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506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0506B1 KR101500506B1 KR20140195851A KR20140195851A KR101500506B1 KR 101500506 B1 KR101500506 B1 KR 101500506B1 KR 20140195851 A KR20140195851 A KR 20140195851A KR 20140195851 A KR20140195851 A KR 20140195851A KR 101500506 B1 KR101500506 B1 KR 1015005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
- unit
- air
- discharge unit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종동기어를 갖는 제1토출유닛과; 제1종동기어에 치합된 제1구동기어와; 제1구동기어가 연결된 제1모터와; 제2종동기어를 갖는 제2토출유닛과; 제2종동기어에 치합된 제2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가 연결된 제2모터와;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로어 바디와; 제1모터가 수용되는 제1모터 수용부가 형성되고 제2모터가 수용되는 제2모터 수용부가 형성되며 로어 바디에 결합된 로어 커버를 포함하여,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유닛을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온도와 습도와 청정도 등을 변화시킨 후 외부로 토출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 실내의 온도를 변화시키는 냉방기 또는 난방기와, 실내의 습도를 변화시키는 가습기 또는 제습기와, 실내의 청정도를 변화시키는 공기청정기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와 청정도 등을 변화시키는 공조유닛과, 공기를 공조유닛으로 유동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유닛은 열교환기나 필터 등이 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에는 헤더나 디퓨져 등의 토출바디가 설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내부에서 온도와 습도와 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된 공기는 토출바디를 통과하여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상부에 승강 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 토출유닛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공기를 효율적으로 분산 토출할 수 있고 복수개 토출유닛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가 간단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1종동기어를 갖는 제1토출유닛과; 상기 제1종동기어에 치합된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가 연결된 제1모터와; 제2종동기어를 갖는 제2토출유닛과; 상기 제2종동기어에 치합된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가 연결된 제2모터와;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로어 바디와; 상기 제1모터가 수용되는 제1모터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모터가 수용되는 제2모터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어 바디에 결합된 로어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형성된 리어 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리어 바디는 상기 제1토출유닛의 외둘레 일부를 둘러싸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2토출유닛의 외둘레 일부를 둘러싸는 제2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로어 바디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유닛은 상기 제1종동기어가 형성된 제1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토출유닛은 상기 제2종동기어가 형성된 제2기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의 사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넓어지는 프론트 공간과,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넓어지는 리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터수용부와 제2 모터수용부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의 사이에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 수용부 및 제2모터 수용부 각각은 상기 로어 커버에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로어 바디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로어 바디 결합부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유닛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와, 상기 제2토출유닛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를 갖는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제1토출부가 내삽되는 제1링부과, 상기 제2토출부가 내삽되는 제2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제1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토출부에 체결되는 제1토출부 체결부와, 상기 제2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토출부에 체결되는 제2토출부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로어 바디가 2개의 토출유닛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함과 아울러 하나의 로어 커버에 2개의 모터를 수용하여, 부품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이점이 있다.
또한, 2개의 토출유닛이 리어 바디에 의해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구동기어와 제2구동기어가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컴팩트화가 가능하고,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가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 사이에서 보호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1모터 및 제2모터가 리어 바디와 간섭되지 않은 위치에서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을 회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유닛과 송풍기가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유닛 회전기구가 도시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유닛과 토출유닛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유닛과 송풍기가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유닛 회전기구가 도시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유닛과 토출유닛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유닛과 송풍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B-B선 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을 포함한다.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은 공기조화기에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로어 바디(4)를 포함한다.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은 로어 바디(4)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게 올려질 수 있다.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은 로어 바디(4)에 회전 가능하게 올려질 수 있다. 로어 바디(4)는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과 함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 어셈블리(E)가 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로어 바디(4)에 결합된 로어 커버(5)를 포함한다. 로어 커버(5)는 로어 바디(4)의 하측에 위치되게 로어 바디(4)에 결합될 수 있다. 로어 커버(5)는 로어 바디(4)와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과 함께 토출 어셈블리(E)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로어 바디(4) 상측에서 형성된 리어 바디(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6)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 사이의 틈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 사이의 틈을 가릴 수 있다. 리어 바디(6)는 로어 커버(5)와 로어 바디(4)와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과 함께 토출 어셈블리(E)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의 상측에 위치되는 탑 커버(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7)는 제1토출유닛(2)의 상면 및 제2토출유닛(3)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탑 커버(7)는 리어 바디(6)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탑 커버(7)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 사이의 틈을 덮을 수 있다.
