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7289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7289A
KR20090017289A KR1020070081924A KR20070081924A KR20090017289A KR 20090017289 A KR20090017289 A KR 20090017289A KR 1020070081924 A KR1020070081924 A KR 1020070081924A KR 20070081924 A KR20070081924 A KR 20070081924A KR 20090017289 A KR20090017289 A KR 2009001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main body
indoor unit
discharge duct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6834B1 (ko
Inventor
심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1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68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6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6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와 토출그릴사이에 유연성을 갖는 토출덕트가 구비되고, 토출그릴과 토출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각도 및 토출 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입체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덕트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출덕트의 회전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토출, 베인, 그릴, 덕트, 회동, 회전, 입체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각도 및 토출범위가 확대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입체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시키거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으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기에 냉각/방열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방열/냉각 및 압축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실내기와 실외기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건물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200)와,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토출시키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송풍기(미도시)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00)의 측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02)가 형성되고, 전면 상부에는 상기 열교환기(미도시)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0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04)에는 복수개의 베인(206)이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송풍기(미도시)의 구동시 상기 흡입구(202)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미도시)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 후, 상기 토출구(204)를 통해 상기 실내기의 전면 상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베인(206)이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공기의 토출 방향이 조절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상기 베인(106)의 회전에 의해서만 공기의 토출방향이 조절되기 때문에, 공기의 토출 각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입체 냉/난방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입체 냉/난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토출그릴과, 상기 본체와 토출그릴 사이를 감싸고 외관을 형성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토출덕트와, 상기 토출그릴을 상기 본체로부터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토출그릴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본체와 토출그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랙과, 상기 본체와 토출그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내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토출덕트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토출그릴과, 상기 토출덕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한다.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본체와 상기 토출덕트사이를 감싸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토출그릴을 지지하는 프레 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토출덕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본체와 토출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랙과, 상기 본체와 토출덕트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토출그릴과 상기 토출덕트가 각각 복수개씩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와 토출그릴사이에 유연성을 갖는 토출덕트가 구비되고, 토출그릴과 토출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각도 및 토출 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입체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덕트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출덕트의 회전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토출그릴이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 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시키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토출시키는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의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를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냉각 혹은 가열시키는 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토출그릴(20)과, 상기 본체(10)와 토출그릴(20) 사이를 감싸고 외관을 형성하는 토출덕트(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송풍기(미도시)와 상기 열교환기(미도시)가 장착되는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상부에 결합된 전면 상부패널(12)과, 상기 캐비닛(11)의 전면 하부에 결합된 전면 하부패널(13)과, 상기 캐비닛(11)과 상기 전변 하부패널(13)이 올려지는 베이스(14)와, 상기 캐비닛(11)과 상기 전면 하부패널(13)사이에 결합되는 흡입패널(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면 상부패널(12)과 상기 전면 하부패널(13)사이에는 상기 실내기(1)의 운전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16)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패널(15)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흡입구에는 흡입 그릴(17)이 설치된다. 상기 흡입그릴(17)의 배면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흡입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그릴(20)은 복수개의 베인과, 상기 복수개의 베인을 지지하 도록 형성된 베인 프레임(21)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베인은 상기 베인 프레임(21)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토출공기의 좌우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수직 베인(22)과, 상기 베인 프레임(21)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토출공기의 상하 풍향을 조절하는 복수개의 수평 베인(23)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베인(22)과 상기 수평 베인(23)의 양단은 상기 베인 프레임(21)에 형성된 힌지홀에 힌지결합된다. 즉, 상기 수평 베인(23)의 좌,우측 단부에는 상기 힌지홀에 결합되는 힌지돌기(23a)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직 베인(22)의 상,하단부에도 힌지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수직 베인(42)의 각 하단은 제 1링크(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 1링크(미도시)의 일측에는 상기 제 1링크(미도시)를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수직 베인(42)이 일체로 회동되도록 하는 제 1베인 모터(미도시)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수평 베인(43)의 일측 단부는 제 2링크(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 2링크(미도시)의 일측에는 상기 제 2링크(미도시)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개의 수평 베인(43)을 일체로 회동시키는 제 2베인 모터(미도시)가 결합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1)는 상기 토출그릴(2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베인 프레임(21)에 결합된 프레임 모터(32)이다. 