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312B1 - 단열 연도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열 연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312B1
KR101648312B1 KR1020150135463A KR20150135463A KR101648312B1 KR 101648312 B1 KR101648312 B1 KR 101648312B1 KR 1020150135463 A KR1020150135463 A KR 1020150135463A KR 20150135463 A KR20150135463 A KR 20150135463A KR 101648312 B1 KR101648312 B1 KR 101648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ular
tubular member
heat insulating
flange
pip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택
연규문
Original Assignee
조영택
연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택, 연규문 filed Critical 조영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1Joints; Connections between stack and branch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도를 연결하는 부분에 기밀재를 삽입시켜 주고 연도 표면에 단열재를 부착 설치하도록 한 단열 연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제1내부관부재; 제2내부관부재;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과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재; 제1내부관부재의 외부면과 제2내부관부재의 외부면에 부착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1내부관부재의 내부와 제2내부관부재의 내부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부재; 및 단열부재의 외부면에 부착 형성되어, 단열부재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 연도 조립체{THE HEAT INSULATED STACK ASSEMBLY}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단열 연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도를 연결하는 부분에 기밀재를 삽입시켜 주고 연도 표면에 단열재를 부착 설치하도록 한 단열 연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연도는, 발전소, 소각장, 공장 등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석유, 석탄,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굴뚝을 통하여 배출하기 위하여 굴뚝까지 안내하는 연결라인을 일컫는 것이다.
연도는, 통상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도금 강판 재질을 사용하여 만들어지며, 200-600℃ 정도의 배기가스가 연도 내부를 통과할 때 고온의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단열구조를 갖는 이중관의 형태로 제작된다.
연도의 구성요소는, 내부관과, 내부관의 외부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보통 2.5~5센티 정도)을 띄어 외부관으로 형성되고,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의 공기층이 단열재 역할을 하는 이중연도 방식으로 제작 설치되고 있으며, 발전기처럼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우 높을 경우에 이중연도의 외부에 외부관을 추가로 덧대어 3중연도로도 제작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7200호(2011.11.21 등록)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외통과, 외통의 양단 내주면에 다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과, 단열내통의 내부 중심에 다수 개의 제2스페이서에 의하여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에 있어서, 발포형 흡음관부재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알루미늄재를 압축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연도내의 소음이 흡음내통의 흡음구멍을 통해 단열부재로 흡음되어 감소됨으로써, 연도내의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98140호(2015.08.27 공개)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는 단열 내통에 형성된 절곡부를 통해서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흡음구멍을 상부가 관통된 돌출부를 통해서 형성시키므로 연도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하가 개구되고, 흡음 구멍이 외주면에 다수 개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흡음 내통과, 흡음 내통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단열 부재가 충진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절곡부가 다수 개로 형성되어 단열 부재를 고정시키는 단열 내통과, 흡음 내통과 단열 내통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1 스페이서와, 단열 내통 외면에 결합되는 외통과, 단열 내통과 외통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도 조립체는, 연도가 내부관과 외부관으로 형성되어 내부관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 및 외부관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에 대한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단열 성능이 좋지 않으며, 이에 연도의 표면온도가 쉽게 높아질 수 있어 열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연도를 연결하는 부분을 평면 플랜지 형식으로 형성시키고, 플랜지의 외부에 기밀재를 바른 V밴드를 조여 체결함으로써, 접촉면에 기밀재의 충진량이 많지 않으며, 극심한 온도 변화에 의해 연도가 신축 팽창할 경우 평면 플랜지의 접촉면이 떨어지면서 배기가스 또는 내부의 응축수가 쉽게 누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720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9814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도를 연결하는 부분에 기밀재를 삽입시켜 주고 연도 표면에 단열재를 부착 설치하도록 한 단열 연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제1내부관부재; 