탑 커버(7)는 리어 바디(6)와 로어 커버(5)와 로어 바디(4)와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과 함께 토출 어셈블리(E)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 사이에 틈이 존재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 사이의 틈을 가리는 디스플레이(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1)과 제2토출유닛(2)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2)는 제1토출유닛(1)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122)와, 제2토출유닛(2)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124)를 갖을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리어 바디(6)의 후방에 배치되어 리어 바디(6)의 배면을 덮는 리어 커버(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 어셈블리(E)는 송풍기(12)와 열교환기(118)를 갖는 냉방기나 난방기나 제습기에 설치될 수 있고, 열교환기(118)와 열교환된 공기는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을 통해 외부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온도나 습도를 변화시키는 냉방기나 난방기나 제습기일 수 있다.
토출 어셈블리(E)는 송풍기(12)와 정화유닛(117)을 갖는 공기청정기에 설치될 수 있고, 정화유닛(117)에 의해 공조된 공기는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을 통해 외부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청정시키는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여기서, 정화유닛(117)은 공기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와, 전기를 이용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대전시켜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와,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흡착되고 수분을 흡수하는 가습필터와, 공기 중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 등일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118)와 정화유닛(117) 중 적어도 하나와 송풍기(12)가 설치된 본체유닛와, 토출 어셈블리(E)와, 본체유닛과 토출 어셈블리(E)를 연결하는 연결덕트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토출 어셈블리(E)는 본체유닛과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고, 본체유닛에서 연결덕트로 공급된 공기는 연결덕트에서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으로 유동되어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에서 외부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은 송풍기(12)에서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하는 것으로서, 로어 바디(4)에 의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송풍기(12)에서 송풍된 공기를 받아 외부로 분산 토출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은 동일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를 공기토출구로 안내하는 내부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은 상부와 하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의 일부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은 상부와 하부와 둘레부 중 어느 하나에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가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의 하부에 형성될 경우, 송풍기(12)에서 송풍된 공기는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의 하부를 통해 내부유로로 유입될 수 있고,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의 둘레부 일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흡입구가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의 상부에 형성될 경우, 송풍기(12)에서 송풍된 공기는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의 상부를 통해 내부유로로 유입될 수 있고,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의 둘레부 일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흡입구가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의 둘레부에 형성될 경우, 흡입구는 둘레부 중 공기토출구와 이격된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송풍기(12)에서 송풍된 공기는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의 둘레부에 형성된 흡입구를 통해 내부유로로 유입될 수 있고,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의 둘레부에 형성된 공기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중 어느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선(F)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토출유닛이 될 수 있고,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중 다른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선(F)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토출유닛이 될 수 있다.
좌측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좌측 방향부터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까지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방향부터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까지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토출유닛과 우측토출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 좌측 전방의 제1경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전방의 제2경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토출유닛과 우측 토출유닛은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전방에는 2개의 전방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 각각은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둘레부의 일부에 공기토출구가 형성된 예를 설명한다.
제1토출유닛(2)은 송풍기(12)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흡입구(21)와, 제1흡입구(21)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1내부유로(22)와, 제1내부유로(22)에 안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1공기토출구(2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흡입구(21)와, 제1내부유로(22)와, 제1공기토출구(23)는 제1토출유닛(2)의 제1토출유로(24)를 구성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에는 제1토출유로(24)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풍향조절베인(25)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풍향조절베인(25)은 제1토출유닛(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풍향조절베인(25)은 제1내부유로(22)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선단이 제1공기토출구(23)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1흡입구(21)는 제1토출유닛(2)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내부유로(22)는 제1토출유닛(2)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토출구(23)는 제1토출유닛(2)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는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제1공기토출구(23)는 제1토출유닛(2)의 상판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토출구(23)는 제1토출유닛(2)의 둘레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토출구(23)는 제1토출유닛(2)의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흡입구(21)의 개방 방향과 제1공기토출구(23)의 개방 방향이 직교할 수 있다. 