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224B1 -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224B1
KR101529224B1 KR1020140195853A KR20140195853A KR101529224B1 KR 101529224 B1 KR101529224 B1 KR 101529224B1 KR 1020140195853 A KR1020140195853 A KR 1020140195853A KR 20140195853 A KR20140195853 A KR 20140195853A KR 101529224 B1 KR101529224 B1 KR 10152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ousing
discharge
blower
orifice
dischar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용
배준석
박홍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5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9224B1/ko
Priority to CN201510162238.9A priority patent/CN10615108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어 오리피스의 상측에 어퍼 팬하우징이 위치하는 메인 하우징와; 메인 하우징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팬하우징과; 어퍼 팬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어퍼 오리피스와: 프론트 팬하우징에 설치된 로어 모터와: 로어 모터에 연결되고 로어 오리피스와 프론트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어 블로워와; 어퍼 팬하우징에 설치된 어퍼 모터와; 어퍼 모터에 연결되고 어퍼 오리피스와 어퍼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어퍼 블로워를 포함하여, 상,하 위치되는 2개 송풍부가 최소의 부품수로 컴팩트하게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개 블로워가 구비된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송풍기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이다.
송풍기는 공기조화기 등의 다양한 기기에 설치되어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고, 날개차와, 날개차로 들어가고 나오는 유동을 안내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송풍기는 축류팬과, 원심팬 등으로 분류될 수 있고, 축류팬은 공기의 유동이 날개차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으며, 원심팬은 날개차 입구 유동이 회전축 방향이나 출구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발생될 수 있다.
송풍기는 날개차를 갖는 블로워와, 블로워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블로워의 유로를 형성하고 블로워에 의해 유동된 공기를 안내하는 팬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는 공기조화기 등에 복수개 설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송풍기가 복수개 기류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KR 10-1113818 B1 (2012년02월29일 공고)
본 발명은 부품수를 최소화하면서 컴팩트화가 가능한 송풍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2개의 토출유닛을 통해 공기를 분산 토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로어 오리피스의 상측에 어퍼 팬하우징이 위치하는 메인 하우징와; 상기 메인 하우징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팬하우징과; 상기 어퍼 팬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어퍼 오리피스와;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에 설치된 로어 모터와; 상기 로어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로어 오리피스와 프론트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어 블로워와;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 설치된 어퍼 모터와; 상기 어퍼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 오리피스와 어퍼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어퍼 블로워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 팬하우징은 상기 로어 오리피스 상부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과 메인 하우징은 상기 로어 블로워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제1토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하우징과 어퍼 오리피스는 상기 어퍼 블로워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제2토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은 상기 로어 오리피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 블로워를 둘러싸는 로어 팬하우징부와; 상기 로어 팬하우징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퍼 팬하우징 전방에 배치되며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는 상기 프론트 덕트부의 일부를 마주보고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팬하우징은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오리피스는 상기 프론트 덕트부를 마주보고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과;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을 지지하는 토출유닛 홀더와; 상기 토출유닛 홀더가 장착되고 상기 제1토출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토출부와 제2토출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토출부를 갖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로어 오리피스의 상측에 어퍼 팬하우징이 위치하는 메인 하우징와; 상기 메인 하우징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팬하우징과; 상기 어퍼 팬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어퍼 오리피스와;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에 설치된 로어 모터와; 상기 로어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로어 오리피스와 프론트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어 블로워와;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 설치된 어퍼 모터와; 상기 어퍼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 오리피스와 어퍼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어퍼 블로워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 팬하우징은 상기 로어 오리피스 상부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는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과 메인 하우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과, 어퍼 오리피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닛 홀더는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를 서로 평행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는 평행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 각각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 각각은 원통 형상일 수 있고, 상기 토출유닛 홀더는 상기 제1토출부가 내삽되는 링 형상의 제1링부와, 상기 제2토출부가 내삽되는 링 형상의 제2링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 각각은 상단이 링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 각각에는 상기 토출유닛 홀더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은 