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8678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8678A
KR20160038678A KR1020150002225A KR20150002225A KR20160038678A KR 20160038678 A KR20160038678 A KR 20160038678A KR 1020150002225 A KR1020150002225 A KR 1020150002225A KR 20150002225 A KR20150002225 A KR 20150002225A KR 20160038678 A KR20160038678 A KR 20160038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air
vanes
discharg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120B1 (ko
Inventor
손민수
서기원
최성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510053596.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987427B/zh
Publication of KR20160038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8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장방향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바디와; 토출바디에 수평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베인과; 복수개의 베인에 연결된 베인 링크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베인 각각은 리어 베인부와, 상기 리어 베인부의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꺽인 프론트 베인부를 갖고, 복수개의 베인은 상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크게 형성되어, 공기토출구의 전방 방향 및 공기토출구의 전방 하측 방향으로 토출기류를 유도할 수 있고, 토출기류가 공기토출구의 전방 상측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en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기 위해 통과하는 토출바디에 복수개 베인이 설치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로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공기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여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공기의 온도나 습도나 청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열교환기나 필터 등의 공조유닛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바디에는 공기의 토출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베인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바디의 일예는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위치 고정되게 배치되어 위치 고정인 상태에서 실내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바디의 다른 예는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승된 위치에서 실내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하고, 공기조화기의 내측으로 하강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토출바디의 또 다른 예는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상부에서 회전 동작되면서 토출바디의 주변으로 좌우 입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KR 10-1346834 B1 (2014년 01월02일 공고)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본체에서 토출그릴로 송풍된 공기가 토출구의 전방 상측 방향으로 쏠리면서 주로 토출그릴의 전방 상측을 향하는 토출기류가 형성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토출유닛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유닛의 전방 상측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효과적인 상하 기류를 형성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이 막히고 둘레부의 일부에 상하 방향으로 장방향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바디와; 상기 토출바디에 수평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베인과; 상기 복수개의 베인을 회전시키는 베인 회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 각각은 리어 베인부와, 상기 리어 베인부의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꺽인 프론트 베인부를 갖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크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측으로 갈수록 프론트 베인부의 크기가 클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베인부는 상기 리어 베인부 보다 공기 안내방향 길이가 길 수 있다.
상기 리어 베인부의 하면과 프론트 베인부의 하면은 둔각을 갖을 수 있다.
상기 토출바디의 내측 상면에는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의 전방 하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상단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가이드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상단 가이드부는 상기 토출바디의 내측 상면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선단이 곡선일 수 있다.
상기 베인 회전기구는 상기 복수개의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베인 링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기 베인 링크가 프론트 베인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인과; 상기 베인 링크가 연결되는 베인 링크 연결 바가 프론트 베인부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제 2 베인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 중 최하측 베인의 수평중심축은 상기 공기토출구 하단 후방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 중 최하측 베인은 상기 프론트 베인부가 수평면에 대해 하향 18° 내지 22° 회전되었을 때, 선단이 상기 공기토출구의 하단을 마주볼 수 있다.