공기는 제1흡입구(21)를 통해 제1토출유닛(2) 내부로 흡입된 후 내부에서 유동 방향이 변환되고, 제1공기토출구(23)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는 제1토출유로(24)가 형성된 제1토출바디(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는 제1토출바디(26)의 상부에 설치된 제1탑 바디(27)와, 제1토출바디(26)의 하부에 결합된 제1로어 링(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6)는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제1흡입구(21)와, 제1내부유로(22)와, 제1공기토출구(23)는 제1토출바디(26)에 형성될 수 있고, 제1공기토출구(23)는 제1토출바디(26)의 둘레부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1풍향조절베인(25)은 제1토출바디(2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6)에는 제1풍향조절베인(2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1풍향조절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풍향조절모터는 제1풍향조절베인(25)과 직접 연결되거나 링크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제1풍향조절베인(25)과 연결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6)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제1토출바디(26)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아우터 바디(26A)와, 제1아우터 바디(26A)의 내부에 설치된 제1이너 가이드(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바디(26)는 제1토출유닛(2)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하는 제1회전돌기(26C)가 돌출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바디(26A)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바디(26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제1이너 가이드(26B)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아우터 바디(26A)는 단면형상이 호 형상인 아우터 바디의 복수개가 중공 원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아우터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제1공기토출구(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공기토출구(23)에 제1토출그릴이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너 가이드(26B)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막힌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고, 그 하부에 제1흡입구(21)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제1내부유로(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풍향조절베인(25)은 제1이너 가이드(26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탑 바디(27)는 제1풍향조절모터에 연결된 제1전선(미도시)을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일 수 있고, 제1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공(2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탑 바디(27)는 제1토출바디(26)의 상부에 끼움되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제1탑 바디(27)는 제1회전돌기(26C)를 둘러싸는 제1보스부(27B)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보스부(27B)는 제1회전돌기(26C)와 함께 제1토출유닛(2)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보스부(27B)는 탑 커버(7)의 제1지지부(72)와 제1회전돌기(26C)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1지지부(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1토출유닛(2)은 제1회전돌기(26C) 및 제1보스부(27B)에 의해 탑 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로어 링(28)은 제1토출 바디(26)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1토출바디(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1로어 링(28)은 제1토출바디(26)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제1로어 링(28)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로어 링(28)은 로어 바디(4)에 안착될 수 있고, 로어 바디(4)와 마찰될 수 있다. 제1로어 링(28)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1토출바디(26)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제1토출바디(26)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종동기어(29A)를 갖을 수 있다. 제1토출유닛(2)은 제1종동기어(29A)가 형성된 제1기어부재(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기어부재(29)에는 제1토출바디(26)와 제1로어 링(28)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부재(29)는 하부의 외둘레에 제1종동기어(29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종동기어(29A)는 로어 바디(4)의 하측에 위치되게 제1기어부재(29)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유닛(3)에는 송풍기(2)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흡입구(31)와, 제2흡입구(31)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2내부유로(32)와, 제2내부유로(32)에 안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2공기토출구(3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흡입구(31)와, 제2내부유로(32)와, 제2공기토출구(33)는 제2토출유닛(3)의 제2토출유로(34)를 구성할 수 있다.
제2토출유닛(3)에는 제2토출유로(34)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풍향조절베인(3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풍향조절베인(35)은 제2토출유닛(3)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풍향조절베인(35)은 제2내부유로(32)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선단이 제2공기토출구(33)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2흡입구(31)는 제2토출유닛(3)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내부유로(32)는 제2토출유닛(3)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기토출구(33)는 제2토출유닛(3)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유닛(3)은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제2공기토출구(33)는 제2토출유닛(3)의 상판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기토출구(33)는 제2토출유닛(3)의 둘레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기토출구(33)는 제2토출유닛(3)의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흡입구(31)의 개방 방향과 제2공기토출구(33)의 개방 방향이 직교할 수 있다. 공기는 제2흡입구(31)를 통해 제2토출유닛(3) 내부로 흡입된 후 내부에서 유동 방향이 변환되고, 제2공기토출구(33)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2토출유닛(3)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토출유닛(3)은 제2토출유로(34)가 형성된 제2토출바디(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토출유닛(3)은 제2토출바디(36)의 상부에 설치된 제2탑 바디(37)와, 제2토출바디(36)의 하부에 결합된 제2로어 링(3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토출바디(36)는 제1토출바디(26)와 같이,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제2흡입구(31)와, 제2내부유로(32)와, 제2공기토출구(33)는 제2토출바디(36)에 형성될 수 있고, 제2공기토출구(33)는 제2토출바디(36)의 둘레부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풍향조절베인(35)은 제2토출바디(3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36)에는 제2풍향조절베인(3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제2풍향조절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2풍향조절모터는 제2풍향조절베인(35)과 직접 연결되거나 링크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제2풍향조절베인(3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토출바디(36)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제2토출바디(36)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아우터 바디(36A)와, 제1아우터 바디(36A)의 내부에 설치된 제2이너 가이드(3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토출바디(36)는 제2토출유닛(3)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하는 제2회전돌기(36C)가 돌출될 수 있다.
