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604B1 -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604B1
KR102584604B1 KR1020160138497A KR20160138497A KR102584604B1 KR 102584604 B1 KR102584604 B1 KR 102584604B1 KR 1020160138497 A KR1020160138497 A KR 1020160138497A KR 20160138497 A KR20160138497 A KR 20160138497A KR 102584604 B1 KR102584604 B1 KR 102584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air
partition
side plate
centrifugal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4684A (ko
Inventor
최성식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8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60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Abstract

본 실시예는 제1임펠러와; 제1임펠러와 이격된 제2임펠러와; 일측판에 제1임펠러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홀이 형성되며, 타측판에 제2임펠러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홀이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과; 제1임펠러 및 제2임펠러를 함께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스크롤 하우징은 일측판과 타측판 사이에 일측판 및 타측판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제1임펠러가 수용되는 제1유로와 제2임펠러가 수용되는 제2유로를 구획하는 격벽과; 제1유로의 공기와 제2유로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격벽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격벽부와; 한 쌍의 격벽부 사이에 배치된 단열부재를 포함하여, 제1흡입홀로 흡입된 공기의 온도와 제2흡입홀로 흡입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해 격벽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having centrifugal blower}
본 발명은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원심 송풍기는 원심력을 이용한 송풍기로서, 스크롤 하우징 내에 위치하는 임펠러(impeller)를 갖고, 임펠러의 입구 유동은 회전축 방향이고 입펠러 출구 유동은 회전축의 직각 방향이다.
임펠러의 회전시, 임펠러는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고, 임펠러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스크롤 하우징을 따라 안내된 후 토출부를 통해 토출된다.
원심 송풍기는 임펠러의 구조에 따라 다익형 송풍기, 터보형 송풍기, 플레이트형 송풍기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원심 송풍기는 공기조화기 등과 같이 공기를 유동시키는 다양한 기기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원심 송풍기는 양측판 각각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양측판 이외에 토출부가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원심 송풍기는 공기를 두 방향으로 흡입하여 송풍하는 양흡입 원심 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KR 10-1241730 B1(2013년03월08일 공고) KR 특1998-048748 A(1998년09월15일 공개) KR 10-2016-0006274 A(2016년01월19일 공개)
본 발명은 공기를 양방향으로 흡입하여 송풍할 수 있으면서 온도가 상이한 공기의 온도차에 의한 이슬 맺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제1흡입홀과 제2흡입홀이 이격된 원심 송풍기와; 제1흡입홀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제2흡입홀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원심 송풍기는 제1임펠러와; 제1임펠러와 이격된 제2임펠러와; 일측판에 제1흡입홀이 형성되며, 타측판에 제2흡입홀이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과; 제1임펠러 및 제2임펠러를 함께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한다.
삭제
스크롤 하우징은 격벽과, 토출부를 포함한다.
격벽은 스크롤 하우징의 일측판과 타측판 사이에 일측판 및 타측판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격벽은 제1임펠러가 수용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2임펠러가 수용되는 제2유로를 구획한다. 격벽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격벽부와; 한 쌍의 격벽부 사이에 배치된 단열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토출부는 제1유로의 공기와 제2유로의 공기가 토출한다.
단열부재는 한 쌍의 격벽부 각각 보다 두꺼울 수 있다.