상기 토출바디는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중공 원통 형상인 아우터 바디와; 상기 아우터 바디 내부에 위치되고 상면이 막히며 둘레부의 일부에 상기 공기토출구를 마주보는 이너 개구부가 형성된 이너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기 이너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인 회전기구는 상기 복수개의 베인 중 크기가 가장 큰 베인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중 어느 하나는 수평중심축이 상기 공기토출구 하단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공기토출구의 전방 방향 및 공기토출구의 전방 하측 방향으로 토출기류를 유도할 수 있고, 토출기류가 공기토출구의 전방 상측 방향으로 쏠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의 베인 이외의 별도의 풍향조절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복수개의 베인 자체로 공기토출구의 전방 하측 방향을 향하는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토출구의 전방 하측 방향의 토출기류를 증대시킬 수 있어, 본체의 전방 위치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이 증대될 수 있고, 전면풍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유닛 일부 절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유닛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유닛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의 토출기류를 비교예의 토출기류와 비교한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유닛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유닛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는 본체(2)와, 본체(2)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닛(4)(6)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나 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토출유닛(4)(6)으로 토출하는 공조부일 수 있다. 본체(2)는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공조시킨 후 토출유닛(4)(6)의 내부로 송풍할 수 있고, 토출유닛(4)(6)은 본체(2)에서 송풍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유닛(4)(6)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유닛(4)(6)은 본체(2)에 복수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개의 토출유닛(4)(6)은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복수개 토출유닛(4)(6)은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의 서로 다른 영역을 향해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복수개 토출유닛(4)(6) 각각은 수직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복수개 토출유닛(4)(6) 중 어느 하나가 실내의 좌측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때, 복수개 토출유닛(4)(6) 중 다른 하나는 실내의 우측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유닛(4)(6)은 모두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토출유닛(4)(6)은 본체(2)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토출유닛(4)(6)은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토출유닛(4)과, 좌측 토출유닛(4)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토출유닛(6)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토출유닛(4)과 우측 토출유닛(6)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좌측 토출유닛(4)과 우측 토출유닛(6)은 그 위치가 상이하고,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2)는 공기흡입구(11)가 형성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바디(12)와; 흡입바디(12)로 흡입된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4)와, 흡입바디(12)로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14)를 통과시킨 후 토출유닛(4)(6)으로 송풍하는 송풍장치(16)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바디(12)는 공기조화기의 후방부에 위치될 수 있고, 본체(2)는 흡입바디(12)의 후방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킬 수 있다.
흡입바디(12)에는 공기흡입구(11)로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13)이 설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13)은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 중의 이물질을 방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며, 공기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교환기(14)는 흡입바디(12)와 송풍장치(16)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14)는 흡입바디(12)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실내에서 흡입바디(12)를 통과한 공기는 열교환기(14)를 통과하여 송풍장치(16)로 흡인될 수 있다. 열교환기(14)는 공기조화기 내부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16)는 좌측 토출유닛(4)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송풍유닛(17)과, 우측 토출유닛(6)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송풍유닛(1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송풍유닛(17)과 제2송풍유닛(18)은 풍량이 서로 상이하게 제어될수 있고, 좌측 토출유닛(4)이 공조시키는 실내영역과 우측 토출유닛(6)이 공조시키는 실내영역은 온도가 서로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체(2)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베이스(2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20)는 흡입바디(12)를 포함할 수 있고, 흡입바디(12)는 베이스(21) 후방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20)는 송풍장치(16)의 전방을 덮고, 공기조화기의 전방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22)은 베이스(21)의 전방부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토출유닛(4)(6)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는 상판(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판(23)의 후방부 상측에 배치되고 토출유닛(4)(6)의 후방부가 마주보는 백 