 쌍의 기류 가이드를 포함하는 모듈의 높이가 과도하게 커지기 때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개구의 직경이 D이고, 상기 개구와 상기 기류 가이드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의 최단거리가 L일 때, 개구의 직경에 대한 최단거리의 비(L/D)는 0.07 < L/D < 0.11을 만족한다. 이와 같이, 기류 가이드와 개구 사이의 최단거리(L)의 범위를 개구의 직경(D)에 대해 설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기류 가이드와 개구 사이의 최단거리(이하, 최단거리)가 너무 작으면, 기류 가이드가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과도하게 방해하여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고, 이로 인해 배출 패널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최단거리가 너무 크면, 기류 가이드가 개구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어, 기류 가이드가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영향을 실질적으로 주기 어렵다. 이 경우에도 배출 패널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류 가이드(100)는 지지 패널(9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류 가이드(100)는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 사이를 연결하고, 상하로 연장되는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는 대칭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결합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1결합부(110)는 지지 패널(90)에 형성되는 결합 홈(미도시)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결합돌기(111)와, 지지 패널(90)에 돌출 형성된 지지돌기(93)가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지지 홈(112)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지지돌기(93)를 지지 홈(112)에 결합한 후, 기류 가이드(100)를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결합돌기(111)를 결합 홈(미도시)에 끼움 결합할 수 있다. 다만, 기류 가이드(100)는 이와 달리, 지지 패널(9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기류 가이드(100)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를 포함하지 않고, 지지 패널(90)과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를 연결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0)는 상기한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 사이에는 리브(133)가 마련될 수 있다.
리브(13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연결부가 연장되는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리브(133)는 제1가이드부(131)와 제2가이드부(132) 사이에 마련되어 연결부(130)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송풍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기류 가이드(200)는 복수의 기류 가이드(210a, 210b, 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기류 가이드(210a, 210b, 220a, 220b)는 제1기류 가이드(210a)와, 제2기류 가이드(210b)와, 제3기류 가이드(220a) 및 제4기류 가이드(2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기류 가이드(210a)와 제2기류 가이드(210b)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 중 아래에 배치되는 개구의 전방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기류 가이드(220a)와 제4기류 가이드(220b)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 중 위에 배치되는 개구의 전방 양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 각각의 전방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기류 가이드(210a, 210b, 220a, 22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제1송풍장치를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기류 가이드(300)는 제1기류 가이드(300a)와, 제2기류 가이드(30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개구 중 아래에 배치되는 개구를 제1개구라 하고, 위에 배치되는 개구를 제2개구라고 한다.
제1기류 가이드(300a)는 제1개구의 전방 일 측으로부터 제2개구의 전방 일 측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기류 가이드(300b)는 제1개구의 전방 타 측으로부터 제2개구의 전방 타 측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기류 가이드는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너무 길어 송풍팬 1개와 2개의 기류 가이드를 모듈화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볼 수 있으나, 복수의 송풍팬과 2개의 기류 가이드를 모듈화하기에 적합하다. 조립 공정의 수가 줄어들고 부품 수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하우징
11 : 바디 케이스
12 : 제1유입구
13 : 제1가이드 배출구
14 : 제2가이드 배출구
15 : 제2유입구
17 : 메인 배출구
30 : 열 교환기
40 : 배출 패널
70 : 제1송풍장치
80 : 제2송풍장치
90 : 지지 패널
100, 200, 300 : 기류 가이드