상기 프레임 모터(32)의 회전축(33)은 상기 베인 프레임(21)의 하면(21a)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덕트(30)는 상기 토출그릴(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유연성 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직물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나, 주름관 등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토출덕트(30)는 일측은 상기 토출그릴(20)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11)의 개구된 상면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토출덕트(30)는 상기 토출그릴(20)의 베인 프레임(21)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바, 접착제 등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실내기(1)가 운전 조작되면, 상기 송풍기(미도시)가 구동되어 상기 송풍기(미도시)의 송풍력에 의해 실내공기가 상기 흡입그릴(17)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필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송풍기(미도시)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송풍기(미도시)의 전방으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미도시)에 의해 열교환된 후, 상기 토출덕트(30)와 상기 토출그릴(20)을 차례로 거치면서 상기 실내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
이 때, 상기 제 1베인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 상기 제 1링크(미도시)가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직 베인(42)이 회동된다. 또한, 상기 제 2베인 모터(미도시)가 구동되면 상기 제 2링크(미도시)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평 베인(43)이 회동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 베인(42)과 수평 베인(43)에 의해서 좌우 및 상하방향의 풍향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모터(32)가 구동되면, 상기 프레임 모터(3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베인 프레임(21)이 상기 회전축(32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모터(32)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베인 프레임(21)이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는 좌우방향으로 각각 90도씩 회전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토출그릴(20)의 베인 프레임(21)이 회전하면, 상기 토출덕트(30)가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상기 토출덕트(30)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토출그릴(20) 및 상기 토출덕트(30)의 회전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토출그릴(20)의 회전으로 인해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각도 및 토출 범위가 확대되어, 보다 효과적인 입체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출그릴의 회전수단이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본체(1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토출그릴(40)과, 상기 본체(10)와 상기 토출그릴(40)사이를 감싸고 외관을 형성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토출덕트(50)와, 상기 토출그릴(4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토출그릴(40)에 구비된 랙(41)과,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기 랙(41)과 치합되는 피 니언(42)과, 상기 피니언(42)을 회전시키는 피니언 모터(43)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랙(41)은 상기 토출그릴(40)의 베인 프레임(44) 하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41)은 상기 베인 프레임(44)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피니언(42)과 치합되는 부분이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내기의 작동시 상기 피니언 모터(43)가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42)이 회전한다. 상기 피니언(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41)이 구비된 상기 베인 프레임(44)이 회전한다. 상기 토출그릴(40)의 베인 프레임(44)의 회전시 상기 토출덕트(5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토출그릴(40)과 상기 토출덕트(50)가 회전함에 따라 토출 공기의 토출 각도 및 토출 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입체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실내기(60)는 본체(61)와, 상기 본체(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토출덕트(70)와, 상기 토출덕트(70)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토출그릴(80)과, 상기 토출덕트(70)를 상기 본체(61)로부터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체(61)는 전면이 개방된 캐비닛(62)과, 상기 캐비닛(62)의 전면 상부에 결합된 전면 상부패널(63)과, 상기 캐비닛(62)의 전면 하부에 결합된 전면 하부패널(64)과, 상기 캐비닛(62)과 상기 전면 하부패널(64)이 올려지는 베이스(65)와, 상기 캐비닛(62)과 상기 전면 하부패널(64)사이에 결합되는 흡입패널(66)을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캐비닛(62)의 상면에는 상기 토출덕트(70)와 연통되도록 개구홀(6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덕트(70)는 상기 본체(61)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토출그릴(8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부(71)와, 상기 프레임부(71)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덕트부(72)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71)는 상기 토출그릴(80)과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덕트부(72)가 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덕트부(72)는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바, 여기서는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덕트부(72)는 일측은 상기 토출그릴(80)측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캐비닛(62)의 개구홀(62a)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80)은 복수개의 베인(81)과, 상기 베인(81)을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프레임부(71)에 결합되는 베인 프레임(8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토출덕트(70)를 회전시키는 모터(85)가 사용 될 수 있다. 상기 모터(85)는 상기 본체(61)내에 구비되고 회전축(85a)이 상기 토출덕트(70)의 프레임부(7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실내기(60)의 작동시 상기 모터(85)가 구동되면, 상기 모터(85)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토출덕트(70)의 프레임부(71)가 상기 회전축(85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토출덕트(70)가 상기 본체(61)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토출덕트(7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토출그릴(80)도 회전하게 되고,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각도 및 토출 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입체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출덕트의 회전수단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본체(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토출덕트(100)와, 상기 토출덕트(100)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토출그릴(110)과, 상기 토출덕트(110)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토출덕트(100)에 구비된 랙(120)과, 상기 본체(90)에 구비되어 상기 랙(120)과 치합되는 피니언(121)과, 상기 피니언(121)을 회전시키는 피니언 모터(122)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토출덕트(100)는 상기 본체(9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토출그릴(110)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프레임부(101)와, 상기 프레임부(101)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유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덕트부(102)를 포함한다.