커버(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토출유닛(4)(6)의 상면을 덮게 백 커버(24)에 설치된 탑 커버(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좌측 토출유닛(4)과 우측 토출유닛(6)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벽(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획벽(26)은 좌측 토출유닛(4)과 우측 토출유닛(4) 사이에 상하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구획벽(26)은 좌측면이 좌측 토출유닛(4)의 일부를 마주볼 수 있고, 우측면이 우측 토출유닛(6)의 일부를 마주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유닛(4)(6)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31)(3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좌측 토출유닛(4)을 회전시키는 제1회전기구(31)와; 우측 토출바디(6)를 회전시키는 제2회전기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기구(31)는 좌측 토출유닛(4)을 제1수직중심축(P)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2회전기구(32)는 우측 토출유닛(6)을 제2수직중심축(Q)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수직중심축(P)과 제2수직중심축(Q)은 각각은 상하 방향일 수 있고,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1회전기구(31)와 제2회전기구(32)는 동일 구성일 수 있고, 모터(33)와, 모터(33)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34)와, 토출유닛(4)(6)에 형성되고 구동기어(34)에 치합된 종동기어(3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3)는 본체(2)에 설치될 수 있고, 토출유닛(4)(6)을 회전시키는 구동원일 수 있다. 모터(33)는 회전축이 상향 돌출되게 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기어(34)는 모터(33)의 구동력을 전달방아 종동기어(35)을 전달할 수 있고, 모터(33)와 종동기어(35)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모터(33)의 구동시 종동기어(3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종동기어(35)는 토출유닛(4)(6)의 후술하는 토출바디(40)에 형성될 수 있고, 모터(33)의 구동시, 구동기어(34)에 의해 회전되어 토출바디(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좌측 토출유닛(4)과 우측 토출유닛(6)은 제1회전기구(8)와 제2회전기구(10)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이외에 동일 구조일 수 있고, 이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 토출유닛(4)(6)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토출유닛(4)(6)은 하부에 공기유입구(36)가 형성되고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장방향인 공기토출구(37)가 형성된 토출바디(40)와; 토출바디(40)을 통해 안내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바디(40)는 공기토출구(37)가 형성된 중공 원통체(42)와, 중공 원통체(42)의 상면을 막는 상판(44)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는 토출바디(40)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는 상판(44)을 상하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는 중공 원통체(42)의 하단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토출바디(40)는 중공 원통체(42)의 하부에 배치된 하판(46)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유입구(36)은 하판(46)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공 원통체(42) 내부에는 공기유입구(36)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토출바디 내부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바디 내부공간(S)은 상하 방향으로 길 수 있고, 중공 원통체(42)의 내둘레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에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토출바디(40)의 공기유입구(36)를 통과하여 중공 원통체(42) 내부로 송풍될 수 있고, 중공 원통체(42)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중공 원통체(42) 내부에서 공기토출구(37)를 향해 유동되어 공기토출구(37)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토출바디(4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토출바디 내부공간(S)을 통과하는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에 접촉된 공기는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을 따라, 그 토출 방향이 전환될 수 있고,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이 안내하는 방향으로 기류가 바뀔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유닛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유닛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유닛 횡단면도이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공기토출구(37)의 장방향(Z)과 나란한 방향(Z')으로 이격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37)는 토출바디(40)에 상하 방향으로 장방향일 수 있고,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토출바디(40)에 수평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연결될 수 있다. 토출바디(40)에는 베인(50)(60)(70)(8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베인 연결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인 연결부(41)는 토출바디(40)에 형성된 회전축 삽입홈 또는 회전축 삽입홀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인 연결부(41)는 토출바디(40)의 내면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 연결부(41)는 적어도 일부가 토출바디(40)에서 토출바디 내부공간(S)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토출바디(40)는 하나의 베인 당 2개의 베인 연결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인 연결부(41)는 베인의 좌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좌측 베인 연결부(41A)와, 베인의 우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우측 베인 연결부(41B)를 포함할 수 있고, 베인은 좌측 베인 연결부(41A)와 우측 베인 연결부(41B)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좌측 베인 연결부(41A)와 우측 베인 연결부(41B)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좌측 베인 연결부(41A)와 우측 베인 연결부(41B)는 토출바디(40)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베인은 좌측 베인 연결부(41A)와 우측 베인 연결부(41B)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이 수평 중심축이 될 수 있다.