한 쌍의 격벽부는 일면이 제1임펠러 및 일측판을 마주보고 타면이 단열부재를 마주보는 제1격벽부과, 일면이 제2임펠러 및 타측판을 마주보고 타면이 단열부재를 마주보는 제2격벽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임펠러는 상기 제1격벽부를 마주보는 제1허브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임펠러는 상기 제2격벽부를 마주보는 제2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허브와 제2허브는 상기 제1격벽부와 단열부재와 제2격벽부을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고, 상기 제1허브와 제2허브는 연결부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격벽부와 단열부재와 제2격벽부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일측판과 타측판을 연결하고 일부가 단열부재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스크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유로로 흡입된 공기와 제2유로로 흡입된 공기의 온도가 상이하더라도 단열부재에 의해 단열되어 한 쌍의 격벽부에 이슬이 맺히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고, 원심 송풍기는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격벽의 적어도 일부가 제1임펠러의 제1허브와 제2임펠러의 제2허브의 사이에 배치되어, 제1임펠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와 제2임펠러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섞이는 것으로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단열부재가 스크롤부에 의해 보호되어 신뢰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는 도 1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원심 송풍기(16)는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어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공기조화기 내부의 공기를 공기조화기 외부로 송풍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킨 후 실내로 토출하는 공조모듈(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바닥에 놓여지는 베이스(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조모듈(1)은 베이스(2) 위에 올려질 수 있고, 공조모듈(1)은 실내의 소정 높이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킬 수 있다. 공조모듈(1)은 베이스(2)와 함께 스텐드형 공기조화기를 구성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는 공조모듈(1)의 일부 구성일 수 있고, 공조모듈(1)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시킬 수 있으며, 공기가 공조모듈(1) 내부를 통과한 후 공조모듈(1) 외부로 토출되게 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는 스크롤 하우징(50)와, 제1임펠러(61)과, 제2임펠러(62)와, 모터(7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은 원심 송풍기(16)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은 내부에 제1임펠러(61) 및 제2임펠러(62)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은 이격된 일측판(16A)와 타측판(16B)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은 일측판(16A)에 제1임펠러(61)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1흡입홀(17)이 형성될 수 있고, 타측판(16B)에 제2임펠러(62)로 공기가 흡입되는 제2흡입홀(18)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은 일측판(16A)과 타측판(16B) 사이에 위치하는 격벽(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격벽(52)는 스크롤 하우징(50) 내부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격벽(52)은 일측판(16A) 및 타측판(16B)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격벽(52)은 스크롤 하우징(50)의 일측판(16A)과 타측판(16B) 각각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격벽(52)는 제1임펠러(61)가 수용되는 제1유로(P1)와 제2임펠러(62)가 수용되는 제2유로(P2)를 구획할 수 있다.
격벽(52)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격벽부(53)(54)와; 한 쌍의 격벽부(53)(54) 사이에 배치된 단열부재(55)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격벽부(53)(54)는 제1격벽부(53)과 제2격벽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격벽부(53)는 일면이 제1임펠러(61) 및 일측판(16A)을 마주보고 타면이 단열부재(55)를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제2격벽부(54)는 일면이 제2임펠러(62) 및 타측판(16B)을 마주보고 타면이 단열부재(55)를 마주볼 수 있다.
제1격벽부(53)와 제2격벽부(54)는 단열부재(55)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격벽부(53)와 제2격벽부(54)의 사이에는 단열부재(55)가 수용될 수 있는 단열부재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단열부재(55)는 제1격벽부(53)와 제2격벽부(54)의 사이에서 제1격벽부(53)와 제2격벽부(54)를 단열시킬 수 있다.
단열부재(55)는 한 쌍의 격벽부(53)(54) 각각 보다 두꺼울 수 있다. 단열부재(55)는 일면이 제1격벽부(53)에 접촉되고 타면이 제2격벽부(54)에 접촉되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은 일측판(16A)과 타측판(16B)을 연결하는 스크롤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롤부(57)는 후술하는 일체형 임펠러(60)의 외둘레를 따라 스크롤 형상으로 말린 형상일 수 있다.
한 쌍의 격벽부(53)(54)는 스크롤부(57)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되거나 스크롤부(57)와 별도로 형성된 후 스크롤부(57)의 내면에 용접으로 접합되거나, 스크롤부(57)와 별도로 형성된 후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스크롤부(57)에 결합될 수 있다.
스크롤부(57)는 일부가 단열부재(55)의 외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단열부재(55)는 스크롤부(57)에 막혀 임의 탈거되지 않고 신뢰성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은 제1유로(P1)의 공기와 제2유로(P2)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59)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59)는 스크롤부(57)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59)에는 제1유로(P1)의 공기와 제2유로(P2)의 공기가 전방 방향으로 토출안내되는 토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로는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59)는 전방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심송풍기(16)는 좌측 흡입홀(17)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고, 우측 흡입홀(18)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전방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토출부(59)에는 제1유로(P1)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1토출유로와, 제2유로(P2)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2토출유로가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격벽(52)는 일부가 토출부(59)의 내부에 위치되어 토출부(59)의 내부를 제1토출유로와 제2토출유로로 구획할 수 있다.
