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512Y1 -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 Google Patents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512Y1
KR200453512Y1 KR2020090007861U KR20090007861U KR200453512Y1 KR 200453512 Y1 KR200453512 Y1 KR 200453512Y1 KR 2020090007861 U KR2020090007861 U KR 2020090007861U KR 20090007861 U KR20090007861 U KR 20090007861U KR 200453512 Y1 KR200453512 Y1 KR 200453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ischarge direction
air flow
basket
ai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78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859U (ko
Inventor
문치영
Original Assignee
문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44785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53512(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문치영 filed Critical 문치영
Priority to KR20200900078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512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8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8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8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formed as perforated walls, ceilings or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플로어의 덕트를 이동하는 공기가 각 재실자의 공조취향에 맞게 기류의 토출방향이 조정된 바닥선회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공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는, 실내 바닥의 덕트에 설치된 지지링에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설치되는 선회취출판과, 상기 선회취출판의 하부에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와, 상기 선회취출판 및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의 하부에 공기가 통과하고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스켓부를 포함하는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선회취출판은 동심원을 이루는 슬롯링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제1 기류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는 선회취출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실내에 대한 공기의 토출 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기류 유도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스켓부는 공기의 통과량을 조절하고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2중 구조로 구비되는 내외부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VARIABLE DISCHARGE TYPE UNDERFLOOR SWIRL DIFFUSER}
본 고안은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로어의 덕트를 이동하는 공기가 각 재실자의 공조취향에 맞게 기류의 토출방향이 조정된 바닥선회취출구를 통해 실내에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공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있도록 하는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공기조화(空氣調和,Air- conditioning)장치는, 적합한 온도와 습도 및 청정도로 실내의 공기를 유지시키면서 각종 먼지나 유해가스를 여과한다.
특히, 실내 공기조화장치는 여름철의 냉방과 겨울철의 난방을 통하여 실내의 분위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실내의 공기조화를 위해서는, 공기를 필요에 따라 공조장치를 사용하여 냉온 공기를 조성하게 된다. 공조장치로 조성된 냉온 공기는, 공조장치의 송풍장치(도시 생략)에 의하여 덕트(Duct)를 통해 해당 실내로 송풍된다.
상기 덕트를 통해 송풍된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도록, 벽체나 천장 또는 바닥면에는 덕트와 연결되는 각종 형태의 공기배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냉온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배출구는, 벽체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벽체용 토출구와, 천장에 설치되어 하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천장용 토출구 및 바닥면에 설치되어 상부로 공기를 토출하는 바닥취출구로 구분할 수 있다.
종래의 공조시스템의 경우에는, 공조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건물천장의 덕트로부터 천장용 토출구를 통해 하향 공급되거나 배기되도록 하는 천장급기식 및 천장배기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상기 천장용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실내공기와 혼합된 후 천장에 있는 배기구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러나, 천장 상부로 이동된 실내의 혼탁한 공기는, 천장에서 토출되는 신선한 공기와 혼합되지만 전체적인 공기의 질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상기 혼탁한 공기는,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 사무기기 등에 의해 환기효율이 낮아짐에 따라 실내의 오염공기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장용 토출구 및 벽체용 토출구는, 실내로 공급되는 냉온 공기의 속도, 방향 및 풍량 등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공조장치를 별도로 조작해야 하고, 상부에 토출구가 설치된 경우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근래에는, 공조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건물의 바닥면에서 상향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바닥 공조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바닥 공조시스템은, 이중바닥 내부의 덕트를 통해 공기를 공급하고 바닥취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하는 방식이다.
바닥취출구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실내의 열을 흡수한 후 부양함으로써, 가온공기 층을 천정 주변에 형성하게 된다.
또한, 바닥취출구에서 토출된 공기는, 부양작용을 통해 실내의 기류를 천장측으로 유도하는 자연대류 현상을 일으킴에 따라,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단시간에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바닥 공조시스템은, 불필요한 열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고, 공조공기의 송풍에 따른 동력의 소모가 작기 때문에 천장이 높은 대형홀, 극장 및 교회 등에 적합하고, 실내구조 변경이나 부하의 특성변화에 대한 대응성이 우수하여 에너지 절약에 효과적이다.