베인 연결부(41)는 토출바디(40)에 베인 개수의 2배수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4)(6)이 4개의 베인(50)(60)(70)(80)을 포함할 경우, 베인 연결부(41)는 토출바디(40)에 8개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4)(6)이 4개의 베인(50)(60)(70)(80)을 포함할 경우, 좌측 베인 연결부(41A)는 토출바디(40)에 4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우측 베인 연결부(41B)는 토출바디(40)에 4개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그 각각의 전방부와 후방부 중 전방부에 베인 회전축(51)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51)은 후술하는 프론트 베인부(FV)와 리어 베인부(RV) 중 프론트 베인부(FV)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인 회전축(51)은 베인의 전방부 좌측에 형성된 좌측 회전축(51A)과, 베인의 전방부 우측에 형성된 우측 회전축(51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회전축(51A)과 우측 회전축(51B)은 각각의 베인(50)(60)(70)(80)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회전축(51A)과 우측 회전축(51B)은 각각의 베인(50)(60)(70)(80)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베인 중 좌측 회전축(51A)와 우측 회전축(51B)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과, 좌측 회전축(51A)와 우측 회전축(51B)은 베인의 수평 중심축이 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좌측 회전축(51A)이 좌측 베인 연결부(4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우측 회전축(51B)이 우측 베인 연결부(41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선단(52)이 곡선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의 선단(52)은 중공 원통체(42)의 내둘레면과 같이 곡선 형상일 수 있고, 공기토출구(37)을 향해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A)은 공기토출구(37)의 전방 방향으로 강한 기류의 공조 공기를 토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공기토출구(37)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가 공기토출구(37)의 전방 상측으로 집중되지 않게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리어 베인부(RV)와, 리어 베인부(RV)의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꺽인 프론트 베인부(FV)를 갖을 수 있다. 리어 베인부(RV)와 프론트 베인부(FV) 각각은 판 형상일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프론트 베인부(FV)의 선단이 베인의 선단일 수 있고, 프론트 베인부(FV)의 선단은 곡선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베인부(FV)의 하면(53)과 리어 베인부(RV)의 하면(54)은 둔각(O)을 갖을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를 통해 토출바디(4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는 리어 베인부(RV)의 하면(54)에 안내된 후 프론트 베인부(FV)의 하면(53)에 안내될 수 있고, 복수개의 베인(50)(60)(70)(80) 각각은 프론트 베인부(FV)의 하측 방향 꺽인 구조에 의해 토출기류를 하측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상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클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상측으로 갈수록 리어 베인부(RV)의 크기가 클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상측으로 갈수록 프론트 베인부(FV)의 크기가 클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최상측 베인(50)은 최상측 베인(50) 보다 낮게 위치하는 타 베인(60)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최상측 베인(50)의 프론트 베인부(FV)는 최상측 베인(50) 보다 낮게 위치하는 타 베인(60)의 프론트 베인부(FV) 보다 클 수 있다. 최상측 베인(50)의 리어 베인부(RV)는 최상측 베인(50) 보다 낮게 위치하는 타 베인(60)의 리어 베인부(RV) 보다 클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상측으로 갈수록 프론트 베인부(FV)가 점차 커질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상측으로 갈수록 리어 베인부(RV)가 점차 커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론트 베인(FV)이 리어 베인(RV)의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꺽이고, 상측으로 갈수록 복수개 베인의 크키가 클 경우, 공기토출구(37)의 전방 상측을 향하는 토출기류가 감소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37)의 전방 방향 및 공기토출구(37)의 전방 하측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 각각은 프론트 베인부(FV)의 공기 안내방향 길이(L1)와 리어 베인부(RV)의 공기 안내방향 길이(L2)가 상이할 수 있다. 공기는 프론트 베인부(FV)에 안내될 때 주로 하측 방향으로 유도되는 토출기류로 전환될 수 있고, 복수개의 베인(50)(60)(70)(80) 각각은 공기를 효과적으로 하향 유도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론트 베인부(FV)의 공기 안내방향 길이(L1)는 보다 리어 베인부(RV)의 공기 안내방향 길이(L2) 보다 길 수 있다. 복수개 베인(50))(60)(70)(80)는 리어 베인부(RV)에서 1차적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된 후 프론트 베인부(FV)에서 2차적으로 유동방향이 전환될 수 있고, 리어 베인부(RV)는 공기의 유동 방향이 급격하게 전환되지 않고 보다 부드럽게 전환되게 도울 수 있다.
토출유닛(4)(6)은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을 회전시키는 베인 회전기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 회전기구(100)는 복수개의 베인(50)(60)(70)(80)에 연결된 베인 링크(9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 링크(90)는 복수개의 베인(50)(60)(70)(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베인 링크(90)는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을 일체로 회전시킬 수 있다. 베인 링크(90)는 토출바디(40))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회전축(51)과 이격된 위치에 베인 링크(90)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56)는 회전축(51) 보다 상대적으로 뒤쪽에 위치할 수 있고,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회전축(51)을 중심으로 상하 회전될 수 있다.