상기 로어 오리피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 블로워를 둘러싸는 로어 팬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토출부는 상기 로어 팬하우징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퍼 팬하우징 전방에 배치되며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와;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덕트부의 일부를 마주보며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와; 상기 어퍼 오리피스에 상기 프론트 덕트부를 마주보게 형성되고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 하우징와, 프론트 팬하우징과, 어퍼 오리피스에 의해 서로 분리된 2개의 송풍유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하 위치되는 2개 송풍부를 최소한의 부품으로 컴팩트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하 위치되는 2개의 송풍부가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토출유닛으로 공기를 분산 송풍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의 전후 폭 및 좌우 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슬림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복수개 토출유닛이 송풍기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B-B 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일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 일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송풍기(1)는 로어 송풍부(L)와, 어퍼송풍부(U)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송풍부(L)는 로어 모터(8)가 로어 블로워(9)를 회전시킬 수 있다. 로어 송풍부(L)에는 로어 블로워(9)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로어 송풍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송풍부(L)는 공기가 로어 송풍유로로 흡입되는 로어 흡입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송풍부(U)는 로어 송풍부(L)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송풍부(U)는 어퍼 모터(10)가 어퍼 블로워(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어퍼 송풍부(U)에는 어퍼 블로워(11)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어퍼 송풍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송풍유로는 로어 송풍유로와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고, 로어 송풍유로와 어퍼 송풍유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어퍼 송풍부(U)는 공기가 어퍼 송풍유로로 흡입되는 어퍼 흡입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는 로어 블로워(9)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제1토출부(12)와, 어퍼 블로워(1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제2토출부 (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토출부(12)는 로어 송풍부(L)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는 로어 블로워(9)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토출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단이 개방될 수 있다.
제2토출부(14)는 어퍼 송풍부(U)의 내부와 연통될 수 있다. 제2토출부(14)는 어퍼 블로워(1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상측 방향으로 토출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토출부(14)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단이 개방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는 평행할 수 있다.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 각각은 일부가 어퍼 송풍부(U)의 전면 보다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송풍기(1)는 로어 송풍부(L)의 상측에 어퍼 송풍부(U)가 위치되고,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 중 어느 하나가 어퍼 송풍부(U)의 좌측 상부를 향해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고, 어퍼 송풍부(U)의 우측 상부를 향해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송풍기(1)는 로어 오리피스(3)의 상측에 어퍼 팬하우징(4)이 위치하는 메인 하우징(5)와; 메인 하우징(5)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팬하우징(6)과; 어퍼 팬하우징(6)의 후방에 배치되는 어퍼 오리피스(7)를 포함한다.
로어 오리피스(3)는 어퍼 팬하우징(4)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은 전면이 막히고 배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은 로어 오리피스(4) 상부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은 메인 하우징(5)의 상부일 수 있고, 로어 오리피스(3)는 메인 하우징(5)의 하부일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6)은 전면이 막히고 배면이 개방된 형상일 수 있다. 로어 오리피스(3)는 프론트 팬하우징(6)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어퍼 오리피스(7)는 어퍼 팬하우징(4)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1)는 상,하 위치되는 2개의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하우징(5)은 프론트 팬하우징(6) 및 어퍼 오리피스(7)와 함께 2개 송풍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기(1)에는 로어 송풍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송풍유로는 메인 하우징(5)의 하부와 프론트 팬하우징(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송풍유로는 로어 오리피스(3)와 프론트 팬하우징(6)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1)에는 어퍼 송풍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송풍유로는 메인 하우징(5)의 상부와 어퍼 오리피스(7)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송풍유로는 어퍼 오리피스(7)와 어퍼 팬하우징(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하우징(5)은 로어 송풍부(L)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동시에 어퍼 송풍부(U)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로어 송풍유로와 어퍼 송풍유로는 메인 하우징(5)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의 하부는 로어 송풍유로와 어퍼 송풍유로를 구획할 수 있다. 로어 오리피스(3)와 어퍼 팬하우징(4)의 하부와 프론트 팬하우징(6)은 로어 송풍부(L)의 로어 송풍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팬하우징부(4)와 어퍼 오리피스(7)는 어퍼 송풍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송풍기(1)는 프론트 팬하우징(6)에 설치된 로어 모터(8)와, 로어 모터(8)에 연결된 로어 블로워(9)를 포함한다.
로어 모터(8)는 프론트 팬하우징(6)의 전판부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는 로어 모터(8)를 프론트 팬하우징(6)에 장착하는 로어 모터 마운터(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모터 마운터(17)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프론트 팬하우징(6)의 전판부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로어 모터(8)는 후방 방향으로 회전축이 돌출될 수 있다.