제2아우터 바디(36A)는 전체적으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우터 바디(36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제2이너 가이드(36B)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아우터 바디(36A)는 단면형상이 호 형상인 아우터 바디의 복수개가 중공 원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아우터 바디 중 어느 하나에 제2공기토출구(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공기토출구(33)에 제2토출그릴이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이너 가이드(36B)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막힌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고, 그 하부에 제2흡입구(31)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제2토출유로(3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풍향조절베인(35)은 제2이너 가이드(36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탑 바디(37)는 제2풍향조절모터에 연결된 제2전선(미도시)을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일 수 있고, 제2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공(3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탑 바디(37)는 제2토출바디(36)의 상부에 끼움되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제2탑 바디(37)는 제2회전돌기(36C)를 둘러싸는 제2보스부(37B)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보스부(37B)는 제2회전돌기(36C)와 함께 제2토출유닛(3)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할 수 있다. 제2보스부(37B)는 탑 커버(7)의 제2지지부(74)와 제2회전돌기(36C)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제2지지부(7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제2토출유닛(3)은 제2회전돌기(36C) 및 제2보스부(37B)에 의해 탑 커버(7)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로어 링(38)은 제2토출 바디(36)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2토출바디(3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로어 링(38)은 제2토출바디(36)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제2로어 링(38)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로어 링(38)은 로어 바디(4)에 안착될 수 있고, 로어 바디(4)와 마찰될 수 있다. 제2로어 링(38)은 금속재로 구성될 수 있고, 제2토출바디(36)의 강도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제2토출바디(36)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제2토출유닛(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종동기어(39A)를 갖을 수 있다. 제2토출유닛(3)은 제1종동기어(39A)가 형성된 제2기어부재(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기어부재(39)에는 제2토출바디(36)와 제2로어 링(38)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기어부재(39)는 하부의 외둘레에 제2종동기어(39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종동기어(39A)는 로어 바디(4)의 하측에 위치되게 제2기어부재(39)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4)는 제1기어부재(29)가 관통되는 제1기어부재 관통공과, 제2기어부재(39)가 관통되는 제2기어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기어부재(29)는 상부가 제1토출바디(26)와 제1로어 링(28)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고, 제1기어부재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으며, 하부가 제1기어부재 관통공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기어부재(29)는 제1기어부재 관통공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둘레 일부에 제1종동기어(29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기어부재(39)는 상부가 제2토출바디(36)과 제2로어 링(38) 중 적어도 하나와 결합될 수 있고, 제2기어부재 관통공을 관통할 수 있으며, 하부가 제2기어부재 관통공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기어부재(39)는 제2기어부재 관통공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의 외둘레 일부에 제2종동기어(39A)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바디(4)에는 제1토출유닛(2)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제1고정링(44)과, 제2토출유닛(3)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제2고정링(45)이 장착될 수 있다.
로어 커버(5)는 로어 바디(4)의 하측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로어 커버(5)는 송풍기(12)의 제1토출부(122)가 내삽되는 제1토출부 내삽공과, 송풍기(12)의 제2토출부(124)가 내삽되는 제2토출부 내삽공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6)는 로어 바디(4)의 후방부에 로어 바디(4)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리어 바디(6)는 로어 바디(4)와 별도로 성형된 후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체결부로 로어 바디(4)의 후방부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탑 커버(7)는 제1토출유닛(2)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지지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부(72)는 제1토출유닛(2)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홀일 수 있다. 제2지지부(74)는 제2토출유닛(3)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홀일 수 있다. 탑 커버(70)는 리어 바디(6)의 상부에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나 후크 등의 걸이부로 체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는 로어 바디(4)의 상측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는 로어 바디(4)와 탑 커버(7)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로어 바디(4)의 상측을 좌,우 구획할 수 있다.