제2내부관부재;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외부면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외부면에 부착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내부와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내부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부재; 및 상기 단열부재의 외부면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 단열부재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를 포함하는 단열 연도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단열 연도 조립체는, 상기 단열부재의 외부면을 감싸주어, 상기 단열부재를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외부면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외부면에 고정해 주기 위한 고정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해서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을 삽입하기 위한 소켓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켓은, 내부면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제1라인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소켓은,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관통공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소켓관통공; 및 상기 관관통공과 상기 소켓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고정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플랜지는,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제2라인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라인홈의 돌출 부분을 외부에서 끼워 상기 플랜지를 서로 밀착 체결해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조립용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플랜지;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플랜지; 및 탄성을 가지면서 상기 제2플랜지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플랜지 삽입 시에 압축되었다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가 서로 접할 때에 복귀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서로 밀착 체결해 주기 위한 체결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제1플랜지와 접하는 부분에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제3라인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도를 연결하는 부분에 기밀재를 삽입시켜 주고 연도 표면에 단열재를 부착 설치하도록 한 단열 연도 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켜 연도의 표면온도를 현저하게 낮춰주어 화재의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연도를 연결하는 부분에 요철을 형성하고 요철 내에 기밀재를 삽입하여 기밀 링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연도가 신축팽창 하더라도 배기가스 또는 응축수가 연도 외부로 쉽게 누설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연도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연결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있는 연결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있는 연결부재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연도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열 연도 조립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열 연도 조립체(100)는, 제1내부관부재(110), 제2내부관부재(120), 연결부재(130), 단열부재(140), 마감부재(150)를 포함한다.
제1내부관부재(110)는, 외부면에 단열부재(140)를 부착 형성하고, 연결부재(130)에 의해 일단이 제2내부관부재(120)의 일단에 연결된다.
제2내부관부재(120)는, 외부면에 단열부재(140)를 부착 형성하고, 연결부재(130)에 의해 일단이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는, 여러 강판을 원형으로 말아 길이 방향의 단부를 약간 겹치게 한 뒤 용접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부식성 가스나 응축수에 견딜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강판을 사용하거나 각종 도금강판의 내부표면에 내열페인트를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는, 지름의 길이가 길지 않을 경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판 또는 각종 도금강판 등을 나선형으로 말아 압착 조립하여 스파이럴덕트로 제작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과 제2내부관부재(120)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연결부재(130)는, 제2내부관부재(120)의 일단에 확관하여 형성되어,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소켓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단열부재(140)는, 제1내부관부재(110)의 외부면과 제2내부관부재(120)의 외부면에 부착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제1내부관부재(110)의 내부와 제2내부관부재(120)의 내부를 단열해 주며, 외부면에 마감부재(150)를 부착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단열부재(140)는, 단열재(예를 들면, 세라믹단열재, 에어로겔단열재, 미네랄울단열재 등)로서, 제1내부관부재(110)의 외부면, 제2내부관부재(120)의 외부면 및 연결부재(130)의 외부면에 전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열부재(140)는, 세라믹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섭씨 1000도 정도의 고온까지 견딜 수 있으며, 미네랄울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섭씨 600도 정도의 고온까지 견딜 수 있어 외부로부터 제1내부관부재(110)의 내부와 제2내부관부재(120)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단열시켜 줄 수 있다.