로어 블로워(9)는 로어 오리피스(3)와 프론트 팬하우징(6)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로어 블로워(9)는 전후 방향으로 프론트 팬하우징(6)과 로어 오리피스(3)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어퍼 팬하우징(4)의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1)는 어퍼 팬하우징(4)에 설치된 어퍼 모터(10)와; 어퍼 모터(10)에 연결되된 어퍼 블로워(11)을 포함한다.
어퍼 모터(10)는 어퍼 팬하우징(4)의 전판부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는 어퍼 모터(10)를 프론트 팬하우징(6)에 장착하는 어퍼 모터 마운터(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모터 마운터(18)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오퍼 팬하우징(4)의 전판부 배면에 장착될 수 있다. 어퍼 모터(10)는 회전축이 후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어퍼 블로워(11)는 어퍼 오리피스(7)와 어퍼 팬하우징(4)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어퍼 블로워(11)는 전후 방향으로 어퍼 팬하우징(4)과 오퍼 리어 오리피스(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송풍기(1)는 로어 블로워(9)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제1토출부(12)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론트 팬하우징(6)과 메인 하우징(5)은 로어 블로워(1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1토출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로어 오리피스(3)에는 공기가 로어 블로워(9)로 흡인되기 위해 통과하는 로어 흡입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기(1)는 어퍼 블로워(1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제2토출부(14)를 포함할 수 있고, 메인 하우징(5)과 어퍼 오리피스(7)는 어퍼 블로워(9)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제2토출부(14)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어퍼 오리피스(7)에는 공기가 어퍼 블로워(11)로 흡인되기 위해 통과하는 어퍼 흡입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로어 오리피스(3)와, 어퍼 팬 하우징(4)과, 프론트 팬하우징(6) 및 로어 오리피스(7)의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로어 오리피스(3)는 로어 흡입부(13)가 형성된 후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오리피스(3)는 후판(32)의 하단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된 하판(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판(34)은 프론트 팬하우징(6)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판(34)은 프론트 팬하우징(6)의 하측에 배치되어 송풍기(1)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로어 오리피스(3)에는 로어 팬(9)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로어 토출가이드부(36)가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토출가이드부(36)는 로어 오리피스(3)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로어 토출가이드부(36)는 후판(34)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로어 토출가이드부(36)는 적어도 일부가 프론트 팬하우징(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프론트 팬하우징(6) 내부에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로어 토출가이드부(36)는 제1토출부(12)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은 어퍼 팬(11)의 회전 방향으로 어퍼 팬(11)과 점차 거리가 멀어지는 어퍼 스크롤벽(45)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스크롤벽(45)은 어퍼 팬하우징(4)의 전판부(41) 배면에서 후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6)은 로어 오리피스(3) 전방에 배치되고 로어 블로워(11)을 둘러싸는 로어 팬하우징부(62)와; 로어 팬하우징부(62)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고 어퍼 팬하우징(4) 전방에 배치되며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팬하우징부(62)는 배면이 개방될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6)은 로어 팬(9)의 회전 방향으로 로어 팬(9)과 점차 거리가 멀어지는 로어 스크롤벽(65)을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스크롤벽(65)은 로어 팬하우징부(62)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스크롤벽(65)은 로어 팬하우징부(62) 전판부 배면에서 후방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6)에는 로어 토출가이드부(36)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수용부(66)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66)는 배면이 개방될 수 있고, 로어 토출가이드부(36)는 수용부(66)의 후방에서 수용부(66) 내부로 내삽될 수 있다. 수용부(66)는 프론트 팬하우징(6)의 로어 팬하우징부(62) 상측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66)는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 옆에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는 좌우 방향 폭이 로어 팬하우징부(62)의 좌우 방향 폭 보다 짧을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는 제1토출부(12)의 전방부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는 메인 하우징(5)과 결합되었을 때, 일부가 어퍼 팬하우징(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 중 일부는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를 마주볼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 중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를 마주보는 일부는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와 함께 제1토출부(12)를 구성할 수 있고, 로어 블로워(9)에서 송풍된 공기를 안내하는 어퍼 가이드부(43)일 수 있다. 