상기한 바닥 공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에 설치되는 공조장치(4)를 구비한다.
상기한 공조장치(4)는 실내의 바닥부(6)에 구성된 덕트(8)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덕트(8)가 형성되는 바닥부(6)에는, 공기가 이동하여 실내로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배출구(11)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닥부(6)의 각 공기배출구(11)에는 공기가 용이하게 실내에 토출되도록 하는 바닥선회취출구(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천장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12)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닥선회취출구(10)는 실내의 바닥면인 바닥부(6)와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닥선회취출구(10)는 공기배출구(11)에 설치되는 지지링(14)을 구비한다. 상기한 지지링(14)에는 덕트(8)상에 배치되도록 다수의 블레이드(16)가 형성된 바스켓부(5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14)에 삽입된 바스켓부(54)의 상부에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 및 다수의 슬롯(20)이 형성된 선회취출판(22)이 설치된다.
이러한 바닥 공조시스템은 바닥선회취출구(10)를 통해 실내에 공기를 공급한다. 그런데, 실내의 공기온도가 바닥선회취출구(1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온도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공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냉방시에는 냉기의 특성을 감안하여 실내의 상부까지 냉기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수직으로 토출시키고, 난방시에는 온기의 특성을 감안하여 실내의 바닥에 온기가 넓게 확산될 수 있도록 수평으로 토출시켜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바닥선회취출구(10)는, 재실자 개인에 맞는 공조가 불가능하고 기류의 분산각도를 조절하기 어려우며, 공기의 유입 및 공기의 확산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공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공조효율의 저하는, 냉온 기류를 체감하기까지 공조장치를 오랜 시간 가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의 낭비 및 관리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로어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에 용이하게 확산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닥선회취출구가 설치되는 실내의 위치에 따라 공기의 토출 형태를 다양화할 수 있고, 개인의 공조 취향에 따라 토출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 공조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수평, 수직, 편각기류 형태로 토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에 대한 공조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는, 실내 바닥의 덕트에 설치된 지지링에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설치되는 선회취출판과, 상기 선회취출판의 하부에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와, 상기 선회취출판 및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의 하부에 공기가 통과하고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스켓부를 포함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선회취출판은 동심원을 이루는 슬롯링부를 연결하여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제1 기류 유도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는 선회취출판의 저면에 설치되고 실내에 대한 공기의 토출 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기류 유도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스켓부는 공기의 통과량을 조절하고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2중구조로 구비되는 내외부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회취출판은, 중심체와, 상기 중심체로부터 동심원상에 다수 배치된 링들로 형성되는 슬롯링부와, 상기 중심체에서 슬롯링부의 링들을 연결하고 기류의 통과를 안내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기류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1 기류 유도부는, 전면 및 후면이 일정 곡률로 경사지도록 비틀어지고 중심체측의 폭보다 외각 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대되는 유도체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중심체에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를 체결부재로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공과, 상기 제1 체결공의 일측에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를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회전조정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축공과 회전 안내용 장공이 중심에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중심으로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을 지나는 축선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기류 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2 기류 유도부는, 지지부와 동일한 수평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조절면과, 상기 수평조절면에서 하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조절면이 형성되는 기류 조절날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스켓부는, 실내 바닥의 덕트에 설치되는 지지링에 삽입되고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외부바스켓과, 상기 외부바스켓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외부바스켓에 삽입되는 내부바스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외부바스켓은, 먼지나 이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닥통과, 상기 바닥통의 상부 둘레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2열로 관통 형성되는 외측통기공과, 지지링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통기공들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내부바스켓은, 외부바스켓의 외측통기공들과 일치하도록 둘레에 형성되는 내측통기공들과, 상기 내측통기공들이 형성된 내부바스켓의 하단에 회전이 용이하도록 저면에 돌기가 형성되는 십자형의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회취출판에 형성되는 제1 기류 유도부의 유도체들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토출 방향을 용이하게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회취출판의 하부에 기류의 토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를 설치함으로써, 공기의 토출 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기류 유도부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를 실내의 조건에 따라 제2 기류 유도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의 덕트에 설치된 바스켓부를 이중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실내에 대한 공기의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냉온기류를 선회취출판 및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분산 및 확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에 설치된 선회취출판을 통해 실내에 공기를 다양한 형태로 토출시켜 공조효율이 향상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외에 설치되는 공조장치(4)를 구비한다.