마감부재(150)는, 단열부재(140)의 외부면에 부착 형성되어, 단열부재(140)를 마감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부재(150)는, 고온에서 변형되지 않는 마감재(예를 들면, 베파베리아, 은박 세라믹페이퍼, 은박 얀크로스페이퍼, 얇은 칼라강판 또는 알루미늄강판 등)로서, 전용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열부재(140)의 외부면(즉, 표면)에 부착하여 단열부재(140)와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마감부재(150)의 이음부분은, 일정 길이가 겹쳐지도록 형성하여, 내열테이프로 접착하거나 리벳 또는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단열 연도 조립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밴드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밴드부재(160)는, 단열부재(140)의 외부면을 감싸주어, 단열부재(140)를 제1내부관부재(110)의 외부면과 제2내부관부재(120)의 외부면에 고정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밴드부재(16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밴드로서, 단열부재(140)가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밴드부재(160)는, 단열부재(140)의 외부면을 감싸준 후에, 예를 들어 테이프, 압착클립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단열부재(140)의 외부면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단열 연도 조립체(100)는, 연결부재(130)에 기밀재를 삽입시켜 주고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의 표면에 단열부재(140)를 부착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기밀성과 단열성을 향상시켜 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의 표면온도를 현저하게 낮춰주어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연결부재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30)는, 제2내부관부재(120)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과 제2내부관부재(120)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해서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을 삽입하기 위한 소켓(131)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켓(131)은,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을 삽입한 후에 외부면에 단열부재(140)와 마감부재(150)를 부착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켓(131)은, 제1라인홈(131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라인홈(1311)은, 소켓(131)의 내부면에서 외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밀재를 삽입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라인홈(1311)은, 소켓(131) 내부면의 중앙부분에 띠 형태로 외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밀재를 전체적으로 삽입시켜 줄 수 있다. 이 때, 기밀재는, 예를 들어 씰란트를 사용하여, 제1라인홈(1311)에 삽입되어,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가 서로 약간씩 유동을 하더라도 기밀 링의 역할을 하여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기밀재는,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의 접촉면을 따라 넓게 퍼지게 되어,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가 신축팽창 하더라도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 내부에 존재하는 배기가스 또는 응축수가 쉽게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라인홈(1311)은, 예를 들어 불연패킹, 불연로프, 내열 고무링 등을 삽입하여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라인홈(1311)은, 불연패킹과 기밀재를 모두 삽입하여,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소켓(131)은, 다수 개의 소켓관통공(1312), 다수 개의 고정피스(1313)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관통공(1312)은,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다수 개의 관관통공(13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고정피스(1313)를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소켓관통공(1312)은, 관관통공(1314)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피스(1313)는, 관관통공(1314)과 소켓관통공(1312)에 삽입되어,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피스(1313)는, 예를 들어 나사못, 리벳 등의 고정수단을 사용하여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피스(1313)는,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이 소켓(131)에 삽입된 후에 소켓(131)에 형성된 소켓관통공(1312)과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관관통공(1314)을 맞춰주면, 소켓관통공(1312)과 관관통공(1314)에 삽입되어,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이 소켓(131)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결부재(130)는,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소켓(131)에 제1내부관부재(110)를 삽입하는 과정만으로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를 연결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관관통공(1314)과 소켓관통공(1312)에 고정피스(1313)를 삽입하여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 준 다음에 소켓(131) 외부면에 단열부재(140)와 마감부재(150)를 부착 설치하여 단열성과 기밀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 있는 연결부재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30)는,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과 제2내부관부재(120)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과 제2내부관부재(120)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플랜지(132, 133)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랜지(132, 133)는,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과 제2내부관부재(120)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90도 절곡하여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플랜지(132, 133)는, 제2라인홈(132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라인홈(1321)은, 플랜지(132, 13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밀재를 삽입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라인홈(1321)은, 플랜지(132, 13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띠 형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밀재를 전체적으로 삽입시켜 줄 수 있다. 