케이싱(11)은 베이스(1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1)는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111)는 로어 프레임(112)과, 로어 프레임(112)에 형성된 후판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판부(113)는 로어 프레임(112)의 후방부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1)은 프론트 커버(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5)는 송풍기(12)의 전방을 덮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5)는 하단이 베이스(111)의 로어 프레임(112)에 올려질 수 있다. 프론트 커버(115)는 로어 프레임(112)의 일부를 차폐하게 로어 프레임(112)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1)은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바디(116)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바디(116)는 베이스(11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바디(116)는 베이스(111)의 후판부(113)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바디(116)는 베이스(111)의 후판부(113)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바디(116)에는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공기흡입구(116A)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117)을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117)은 흡입바디(116)에 설치될 수 있고, 공기조화기로 흡입된 공기는 정화유닛(117)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정화유닛(117)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와,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와,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케이싱(4)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18)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18)는 공기유동방향으로 흡입바디(116)와 송풍기(1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12)는 케이싱(11)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2)는 열교환기(118)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2)는 열교환기(118)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2)는 후방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측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12)에는 로어 커버(5)가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12)는 제1토출유닛(2)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122)와, 제2토출유닛(3)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124)를 갖을 수 있다. 송풍기(12)는 하나의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제1토출부(122)와 제2토출부(124)로 분산 토출할 수 있다. 송풍기(12)는 복수개의 흡입부(121)(123)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흡입부(121)(123) 중 제1흡입부(121)로 공기를 흡입한 후 제1토출부(122)로 송풍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흡입부(121)(123) 중 제2흡입부(123)로 공기를 흡입한 후 제2토출부(124)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12)는 복수개의 흡입부(121)(123)를 포함할 경우, 공기가 제1흡입부(121)로 흡입된 후 제2토출부(122)로 토출되는 제1송풍유로와, 공기가 제2흡입부(123)로 흡입된 후 제2토출부(124)로 토출되는 제2송풍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2)는 복수개의 흡입부(121)(123)를 포함할 경우, 제1송풍유로에서 회전되는 제1블로워(125)와, 제1블로워(125)를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126)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송풍유로에서 회전되는 제2블로워(127)와, 제2블로워(127)를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2)는 제1팬모터(126)가 장착되고 제1블로워(125)를 둘러싸는 제1팬하우징(131)과, 제1팬하우징(131)과 결합되고 제1블로워(125)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흡입부(121)가 형성된 제1오리피스(13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2)는 제2팬모터(128)가 장착되고 제2블로워(127)를 둘러싸는 제2팬하우징(133)과, 제2팬하우징(133)과 결합되고 제2블로워(127)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흡입부(123)가 형성된 제2오리피스(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부(122)는 제1팬하우징(131)과 제2팬하우징(1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팬하우징(131)은 배면이 개방된 제1프런트 덕트부(135)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팬하우징(133)의 일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팬하우징(131)은 제1프런트 덕트부(135)의 후방에 위치되고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1리어 덕트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런트 덕트부(134)와 제1리어 덕트부(136)는 제1블로워(125)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1토출유닛(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프런트 덕트부(134)가 제1리어 덕트부(136) 전방에 위치되게 제1팬하우징(131)과 제2팬하우징(133)이 결합되면, 제1프런트 덕트부(134)와 제1리어 덕트부(136)는 중공 원통 형상의 덕트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토출부(124)는 제1토출부(122)의 옆에 위치될 수 있고, 제1토출부(122)와 평행할 수 있다. 제2토출부(124)는 제2팬하우징(133)과 제2오리피스(13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팬하우징(131)은 배면이 개방된 제2프런트 덕트부(137)가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오리피스(134)의 일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오리피스(134)는 제2프런트 덕트부(137)의 후방 위치에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2리어 덕트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런트 덕트부(137)와 제2리어 덕트부(138)는 제2블로워(127)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2토출유닛(3)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2프런트 덕트부(137)가 제2리어 덕트부(138) 전방에 위치되게 제2팬하우징(133)과 제2오리피스(134)가 결합되면, 제2프런트 덕트부(137)와 제2리어 덕트부(138)는 중공 원통 형상의 덕트부를 구성할 수 있다.
리어 커버(15)는 흡입 바디(116)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리어 바디(6)의 후방에 위치되어 리어 바디(6)의 배면을 덮을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C-C선 단면도이다.