상기한 공조장치(4)는, 실내의 바닥부(6)에 덕트(8)를 설치하여 공기가 실내에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덕트(8)가 형성되는 바닥부(6)에는, 공기가 실내에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공기배출구(11)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닥부(6)의 각 공기배출구(11)에는, 실내에 공기가 용이하게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가 설치된다. 그리고, 천장에는,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기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는, 실내의 바닥면인 바닥부(6)와 동일한 평면을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는, 공기배출구(11)에 설치되는 지지링(14)을 구비한다. 상기한 지지링(14)에는, 덕트(8)상에 배치되도록 다수의 블레이드(16)가 형성된 바스켓부(5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링(14)에 삽입된 바스켓부(54)의 상부에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 및 다수의 슬롯(20)이 형성된 선회취출판(22)이 설치된다.
상기한 일반적인 구조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의 특징부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는, 동심원을 이루는 슬롯링부(24)를 연결하고 방사형으로 제1 기류 유도부(26)들이 형성된 선회취출판(22)을 구비한다.
상기한 제1 기류 유도부(26)는, 전면 및 후면이 일정 곡률로 경사지도록 비틀어지고 중심체(28)에서 슬롯링부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폭이 확대되는 유도체(38)들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도체(38)들은, 중심체(28)에서 슬롯링부(24)의 링들을 연결하고 기류의 토출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류 유도부(26)에는, 유도체(38)들을 따라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슬롯(20)들이 형성된다. 상기 유도체(38)들은, 후술하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배치 간격과 동일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심체(28)에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체결부재(34)로 체결할 수 있도록 제1 체결공(34H)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공(34H)의 일측에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체결부재(36)로 체결하여 회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2 체결공(36H)이 형성된다.
체결부재(34)(36)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고정하거나 회전시키고자 할 때 조이거나 풀어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롯링부(24)는, 중심체(28)로부터 동심원상에 슬롯(20)이 형성되도록 크기가 다른 링들로 형성된다.
상기한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취출판(22)의 저면에 기류의 토출 타입을 제2 기류 유도부(40)에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구비한다.
상기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는, 중심 부분의 지지부(46)에 체결부재(34)가 관통하는 축공(42)과 회전 안내용 장공(44)이 형성된다.
또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류 유도부(40)를 형성하도록 중심에 위치하는 지지부(46)에 방사형으로 연결되는 제2 기류 유도부(40)가 형성된다.
상기한 제2 기류 유도부(40)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의 지지부(46)에 연결되는 가상의 축선(L)을 기준으로 절곡되는 기류 조절날개(48)들이 형성된다. 상기 기류 조절날개(48)는, 지지부(46)와 동일한 수평면에 형성되는 수평조절면(50)을 구비한다. 상기한 수평조절면(50)은, 공기가 수평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류 조절날개(48)에는, 수평조절면(50)에서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경사조절면(52)을 구비한다. 상기한 경사조절면(52)은, 바스켓부(54)를 통해 상승한 공기가 슬롯(20)을 통과하도록 안내한다.
또한, 상기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에 대한 공기의 토출량을 조절하고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덕트(8)에 설치되는 바스켓부(54)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스켓부(54)는, 덕트(8)의 공기배출구(11)에 지지링(14)으로 거치되어 설치되는 외부바스켓(56)을 구비한다. 상기한 외부바스켓(56)은, 먼지나 이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바닥통(58)이 형성된다.
상기한 외부바스켓(56)은, 바닥통(58)의 상부 둘레에 공기가 통과하는 외측통기공(60)들이 2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바스켓(56)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링(14)에 거치되도록 상단 둘레에 플랜지(62)가 형성되고 공기의 상승 유동이 용이하도록 외측통기공(60)들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스켓부(54)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바스켓(56)에 삽입되어 공기의 통과량을 조절할 수 있는 내부바스켓(64)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바스켓(64)은, 외부바스켓(56)의 외측통기공(60)들과 일치하는 내측통기공(65)들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바스켓(64)의 회전으로 개폐되는 외측통기공(60)은, 내측통기공(65)과 일치하는 정도에 따라 개구량이 조정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바스켓(64)의 하단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바스켓(64)을 회전시킬 때 외부바스켓(56)의 내부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프레임(68)의 저면에 돌기(66)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공조장치(4)의 작동으로 공기는,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실내 바닥의 덕트(8)를 통해 공급된다. 덕트(8)를 이동한 공기는, 덕트(8)의 공기배출구(11)에 설치된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를 통해 실내의 바닥에 토출된다.