링크 연결부(56)가 베인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일 경우, 베인 링크(90)에는 링크 연결부(5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베인 링크(90)에 돌기가 수평하게 돌출될 경우, 링크 연결부(56)는 베인 링크(90)의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돌기 지지홈 또는 돌기 지지홀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베인 링크(90)가 프론트 베인부(FV)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인(50)(60)과, 베인 링크(90)가 연결되는 베인 링크 연결 바(57)가 프론트 베인부(FV)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인(70)(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베인(50)(60)은 제 2 베인(70)(8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베인(50)(60)은 프론트 베인부(FV)에 베인 링크(90)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베인(70)(80)은 베인 링크 연결 바(57)에 베인 링크(90)가 연결되는 링크 연결부(56)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인 링크 연결 바(57)는 제 2 베인(70)(80)의 프론트 베인부(FV) 후단에서 후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최상측 베인(50)은 리어 베인부(FV)의 상면과 프론트 베인부(RV) 상면 각각이 상판(44)을 마주볼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공기토출구(37) 하단(38)의 후방에 수평중심축(C)이 위치하는 베인(8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최하측 베인(80)은 수평중심축(C)이 공기토출구(36) 하단(37)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최하측 베인(80)의 수평중심축(C)은 공기토출구(37) 하단(38)과 나란할 수 있다. 공기토출구(37)는 하단(38)이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고, 최하측 베인(80)의 수평중심축(C)은 공기토출구(37) 하단(38)의 수평선(D)와 나란할 수 있고, 최하측 베인(80)의 수평중심축(C) 위치는 공기토출구 하단(38)의 수평선(D)의 후방일 수 있다. 최하측 베인(80)의 수평중심축(C)은 공기토출구 하단(38)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공기토출구(37)의 하단(38)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R)은 최하측 베인(80)의 수평중심축(C)과 직교하게 교차될 수 있다.
베인 회전기구(100)는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거나 베인 링크(90)에 연결될 수 있다.
베인 회전기구(100)는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경우,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크기가 가장 큰 베인에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최상측 베인(5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인 회전기구(100)는 최상측 베인(50)의 회전축(51)에 연결되어 최상측 베인(50)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베인 회전기구(100)가 최상측 베인(50)를 상승시키면, 최상측 베인(50)은 베인 링크(90)를 승강시킬 수 있고, 베인 링크(90)의 승강시 나머지 베인들(60)(70)(80)은 최상측 베인(5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베인 회전기구(100)는 베인 링크(90)에 연결될 경우, 베인 링크(90)를 승강키게 구성될 수 있다. 베인 회전기구(100)는 토출바디(40)에 설치된 베인 회전모터(10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 회전기구(100)는 베인 회전모터(102)에 회전축에 연결되고, 베인 링크(90)를 승강시키는 연결 링크(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링크(104)에는 베인 링크(90)에 돌출된 돌기(91)가 슬라이딩 안내되는 돌기 안내홀(106)이 형성될 수 있다. 돌기 안내홀(106)은 연결 링크(104)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링크(104)의 회전시, 베인 링크(90)에 형성된 돌기(91)는 돌기 안내홀(106)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베인 링크(90)는 연결 링크(104)에 연동되어 승강될 수 있다. 베인 회전기구(100)가 베인 링크(90)를 상승시키면, 복수개의 베인(50)(60)(70)(80) 각각은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되면서 공기를 하측 방향으로 토출 안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인 링크 승강기구(100)가 베인 링크(90)를 하강시키면, 복수개의 베인(50)(60)(70)(80) 각각은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향 회전되면서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토출 안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연결 링크(104)가 베인 회전모터(102)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베인 링크(9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연결 링크(104)에 의해 끌어올려지면서 상승될 수 있고, 이때, 복수개의 베인(50)(60)(70)(80) 각각은 앞부분에 위치하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 도시된 연결 링크(104)가 베인 회전모터(102)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베인 링크(9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연결 링크(104)에 의해 아래로 밀리면서 하강될 수 있고, 이때, 복수개의 베인(50)(60)(70)(80) 각각은 앞부분에 위치하는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일실시예의 토출기류를 비교예의 토출기류와 비교한 도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비교예는, 복수개의 베인(50')(60')(70') 각각 전체가 하나의 판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복수개 베인(50')(60')(70') 각각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비교예의 경우, 토출바디(40)를 통과하는 공기는 공기토출구(37)의 전방 영역 중 주로 전방 상측 영역으로 쏠리면서 상측 토출기류(U)가 주로 형성된다.