리어 바디(6)는 일부가 제1토출유닛(2)의 후방 및 제2토출유닛(3)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리어 바디(6)는 로어 바디(4)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1토출유닛(2)의 일부 및 제2토출유닛(3)의 일부를 함께 수용할 수 있다. 리어 바디(6)는 제1토출유닛(2) 및 제2토출유닛(3) 각각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리어 바디(6)는 제1토출유닛(2)을 마주보는 면(61)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제1토출유닛(2)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62)와, 제2토출유닛(3)을 마주보는 면(63)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제2토출유닛(3)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용부(62)는 제1토출유닛(2)을 마주보는 면(61)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제1토출유닛(2)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1수용부(62)는 제1토출유닛(4)의 외둘레 일부를 둘러싸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는 제1토출유닛(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부(62)는 단면 형상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토출유닛(2)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1토출유닛(2)의 일부는 제1수용부(62)의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있고, 제1토출유닛(2)의 둘레부 일부는 제1수용부(6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수용부(62)는 제1토출유닛(2)의 둘레부 중 제1수용부(62)를 마주보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제2수용부(64)는 제2토출유닛(3)을 마주보는 면(63)이 오목하게 함몰되어 제2토출유닛(3)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2수용부(64)는 제1수용부(62)와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부(64)는 제2토출유닛(3)의 외둘레 일부를 둘러싸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크기는 제2토출유닛(3)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부(64)는 단면 형상이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토출유닛(3)의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제2토출유닛(3)의 일부는 제2수용부(64)의 오목하게 함몰된 부분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고, 제2토출유닛(3)의 둘레부 일부는 제2수용부(64)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수용부(64)는 제2토출유닛(3)의 둘레부 중 제2수용부(64)를 마주보는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리어 바디(6)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 사이의 틈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부(66)를 갖을 수 있다. 리어 바디(6)에는 디스플레이(8)가 결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8)는 돌출부(66)에 결합되어, 돌출부(66)와 함게 로어 바디(4)의 상측을 좌,우 구획할 수 있다. 돌출부(66)는 제1수용부(62) 중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62A)과, 제2수용부(64) 중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62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어 커버(15)는 제1수용부(62)의 좌측단을 덮을 수 있고, 제2수용부(64)의 우측단을 덮을 수 있으며, 제1수용부(62)의 후방 및 제2수용부(64)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유닛 회전기구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토출 유닛과 토출유닛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로어 바디(4)는 제1토출유닛(2)을 지지하는 제1토출유닛 지지부(41)와, 제2토출유닛(3)을 지지하는 제2토출유닛 지지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4)는 제1토출유닛 지지부(41)와 제2토출유닛 지지부(42)를 잇는 로어 플레이트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제1고정링(44)과, 제2고정링(45)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제1토출유닛(2)은 제1토출유닛 지지부(41)에 안착될 수 있고, 제2토출유닛(3)은 제1토출유닛 지지부(42)에 안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제1고정링(44)을 포함할 경우, 제1고정링(44)은 제1토출유닛 지지부(41)에 고정될 수 있고, 제1토출유닛(2)은 제1고정링(44)에 안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가 제2고정링(45)를 포함할 경우, 제2고정링(45)는 제2토출유닛 지지부(42)에 고정될 수 있고, 제2토출유닛(3)은 제2고정링(45)에 안착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을 회전시키는 토출유닛 회전기구를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2)과 제2토출유닛(3)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2)를 회전시키는 제1토출유닛 회전기구(9)와, 제2토출유닛(3)을 회전시키는 제2토출유닛 회전기구(10)를 더 포함한다.
제1토출유닛 회전기구(9) 및 제2토출유닛 회전기구(10)는 제1토출유닛(2), 제2토출유닛(3), 로어 바디(4) 및 로어 커버(5)와 함께 토출 어셈블리(E)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종동기어(29A)에 치합된 제1구동기어(92)와, 제1구동기어(92)가 연결된 제1모터(94)를 포함한다. 제1구동기어(92)와 제1모터(94)는 제1토출유닛 회전기구(9)를 구성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2종동기어(39A)에 치합된 제2구동기어(102)와; 제2구동기어(102)가 연결된 제2모터(104)를 포함한다. 제2구동기어(102)와 제2모터(104)는 제2토출유닛 회전기구(10)를 구성할 수 있다.
제1기어부재(29)와 제2기어부재(3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구동기어(92) 및 제2구동기어(102) 각각은 로어 바디(4)의 로어 플레이트부(43)와, 로어 커버(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구동기어(92) 및 제2구동기어(102)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제1기어부재(29)와 제2기어부재(39)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기어부재(29)와 제2기어부재(39)의 사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넓어지는 프론트 공간(S1)과,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넓어지는 리어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기어(92) 및 제2구동기어(102)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리어 공간(S2)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커버(5)는 제1토출부(122)가 내삽되는 제1링부(51)와, 제2토출부(124)가 내삽되는 제2링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5)는 제1링부(51)와 제2링부(52)를 잇는 로어 플레이트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5)는 제1링부(51)에 형성되어 제1토출부(122)에 체결되는 제1토출부 체결부(54)와, 제2링부(114)에 형성되어 제2토출부(124)에 체결되는 제2토출부 체결부(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5)에는 제1모터(92)가 수용되는 제1모터 수용부(56)가 형성되고 제2모터(102)가 수용되는 제2모터 수용부(5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모터 수용부(56)과 제2모터 수용부(57)는 로어 플레이트부(53)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모터수용부(56)와 제2 모터수용부(57)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제1기어부재(29)와 제2기어부재(39)의 사이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모터수용부(56)와 제2 모터수용부(57)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리어 공간(S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1모터 수용부(56) 및 제2모터 수용부(57) 각각은 로어 커버(5)에 하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모터 수용부(56) 및 제2모터 수용부(57) 각각은 상면이 개방되고, 둘레면 및 하면이 막힌 형상일 있다. 제1모터(92)는 제1모터 수용부(56)의 상측에서 제1모터 수용부(56)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제2모터(102)는 제2모터 수용부(57)의 상측에서 제2모터 수용부(57)로 삽입되어 수용될 수 있다.