격벽(52)는 좌측판(16A)와 우측판(16B) 사이에 위치하는 이너 격벽과, 토출부(59)의 내부에 위치하는 아우터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격벽은 이너 격벽에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은 좌측 흡입홀(17)에 위치되는 좌측 오리피스(56)와, 우측 흡입홀(18)에 위치되는 우측 오리피스(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오피피스(56)는 좌측판(16A)에 결합될 수 있고, 내둘레에 제1임펠러(61)의 허브(63)와 가까워질수록 유로가 점차 작아지는 좌측 에어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오피피스(58)는 우측판(16B)에 결합될 수 있고, 내둘레에 제2임펠러(62)의 허브(65)와 가까워질수록 유로가 점차 작아지는 우측 에어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은 좌측판(16A)와, 우측판(16B)와, 스크롤부(57)이 일체형 임펠러(60)을 둘러싸는 하우징부를 구성할 수 있고, 토출부는 이러한 하우징부의 전방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임펠러(61)는 제2임펠러(62)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임펠러(61)는 제1격벽부(53)를 마주보는 제1허브(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임펠러(61)는 제1허브(63)에 배치된 제1블레이드(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블레이드(64)는 제1허브(63)의 양면 중 제1격벽부(53)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임펠러(61)은 터보팬이나 시로코팬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블레이드(64)는 터보팬의 후곡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거나, 시로코팬의 다익형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임펠러(62)는 제1임펠러(61)와 이격될 수 있다. 제2임펠러(62)는 제2격벽부(54)를 마주보는 제2허브(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임펠러(62)는 제2허브(65)에 배치된 제2블레이드(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블레이드(66)는 제2허브(65)의 양면 중 제2격벽부(54)를 마주보는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임펠러(62)은 터보팬이나 시로코팬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블레이드(66)는 터보팬의 후곡형 블레이드로 구성되거나, 시로코팬의 다익형 블레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임펠러(62)의 제2허브(65)는 제1임펠러(61)의 제1허브(63)와 이격될 수 있다. 제2임펠러(62)의 제2허브(65)는 격벽(52)를 사이에 두고 제1임펠러(61)의 제1허브(63)와 이격될 수 있다. 제2임펠러(62)의 제2허브(65)는 제1격벽부(53)와 단열부재(55)와 제2격벽부(54)를 사이에 두고 제1임펠러(61)의 제1허브(63)와 이격될 수 있다.
제2허브(65)와 제1허브(63)의 사이에는 격벽(52)의 일부가 위치되는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허브(65)와 제1허브(63) 사이의 갭(G)은 격벽(52)의 두께(T) 보다 클 수 있다.
격벽(52)은 그 일부가 제1허브(63)과 제2허브(6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유로(P1)의 공기와 제2유로(P2)의 공기가 서로 섞이는 것으로 최소화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은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가 하나의 바디로 일체화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는 연결부(6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67)는 제1허브(63)과 제2허브(65)를 연결할 수 있고, 연결부(67)의 일단은 제1허브(6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부(67)의 타단은 제2허브(65)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67)는 원기둥 형상 또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67)의 직경(D)은 제1허브(63)의 직경 및 제2허브(64)의 직경 보다 작을 수 있다.
원심송풍기는 제1임펠러(61)과 제2임펠러(62)가 연결부(67)로 연결된 일체형 임펠러(6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일체형 임펠러(60)는 2개의 허브(63)(65)가 연결부(67)로 연결되어 듀얼 허브 양흡입 임펠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격벽(52)에는 연결부(67)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격벽부(53)와 단열부재(55)와 제2격벽부(54) 각각에는 연결부(67)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공(51)이 형성될 수 있다.
