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894B1 -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894B1
KR101426894B1 KR1020140051310A KR20140051310A KR101426894B1 KR 101426894 B1 KR101426894 B1 KR 101426894B1 KR 1020140051310 A KR1020140051310 A KR 1020140051310A KR 20140051310 A KR20140051310 A KR 20140051310A KR 101426894 B1 KR101426894 B1 KR 101426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sleeve
vertical exhaust
vertical
air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269A (ko
Inventor
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
Priority to KR1020140051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8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92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used with 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or with reduction pieces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바닥 슬랩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체결되는 수직배기관과 수직배기관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에 밀착 삽입됨으로 방화구획을 온전히 밀폐하는 연결밀폐부재를 제공하되, 상기 연결밀폐부재의 외주면 일정위치에 링형상의 홈부를 형성하고 내열 및 내화 밀폐링을 결합시켜 밀폐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상하로 삽출될 수 있는 유격이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현장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는 수직배기관(30)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으로 상기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30)의 내측으로 밀착 삽입가능한 외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단에만 외측으로 절곡된 일정길이의 제2 플랜지부(11)가 형성되는 연결밀폐부재(1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밀폐부재(10)의 하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리브(20)를 밀착 관통하여 하층(下層) 수직배기관(30)의 상단 내측에 밀착 삽입되고 연결밀폐부재(10)의 제2 플랜지부(11)는 본층(本層) 수직배기관(30)의 하단의 제1 플랜지부(31)와 단부체결수단(4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2개의 수직배기관(30)를 슬리브(20)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체결함과 동시에 관통시 슬리브(20)와의 틈새를 밀착하여 층간 방화구획을 온전히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Vertical Exhaust Pipe in Dry-type Air duct System with the function of Easy Installation and Easy Fireproof Sealing}
본 발명은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 슬랩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체결되는 수직배기관과 수직배기관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에 밀착 삽입됨으로 방화구획을 온전히 밀폐하는 연결밀폐부재를 제공하되, 상기 연결밀폐부재의 외주면 일정위치에 링형상의 홈부를 형성하고 내열 및 내화 밀폐링을 결합시켜 밀폐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상하로 삽출될 수 있는 유격이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현장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아파트, 다세대, 다가구와 같은 다층 공동주택에는 각 세대별 주방과 욕실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배기가스를 배출하고자 다수의 수직배기관(130)을 바닥 슬랩 콘크리트(A)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체결하고 각 세대로부터 배출된 공기를 유입하여 수직배기관의 상단에 설치된 배기용 타공판(160)과 무동력 배기휀(16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Dry-type air duct system)이 설치된다.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101)은 주택의 평균수명을 20~30년으로 규정할 경우 주방 및 욕실의 고온 다습한 배기가스에 의한 부식을 고려하여 갈바륨(알루미늄 아연도금) 소재를 이용하여 수직배기관을 제작하여 이용하는데, 1400~2800mm 정도의 길이와 0.5~0.6t의 두께를 갖는 재료를 절단후 원형으로 가공하여 스팟용접(SPOT WELDING)으로 제작하게 되면 힘이 없고 형상을 계속 유지할 수 없어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일정두께만큼 겹쳐 시임접합방법(SEAM WELDING)으로 제작되는 원형 스파이럴 덕트(SPIRAL DUCT)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스파이럴 덕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크기의 덕트를 관구경의 제한이 없이 튼튼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a는 종래 이러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101)의 수직배기관은 일측에 새들(SADDLE)이 형성된 상부 수직배기관(130a1,130b1)과, 원형 중공관 형상의 하부 수직배기관(130b2,103c2)으로 구성되며, 바닥 슬랩 콘크리트(A)를 관통하도록 매립된 슬리브(120a,120b)를 통하여 하층(下層)으로부터 하층 상부 수직배기관(130a1)의 상단을 들어올려 하층 상부 수직배기관(130a1)의 상부를 관지지구(150)를 이용하여 압착하고 슬리브(120a)에 안착시켜 위치를 고정하고 본층(本層) 하부 수직배기관(130b2)의 하단을 하층 상부 수직배기관(130a1)의 상단에 맞추어 올려놓는 모습이고, 도 2b는 하층 상부 수직배기관(130a1)의 