반면에, 본 발명은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인(50)(60)(70)(80)의 리어 베인부(RV)에 의해 안내된 공기가 프론트 베인부(FV)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꺽이면서 다단 안내됨과 아울러 상측으로 갈수록 복수개 베인의 크기가 크게 형성된 것에 의해 공기토출구(37)로 토출되는 토출기류(W)가 상측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토출기류(W)는 공기토출구(37)의 전방 방향 및 공기토출구(37)의 전방 하측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공기토출구(37)의 전방 상측으로 토출기류(W)가 쏠리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공기토출구(37)의 전방 및 공기토출구(37)의 전방 하측 영역으로 토출기류(W)를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유닛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토출유닛 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토출바디(40)의 내측 상면에 공기를 공기토출구(37)의 전방 하측방향(FL)으로 유도하는 상단 가이드부(45)가 형성될 수 있고, 상단 가이드부(45) 이외에 본 발명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단 가이드부(45)는 공기유입구(36)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가이드부(45)는 토출바디(40)의 내측 상면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가이드부(45)는 토출바디(40)의 상판(44)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가이드부(45)는 상판(44) 중 일부가 전방 하측을 향하는 방향(FL)으로 길게 구배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가이드부(45)는 토출바디(40)의 내부에서 상승된 공기를 전방 하측 방향(FL)으로 안내할 수 있고, 토출바디(40)의 내부에서 전방 상측 방향(FU)을 향해 유동되던 기류는 상단 가이드(45)에 의해 안내된 공기에 의해 그 유동방향이 전방 방향(F) 내지 전방 하측 방향(FL)으로 전환 유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최하측 베인(80')의 수평중심축(C')은 공기토출구(37) 하단(38) 후방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최하측 베인(80')의 수평중심축(C') 위치는 공기토출구(37)의 하단(38)에서 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연장선(R) 보다 높을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최하측 베인(80')은 프론트 베인부(FV)가 수평면(H)에 대해 하향 18° 내지 22° 회전되었을 때, 최하측 베인(80')의 선단(52)이 공기토출구(37)의 하단(38)을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토출바디(4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토출바디(40)는 공기토출구(37)가 형성되고 중공 원통 형상인 아우터 바디(40A)와; 아우터 바디(40) 내부에 위치되고 상면이 막히며 하면이 개방되고 둘레부의 일부에 공기토출구(37)를 마주보는 이너 개구부(47)가 형성된 이너 가이드(40B)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40A)는 복수개 부재(O1)(O2)(O3)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40A)의 복수개 부재(O1)(O2)(O3)는 결합시, 중공 원통체 (42)를 구성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40A)에는 토출그릴부(48)가 구비될 수 있다. 토출그릴부(48)는 아우터 바디(40A)를 구성하는 복수개 부재(O1)(O2)(O3) 중 어느 하나(O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40B)는 복수개 부재(G1)(G2)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40B)의 이너 개구부(47)는 이너 가이드(40B)의 복수개 부재(G1)(G2) 중 어느 하나(G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40B)의 이너 개구부(47)는 토출그릴부(48)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40B)를 구성하는 복수개 부재(G1)(G2)는 이너 개구부(47)이 형성된 프론트 이너 가이드(G1)와, 프론트 이너 가이드(G1)과 결합되는 리어 이너 가이드(G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40B)는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며 둘레부 중 일부에 이너 개구부(47)가 형성된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는 이너 가이드(40B)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는 이너 가이드(40B)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36)는 상단 가이드부(45)를 상하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토출바디 내부공간(S)은 이너 가이드(40B)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토출바디 내부공간(S)은 프론트 이너 가이드(G1)과 리어 이너 가이드(G2)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개구부(47)는 덕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40B)의 외둘레에 수평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개구부(47)는 이너 가이드(40B)의 둘레부 일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40B)는 프론트 이너 가이드(G1)와 리어 이너 가이드(G2) 사이 상측을 막는 상판(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판(44)는 프론트 이너 가이드(G1)와 리어 이너 가이드(G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상단 가이드부(45)는 상판(44)에 형성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40B) 내부에서 이너 가이드(40B)의 상판(44)으로 안내된 공기를 전방 하측의 방향(리)으로 안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베인(50)(60)(70)(80')은 이너 가이드(40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40B)는 복수개의 베인에 형성된 회전축(51)을 지지하는 베인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인 회전기구(100)는 복수개의 베인(50)(60)(70)(80') 중 크기가 가장 큰 베인(50)에 연결된 베인모터(102)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인 모터(102) 이너 가이드(40B)에 형성된 베인모터 설치부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장치(16)의 구동시, 송풍장치(16)는 토출유닛(4)(6)의 공기유입구(36)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송풍장치(16)에서 송풍된 공기는 공기유입구(36)를 통과해 이너 가이드(40B) 내부의 토출바디 내부공간(S)으로 유입될 수 있고, 이너 가이드(40B)의 안내를 받을 수 있다. 토출바디 내부공간(S)의 공기는 복수개 베인(50)(60)(70)(80') 및 상단 가이드부(45)의 안내를 받으면서 공기토출구(37)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복수개 베인(50)(60)(70)(80')의 안내를 받는 공기는 리어 베인부(RV)와 프론트 베인부(FV)에 의해 순차적으로 안내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37)의 전방 방향(F)으로 유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40B) 내부로 송풍된 공기 중 일부는 이너 가이드(40B)의 상판(44)에 형성된 상단 가이드부(45)에 안내될 수 있고, 상단 가이드부(45) 하면을 따라 전방 하측의 방향(FL)으로 유도될 수 있다. 상단 가이드부(45)에 안내되는 공기는 공기토출구(37)의 전방 방향(F) 및 전방 하측 방향(FL)으로 유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복수개 베인(50)(60)(70)(80') 및 상단 가이드부(45)는 전방 방향(F) 내지 전방 하측 방향(FL)으로 토출되는 기류를 유도할 수 있고, 공기토출구(37)의 전방 상측 방향(FU)으로 기류가 과도할 때 쏠리는 것은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2: 본체 4,6: 토출유닛