로어 커버(5)에는 로어 바디(4)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로어 바디 결합부(58)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제1모터(94)는 구동될 수 있고, 제2모터(104)는 구동될 수 있다. 제1모터(94)와 제2모터(104)는 로어 바디(4)를 기준으로 리어 바디(6)의 반대편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구동기어(92)와 제2구동기어(10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모터(94)의 구동시, 제1구동기어(92)는 적어도 일부가 제1기어부재(29)와 제2기어부재(39)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기어부재(29)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모터(104)의 구동시, 제2구동기어(102)는 적어도 일부가 제1기어부재(29)와 제2기어부재(39)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2기어부재(39)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기어부재(29)의 회전시, 제1토출유닛(2)은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2기어부재(39)의 회전시, 제2토출유닛(3)은 회전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2)은 리어 바디(6)의 제1수용부(62)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공기토출구(23)가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토출유닛(3)은 리어 바디(6)의 제2수용부(64)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공기토출구(33)가 향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2: 제1토출유닛 3: 제2토출유닛
4: 로어 바디 5: 로어 커버
6: 리어 바디 12: 송풍기
29A: 제1종동기어 29: 제1기어부재
39A: 제2종동기어 39: 제2기어부재
51: 제1링부 52: 제2링부
54: 제1토출부 체결부 55: 제2토출부 체결부
56: 제1모터 수용부 57: 제2모터 수용부
62: 제1수용부 64: 제2수용부
92: 제1구동기어 94: 제1모터
102: 제2구동기어 104: 제2모터
122: 제1토출부 124: 제2토출부
4: 로어 바디 5: 로어 커버
6: 리어 바디 12: 송풍기
29A: 제1종동기어 29: 제1기어부재
39A: 제2종동기어 39: 제2기어부재
51: 제1링부 52: 제2링부
54: 제1토출부 체결부 55: 제2토출부 체결부
56: 제1모터 수용부 57: 제2모터 수용부
62: 제1수용부 64: 제2수용부
92: 제1구동기어 94: 제1모터
102: 제2구동기어 104: 제2모터
122: 제1토출부 124: 제2토출부
Claims (13)
- 제1종동기어를 갖는 제1토출유닛과;
상기 제1종동기어에 치합된 제1구동기어와;
상기 제1구동기어가 연결된 제1모터와;
제2종동기어를 갖는 제2토출유닛과;
상기 제2종동기어에 치합된 제2구동기어와;
상기 제2구동기어가 연결된 제2모터와;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로어 바디와;
상기 제1모터가 수용되는 제1모터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모터가 수용되는 제2모터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로어 바디에 결합된 로어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형성된 리어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 바디는 상기 제1토출유닛의 외둘레 일부를 둘러싸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2토출유닛의 외둘레 일부를 둘러싸는 제2수용부가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로어 바디의 하측에 배치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유닛은 상기 제1종동기어가 형성된 제1기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토출유닛은 상기 제2종동기어가 형성된 제2기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는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공기조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의 사이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넓어지는 프론트 공간과, 후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 폭이 넓어지는 리어 공간이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기어 및 제2구동기어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리어 공간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수용부와 제2 모터수용부 각각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기어부재와 제2기어부재의 사이에 하측에 위치하는 공기조화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 수용부 및 제2모터 수용부 각각은 상기 로어 커버에 하부로 돌출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로어 바디와 체결부재로 결합되는 로어 바디 결합부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유닛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와, 상기 제2토출유닛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제2토출부를 갖는 송풍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제1토출부가 내삽되는 제1링부와,
상기 제2토출부가 내삽되는 제2링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 커버는 상기 제1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토출부에 체결되는 제1토출부 체결부와,
상기 제2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토출부에 체결되는 제2토출부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95851A KR101500506B1 (ko) | 2014-12-31 | 2014-12-31 | 공기조화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95851A KR101500506B1 (ko) | 2014-12-31 | 2014-12-31 | 공기조화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0506B1 true KR101500506B1 (ko) | 2015-03-09 |
Family
ID=53026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95851A KR101500506B1 (ko) | 2014-12-31 | 2014-12-31 | 공기조화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0506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40627A1 (en) * | 2014-12-31 | 2016-07-06 | LG Electronics Inc. | Air conditioner |