상단 플랜지부와 본층 하부 수직배기관(130b2)의 하단 플랜지부를 V밴드(14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본층 하부 수직배기관(130b2)의 상단에 본층 상부 수직배기관(130b1)을 안착하는 모습이고, 도 2c는 본층 하부 수직배기관(130b2)의 플랜지부와 본층 상부 수직배기관(130b1)의 플랜지부를 V밴드(140)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상기 본층 상부 수직배기관(130b1)의 상단에 상층(上層) 하부 수직배기관(130c2)의 하단을 올려놓는 모습이며, 도 2d는 상기 본층 상부 수직배기관(130b1)의 상단과 상층 하부 수직배기관(130c2)의 하단을 V밴드(140)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서는 플랜지부가 형성된 상부 수직배기관(130a1,130b1)의 상단이 슬리브(120a,120b)를 관통하여야 하기 때문에, 슬리브(120a,120b)의 관경은 통상 상부 수직배기관(130a1,130b1)의 플랜지부가 관통될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부 수직배기관(130a1,130b1)의 관경이 200mm인 경우 10mm의 플랜지부를 포함하면 220mm이고, 슬리브(120a,120b)의 관경은 230mm인 것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슬리브(120a,120b)와 수직배기관(130)의 사이 틈새는 양측에 15mm 정도의 큰 틈새가 발생되어 방화시 하층의 유독가스와 화염이 상층으로 유도되는 통로로 사용되기에 충분하여 층간 방화구획으로 구분하고 내열 및 내화 소재의 실란트 또는 백업제를 이용하여 틈새를 밀폐하는 작업을 별도로 하고 있는데 틈새가 워낙 넓어 메움제로 사용된 실란트 또는 백업제로도 온전한 밀폐가 용이치 않고 작업자로 하여금 상당히 불편한 작업을 요구하며 상술한 별도의 부자재로 인한 설비 원가 상승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근래들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120b)의 내측에 받침턱(122)을 형성하여 스파이럴 수직배기관(130c2)의 하단을 안착시킬 수 있는 슬리브(120b)가 개시되었는데, 슬리브(120b)의 상,하부에 삽입되는 수직배기관(130b1,130c2)과 슬리브(120b) 사이의 틈새가 전혀 없는 것처럼 밀착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작업현장에서 채택되고 있는 스파이럴 수직배기관(130)은 제작구조상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파이럴 시임 접합부가 양측에 10mm의 돌출부인 락심(LOCK SEAM)이 형성되므로, 스파이럴 수직배기관(13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120a,120b)에 밀착될 수 없으며, 수직배기관(130)과 슬리브(120a,120b) 사이에는 나선 형태의 틈새가 발생되는데, 이것을 무시하고 밀폐하지 않으면 화재시 유독가스와 화기가 그대로 상층으로 전달되는 문제점과 나선형 틈새를 내열 및 내화 실란트 또는 충진재로 메움하는 작업은 일반적인 메움보다 더 불편하고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와 근래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는 다수의 V밴드(140)를 이용하여 체결함으로써 연결되어 많은 부품의 수직배기관(130)과 V밴드(140)를 사용하고 있어 작업시간 및 작업량이 많아져 작업성이 저하되고 인건비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과, 방화구획 밀폐를 위한 틈새가 넓어 많은 량의 내열 및 내화 실란트 또는 충진재를 사용함으로 자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는 층고(層高)가 설계대로 일정할 것으로 판단하고 상부 및 하부 수직배기관(130a1,130b1,130b2,130c2)을 일괄 제작하게 되면, 실제 현장에서 층고(層高)가 각 층마다 많게는 20~30mm 차이가 있는데 오차에 대하여 수용할 수 있는 부분이 없으므로 미리 제작해온 하부 수직배기관(130b2,130c2)을 사용하지 못하고 현장에서 수정작업을 하거나 공장에서 다시 제작하여 운반하여 설치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바닥 슬랩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체결되는 수직배기관과 수직배기관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에 밀착 삽입됨으로 방화구획을 온전히 밀폐하는 연결밀폐부재를 제공하되, 상기 연결밀폐부재의 외주면 일정위치에 링형상의 홈부를 형성하고 내열 및 내화 밀폐링을 결합시켜 밀폐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상하로 삽출될 수 있는 유격이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현장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 층의 슬랩 콘크리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매립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의 슬리브와, 각 층의 오염된 공기를 상층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통하여 연통되어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의 둘 이상의 스파이럴 수직배기관와, 상기 수직배기관의 단부를 상호 체결하는 단부체결수단과, 상기 수직배기관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하중을 각 층에 분산시키는 관지지구를 포함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는 수직배기관(30)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으로 상기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30)의 내측으로 밀착 삽입가능한 외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단에만 외측으로 절곡된 일정길이의 제2 플랜지부(11)가 형성되는 연결밀폐부재(1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밀폐부재(10)의 하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리브(20)를 밀착 관통하여 하층(下層) 수직배기관(30)의 상단 내측에 밀착 삽입되고 연결밀폐부재(10)의 제2 플랜지부(11)는 본층(本層) 수직배기관(30)의 하단의 제1 플랜지부(31)와 단부체결수단(4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2개의 수직배기관(30)를 슬리브(20)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체결함과 동시에 관통시 슬리브(20)와의 틈새를 밀착하여 층간 방화구획을 