즉,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에 도달한 공기는 덕트(8)상에 설치된 바스켓부(54)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공기는, 바스켓부(54)를 통과할 때 외부바스켓(56)의 외측통기공(60) 및 내부바스켓(64)의 내측통기공(65)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내부바스켓(64)을 회전시켜 외측통기공(60)을 막으면, 공기는 바스켓부(54)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차단되기 때문에 실내로 토출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통기공(60)(65)을 통과한 공기는, 바스켓부(54)내에서 상승하여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하부에 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공기는 경사조절면(52)과 수평조절면(50)으로 형성된 기류 조절날개(48)들의 안내를 받아 선회취출판(22)의 슬롯(20)들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슬롯링부(24)의 슬롯(20)을 통과하는 공기는, 경사지고 방사형으로 형성된 유도체(38)의 안내를 받아 실내로 토출된다.
상기한 선회취출판(22)을 통과하는 공기는, 유도체(38)의 하부에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가 어느 위치에 위치하느냐에 따라 수평 기류, 수직 기류 및 편각 기류 상태로 실내에 토출된다.
상기한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를 통과해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조절에 따라 수평기류, 수직기류 및 편각기류 형태로 실내에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조정을 통한 수평기류, 수직기류 및 편각기류의 형성방법을 설명한다.
<수평기류 형성방법>
수평기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44)측의 'H'표시가 체결부재(36)에 위치하도록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회전으로 선회취출판(22)에 표시된 P2 위치에 'W3'으로 표시된 기류 조절날개(48)의 끝단부분을 일치시킨다.
상기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조정을 통해 수평기류가 토출될 수 있도록 조정하면, 바스켓부(54)의 통기공(60)(65)들을 통과한 공기는, 기류 조절날개(48)의 경사조절면(52)과 수평조절면(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기류 조절날개(48)를 따라 이동한 공기는, 유도체(38)와 경사조절면(52)사이의 수평배출경로(HL)에 있는 슬롯(20)들을 통과한 후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수평배출경로(HL) 상의 슬롯(20)들을 통과하는 공기는, 유도체(38)와 수평조절면(50) 사이를 통과해 실내의 바닥에 수평기류 상태로 토출됨으로써, 실내의 바닥에 토출 공기층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배출경로(HL)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토출시 소용돌이를 일으켜 바닥공기와 용이하게 섞임으로써 바닥에 넓게 확산된다.
삭제
또한, 상기 수평배출경로(HL)를 통해 토출되는 수평기류(Ha)는, 온기를 바닥에 넓게 퍼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겨울철 난방시 실내의 바닥 공기를 쾌적하게 할 수 있다.
삭제
<수직기류 형성방법>
수직기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44)측의 'V'표시가 체결부재(36)에 위치하도록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회전시킨다.
상기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회전으로 선회취출판(22)에 표시된 P1 위치에 'W2'로 표시된 기류 조절날개(48)의 중간부분을 일치시킨다.
상기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조정을 통해 수직기류가 토출되도록 하면, 바스켓부(54)의 통기공(60)(65)들을 통과한 공기는, 선회취출판(22)의 유도체(38)를 가리고 있는 수평조절면(50)과 경사조절면(52)의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배출경로(VL)를 통과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수직배출경로(VL)상의 슬롯(20)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는, 확보된 수직배출경로(VL)를 따라 수직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수직배출경로(VL)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는, 실내에 수직으로 배출됨으로써, 실내의 상부까지 빠르게 도달되고 확산된다.
이러한 수직기류(Va)는, 여름철 실내의 상부에 형성되는 더운 공기와 냉기가 용이하게 혼합되도록 함으로써,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편각기류 형성방법>
편각기류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 조절날개(48) 및 수직기류 조절날개(48a)를 함께 형성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가 사용된다.