어퍼 가이드부(43)는 제1토출부(12)의 후방부 하부를 구성할 수 있다. 어퍼 가이드부(43)는 어퍼 팬하우징(4)의 전판부(41) 중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를 마주보는 부분일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에는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의 일부를 마주보고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의 리어 덕트부(44)는 제1토출부(12)의 후방부 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의 리어 덕트부(44)는 어퍼 팬하우징(4)의 상부에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의 리어 덕트부(44)는 어퍼 팬하우징(4)의 전판부(41)에서 후방 방향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덕트부(44)는 하단이 어퍼 가이드부(43)에서 꺽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가이드부(43)에 안내된 공기는 리어 덕트부(44)를 통과할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4)의 프론트 덕트부(64)와, 어퍼 팬하우징(4)의 리어 덕트부(44)는 제1토출부(12)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4)의 프론트 덕트부(64)와, 어퍼 팬하우징(4)의 리어 덕트부(44)는 어퍼 팬하우징(4)의 어퍼 가이드부(43)와 함께 제1토출부(12)를 구성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에는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46)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의 프론트 덕트부(46)는 어퍼 팬하우징(4)의 전판부(41)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의 프론트 덕트부(46)와, 어퍼 팬하우징(4)의 리어 덕트부(44)는 어퍼 팬하우징(4)의 전판부(41)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의 프론트 덕트부(46)는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 옆에 위치될 수 있다. 어퍼 팬하우징(4)의 프론트 덕트부(46)와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어퍼 오리피스(7)는 어퍼 흡입부(15)가 형성된 후판(72)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오리피스(7)에는 어퍼 팬(11)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어퍼 토출가이드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토출가이드부(74)는 어퍼 오리피스(7)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토출가이드부(74)는 어퍼 오리피스(7)의 후판(72)에서 전방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어퍼 토출가이드부(74)는 그 선단이 어퍼 팬하우징(3)에 접촉될 수 있다.
어퍼 오리피스(7)에는 어퍼 팬하우징(4)의 프론트 덕트부(46)를 마주보고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76)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오리피스(7)의 리어 덕트부(76)는 어퍼 팬하우징(4)의 프론트 덕트부(46)와 함께 제2토출부(14)를 구성할 수 있다. 어퍼 오리피스(7)가 메인 하우징(5)에 결합되었을 때, 리어 오리피스(7)의 리어 덕트부(76)는 어퍼 팬하우징(4)의 리어 덕트부(44) 옆에 위치될 수 있다. 리어 오리피스(7)의 리어 덕트부(76)와 어퍼 팬하우징(4)의 리어 덕트부(44)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프론트 팬하우징(6)의 프론트 덕트부(64)를 제 1 프론트 덕트부(64)로 칭하고, 어퍼 팬하우징(4)의 리어 덕트부(44)를 제 1 리어 덕트부(44)로 칭하며, 어퍼 팬하우징(4)의 프론트 덕트부(46)를 제 2 프론트 덕트부(46)으로 칭하고, 어퍼 오리피스(7)의 리어 덕트부(76)를 제 2 리어 덕트부(76)로 칭하여 설명한다.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 각각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 각각은 상단이 링 형상일 수 있다.
제 1 프론트 덕트부(64)의 상단과 제 1 리어 덕트부(44) 상단 각각은 반원 형상일 수 있고, 프론트 팬하우징(6)과 메인 하우징(5)의 결합시 제 1 토출부(12)의 상단은 링 형상일 수 있다.
제 2 프론트 덕트부(46)의 상단과 제 2 리어 덕트부(76) 상단 각각은 반원 형상일 수 있고, 메인 하우징(5)과 어퍼 오리피스(7)의 결합시, 제 2 토출부(14)의 상단은 링 형상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송풍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로어 모터(8)의 구동시, 로어 팬(9)은 로어 오리피스(3)와 프론트 팬하우징(6)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로어 팬(9)의 회전시, 로어 오리피스(3) 후방의 공기는 로어 흡입부(13)를 통과하여 로어 팬(9)으로 흡인될 수 있고, 로어 팬하우징(62)을 따라 안내되어 제1토출부(12)로 유동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로 유동된 공기는 프론트 팬하우징(6)의 제 1 프론트 덕트부(64)와, 어퍼 팬 하우징(4)의 어퍼 가이드부(43)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 1 프론트 덕트부(64)와 어퍼 가이드부(43)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이후 제 1 프론트 덕트부(64)와 제 1 리어 덕트부(44)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즉, 로어 블로워(9)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로어 오리피스(3)와 프론트 팬하우징(6)의 사이에서, 어퍼 팬 하우징(4)과 프론트 팬하우징(6) 사이를 통과한 후 제1토출부(12)의 상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한편, 어퍼 모터(10)의 구동시, 어퍼 팬(11)은 어퍼 오리피스(7)과 어퍼 팬하우징(4)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어퍼 팬(11)의 회전시, 어퍼 오리피스(7) 후방의 공기는 어퍼 흡입부(15)를 통과하여 어퍼 팬(11)으로 흡인될 수 있고, 어퍼 팬하우징(4)을 따라 안내되어 제2토출부(14)로 유동될 수 있다.