온전히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밀폐부재(10)는,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링홈(12)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링홈(12)에 안착되어 슬리브(20)의 내주면 또는 수직배기관(3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밀폐링(13)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밀폐부재(10)는, 중공관 형상을 유지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형상유지홈(1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화구획 밀폐와 설치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1)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구(50)는, 슬리브(20)의 상면과 접하면서 연결밀폐부재(10)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결합되거나, 슬리브(20)의 저면과 접하면서 하층 수직배기관(30)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결합되거나, 양측 모두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화구획 밀폐와 설치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1)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밀폐부재(10)는, 슬리브(20)의 상단 연결밀폐부재(10)와의 밀착부에 내열 및 내화 실란트를 도포할 수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바닥 슬랩 콘크리트에 매립되는 슬리브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체결되는 수직배기관과 수직배기관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에 밀착 삽입됨으로 방화구획을 온전히 밀폐하는 연결밀폐부재를 제공하되, 상기 연결밀폐부재의 외주면 일정위치에 링형상의 홈부를 형성하고 내열 및 내화 밀폐링을 결합시켜 밀폐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고 상하로 삽출될 수 있는 유격이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현장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을 보이는 개략도
도 2 는 종래의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시공순서를 보이는 개략도
도 3 은 도 1의 부분 확대도
도 4 는 근래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도 5 는 시방서에서 발췌된 스파이럴 수직배기관의 규격
도 6 은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7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연결밀폐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이는 정면 및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적용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을 보이는 개략도
도 9 는 본 발명을 적용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연결밀폐부재와 슬리브 및 수직배기관의 연결부를 보이는 요부 확대도
도 10,1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시공순서를 보이는 개략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에 사용되던 슬리브(20)와, 스파이럴 수직배기관(30)과, 단부체결수단(40)과, 관지지구(50)를 변형하고, 이에 락심이 있는 수직배기관(30)들 사이를 용이하게 연결하면서 위치를 고정하고 동시에 슬리브(20) 내측에 밀착함으로 방화구획을 밀폐하는 연결밀폐부재(10)를 제공하게 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1)
먼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30)은 동일한 내경을 갖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각 층의 수직배기관(30)은 슬리브(20)를 통하여 관통될 수 없는 새로운 형태의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30)이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슬리브(20)는 각 층의 슬랩 콘크리트(A)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매립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이되, 수직배기관(30)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하단에 외측으로 절곡된 일정길이의 플랜지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배기관(30)은 종래와 같이 일측에 새들(SADDLE)이 형성된 상부 수직배기관(130a1,130b1)과 원형 중공관 형상의 하부 수직배기관(130b2,130c2)이 아니라, 상부 및 하부 수직배기관이 일체로 통합된 새들이 형성된 1개의 수직배기관(30a,30b,30c)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하부 수직배기관(130b2,130c2)은 현장상황에 따라 오차가 심한 층고 오차에 따라 현장에서 길이가 다른 여러 개의 하부 수직배기관을 대체하면서 설치하기 위하여 상부와 하부 2개의 수직배기관(130a1,130b1,130b2,130c2)으로 분리하여 제작해온 것인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층고 오차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인하여 새들이 형성된 1개의 수직배기관(30a,30b,30c)으로 시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2개의 수직배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자재 및 작업인력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단부체결수단(40)과 관지지구(50)는 종래에 널리 사용되는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부가하여 도 7(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1의 연결밀폐부재(10)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으로 상단에만 외측으로 절곡된 일정길이의 제2 플랜지부(11)가 형성되는 단순한 구조로 제작된다.