모터(70)는 제1임펠러(61) 및 제2임펠러(62)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모터(70)는 회전축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모터(70)의 회전축은 제1허브(63)과 제2허브(65)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는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가 일체화된 일체형 임펠러(60)를 포함하고, 모터(70)의 회전축이 일체형 임펠러(60)에 연결되므로, 서로 분리된 2개의 임펠러에 모터(70)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경우 보다 조립 공정이 간단한 이점이 있다.
스크롤 하우징(50)의 스크롤부(57)와 좌측 오리피스(56)와 우측 오리피스(58) 중 하나에는 모터 브래킷(72)이 결합될 수 있고, 모터 브래킷(72)에는 모터(70)가 안착되는 모터 마운터(74)가 결합될 수 있다.
모터(70)의 회전축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일체형 임펠러(60)은 수평한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는 적어도 하나의 양흡입 원심팬(41)(42)(43)을 포함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는 복수개의 양흡입 원심팬(41)(42)(43)이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가 2개의 양흡입 원심팬을 포함할 경우, 2개의 양흡입 원심팬은 상측 양흡입 원심팬과, 상측 양흡입 원심팬의 아래에 배치된 하측 양흡입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가 3개 이상의 양흡입 원심팬을 포함할 경우, 3개 이상의 양흡입 원심팬은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양흡입 원심팬과,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양흡입 원심팬과, 상측 양흡입 원심팬(41)과 하측 양흡입 원심팬(43)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양흡입 원심팬(42)을 포함할 수 잇다.
복수개의 양흡입 원심팬(41)(42)(43) 각각은 스크롤 하우징(50)과, 스크롤 하우징(50)에 수용된 일체형 임펠러(60)과, 일체형 임펠러(60)에 연결된 모터(70)을 포함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는 상하 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짧은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원심송풍기(16)는 후판(16D)과 상판(16E) 및 하판(16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원심 송풍기(16)는 상하 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양흡입 원심팬 사이에 배치된 수평판(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의 상판(16E)는 복수개의 양흡입 원심팬 중 가장 상측에 위치하는 양흡입 원심팬의 상부에 위치하고, 원심 송풍기(16)의 상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원심 송풍기(16)의 하판(16F)는 복수개의 양흡입 원심팬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는 양흡입 원심팬의 하부에 위치하고, 원심 송풍기(16)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수평판(44)는 원심 송풍기(16)의 상판(16E)과 하판(16F) 사이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수평판(44)는 원심 송풍기(16)의 상판(16E)과 하판(16F) 각각과 이격될 수 있고, 원심 송풍기(16)의 상판(16E)과 하판(16F) 사이를 복수개의 양흡입 원심팬 수용부로 구획할 수 있다.
수평판(44)의 아래에 위치하는 양흡입 원심팬은 상부가 수평판(44)에 연결될 수 있고, 수평판(44)의 위에 위치하는 양흡입 원심팬은 하부가 수평판(44)에 연결될 수 있다.
수평판(44)는 인접한 양흡입 원심팬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양흡입 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50)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양흡입 원심팬의 스크롤 하우징(5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원심 송풍기(16)는 모터(70)의 구동시, 제1임펠러(61)과 제2임펠러(62)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임펠러(61)와 제2임펠러(62)의 회전시, 좌측판(16A) 좌측의 공기는 제1임펠러(61)로 유입되어 제1유로(P1)을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우측판(16B) 우측의 공기는 제2임펠러(62)로 유입되어 제2유로(P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제1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와 제2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는 원심 송풍기(16) 주변에 위치하는 열교환기 등에 의해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1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열교환된 공기일 수 있고, 제2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되지 않는 상온의 공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유로(P1)을 통과한 공기와 제2유로(P2)를 통과한 공기는 온도차를 갖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제1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된 저온의 공기일 수 있고, 제2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냉매가 통과하는 응축기에 의해 냉각된 고온의 공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유로(P1)을 통과한 공기와 제2유로(P2)를 통과한 공기는 온도차를 갖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제1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실내에서 유동된 실내공기일 수 있고, 제2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실외에서 유동되어 실내에서 유동된 공기 보다 고온이거나 저온인 실외공기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유로(P1)을 통과한 공기와 제2유로(P2)를 통과한 공기는 온도차를 갖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격벽(52)은 제1유로(P1)를 형성하는 제1격벽부(53)와, 제2유로(P2)를 형성하는 제2격벽부(54) 사이에 단열부재(55)가 배치되고, 단열부재(55)는 제1격벽부(53)와 제2격벽부(54)의 열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열부재(55)는 제1격벽부(53)와 제2격벽부(54)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원심 송풍기(16)가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신속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좌측 공기흡입구(11)와 우측 공기흡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좌측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된 좌측 흡입바디(13)과, 우측 공기흡입구(12)가 형성된 우측 흡입바디(1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집중 토출하도록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전면 공기토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의 전면에는 그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는 전면 공기토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 공기토출구(15)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고 좌우 방향으로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서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의 중앙부 전방으로 집중되면서 상하방향의 긴 전방 토출기류일 수 있다.