KR101840204B1 (ko) * | 2017-01-16 | 2018-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80031526A (ko) * | 2016-09-20 | 2018-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90011104A (ko) * | 2017-07-24 | 2019-0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90026520A (ko) * | 2017-09-05 | 2019-03-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19066189A1 (ko) * | 2017-09-28 | 2019-04-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EP3450869A4 (en) * | 2016-04-25 | 2019-05-08 |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 AIR DEFLECTOR ASSEMBLY, AIR GUIDE MECHANISM, AIR OUTLET DEVICE AND AIR CONDITIONER |
WO2019190112A1 (ko) * | 2018-03-30 | 2019-10-03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
KR102057505B1 (ko) * | 2017-12-20 | 2019-1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1171A (ja) * | 2005-10-05 | 2007-04-19 | Lg Electronics Inc | 風向調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器 |
KR100902927B1 (ko) * | 2007-10-29 | 2009-06-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280372B1 (ko) * | 2006-08-08 | 2013-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101346834B1 (ko) * | 2007-08-14 | 2014-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
2014
- 2014-12-31 KR KR20140195851A patent/KR1015005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01171A (ja) * | 2005-10-05 | 2007-04-19 | Lg Electronics Inc | 風向調節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器 |
KR101280372B1 (ko) * | 2006-08-08 | 2013-07-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101346834B1 (ko) * | 2007-08-14 | 2014-01-0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KR100902927B1 (ko) * | 2007-10-29 | 2009-06-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040627A1 (en) * | 2014-12-31 | 2016-07-06 | LG Electronics Inc. | Air conditioner |
US10294946B2 (en) | 2014-12-31 | 2019-05-21 | Lg Electronics Inc. | Air conditioner |
EP3450869A4 (en) * | 2016-04-25 | 2019-05-08 |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 AIR DEFLECTOR ASSEMBLY, AIR GUIDE MECHANISM, AIR OUTLET DEVICE AND AIR CONDITIONER |
KR20180031526A (ko) * | 2016-09-20 | 2018-03-2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2591705B1 (ko) * | 2016-09-20 | 2023-10-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1840204B1 (ko) * | 2017-01-16 | 2018-03-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20190011104A (ko) * | 2017-07-24 | 2019-0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2399913B1 (ko) * | 2017-07-24 | 2022-05-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2399914B1 (ko) * | 2017-09-05 | 2022-05-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190026520A (ko) * | 2017-09-05 | 2019-03-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WO2019066189A1 (ko) * | 2017-09-28 | 2019-04-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기조화기 |
KR102057505B1 (ko) * | 2017-12-20 | 2019-12-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WO2019190112A1 (ko) * | 2018-03-30 | 2019-10-03 | 코웨이 주식회사 | 수직 회전과 수평 회전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
US11885528B2 (en) | 2018-03-30 | 2024-01-30 | Coway Co., Ltd. | Air purifier with vertical rotation and horizontal rot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0506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516365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500501B1 (ko) | 공기조화기 | |
EP2602563B1 (en) | Air conditioner | |
JP6655186B2 (ja) | 空気清浄機 | |
KR20160038678A (ko) | 공기조화기 | |
KR20170063653A (ko) | 스윙 루버를 구비한 스탠드형 에어컨 | |
EP3040637B1 (en) | Air discharging unit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 |
KR20160034058A (ko) | 공기조화기 | |
KR101912634B1 (ko) | 공기조화기 | |
JP2004101072A (ja) | 空気調和機 | |
KR20130129062A (ko) | 공기조화기 | |
CN113074417B (zh) | 空气调节器 | |
KR101611327B1 (ko) |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 |
KR101529223B1 (ko) |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
KR102584604B1 (ko) | 원심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 |
KR101529224B1 (ko) |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
KR20180044650A (ko) | 공기조화기 | |
KR101781039B1 (ko) | 공기조화기 | |
KR102278182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880481B1 (ko) | 공기 토출 유닛 | |
KR101193999B1 (ko) | 환기장치 | |
KR101850323B1 (ko) | 공기조화기 | |
WO2020032110A1 (ja) | 空気調和機 | |
KR20070074404A (ko)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