상기한 기류 조절날개(48) 및 수직기류 조절날개(48a)가 함께 형성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는, 수평배출경로(HL) 및 수직배출경로(VL)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사용하면, 수평기류(Ha)와 수직기류(Va)가 동시에 토출되기 때문에 편각기류를 토출시킬 수 있다.
먼저, 장공(44)측의 'H' 표시가 체결부재(36)에 위치하도록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회전시킨다.
삭제
상기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회전으로 선회취출판(22)에 표시된 P2 위치에 'W3'으로 표시된 기류 조절날개(48)의 끝단부분을 일치시킨다.
기류 조절날개(48)의 'W3' 표시부분이 선회취출판(22)의 P2에 위치할 때, 기류 조절날개(48)의 반대측에 형성된 수직기류 조절날개(48a)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W4'로 표시된 수평 조절면(50)이 선회취출판(22)의 P3에 위치하게 된다.
삭제
즉, 상기 기류 조절날개(48)는 수평기류(Ha)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기류 조절날개(48a)는 수직기류(Va)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기류 조절날개(48) 및 수직기류 조절날개(48a)는, 수평배출경로(HL)와 수직배출경로(VL)를 확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기류(Ha)는 상기 기류 조절날개(48)에 의하여 확보된 수평배출경로(HL)를 통해서 토출되고, 상기 수직기류(Va)는 상기 수직기류 조절날개(48a)에 의하여 확보된 수직배출경로(Va)를 통해서 토출된다.
상기한 수평기류(Ha) 및 수직기류(Va)가 하나의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에 형성된 기류 조절날개(48) 및 수직기류 조절날개(48a)를 통해 동시에 토출되기 때문에,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10)의 상부에는 편각기류(HVa)가 발생된다.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는, 실내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구비한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는, 실내 공기의 변동에 따라 기류의 토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조성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공조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선회취출판에 구비된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의 조정을 통하여 공기를 수평, 수직, 편각기류 형태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내공기의 유인 및 공기의 확산을 통해 실내의 공조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있도록 한 것으로, 바닥 공조장치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바닥 공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선회취출판과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공기가 도 2에 나타낸 선회취출판 및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를 통해 수평으로 토출됨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공기가 도 2에 나타낸 선회취출판 및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를 통해 수직으로 토출됨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의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에 수직기류 조절날개를 더 형성하여 편각 기류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덕트(Duct) 14: 지지링(Ring)
22: 선회취출판 24: 슬롯링(Slot Ring)부
26: 제1 기류 유도부 32: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
38: 유도체 54: 바스켓부
40: 제2 기류 유도부 48: 기류 조절날개
50: 수평조절면 52: 경사조절면
56: 외부바스켓(Basket) 64: 내부바스켓

Claims (9)

  1. 실내 바닥의 덕트(8)에 설치된 지지링(14)에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설치되는 선회취출판(22)과, 상기 선회취출판(22)의 하부에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와, 상기 선회취출판(22) 및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의 하부에 공기가 통과하고 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스켓부(54)를 포함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에 있어서,
    상기 선회취출판(22)은, 동심원을 이루는 슬롯링부(12)를 연결하고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제1 기류 유도부(26)를 구비하고,
    상기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는, 선회취출판(22)의 저면에 설치되고 실내에 대한 공기의 토출 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기류 유도부(40)를 구비하며,
    상기 바스켓부(54)는, 공기의 통과량을 조절하고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2중구조로 구비되는 내외부바스켓(64)(5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취출판(22)은, 중심체(28)와, 상기 중심체(28)로부터 동심원상에 다수 배치된 링들로 형성되는 슬롯링부(24)와, 상기 중심체(28)에서 슬롯링부(24)의 링들을 연결하고 기류의 통과를 안내하도록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제1 기류 유도부(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체(28)에는,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체결부재(34)로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 체결공(34H)과, 상기 제1 체결공(34H)의 일측에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를 체결부재(36)로 체결하여 회전을 조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체결공(36H)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류 유도부(26)는, 전면 및 후면이 일정 곡률로 경사지도록 비틀어지고 중심체(28)측의 폭보다 외각 