그러나, 연결밀폐부재(10)는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30) 내부에 삽입연결이 원활하도록 외주면을 매끈하게 제작하여 상기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30)의 내측으로 밀착 삽입가능한 외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슬리브(20)를 관통하여 수직배기관(30)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수직배기관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 슬리브(20a)의 저면에 하층(下層) 수직배기관(30a)의 상단면이 밀착되도록 위치시키고 실시예1의 연결밀폐부재(10)를 바닥 슬리브(20a)의 상측에서 관통되어 하층 수직배기관(30a)의 상부 내측에 삽입시킨다.
상기 연결밀폐부재(10)는 슬리브(20a)를 관통시 밀착 관통되면서 하층 수직배기관(30a)에도 밀착 삽입되는데, 연결밀폐부재(10)의 삽입만으로 하층 수직배기관(30a)의 상부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 도 10(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층(本層) 수직배기관(30b)을 운반하여 바닥 슬리브(20a)에 삽입된 연결밀폐부재(10)를 상측으로 인출하여 연결밀폐부재(10)의 제2 플랜지부(11)와 본층 수직배기관(30b)의 하부 제1 플랜지부(21b2)를 단부체결수단(40)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일체로 형성한다.
다음, 도 1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층 수직배기관(30b)이 천장 슬리브(20b) 저면에 밀착되도록 연결밀폐부재(10)를 더 상측으로 인출하고 바닥 슬리브(20a)의 상면과 접하면서 연결밀폐부재(10)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관지지구(50)를 결합함으로 본층 수직배기관(30b)과 연결밀폐부재(10)를 동시에 위치고정하게 된다.
물론, 상기 관지지구(50)는 본층 수직배기관(30b)과 연결밀폐부재(10)의 하중을 본층에서 지지하도록 분산시키는 역할도 동시에 하게 된다.
상기 관지지구(50)는, 슬리브(20)의 상면과 접하면서 연결밀폐부재(10)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결합되거나, 슬리브(20)의 저면과 접하면서 하층 수직배기관(30a)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결합되거나, 양측 모두에 결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밀폐부재(10)가 슬리브(20)에 삽입된 부위에 내열 및 내화 실란트 또는 충진재를 이용하여 도포하면 완전히 밀폐되어 만약을 위한 유독가스의 전달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밀폐할 틈새가 거의 없어 사용되는 실란트 또는 충진재의 량이 매우 소량이므로 원가절감 효과가 높아짐을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층 수직배기관(30b)과 일체로 된 연결밀폐부재(10)가 바닥 슬리브(20a)로부터 삽출가능한 구조로 인하여 실제 현장에서 발생되는 층고 오차를 수용할 수 있게 됨으로 각 층마다 다른 길이의 수직배기관을 가지고 다니면서 오차에 따라 바꾸어 설치하거나 공장에서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고 모든 층에 대하여 일괄적으로 제작할 수 있어 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이에 따른 자재의 손실이 없고 작업능률이 월등히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 때, 상층에 다른 작업자는 천장 슬리브(20b)를 통하여 연결밀폐부재(10)를 삽입하여 본층 수직배기관(30b)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시켜 본층 수직배기관(30b)의 상부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다음, 도 11(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운반된 상층 수직배기관(30c)의 하단과 체결하고자 천장 슬리브(20b)로부터 연결밀폐부재(10)를 상측으로 인출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하 본층과 동일한 작업이 반복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락심이 없는 연결밀폐부재(10)를 이용하여 슬리브(20)를 밀착 관통하고 수직배기관(30)의 상부에 삽입되어 수직배기관(30)의 상부를 위치고정함과 동시에 연결밀폐부재(10)의 상단과 수직배기관(30)의 하단을 체결하고 슬리브(20)로부터 층고 오차를 수용할 정도로 인출한 뒤 관지지구(50)로 고정함으로써 종래 2개를 사용하던 수직배기관을 1개만을 사용하여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간편하며 공장에서 동일한 길이로 일괄 제작할 수 있는 방화구획 밀폐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과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고,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밀폐부재(10)의 외주면 일정위치에 오목하게 하나 이상의 밀폐링홈(12)을 형성하고 이에 밀폐링(13)을 결합한 것만 차이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밀폐부재(10)는,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링홈(12)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링홈(12)에 안착되어 슬리브(20)의 내주면 또는 수직배기관(3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밀폐링(13)이 결합된다. 상기 밀폐링(13)의 단면형상은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에 속한다.