제2토출부(14)로 유동된 공기는 어퍼 팬하우징(4)의 제 2 프론트 덕트부(46)와, 어퍼 오리피스(7)의 제 2 리어 덕트부(76)의 안내를 받으면서 제 2 프론트 덕트부(46)와 제 2 리어 덕트부(76)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상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즉, 어퍼 블로워(11)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어퍼 오리피스(7)와 어퍼 팬하우징(4)의 사이에서, 제2토출부(14)의 상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와 제2토출부(14)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서로 평행한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고, 송풍기(1)는 어퍼 송풍부(U)의 상측으로 좌,우 2개의 송풍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복수개 토출유닛이 송풍기와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B-B 선 단면도이다.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송풍기(1)와;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과;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을 지지하는 토출유닛 홀더(130)를 포함한다.
송풍기(1)는 제1토출유닛(110)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유닛(120)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토출부(14)를 갖을 수 있다.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 각각은 원통 형상일 수 있다.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은 동일 구조이고, 그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 중 어느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선(F)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토출유닛이 될 수 있고,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 중 다른 하나는 공기조화기의 중앙선(F)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토출유닛이 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좌측 방향부터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까지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방향부터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까지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토출유닛과 우측토출유닛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 좌측 전방의 제1경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우측 전방의 제2경사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좌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우측 토출유닛은 공기조화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측 토출유닛과 우측 토출유닛은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공기조화기의 전방에는 2개의 전방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의 공통된 구성에 대해서는 토출유닛으로 칭하여 설명하고, 구분하여 설명할 경우에는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으로 칭하여 설명한다.
토출유닛은 송풍기(1)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121)와, 흡입구(121)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내부유로(122)와, 내부유로(122)에 안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123)를 포함할 수 있고, 흡입구(121)와, 내부유로(122)와, 공기토출구(123)는 토출유닛의 토출유로(124)를 구성할 수 있다.
토출유닛에는 토출유로(124)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풍향조절베인(125)이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베인(125)은 토출유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베인(125)은 내부유로(122)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선단이 공기토출구(123)를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흡입구(121)는 토출유닛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유로(122)는 토출유닛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23)는 토출유닛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은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공기토출구(123)는 토출유닛의 상판부와 둘레부 중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23)는 토출유닛의 둘레부에 수평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토출구(123)는 토출유닛의 둘레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1)의 개방 방향과 공기토출구(123)의 개방 방향은 직교할 수 있다. 송풍기(1)에서 송풍된 공기는 흡입구(121)를 통해 토출유닛 내부로 흡입된 후 내부에서 유동 방향이 변환되고, 공기토출구(123)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유닛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은 제1토출유로(24)가 형성된 토출바디(126)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은 토출바디(126)의 상부에 설치된 탑 바디(127)와, 토출바디(126)의 하부에 결합된 로어 링(1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바디(126)는 상면이 막히고, 하면이 개방되며,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121)와, 내부유로(122)와, 공기토출구(123)는 토출바디(126)에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123)는 토출바디(126)의 둘레부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풍향조절베인(125)은 토출바디(12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바디(126)에는 풍향조절베인(12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하는 풍향조절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풍향조절모터는 풍향조절베인(125)과 직접 연결되거나 링크 등의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풍향조절베인(125)과 연결될 수 있다.