37: 공기토출구 38: 공기토출구의 하단
40: 토출바디 50,60,70,80: 베인
52: 베인의 선단 53: 프론트 베인부의 하면
54: 리어 베인부의 하면 90: 베인 링크
RV: 리어 베인부 FV: 프론트 베인부

Claims (15)

  1. 하부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이 막히고 둘레부의 일부에 상하 방향으로 장방향인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토출바디와;
    상기 토출바디에 수평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베인과;
    상기 복수개의 베인을 회전시키는 베인 회전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 각각은 리어 베인부와, 상기 리어 베인부의 선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꺽인 프론트 베인부를 갖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측으로 갈수록 크기가 큰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측으로 갈수록 프론트 베인부의 크기가 큰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베인부는 상기 리어 베인부 보다 공기 안내방향 길이가 긴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베인부의 하면과 프론트 베인부의 하면은 둔각을 갖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바디의 내측 상면에는 공기를 상기 공기토출구의 전방 하측방향으로 유도하는 상단 가이드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가이드부는 상기 공기유입구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는 공기조화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가이드부는 상기 토출바디의 내측 상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조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선단이 곡선인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회전기구는 상기 복수개의 베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베인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기 베인 링크가 프론트 베인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베인과;
    상기 베인 링크가 연결되는 베인 링크 연결 바가 프론트 베인부에서 돌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베인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베인은 상기 제 2 베인의 상측에 위치되는 공기조화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베인 중 최하측 베인의 수평중심축은 상기 공기토출구 하단 후방 보다 높게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베인 중 최하측 베인은
    상기 프론트 베인부가 수평면에 대해 하향 18° 내지 22° 회전되었을 때, 선단이 상기 공기토출구의 하단을 마주보는 공기조화기.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바디는 상기 공기토출구가 형성되고 중공 원통 형상인 아우터 바디와;
    상기 아우터 바디 내부에 위치되고 상면이 막히며 둘레부의 일부에 상기 공기토출구를 마주보는 이너 개구부가 형성된 이너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기 이너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공기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 회전기구는 상기 복수개의 베인 중 크기가 가장 큰 베인에 연결된 공기조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중 어느 하나는 수평중심축이 상기 공기토출구 하단의 후방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50002225A 2014-09-30 2015-01-07 공기조화기 KR102342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053596.6A CN105987427B (zh) 2014-09-30 2015-02-02 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1525 2014-09-30
KR1020140131525 2014-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8678A true KR20160038678A (ko) 2016-04-07
KR102342120B1 KR102342120B1 (ko) 2021-12-22

Family

ID=55789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225A KR102342120B1 (ko) 2014-09-30 2015-01-0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2120B1 (ko)
CN (1) CN105987427B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7594A (zh) * 2016-09-30 2016-12-2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88269A (zh) * 2016-09-12 2017-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6287987A (zh) * 2016-09-30 2017-01-0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87991A (zh) * 2016-09-30 2017-01-0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338102A (zh) * 2016-09-30 2017-01-18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403033A (zh) * 2016-09-30 2017-02-15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7816789A (zh) * 2016-09-12 2018-03-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10160154A (zh) * 2019-06-25 2019-08-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带三风机上下出风柜机及空调器