상기 밀폐링(13)은, 탄소질 결합계를 갖는 내화혼합물, 탄소결합 알루미나 내화재, 알루미나, 그래파이트, 실리카-알루미나와 같은 내열 및 내화 성질을 갖는 소재를 포함하여 제작하거나 외면에 도포하여 사용한다.
도 7(b)에서는 슬리브(20)의 내주면에만 밀착되어 밀폐하도록 밀폐링홈(12)과 밀폐링(13)을 중앙에 1개 설치하였으나, 상하측 일정위치에 2개 설치함으로 하나는 슬리브(2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밀폐하고 다른 하나는 수직배기관(3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밀폐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2의 연결밀폐부재(10)를 이용한 수직배기관 연결과정은 실시예1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실시예2의 연결밀폐부재(10)를 이용시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밀폐링(13)으로 인하여 연결밀폐부재(10)의 외주면과 슬리브(20) 및 수직배기관(30)의 내주면 사이가 온전히 밀착됨으로써 유독가스나 화염이 전파될 가능성이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내열 및 내화 실란트 또는 충진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원가절감 및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3)
상기 실시예1,2와 나머지 구성요소는 동일하고, 도 7(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2와 같이 밀폐링홈(12)과 밀폐링(13)을 결합되고, 이에 부가하여 외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하나 이상의 형상유지홈(14)이 형성되는 것만 차이가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연결밀폐부재(10)는,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링홈(12)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링홈(12)에 안착되어 슬리브(20)의 내주면 또는 수직배기관(3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밀폐링(13)이 결합되고, 중공관 형상을 유지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형상유지홈(14)이 형성된다.
실시예3의 연결밀폐부재(10)는 실시예2의 장점을 모두 수용하면서 이에 부가하여 스파이럴 시임용접을 사용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취약해질 수 있는 형상유지를 위한 보완을 제공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밀폐부재(10)의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형상유지홈(14)으로 인하여 원래 제작된 형상을 유지하도록 보완하게 된다. 그 외 수직배기관 연결과정 및 장점은 실시예1,2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슬랩 콘크리트 1: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 10: 연결밀폐부재
11: 제2 플랜지부 12: 밀폐링홈 13: 밀폐링
14: 형상유지홈 20: 슬리브 20a: 바닥 슬리브
20b: 천장 슬리브 30: 수직배기관 31: 제1 플랜지부
30a: 하층 수직배기관 30b: 본층 수직배기관
30c: 상층 수직배기관 40: 단부체결수단 50: 관지지구
60: 배기용 타공판 62: 무동력 배기휀

Claims (5)

  1. 각 층의 슬랩 콘크리트를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매립되어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의 슬리브와, 각 층의 오염된 공기를 상층으로 배출하도록 상기 슬리브를 통하여 연통되어 설치되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 형상의 둘 이상의 스파이럴 수직배기관와, 상기 수직배기관의 단부를 상호 체결하는 단부체결수단과, 상기 수직배기관의 위치를 고정하면서 하중을 각 층에 분산시키는 관지지구를 포함하는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는 수직배기관(30)와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며;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관으로 상기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30)의 내측으로 밀착 삽입가능한 외경으로 일정길이 형성되고 상단에만 외측으로 절곡된 일정길이의 제2 플랜지부(11)가 형성되는 연결밀폐부재(10)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밀폐부재(10)의 하부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슬리브(20)를 밀착 관통하여 하층(下層) 수직배기관(30)의 상단 내측에 밀착 삽입되고 연결밀폐부재(10)의 제2 플랜지부(11)는 본층(本層) 수직배기관(30)의 하단의 제1 플랜지부(31)와 단부체결수단(40)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2개의 수직배기관(30)를 슬리브(20)를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체결함과 동시에 관통시 슬리브(20)와의 틈새를 밀착하여 층간 방화구획을 온전히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밀폐부재(10)는,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밀폐링홈(12)을 형성하고 상기 밀폐링홈(12)에 안착되어 슬리브(20)의 내주면 또는 수직배기관(3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밀폐링(13)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밀폐부재(10)는, 중공관 형상을 유지하도록 외주면을 따라 링형상으로 오목하게 성형되는 하나 이상의 형상유지홈(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지지구(50)는, 슬리브(20)의 상면과 접하면서 연결밀폐부재(10)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결합되거나, 