토출바디(126)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고, 토출바디(126)의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바디(126A)와, 아우터 바디(126A)의 내부에 설치된 이너 가이드(126B)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바디(126)는 토출유닛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하는 회전돌기(126C)가 돌출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126A)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126A)는 상면과 하면이 각각 개방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이너 가이드(126B)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126A)는 단면형상이 호 형상인 아우터 바디의 복수개가 중공 원통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고, 복수개의 아우터 바디 중 어느 하나에 공기토출구(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토출구(123)에 토출그릴이 위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126B)는 하면이 개방되고 상면이 막힌 중공 통체 형상일 수 있고, 그 하부에 흡입구(121)가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 내부유로(122)가 형성될 수 있다. 풍향조절베인(125)은 이너 가이드(126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탑 바디(127)는 풍향조절모터에 연결된 전선(미도시)을 안내하는 전선 가이드일 수 있고, 전선이 통과하는 전선 통공(127A)이 형성될 수 있다.
탑 바디(127)는 토출바디(126)의 상부에 끼움되어 장착되거나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장착될 수 있다.
탑 바디(127)는 회전돌기(126C)를 둘러싸는 보스부(127B)가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보스부(127B)는 회전돌기(126C)와 함께 토출유닛의 회전중심축을 구성할 수 있다. 보스부(127B)는 후술하는 탑 커버(136)에 에 형성된 지지홀(136A)과 회전돌기(126C)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탑 커버(136)의 지지홀(136A)에 지지될 수 있다.
로어 링(128)은 토출바디(126)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토출바디(126)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로어 링(128)은 토출바디(126)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로어 링(128)에는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체결부재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은 종동기어가 형성된 기어부재(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재(129)는 토출바디(126)와 로어 링(128) 중 적어도 하나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로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재(129)는 하부의 외둘레에 종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130)는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을 서로 평행하게 지지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130)는 제1토출부(12)가 내삽되는 링 형상의 제1링부(131)와, 제2토출부(14)가 내삽되는 링 형상의 제2링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13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130)는 토출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로어 바디(133)와, 로어 바디(133)의 상측에 형성되고 토출유닛의 외둘레 일부를 둘러싸는 리어 바디(134)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130)는 로어 바디(133)의 하측에 배치되고 제1링부(131)와, 제2링부(132)가 형성된 로어 커버(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130)는 토출유닛의 상측에 위치되는 탑 커버(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36)는 리어 바디(134)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130)는 송풍기(1)와 체결되는 송풍기 체결부(137)(138)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 체결부(137)(138)는 제1토출부(12)와 체결되는 제1토출부 체결부(137)와, 제2토출부(14)와 체결되는 제2토출부 체결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 체결부(137)(138)는 로어 커버(135)에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커버(135)는 토출유닛 홀더(130)를 송풍기(1)에 장착시키는 토출유닛 홀더 마운터로 기능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130)에는 토출유닛을 회전시키는 토출유닛 회전기구(140)가 설치될 수 있다. 토출유닛 회전기구(140)는 기어부재(129)의 종동기어에 치합된 구동기어(142)와, 구동기어(142)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모터(144)는 로어 바디(133)와 로어 커버(135)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토출유닛 회전기구(140)는 토출유닛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는 케이싱(15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50)은 베이스(15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51)는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151)는 로어 프레임(152)과, 로어 프레임(152)에 형성된 후판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판부(153)는 로어 프레임(152)의 후방부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50)은 프론트 커버(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55)는 송풍기(1)의 전방을 덮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55)는 하단이 베이스(151)의 로어 프레임(152)에 올려질 수 있다. 프론트 커버(155)는 로어 프레임(152)의 일부를 차폐하게 로어 프레임(152)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50)은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바디(156)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바디(156)는 베이스(15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바디(156)는 베이스(151)의 후판부(153)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흡입바디(156)는 베이스(151)의 후판부(153)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바디(156)에는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공기흡입구(156A)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바디(156)에는 공기조화기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157)이 설치될 수 있다. 정화유닛(157)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157)은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유닛(157)은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케이싱(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58)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58)는 공기유동방향으로 흡입바디(156)와 송풍기(1)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는 흡입바디(156)를 통과해 공기조화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이후 열교환기(158)를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158)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기(1)로 흡입될 수 있고, 송풍기(1)에 의해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으로 분산 송풍될 수 있다.