좌측 흡입바디(13)와 우측 흡입바디(14)는 후술하는 원심송풍기(16)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흡입바디(13)와 우측 흡입바디(14) 각각은 전방부 및 후방부 각각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거나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흡입바디(13)와 우측 흡입바디(14)는 전면 공기토출구(15)는 막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좌측 흡입바디(13) 선단과 우측 흡입바디(14) 선단의 좌우 방향 이격 거리(L1)는 전면 공기토출구(15)의 좌우 방향 폭(L2) 보다 길 수 있다.
좌측 흡입바디(13)는 후술하는 좌측 프레임(31)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선단부가 좌측 프레임(31)의 전면 일부 또는 전부를 덮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후단부가 좌측 프레임(31)의 배면 일부 또는 전부를 덮게 배치될 수 있다.
반면에, 우측 흡입바디(14)는 후술하는 우측 프레임(32)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선단부가 우측 프레임(32)의 전면 일부 또는 전부를 덮게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후단부가 우측 프레임(32)의 배면 일부 또는 전부를 덮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흡입홀(17)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20)와, 제2흡입홀(18)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원심 송풍기(16)의 옆에 배치된 사이드 열교환기일 수 있다. 열교환기(20)와 필터(F)는 원심 송풍기(16)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적어도 일부가 제1흡입홀(17)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제1흡입홀(17)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임펠러(62)의 회전시 제1흡입홀(17)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열교환기(20)를 통과하면서 가열 또는 냉각된 후, 제1흡입홀(17)을 통해 제1유로(P1)로 흡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20)는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핀-튜브형 열교환기나 마이크로 채널튜브 열교환기 등의 냉매-공기 열교환기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냉방운전시, 열교환기(20)에는 저온저압의 냉매가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공기는 저온저압의 냉매와 열교환되어 냉각될 수 있다.
필터(F)는 적어도 일부가 제2흡입홀(18)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제2임펠러(62)의 회전시 제2흡입홀(18)을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필터(F)를 통과하면서 먼지 등의 이물질이나 냄세 입자 등이 걸러진 후, 이후 제2흡입홀(17)을 통해 제2유로(P2)로 흡입될 수 있다.
필터(F)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청정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필터는 프리 필터(21) 보다 작은 미세 먼지가 걸러지는 헤파 필터나 전기집진필터 등의 집진 필터이거나 냄새를 없애주는 활성탄 필터 또는 카본 필터 등의 탈취필터일 수 있다.
공기청정필터는 공기 유동방향으로 탈취 필터와 집진 필터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원심송풍기(16)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31)(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32)은 공기가 좌우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개구부(31A)(31B)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좌측 프레임(31)과 우측 프레임(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프레임(31)과 우측 프레임(32)은 원심송풍기(16)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프레임(31)은 원심 송풍기(16)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열교환기(20)는 좌측 프레임(31)에 형성된 개구부(31A)에 수용될 수 있다.