슬리브(20)의 저면과 접하면서 하층 수직배기관(30)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결합되거나, 양측 모두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밀폐부재(10)는, 슬리브(20)의 상단 연결밀폐부재(10)와의 밀착부에 내열 및 내화 실란트를 도포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1020140051310A 2014-04-29 2014-04-29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101426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310A KR101426894B1 (ko) 2014-04-29 2014-04-29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310A KR101426894B1 (ko) 2014-04-29 2014-04-29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269A KR20140092269A (ko) 2014-07-23
KR101426894B1 true KR101426894B1 (ko) 2014-08-06

Family

ID=5173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310A KR101426894B1 (ko) 2014-04-29 2014-04-29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89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15A (ko) 2014-11-28 2016-06-08 (주)선주에어테크 에어덕트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KR101737582B1 (ko) 2015-04-22 2017-05-18 강진석 방화 슬리브형 환기 시스템
KR20220069512A (ko) 2020-11-20 2022-05-27 고의환 화염 및 연기 차단기능을 갖는 에어덕트용 수직배기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773B1 (ko) * 2014-10-14 2016-03-11 (주)상신엔지니어링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135A (ja) * 1995-05-18 1996-11-26 Takasago Thermal Eng Co Ltd 建築用スリーブ
JPH0913668A (ja) * 1995-07-03 1997-01-14 Taikisha Ltd 建築用スリーブ
KR101127903B1 (ko) 2009-10-01 2012-03-21 (주)대양기연 슬리브를 덕트구조로 사용하는 환기덕트 시공방법
KR101347079B1 (ko) 2013-09-13 2014-01-06 (주)대양기연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2135A (ja) * 1995-05-18 1996-11-26 Takasago Thermal Eng Co Ltd 建築用スリーブ
JPH0913668A (ja) * 1995-07-03 1997-01-14 Taikisha Ltd 建築用スリーブ
KR101127903B1 (ko) 2009-10-01 2012-03-21 (주)대양기연 슬리브를 덕트구조로 사용하는 환기덕트 시공방법
KR101347079B1 (ko) 2013-09-13 2014-01-06 (주)대양기연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15A (ko) 2014-11-28 2016-06-08 (주)선주에어테크 에어덕트용 슬리브 및 이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KR101737582B1 (ko) 2015-04-22 2017-05-18 강진석 방화 슬리브형 환기 시스템
KR20220069512A (ko) 2020-11-20 2022-05-27 고의환 화염 및 연기 차단기능을 갖는 에어덕트용 수직배기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269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6271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101426894B1 (ko)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KR101480792B1 (ko)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101347079B1 (ko)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US112369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furnace sealing
KR101529144B1 (ko)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BRPI0708450A2 (pt) dispositivo de vedação para entrada de gás num forno ou congêneres
KR101648312B1 (ko) 단열 연도 조립체
KR200438815Y1 (ko) 수직배기덕트 연결 및 지지겸용 밴드
CN208169710U (zh) 新型定位封堵水管钢套管
KR200457298Y1 (ko) 배관용 기밀 슬리브
KR101480879B1 (ko)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JP2018127766A (ja) 管継手および脚部継手
KR101737582B1 (ko) 방화 슬리브형 환기 시스템
KR20100085575A (ko) 에어 덕트
JP2019128039A (ja) フロアまたは壁を貫通するパイプのためのベローズシール
JP2018185051A (ja) 石油/化学流体圧送装置のためのドレイン・ベント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CN218494395U (zh) 一种耐高温橡胶密封件
WO2018218782A1 (zh) 内置密封式连接单元、组件及管路系统
JP4682679B2 (ja) 管路接続構造
JP7432236B2 (ja) フランジ継手
KR200481627Y1 (ko) 역비딩이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0486601Y1 (ko) 반도체 제조 설비용 이중 주름 배관장치
KR200483803Y1 (ko) 연결플랜지가 구비된 에어덕트용 슬리브
KR200204995Y1 (ko) 덕트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