이 때, 기밀재는, 예를 들어, 씰란트를 사용하여, 제2라인홈(1321)에 일정량으로 삽입되어,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가 서로 약간씩 유동을 하더라도 기밀 링의 역할을 하여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라인홈(1321)은, 기밀재를 삽입함으로써,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가 신축팽창 하더라도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 내부에 존재하는 배기가스 또는 응축수가 쉽게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라인홈(1321)은, 예를 들어 불연패킹, 불연로프, 내열 고무링 등을 삽입하여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라인홈(1321)은, 불연패킹과 기밀재를 모두 삽입하여,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결부재(130)는, 다수 개의 조립용클립(134)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립용클립(134)은, 제2라인홈(1321)의 돌출 부분을 외부에서 끼워 플랜지(132, 133)를 서로 밀착 체결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조립용클립(134)은, 스테인리스 강판이나 각종 도금 강판을 이용하여 형성되고,'V'형태에서 중간부분이 오목하게 안쪽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라인홈(1321)을 구비한 플랜지(132, 133)에 끼워지기 때문에 한번 플랜지에 끼워지게 되면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립용클립(134)은, 플랜지(132, 133) 테두리를 따라 끼워 넣기 쉽도록 1~2센티미터 정도의 길이로 제작되며, 겹쳐진 플랜지(132, 133)의 테두리를 따라 망치 등과 같은 공구로 쳐서 밀어 넣으면 플랜지(132, 133)와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결부재(130)는, 제2라인홈(1321)을 구비한 플랜지(132, 133) 테두리에 탄성력이 있는 조립용클립(134)을 끼워 플랜지(132, 133)를 서로 밀착 체결해 줄 수 있으며, 탄성력이 있는 조립용클립(134)이 제2라인홈(1321)에 끼워져 걸리게 되므로 외부로 쉽게 빠지지 않아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는, 조립용클립(134)을 끼워 플랜지(132, 133)를 서로 밀착 체결한 다음에 제1내부관부재(110)와 제2내부관부재(120)와 플랜지(132, 133)의 외부면 전체에 단열부재(140)와 마감부재(150)를 부착 설치하여 단열성과 기밀성을 높여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결부재(130)는, 조립용클립(134) 대신에 기존의 V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V밴드는, 중앙부분에 홈을 구비하며, 해당 홈에 기밀재(즉, 씰란트)를 바르고, 서로 맞댄 플랜지(132, 133)를 끼운 후에, 홈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다수 개의 홈에 볼트를 각각 삽입하고 조여주어 플랜지(132, 133)를 서로 밀착 체결해줄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1에 있는 연결부재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30)는, 제1플랜지(135), 제2플랜지(136), 체결턱(137)을 포함한다.
제1플랜지(135)는,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플랜지(135)는, 제1내부관부재(110)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90도 절곡하여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플랜지(136)는, 제2내부관부재(120)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플랜지(136)는, 제3라인홈(13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3라인홈(1361)은, 제1플랜지(135)와 접하는 부분에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밀재를 삽입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3라인홈(1361)은, 기밀재를 전체적으로 삽입시켜 줄 수 있다. 이 때, 기밀재는, 예를 들어, 씰란트를 사용하여, 제3라인홈(1361)에 일정량으로 삽입되어, 제1플랜지(135)와 제2플랜지(136)가 서로 약간씩 유동을 하더라도 기밀 링의 역할을 하여 제1플랜지(135)와 제2플랜지(136)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라인홈(1361)은, 예를 들어 불연패킹, 불연로프, 내열 고무링 등을 삽입하여 제1플랜지(135)와 제2플랜지(136)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3라인홈(1361)은, 불연패킹과 기밀재를 모두 삽입하여, 제1플랜지(135)와 제2플랜지(136) 사이의 기밀성을 높여줄 수 있다.
체결턱(137)은, 탄성을 가지면서 제2플랜지(136)의 외주면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제1플랜지(135) 삽입 시에 압축되었다가 제1플랜지(135)와 제2플랜지(136)가 서로 접할 때에 복귀되어, 제1플랜지(135)와 제2플랜지(136)를 서로 밀착 체결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연결부재(130)는, 체결턱(137)에 제1플랜지(135)를 삽입하여 제1플랜지(135)와 제2플랜지(136)를 서로 밀착 체결해준 다음에 제1내부관부재(110), 제2내부관부재(120), 제1플랜지(135), 제2플랜지(136), 체결턱(137)의 외부면 전체에 단열부재(140)와 마감부재(150)를 부착 설치하여 단열성과 기밀성을 높여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단열 연도 조립체
110: 제1내부관부재
120: 제2내부관부재
130: 연결부재
131: 소켓
1311: 제1라인홈
1312: 소켓관통공
1313: 고정피스
1314: 관관통공
132, 133: 플랜지
1321: 제2라인홈
134: 조립용클립
135: 제1플랜지
136: 제2플랜지
1361: 제3라인홈
137: 체결턱
140: 단열부재
150: 마감부재
160: 고정밴드부재

Claims (10)