측으로 갈수록 폭이 확대되는 유도체(38)들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토출방향 조절날개(32)는, 체결부재(34)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축공(42)과 회전 안내용 장공(44)이 중심에 형성되는 지지부(46)와, 상기 지지부(46)를 중심으로 두고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중심을 지나는 축선(L)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 기류 유도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류 유도부(40)는, 지지부(46)와 동일한 수평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수평조절면(50)과, 상기 수평 조절면(50)에서 하측 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조절면(52)이 형성되는 기류 조절날개(48)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부(54)는, 실내 바닥의 덕트(8)에 설치되는 지지링(14)에 삽입되고 공기가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외부바스켓(56)과, 상기 외부바스켓(56)을 통과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바스켓(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바스켓(56)은, 먼지 및 이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바닥통(58)과, 상기 바닥통(58)의 상부 둘레에 공기가 통과하도록 2열로 형성되는 외측통기공(60)과, 지지링(14)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통기공(60)들의 상부 둘레에 형성되는 플랜지(6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바스켓(64)은, 외부바스켓(56)의 외측통기공(60)들과 일치하도록 둘레에 형성되는 내측통기공(65)들과, 상기 내측통기공(65)들이 형성된 하단 중심에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돌기(66)가 저면에 형성되는 십자형의 지지프레임(6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출 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KR2020090007861U 2009-06-18 2009-06-18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KR200453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861U KR200453512Y1 (ko) 2009-06-18 2009-06-18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7861U KR200453512Y1 (ko) 2009-06-18 2009-06-18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59U KR20100012859U (ko) 2010-12-28
KR200453512Y1 true KR200453512Y1 (ko) 2011-05-09

Family

ID=44478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7861U KR200453512Y1 (ko) 2009-06-18 2009-06-18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51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19710A1 (de) * 2012-10-08 2014-04-10 Gea Air Treatment Gmbh Decken- oder Wandgerät zum Einbringen gekühlter oder erwärmter Luft in einen Raum
US10365006B2 (en) * 2013-10-08 2019-07-30 Airfixture, Llc Air diffuser with manual and motorized pla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33U (ja) * 1991-07-11 1993-02-05 株式会社ゼクセル 吹出口ユニツトのシヤツター装置
KR19990002313A (ko) * 1997-06-19 1999-01-15 유성용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0854760B1 (ko) * 2007-05-30 2008-08-27 황성철 바닥용 선회 취출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333U (ja) * 1991-07-11 1993-02-05 株式会社ゼクセル 吹出口ユニツトのシヤツター装置
KR19990002313A (ko) * 1997-06-19 1999-01-15 유성용 바닥분출 공조 시스템의 급기장치
KR100854760B1 (ko) * 2007-05-30 2008-08-27 황성철 바닥용 선회 취출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859U (ko) 2010-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52786A1 (en) Ventilator system for recirculation of air and regulating indoor air temperature
CN110160149A (zh) 一种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控制方法
JP2007163097A (ja) 気流拡散装置(拡散扇)及び空気調和機
CN105864899A (zh) 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2009192137A (ja) 風向変更装置
KR100943859B1 (ko) 풍량조절구가 구비된 바닥 공조용 취출구
KR101159249B1 (ko) 천장형 제트공조장치
KR100854760B1 (ko) 바닥용 선회 취출구
KR200453512Y1 (ko) 토출방향 조절 바닥선회취출구
JP4942619B2 (ja) 吹出口装置
CN105674465A (zh) 一种可调节诱导式新风系统的出风装置
CN106225077B (zh) 一种空调室内机及其控制方法
KR101204305B1 (ko) 바닥용 디퓨저
KR200458718Y1 (ko)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CN106288275B (zh) 空调器
KR100729801B1 (ko) 바닥용 디퓨져
KR100487977B1 (ko) 자연풍 냉온풍시스템
KR100611881B1 (ko) 실내공조용 취출구의 송풍베인
CN111609505A (zh) 一种新风机
JPH10300181A (ja) 吹出口
JP2002243186A (ja) 天井設置型空気調和機
JPH10110967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3287000A (ja) 多機能送風機
JP3456448B2 (ja) 竜巻気流発生装置
JPH10132311A (ja) 4方向吹出形空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5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31016

Effective date: 201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