CN111197800A (zh) * 2018-11-19 2020-05-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引风调节的自动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6117A1 (ja) * 2018-03-16 2019-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9084457B (zh) * 2018-07-20 2021-09-2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面板结构、空调器、方法、装置、存储介质
CN109084458B (zh) * 2018-07-20 2021-09-2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面板结构和空调器
CN109114755B (zh) * 2018-07-20 2021-09-2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面板结构、空调器、方法、装置、存储介质
CN109099570B (zh) * 2018-07-20 2021-09-21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一种空调器的面板结构和空调器
CN110131872A (zh) * 2019-06-25 2019-08-16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导风组件以及空调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042A (ja) * 1994-11-04 1996-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風向調整装置
KR19990019480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9990040820U (ko) * 1998-05-08 1999-12-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100636342B1 (ko) * 2005-02-16 2006-10-20 노영환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KR20090017289A (ko) * 2007-08-14 200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30049120A (ko) * 2011-11-03 2013-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7255B1 (ko) * 1997-06-30 1999-09-01 구자홍 패키지 에어콘의 좌우풍향장치
JP3061026B2 (ja) * 1997-12-18 2000-07-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964365B1 (ko) * 2003-08-14 2010-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883995Y (zh) * 2005-09-19 2007-03-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一种管道式空调机
CN101334194A (zh) * 2007-06-25 2008-12-3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柜式空调器的室内机
CN202675470U (zh) * 2012-06-27 2013-01-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立柜式空调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042A (ja) * 1994-11-04 1996-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風向調整装置
KR19990019480A (ko) * 1997-08-29 1999-03-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9990040820U (ko) * 1998-05-08 1999-12-06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100636342B1 (ko) * 2005-02-16 2006-10-20 노영환 기류형성 루버가 구비된 배기장치
KR20090017289A (ko) * 2007-08-14 2009-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46834B1 (ko) 2007-08-14 201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30049120A (ko) * 2011-11-03 2013-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블레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8269A (zh) * 2016-09-12 2017-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7816789A (zh) * 2016-09-12 2018-03-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6247594A (zh) * 2016-09-30 2016-12-2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87987A (zh) * 2016-09-30 2017-01-0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87991A (zh) * 2016-09-30 2017-01-0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338102A (zh) * 2016-09-30 2017-01-18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403033A (zh) * 2016-09-30 2017-02-15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空调器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11197800A (zh) * 2018-11-19 2020-05-2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引风调节的自动控制方法
CN110160154A (zh) * 2019-06-25 2019-08-23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带三风机上下出风柜机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87427B (zh) 2019-08-09
CN105987427A (zh) 2016-10-05
KR102342120B1 (ko)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38678A (ko) 공기조화기
KR102320677B1 (ko) 공기조화기
KR102342119B1 (ko) 공기조화기
KR102095989B1 (ko) 스윙 루버를 구비한 스탠드형 에어컨
US10465697B2 (en) Centrifugal fan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777233B1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101500506B1 (ko) 공기조화기
KR102064218B1 (ko) 공기조화기
CN111602007B (zh) 空调
KR20160044998A (ko) 원심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60034058A (ko) 공기조화기
KR20120016901A (ko) 환기유로를 구비한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102127843B1 (ko) 풍향조절장치
CN1979044A (zh) 空调机
KR20050021594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WO2015145740A1 (ja) 空気調和機
JP7065264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6064162B2 (ja) 空気清浄装置
KR201900516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4049183B2 (ja) 空気調和機の取っ手構造
KR20180044650A (ko) 공기조화기
KR1023929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35474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CN112833476B (zh) 空气调节机
WO2009125558A1 (ja) 集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