우측 프레임(32)는 원심 송풍기(16)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F)는 우측 프레임(32)에 형성된 개구부(31B)에 수용되거나 우측 프레임(32)의 옆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좌측 프레임(31)과 우측 프레임(32)의 사이에 토출부(59)를 통과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전면 공기토출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좌측 공기흡입구(11)와 열교환기(20)의 사이에 배치된 좌측 프리필터(2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우측 공기흡입구(12)와 필터(F)의 사이에 배치된 우측 프리필터(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원심 송풍기(16)는 좌측 프레임(31)에 고정되는 좌측 체결판(59A)과, 우측 프레임(32)에 고정되는 우측 체결판(59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체결판(59A)과 우측 체결판(59B)은 스크롤 하우징(50)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체결판(59A)은 스크롤 하우징(50)의 후방부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체결판(59A)은 좌측 프레임(31)의 배면 적어도 일부를 가리게 배치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좌측 프레임(31)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우측 체결판(59B)은 스크롤 하우징(50)의 후방부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체결판(59B)은 우측 프레임(32)의 배면 적어도 일부를 가리게 배치될 수 있고,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에 의해 우측 프레임(32)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좌측 체결판(59A)은 스크롤 하우징(50)의 좌측판(16A)과 좌측 프레임(31)를 가리는 좌측 차폐부로 기능할 수 있고, 우측 체결판(59B)는 스크롤 하우징(50)의 우측판(16B)과 우측 프레임(32)의 후단 사이를 가리는 차폐부로 기능할 수 있다.
공조기조화기는 공기 토출구(15)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풍향 조절부재(80)(82)를 포함할 수 있다.
풍향 조절부재(80)(82)는 공기 토출구(15)를 개폐하게 회전될 수 있다. 풍향 조절부재(80)(82)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80)(82)는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배치될 수 있고, 원심 송풍기(16)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회전되었을 때, 전면 공기토출구(15)를 개방할 수 있고, 원심 송풍기(16)에서 송풍된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풍향조절부재(80)(82)는 좌측 프레임(31) 또는 원심 송풍기(16)에 설치된 좌측 풍향조절부재(80)과, 우측 프레임(32) 또는 원심 송풍기(16)에 설치된 우측 풍향조절부재(82)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풍향조절부재(80)와 우측 풍향조절부재(82)는 서로 가까워지게 회전되었을 때 전면 공기토출구(15)를 차폐할 수 있고, 이때, 원심 송풍기(16)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모터(70)의 구동시, 좌측 공기흡입구(11) 주변의 공기는 좌측 공기흡입구(11)를 통과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열교환기(2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20)와 열교환될 수 있고, 열교환기(20)를 통과하는 냉매에 의해 상온의 공기 보다 차가워지거나 뜨거워질 수 있다. 열교환기(20)와 열교환된 공기는 원심 송풍기(16)의 좌측판(16A)을 통과하여 제1유로(P1)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우측 공기흡입구(12) 주변의 공기는 우측 공기흡입구(12)를 통과하여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필터(F)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필터(F)에 걸러질 수 있다. 필터(F)를 통과한 공기는 필터(F)와 열교환없이 필터(F)를 통과한 상온의 청정공기이고, 이러한 상온의 청정공기는 원심 송풍기(16)의 우측판(16B)를 통과하여 제2유로(P2)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제1유로(P1)를 따라 안내되는 공기가 상온보다 높거나 낮은 열교환된 공기이고, 제2유로(P2)를 따라 안내되는 공기가 상온의 공기일 경우, 제1격벽부(53)의 온도와 제2격벽부(54)의 온도는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제1격벽부(53)와 제2격벽부(54) 사이의 단열부재(55)에 의해 제1격벽부(53)와 제2격벽부(54)의 열교환은 최소화될 수 있고, 격벽(52)의 외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6: 원심 송풍기 16A: 좌측판
16B: 우측판 17: 제1흡입홀
18: 제2흡입홀 20: 열교환기
50: 스크롤 하우징 51: 관통공
52: 격벽 53: 제1격벽부
54: 제2격벽부 55: 단열부재
57: 스크롤부 59: 토출부
60: 일체형 임펠러 61: 제1임펠러
62: 제2임펠러 63: 제1허브
65: 제2허브 67: 연결부
70: 모터 F: 필터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흡입홀과 제2흡입홀이 이격된 원심 송풍기와;
    상기 제1흡입홀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제2흡입홀를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원심 송풍기는
    제1임펠러와;
    상기 제1임펠러와 이격된 제2임펠러와;
    일측판에 상기 제1흡입홀이 형성되며, 타측판에 상기 제2흡입홀이 형성된 스크롤 하우징과;
    상기 제1임펠러 및 제2임펠러를 함께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일측판과 타측판 사이에 상기 일측판 및 타측판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임펠러가 수용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2임펠러가 수용되는 제2유로를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제1유로의 공기와 제2유로의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벽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1임펠러가 수용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2임펠러가 수용되는 제2유로를 구획하는 한 쌍의 격벽부와;