Claims (20)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장치;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홀을 갖는 배출 패널; 및
    상기 배출 패널과 상기 송풍장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적어도 두 방향으로 분배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기류 가이드;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배출 패널 외부의 공기가 상기 배출 패널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배출 패널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배출 패널의 가장자리(edge) 영역에서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 패널의 내부로부터 상기 복수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배출 패널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공기를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송풍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좌우로 분배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대해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대해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가 상기 개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때,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 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가 상기 개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때,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보다 길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기류 가이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송풍팬과 대응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지지 패널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개구의 전방 양 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지지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는, 그 단면이 V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은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패널은 상기 복수의 송풍팬 각각과 대응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 양 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직경이 D이고, 상기 기류 가이드의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H일 때, 0.8 < H/D < 1.3인 공기조화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의 직경이 D이고, 상기 개구와 상기 기류 가이드 사이의 전후 방향으로의 최단거리가 L일 때, 0.07 < L/D < 0.11인 공기조화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제1유입구와 제2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1유입구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제2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배출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배출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장치는,
    상기 제1유입구와 상기 제1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는 제1유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제1송풍장치와,
    상기 제2유입구와 상기 제2배출구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유로와 구획되는 제2유로를 통해 공기를 흡입 및 배출하는 제2송풍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열 교환기;
    상기 유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배출구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팬 케이스; 및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좌우로 분배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팬 케이스에 결합되는 기류 가이드; 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홀을 갖는 배출 패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좌우로 분배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대해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1가이드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대해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2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는, 그 단면이 V자 형상으로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가 상기 개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때,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제2가이드부 보다 길게 마련되고,
    상기 제2가이드부가 상기 개구의 중심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될 때,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보다 길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가이드는, 상기 기류 가이드의 강성을 보강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제2가이드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리브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90041936A 2019-04-10 2019-04-10 공기조화기 KR20200119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936A KR20200119576A (ko) 2019-04-10 2019-04-10 공기조화기
US16/845,519 US11662102B2 (en) 2019-04-10 2020-04-10 Air conditioner including an airflow guide to guide air being discharged
CN202010279216.1A CN111811050B (zh) 2019-04-10 2020-04-10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936A KR20200119576A (ko) 2019-04-10 2019-04-10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576A true KR20200119576A (ko) 2020-10-20

Family

ID=7274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936A KR20200119576A (ko) 2019-04-10 2019-04-10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2102B2 (ko)
KR (1) KR20200119576A (ko)
CN (1) CN11181105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3639A (zh) * 2020-12-01 2021-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2584381B1 (ko) * 2022-08-09 2023-10-05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면풍 및 측면풍이 가능한 측면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63902A (zh) * 2021-02-23 2021-06-15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空调器
USD1017784S1 (en) * 2021-10-27 2024-03-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218672372U (zh) * 2022-06-21 2023-03-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0043A (ja) 1996-12-06 1998-06-26 Ohbayashi Corp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
KR100789820B1 (ko) 2005-12-26 2008-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2853517A (zh) * 2011-06-28 2013-01-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及其出风口装置
JP6150201B2 (ja) * 2013-03-29 2017-06-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17014477A1 (ko) *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41386B1 (ko) * 2015-07-17 202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396941B1 (ko) 2015-08-13 2022-05-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32192B1 (ko) 2015-10-23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69298B1 (ko) 2017-05-18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18212609A1 (en) 2017-05-18 2018-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208011912U (zh) * 2018-04-02 2018-10-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天花机及空调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03639A (zh) * 2020-12-01 2021-03-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102584381B1 (ko) * 2022-08-09 2023-10-05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면풍 및 측면풍이 가능한 측면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26080A1 (en) 2020-10-15
CN111811050A (zh) 2020-10-23
US11662102B2 (en) 2023-05-30
CN111811050B (zh) 202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6577B2 (en) Air conditioner
US20210025600A1 (en) Air conditioner
US10823433B2 (en) Air conditioner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US10684024B2 (en) Air conditioner
KR20200119576A (ko) 공기조화기
JP6488409B2 (ja) 空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10591170B2 (en) Air conditioner
CN111201403B (zh) 空调
US11067298B2 (en) Air conditioner
CN109073266B (zh) 空气调节机
US20220049854A1 (en) Air conditioner
WO2005052463A1 (ja) 空気調和機
KR20170009808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US10935273B2 (en) Air conditioner
KR102401527B1 (ko) 공기조화기
KR102493913B1 (ko) 공기조화기
KR10177854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119595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