열교환기(158)를 통과한 공기는 일부가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 중 어느 하나로 송풍될 수 있고, 나머지가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 중 다른 하나로 송풍될 수 있다. 공기는 송풍기(1)에 의해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으로 분산될 수 있고,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으로 분산된 공기는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을 통해 실내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송풍기(1)는 케이싱(15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는 열교환기(158)의 일부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는 열교환기(158)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는 후방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측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프론트 팬하우징(6)과 메인 하우징(5)에 의해 형성된 제1토출부(12)는 그 상측에 위치하는 제1토출유닛(110)을 향해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메인 하우징(5)과, 어퍼 오리피스(7)에 의해 형성된 제2토출부(14)는 그 상측에 위치하는 제2토출유닛(120)을 향해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는 제1토출유닛(110) 및 제2토출유닛(120)과 같이, 평행한 상태에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다.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 안내할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이격된 제1토출유닛(110) 및 제2토출유닛(120)으로 공기를 분산 토출할 수 있다.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 각각은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에 안내된 후 제1토출부(12)의 개방된 상면을 통과한 공기는 제1토출유닛(11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21)을 통해 제1토출유닛(11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토출부(14)에 안내된 후 제2토출부(14)의 개방된 상면을 통과한 공기는 제2토출유닛(120)의 하부에 형성된 흡입구(121)을 통해 제2토출유닛(1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와 제2토출부(14) 각각에는 토출유닛 홀더(130)와 체결되는 체결부(12A)(14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의 외면에는 토출홀더(130)의 제1토출부 체결부(137)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1체결부(12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토출부(12)의 외면에는 토출홀더(130)의 제2토출부 체결부(138)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제2체결부(14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의 운전시, 송풍기(1)는 구동될 수 있고, 송풍기(1)의 구동시, 송풍기(1)의 로어 모터(8) 및 어퍼 모터(10)는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로어 모터(8)의 구동시, 로어 팬(9)은 회전될 수 있고, 어퍼 모터(10)의 구동시, 어퍼 팬(11)은 회전될 수 있다.
로어 팬(9)과 어퍼 팬(11)의 회전시,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로어 팬(9) 및 어퍼 팬(11)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외부 공기는 흡입 바디(156)를 통과하여 열교환기(158)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158)를 통과한 후 송풍기(1)의 제1흡입부(13)와 제2흡입부(15)로 분산되어 흡입될 수 있다.
제1흡입부(13)로 흡입된 공기는 로어 팬(9)에 의해 제1토출부(12)의 상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고, 제2흡입부(15)로 흡입된 공기는 어퍼 팬(11)에 의해 제2토출부(14)의 상측으로 송풍될 수 있다.
제1토출부(12)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제1토출유닛(11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토출유닛(110)의 외부로 토출 안내될 수 있고, 제2토출부(14)의 상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제2토출유닛(1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2토출유닛(120)의 외부로 토출 안내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이 좌우 이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송풍기(1)에서 상측 2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제1토출유닛(110)과 제2토출유닛(120)에 의해 분산되어 실내로 토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송풍기 3: 로어 오리피스
4: 어퍼 팬하우징 5: 메인 하우징
6: 프론트 팬하우징 7: 어퍼 오리피스
12: 제1토출부 14: 제2토출부
110: 제1토출유닛 120: 제2토출유닛
130: 토출유닛 홀더

Claims (20)

  1. 로어 오리피스의 상측에 어퍼 팬하우징이 위치하는 메인 하우징와;
    상기 메인 하우징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팬하우징과;
    상기 어퍼 팬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어퍼 오리피스와: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에 설치된 로어 모터와:
    상기 로어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로어 오리피스와 프론트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어 블로워와;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 설치된 어퍼 모터와;
    상기 어퍼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 오리피스와 어퍼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어퍼 블로워를 포함하는 송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팬하우징은 상기 로어 오리피스 상부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송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과 메인 하우징은 상기 로어 블로워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제1토출부를 형성하는 송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하우징과 어퍼 오리피스는 상기 어퍼 블로워에 의해 송풍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제2토출부를 형성하는 송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 각각은 상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고,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 송풍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은
    상기 로어 오리피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 블로워를 둘러싸는 로어 팬하우징부와;
    상기 로어 팬하우징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퍼 팬하우징 전방에 배치되며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를 포함하는 송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는 상기 프론트 덕트부의 일부를 마주보고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가 형성된 송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팬하우징은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가 형성된 송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오리피스는 상기 프론트 덕트부를 마주보고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가 형성된 송풍기.