상기 랙(120)은 상기 토출덕트(100)의 프레임부(101) 하면에서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랙(120)은 상기 프레임부(101)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상기 피니언(121)과 치합되는 부분이 호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내기의 작동시 상기 피니언 모터(122)가 구동되면, 상기 피니언(121)이 회전한다. 상기 피니언(1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120)이 구비된 상기 토출덕트(100)의 프레임부(101)가 회전한다. 상기 토출덕트(100)의 프레임부(101)가 회전시 상기 토출그릴(11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토출그릴(110)과 상기 토출덕트(100)가 회전함에 따라 토출 공기의 토출 각도 및 토출 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입체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9에서 토출덕트가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30)는 본체(131)와, 상기 본체(131)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복수개의 토출덕트(140)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기타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 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상기 복수개의 토출덕트(140)는 상기 본체의 상부 좌,우측에 구비 된 좌,우측 토출덕트(141)(142)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토출덕트(141)와 상기 우측 토출덕트(142)는 각각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 토출덕트(141)의 전면에는 좌측 토출그릴(151)이 구비되고, 상기 우측 토출덕트(142)의 전면에는 우측 토출그릴(152)이 구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좌측 토출덕트(141)는 상기 본체(131)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좌측 토출그릴(151)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좌측 프레임부(143)와, 상기 좌측 프레임부(143)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좌측 덕트부(14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우측 토출덕트(142)는 상기 본체(131)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우측 토출그릴(152)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우측 프레임부(145)와, 상기 우측 프레임부(145)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우측 덕트부(1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프레임부(143)에는 상기 본체(131)에 상부 좌측에 구비된 좌측 모터(147)가 회전축(147a)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우측 프레임부(145)에는 상기 본체(131)의 상부 우측에 구비된 우측 모터(148)가 회전축(148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측 모터(147)는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우측 모터(148)는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실내기(130)의 작동시 상기 좌측 모터(147)와 우측 모터(148)가 구동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토출덕트(141)와 상기 우측 토출덕트(142)가 각각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좌측 모 터(147)와 우측 모터(148)는 동시에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고, 적어도 한 개만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좌측 모터(147)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좌측 토출덕트(141)는 좌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우측 모터(14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우측 토출덕트(142)는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 토출덕트(141)와 상기 우측 토출덕트(142)의 회전시 서로 접하는 부분이 유연하게 변형되어, 회전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회전이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좌측 토출덕트(141)와 상기 우측 토출덕트(142)의 회전으로 인해 공기의 토출 각도 및 토출 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보다 넓은 공간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냉/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본체와 토출그릴사이에 유연성을 갖는 토출덕트가 구비되고, 토출그릴과 토출덕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각도 및 토출 범위가 보다 확대되어 입체적인 냉/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덕트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토출덕트의 회전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내기의 토출그릴이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토출그릴의 회전수단이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토출덕트의 회전수단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토출덕트가 회전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며,
도 1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60,130: 실내기 10,61,131: 본체
11: 캐비닛 12: 전면 상부패널
13: 전면 하부패널 14: 베이스
15: 흡입패널 16: 디스플레이 패널
20,40,80: 토출그릴 21,44,82: 베인 프레임
22: 수직베인 23: 수평베인
30,50,70,100: 토출덕트 32,85: 모터
41,120: 랙 42,121: 피니언
43,122: 피니언 모터 71,101: 프레임부
72,102: 덕트부 81: 베인
90: 본체 141: 좌측 토출덕트
142: 우측 토출덕트 143: 좌측 프레임부
144: 좌측 덕트부 145: 우측 프레임부
146: 우측 덕트부 147: 좌측 모터
148: 우측 모터 151: 좌측 토출그릴
152: 우측 토출그릴

Claims (9)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토출그릴과;
    상기 본체와 토출그릴 사이를 감싸고 외관을 형성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토출덕트와;
    상기 토출그릴을 상기 본체로부터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토출그릴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본체와 토출그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랙과, 상기 본체와 토출그릴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내에서 열교환된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는 토출덕트와;
    상기 토출덕트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된 토출그릴과;
    상기 토출덕트를 상기 본체로부터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본체와 상기 토출덕트사이를 감싸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토출그릴을 지지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덕트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토출덕트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본체와 토출덕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랙과, 상기 본체와 토출덕트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랙과 치합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토출그릴과 상기 토출덕트가 각각 복수개씩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70081924A 2007-08-14 2007-08-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46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924A KR101346834B1 (ko) 2007-08-14 2007-08-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924A KR101346834B1 (ko) 2007-08-14 2007-08-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289A true KR20090017289A (ko) 2009-02-18
KR101346834B1 KR101346834B1 (ko) 2014-01-02

Family