    상기 한 쌍의 격벽부 사이에 배치된 단열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제1유로와 상기 제2유로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차에 의한 상기 격벽부의 이슬 맺힘을 최소화하는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한 쌍의 격벽부 각각 보다 두꺼운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격벽부는
    일면이 상기 제1임펠러 및 일측판을 마주보고 타면이 상기 단열부재를 마주보는 제1격벽부과,
    일면이 상기 제2임펠러 및 타측판을 마주보고 타면이 상기 단열부재를 마주보는 제2격벽부을 포함하는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임펠러는 상기 제1격벽부를 마주보는 제1허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임펠러는 상기 제2격벽부를 마주보는 제2허브를 포함하는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허브와 제2허브는 상기 제1격벽부와 단열부재와 제2격벽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고,
    상기 제1허브와 제2허브는 연결부로 연결되며,
    상기 제1격벽부와 단열부재와 제2격벽부 각각에는 상기 연결부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하우징은 상기 일측판과 타측판을 연결하고 일부가 상기 단열부재의 외둘레를 둘러싸는 스크롤부를 포함하는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160138497A 2016-10-24 2016-10-24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584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97A KR102584604B1 (ko) 2016-10-24 2016-10-24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497A KR102584604B1 (ko) 2016-10-24 2016-10-24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84A KR20180044684A (ko) 2018-05-03
KR102584604B1 true KR102584604B1 (ko) 2023-10-05

Family

ID=6224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497A KR102584604B1 (ko) 2016-10-24 2016-10-24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6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8664A (zh) * 2018-11-29 2019-03-12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柜式空调风道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094B1 (ko) * 2005-06-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0765199B1 (ko) * 2006-10-09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8748A (ko) 1996-12-18 1998-09-15 구자홍 모터 일체형 양흡입 원심 송풍기 구조
KR101241730B1 (ko) 2004-12-29 2013-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원심팬
KR20150136692A (ko) * 2014-05-27 2015-12-08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형 공기 청정기
KR102216987B1 (ko) 2014-07-07 2021-02-19 코웨이 주식회사 양흡입 제가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094B1 (ko) * 2005-06-20 2006-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환기장치
KR100765199B1 (ko) * 2006-10-09 2007-10-09 삼성전자주식회사 원심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684A (ko)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0990B1 (ko) 공기 조화기
US10684024B2 (en) Air conditioner
US10465697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2379031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US10480817B2 (en) Duct-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40028190A (ko) 공기조화기
US10107507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1927440B1 (ko) 공기 조화기
KR10185280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160044998A (ko)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N115371137A (zh) 新风风机和空调室内机
CN110914599A (zh) 空气调节机
US11644202B2 (en) Air conditioner and ventilation apparatus for the same
WO2014174625A1 (ja) 空気調和機
CN113899017A (zh) 空调室内机
KR102584604B1 (ko)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JP459977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654999B1 (ko) 공기조화기
KR20190078003A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20180044650A (ko) 공기조화기
KR20150105105A (ko) 송풍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16744605U (zh) 空调室内机
CN213747013U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CN212408849U (zh) 空调室内机
KR102297911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