  10.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과;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을 지지하는 토출유닛 홀더와;
    상기 제1토출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토출부와 제2토출유닛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토출부를 갖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기는
    로어 오리피스의 상측에 어퍼 팬하우징이 위치하는 메인 하우징와;
    상기 메인 하우징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팬하우징과;
    상기 어퍼 팬하우징의 후방에 배치되는 어퍼 오리피스와: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에 설치된 로어 모터와:
    상기 로어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로어 오리피스와 프론트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로어 블로워와;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 설치된 어퍼 모터와,
    상기 어퍼 모터에 연결되고 상기 어퍼 오리피스와 어퍼 팬하우징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어퍼 블로워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팬하우징은 상기 로어 오리피스 상부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부는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과 메인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메인 하우징과, 어퍼 오리피스에 의해 형성된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유닛 홀더는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을 서로 평행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는 평행한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은 수평방향으로 이격되는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 각각은 상면이 개방된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유닛과 제2토출유닛 각각은 원통 형상이고,
    상기 토출유닛 홀더는 상기 제1토출부가 내삽되는 링 형상의 제1링부와, 상기 제2토출부가 내삽되는 링 형상의 제2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 각각은 상단이 링 형상인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토출부와 제2토출부 각각에는 상기 토출유닛 홀더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19.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팬하우징은 상기 로어 오리피스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 블로워를 둘러싸는 로어 팬하우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부는 상기 로어 팬하우징부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어퍼 팬하우징 전방에 배치되며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와;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 덕트부의 일부를 마주보며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2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출부는
    상기 어퍼 팬하우징에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면 및 배면이 개방된 프론트 덕트부와;
    상기 어퍼 오리피스에 상기 프론트 덕트부를 마주보게 형성되고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리어 덕트부를 포함하는 송풍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140195853A 2014-12-31 2014-12-31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152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53A KR101529224B1 (ko) 2014-12-31 2014-12-31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N201510162238.9A CN106151081B (zh) 2014-12-31 2015-04-08 送风机及具有该送风机的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853A KR101529224B1 (ko) 2014-12-31 2014-12-31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9224B1 true KR101529224B1 (ko) 2015-06-16

Family

ID=5351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853A KR101529224B1 (ko) 2014-12-31 2014-12-31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9224B1 (ko)
CN (1) CN1061510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433A (ko) * 2019-03-04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555A (ko) * 2000-03-07 2000-06-05 노병조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KR20000018329U (ko) * 1999-03-17 2000-10-16 차승식 일체형 에어컨의 응축팬
KR101225985B1 (ko) * 2011-12-20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30043980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4461A3 (en) * 1984-02-25 1987-07-15 Nishida Tekko Corporation Room air circulating apparatus
US4958500A (en) * 1989-04-20 1990-09-25 Hitachi, Ltd.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method
US7862410B2 (en) * 2006-01-20 2011-01-04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Air removal unit
KR101346834B1 (ko) * 2007-08-14 2014-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30043983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234065B1 (ko) * 2011-12-2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8329U (ko) * 1999-03-17 2000-10-16 차승식 일체형 에어컨의 응축팬
KR20000030555A (ko) * 2000-03-07 2000-06-05 노병조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KR20130043980A (ko) * 2011-10-21 2013-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225985B1 (ko) * 2011-12-20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6433A (ko) * 2019-03-04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82399B1 (ko) * 2019-03-04 202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51081A (zh) 2016-11-23
CN106151081B (zh)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506B1 (ko) 공기조화기
KR101516365B1 (ko) 공기조화기
KR101500501B1 (ko) 공기조화기
EP2602563B1 (en) Air conditioner
JP4537433B2 (ja) 空気調和機
KR20130043983A (ko) 공기조화기
KR101542123B1 (ko) 토출유닛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60034058A (ko) 공기조화기
CN110914599A (zh) 空气调节机
KR101529224B1 (ko)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101529223B1 (ko)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EP2551607B1 (en) Ventilation apparatus
JP2022180328A (ja) 空調システム
KR2019005167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81039B1 (ko) 공기조화기
CN112556161A (zh) 过滤网机构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80044650A (ko) 공기조화기
KR100797154B1 (ko) 냉장고용 공기청정기
KR20090022106A (ko) 공기조화기
KR101880481B1 (ko) 공기 토출 유닛
KR100471437B1 (ko) 덕트형 공기 조화기의 팬 하우징 착탈구조
KR20180044684A (ko) 원심 송풍기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40091164A (ko) 벽걸이용 공기청정기
KR20220158347A (ko) 공기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