  1. 제1내부관부재; 제2내부관부재;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연결부재;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외부면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외부면에 부착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내부와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내부를 단열하기 위한 단열부재; 및 상기 단열부재의 외부면에 부착 형성되어, 상기 단열부재를 마감하기 위한 마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에 외주면을 따라 외부방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관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2내부관부재의 일단을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두 개의 플랜지이며; 상기 플랜지는,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반대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기밀재를 삽입하기 위한 제2라인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제2라인홈의 돌출 부분을 외부에서 끼워 플랜지를 서로 밀착 체결해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조립용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연도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35463A 2015-04-19 2015-09-24 단열 연도 조립체 KR101648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4925 2015-04-19
KR20150054925 2015-04-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312B1 true KR101648312B1 (ko) 2016-08-12

Family

ID=5671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5463A KR101648312B1 (ko) 2015-04-19 2015-09-24 단열 연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3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190B1 (ko) 2018-05-18 2019-04-11 주식회사 중앙연도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KR102301203B1 (ko) 2020-10-26 2021-09-13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반가공 자동화장치 및 배관 제조방법
KR20220049659A (ko) * 2020-10-14 2022-04-22 (주)대양기연 고온에 적합한 연도 연결구조
KR20230089933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조립체
KR20230167878A (ko)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중앙연도 고열 배기가스용 배관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3308A (en) * 1942-03-30 1946-12-31 Foster Wheeler Corp Joint
JPH0228060B2 (ja) * 1983-07-07 1990-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etsupujunkanshikioobun
KR101087200B1 (ko) 2003-05-14 2011-11-29 리치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안정성이 개선된 휩가능한 식품
KR20150098140A (ko) 2014-02-19 2015-08-27 (주) 거성엔지니어링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13308A (en) * 1942-03-30 1946-12-31 Foster Wheeler Corp Joint
JPH0228060B2 (ja) * 1983-07-07 1990-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Netsupujunkanshikioobun
KR101087200B1 (ko) 2003-05-14 2011-11-29 리치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안정성이 개선된 휩가능한 식품
KR20150098140A (ko) 2014-02-19 2015-08-27 (주) 거성엔지니어링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190B1 (ko) 2018-05-18 2019-04-11 주식회사 중앙연도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KR20220049659A (ko) * 2020-10-14 2022-04-22 (주)대양기연 고온에 적합한 연도 연결구조
KR102449830B1 (ko) * 2020-10-14 2022-10-04 (주)대양기연 고온에 적합한 연도 연결구조
KR102301203B1 (ko) 2020-10-26 2021-09-13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반가공 자동화장치 및 배관 제조방법
KR20230089933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조립체
KR20230167878A (ko)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중앙연도 고열 배기가스용 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312B1 (ko) 단열 연도 조립체
JP2009079838A (ja) ダクトの接続構造
US8056552B2 (en) Wall thimble with outside air inlet
KR101842398B1 (ko) 패킹을 포함하는 덕트 커넥터
RU89656U1 (ru) Узел сва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 с внутренним покрытием
KR101939190B1 (ko)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JPH0828760A (ja) 防火区画体の可燃性長尺体貫通部における防火構造体
KR20090073821A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20100005323U (ko) 보일러용 연통과 연도의 고정장치
JP5039684B2 (ja) サイレンサー
KR10094218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20090129601A (ko) 원형관 연결구조
KR200488320Y1 (ko) 보온 외장재의 빗물 유입 방지용 커버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JP2019143742A (ja) 接続部保温部材の施工方法、接続部保温部材、接続部保温部材ユニット及び冷媒配管ユニット
RU200711774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соединений труб и задвижек трубопроводов
US20150020912A1 (en) Duct
KR100855218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및 조립방법
KR101870736B1 (ko) 보온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관 연도 제조방법
KR101870738B1 (ko)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CN203189960U (zh) 真空绝热管
KR20170120457A (ko) 진공단열패널을 이용한 hvac 덕트 및 그 연결체
KR200437228Y1 (ko) 신축 이음 이중관 연도의 배기가스 누출방지구조
CN110578847B (zh) 一种供暖保温管弯头
JP5878256B1 (ja) 煙突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