ID=4068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924A KR101346834B1 (ko) 2007-08-14 2007-08-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6834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6894A (zh) * 2013-10-24 2015-04-29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04764100A (zh) * 2014-12-31 2015-07-08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05333595A (zh) * 2015-12-01 2016-02-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352158A (zh) * 2015-12-01 2016-0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387601A (zh) * 2015-12-01 2016-03-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KR20160038678A (ko) * 2014-09-30 201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20160187024A1 (en) * 2014-12-31 2016-06-30 Lg Electronics Inc. Air discharge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105823189A (zh) * 2016-05-18 2016-08-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扫风支架以及空调器
CN106151081A (zh) * 2014-12-31 2016-11-23 Lg电子株式会社 送风机及具有该送风机的空气调节器
CN106196414A (zh) * 2015-02-05 2016-12-07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06225083A (zh) * 2016-08-31 2016-12-1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25080A (zh) * 2016-08-31 2016-12-1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87975A (zh) * 2016-08-31 2017-01-0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322526A (zh) * 2016-08-31 2017-01-1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控制方法
WO2018045998A1 (zh) * 2016-09-12 2018-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9373558A (zh) * 2018-08-21 2019-02-22 高小军 一种柜式空调用挡风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1791B2 (en) * 2014-08-04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320677B1 (ko) 2014-10-31 2021-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00506B1 (ko) * 2014-12-31 2015-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2653B1 (ko) 1995-12-12 2000-04-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토출장치
KR20070077240A (ko) * 2006-01-23 200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베인구동장치

Cited B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66894B (zh) * 2013-10-24 2018-11-16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04566894A (zh) * 2013-10-24 2015-04-29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KR20160038678A (ko) * 2014-09-30 2016-04-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5987427A (zh) * 2014-09-30 2016-10-05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US20160187024A1 (en) * 2014-12-31 2016-06-30 Lg Electronics Inc. Air discharge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US10465940B2 (en) * 2014-12-31 2019-11-05 Lg Electronics Inc. Air discharge device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CN110307593A (zh) * 2014-12-31 2019-10-08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EP3040627A1 (en) * 2014-12-31 2016-07-06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US10294946B2 (en) 2014-12-31 2019-05-21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10307595A (zh) * 2014-12-31 2019-10-08 Lg电子株式会社 排出单元及具有排出单元的空气调节器
CN106151081A (zh) * 2014-12-31 2016-11-23 Lg电子株式会社 送风机及具有该送风机的空气调节器
CN104764100B (zh) * 2014-12-31 2019-01-22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10307595B (zh) * 2014-12-31 2022-12-16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10307593B (zh) * 2014-12-31 2022-04-15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04764100A (zh) * 2014-12-31 2015-07-08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10319492A (zh) * 2014-12-31 2019-10-11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10307594A (zh) * 2014-12-31 2019-10-08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06196414A (zh) * 2015-02-05 2016-12-07 Lg电子株式会社 空气调节器
CN105333595A (zh) * 2015-12-01 2016-02-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333595B (zh) * 2015-12-01 2018-12-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387601B (zh) * 2015-12-01 2018-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387601A (zh) * 2015-12-01 2016-03-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352158A (zh) * 2015-12-01 2016-02-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823189A (zh) * 2016-05-18 2016-08-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扫风支架以及空调器
CN106225080B (zh) * 2016-08-31 2019-06-0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25083B (zh) * 2016-08-31 2019-06-0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322526B (zh) * 2016-08-31 2019-07-19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控制方法
CN106287975B (zh) * 2016-08-31 2019-06-0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322526A (zh) * 2016-08-31 2017-01-1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控制方法
CN106287975A (zh) * 2016-08-31 2017-01-0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25080A (zh) * 2016-08-31 2016-12-1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CN106225083A (zh) * 2016-08-31 2016-12-14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柜机的出风控制方法
WO2018045998A1 (zh) * 2016-09-12 2018-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CN109373558A (zh) * 2018-08-21 2019-02-22 高小军 一种柜式空调用挡风板
CN109373558B (zh) * 2018-08-21 2020-12-22 嘉兴市万荣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柜式空调用挡风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6834B1 (ko) 201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83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13484B1 (ko) 공기조화기
KR20240038662A (ko) 공기조화기
EP1607689B1 (en) Air conditioner
KR101191413B1 (ko) 멀티 토출형 공기조화기
KR101606006B1 (ko) 공기조화기
KR20170009701A (ko) 공기조화기
KR20090038555A (ko) 토출풍향 제어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39231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80121161A (ko) 공기조화기
KR20180039405A (ko) 공기조화기
KR10072746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50014293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00083911A (ko) 공기조화기
KR20040003730A (ko) 공기조화기
CN208536313U (zh) 空调室内机
KR102086376B1 (ko) 공기조화기
KR10134682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08629A (ko) 공기조화기
KR20080055454A (ko) 공기조화기
KR10140469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12876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04225736A (ja) 空気調和機
KR2005004762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H0914692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