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190B1 -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190B1
KR101939190B1 KR1020180057402A KR20180057402A KR101939190B1 KR 101939190 B1 KR101939190 B1 KR 101939190B1 KR 1020180057402 A KR1020180057402 A KR 1020180057402A KR 20180057402 A KR20180057402 A KR 20180057402A KR 101939190 B1 KR101939190 B1 KR 101939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end portion
air duct
f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중앙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중앙연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중앙연도
Priority to KR1020180057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23J13/025Linings; Jackets; Casings composed of concentric elements, e.g. double wa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81Multilayer du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단부에 외향 확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간격유지재에 의해 일정 공간의 단열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외부관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배관 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관 단위체 중,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의 플랜지가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를 감싼 형태로 결합되는 V형 밴드와, 상기 V형 밴드와 상기 플랜지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링 형태의 패킹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Stack or air duct assembly}
본 발명은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연도 및 에어덕트의 플랜지 연결부위에 기밀 유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소각장, 각종 공장 등에서는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석유, 석탄,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시키게 되는데, 이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굴뚝을 통해 배출하기 위하여 굴뚝까지 안내하는 연결라인으로서 연도가 제공된다.
또한, 아파트 등의 공동 배기구(화장실, 주방)나 식당 등의 주방에서도 조리되는 음식의 열기, 악취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배관이 제공되며, 각종 산업시설 등에서도 배기가스 등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관 등이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배관은 모두 연도 및 에어덕트로 통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연도는, 통상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도금 강판 재질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에어덕트는 갈바륨과 G1 아연도강판으로 제작되며, 50~600℃ 정도의 배기가스가 연도 및 에어덕트 내부를 통과할 때 고온의 열기와, 연기 및 결로수 등이 체결부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단열구조를 갖는 형태로 제작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물 내의 보일러 및 발전기, 공동배기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배기가스(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도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도 조립체는 설치되는 상태에 따라 수평식 연도 조립체(10)와 수직식 연도 조립체(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평식 연도 조립체(10) 및 수직식 연도 조립체(20)는 각각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지지대(40,60)에 의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연도 조립체는, 선단 측에 연돌 캡(30)이 설치되고, 중간 부위에 내부 검사를 위한 검사구(50)가 형성되며, 연도 조립체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팽창부(80)가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연도 조립체는 보일러(70)로부터 굴뚝 즉, 연돌 캡(30)까지 매우 긴 길이로 연결됨으로써, 단품으로의 제작이 거의 불가능한바, 일정 길이의 배관 단위체들을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기밀 있게 서로 연결하여 설치하게 된다.
따라서, 각 배관 단위체들의 단부에는 다른 배관 단위체와 기밀 있게 결합되기 위하여 외향 확장된 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들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수평식 조립체(10) 및 수직식 연도 조립체(20)를 연결하여 연도 조립체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들을 기밀 있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서로 당접되는 플랜지들을 결합시키고, 이 플랜지들의 둘레에 별도의 밴드를 결합시킨 후, 실리콘 등에 의해 틈새에 코킹을 실시하여 완전히 밀봉되게 하였는데, 이러한 연도 조립체의 경우 고온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실리콘 코킹 부위가 열화에 의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밀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이, 실리콘 코킹 부위가 손상되어 기밀성이 저하되는 경우, 작업자가 서로 연결된 배관 단위체들의 플랜지 결합부위를 분리하고, 다시 실리콘 코킹 작업을 수행하는 등의 사후 작업을 실시해야 함으로써, 그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73822호(2009.07.03.) 한국특허등록 제10-1648312호(2016.08.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의 플랜지 연결부위에 내열성이 우수한 패킹을 개재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분해 및 재조립 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의 플랜지 형상을 개선하고, 개선된 형상의 플랜지에 내열성이 우수한 패킹을 개재하여 기밀성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패킹에 전달되는 열전도율을 저감시킴에 따라 그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하여 결국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는, 단부에 외향 확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간격유지재에 의해 일정 공간의 단열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외부관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배관 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관 단위체 중,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의 플랜지가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를 감싼 형태로 결합되는 V형 밴드와, 상기 V형 밴드와 상기 플랜지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링 형태의 패킹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V형 밴드는, 상기 플랜지를 감싸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양 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내부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플랜지의 내면에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배관 단위체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접힘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배관 단위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단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배관 단위체의 단부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3 단부의 일 부분은 둘레 방향에 걸쳐 가압되어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과 대응되는 배면 측에는 상기 배관 단위체의 단부 외면과 밀착,지지되는 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2 단부의 일 부분은 둘레 방향에 걸쳐 가압되어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과 대응되는 배면 측에는 상기 제1 단부와 밀착,지지되는 돌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 한편, 상기 절곡부의 내면에는 V형 패킹이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의 플랜지 연결부위에 내열성이 우수한 패킹이 개재되어 기밀성이 유지됨으로써, 분해 및 재조립 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 의하면,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의 플랜지 형상이 개선되고, 개선된 형상의 플랜지에 내열성이 우수한 패킹이 개재되어 기밀성이 확보됨으로써, 패킹에 전달되는 열전도율이 저감됨에 따라 그 사용수명이 연장되어 결국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부분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다른 밴드에 의해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결합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는 복수의 배관 단위체(100)와, 이 복수의 배관 단위체(100)를 기밀 있게 결합시키기 위한 밴드부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를 이루는 배관 단위체(100)는, 내부관(110)과 외부관(130) 및 이 내부관(110)과 외부관(130)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재(14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내부관(110)은 연도의 기본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원통형 부재로서, 고온의 배기가스가 그 내부를 통과하게 되며, 각 단부 끝단에는 다른 배관 단위체(100)와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굽어져서 외향 확장된 형태로 플랜지(1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관(130)은 내부관(110) 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내부관(110)과의 사이 공간에 단열층(170)을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단열층(170)을 형성하는 공간에는 별도의 단열부재가 삽입되어 단열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외부관(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측에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이 결합될 때, 서로 인접하는 외부관(130)들의 홈을 통해 커버부재(160)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부재(160)의 내측 공간에도 단열층(180)이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는, 그 단면 형상이 대략 V 형상을 이루고, 원형 링(Ring) 형태를 이루는 V형 밴드(150)와, 이 V형 밴드(150)와 배관 단위체(100)의 플랜지(120)에 개재되어 배관 단위체(100)들의 연결 부위를 통해 배기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O링 형상의 패킹(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패킹(200)은 탄성변형력을 갖는 고무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열 성능이 우수한 고무재가 적용되는 것이다.
밴드부를 이루는 V형 밴드(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 단면 형상이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는 원형 링 형태로서, 서로 연결되는 양측 단부에는 결합 홀(156)이 형성되며, 이 결합 홀(156)을 통해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부재를 체결하여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의 플랜지(120)를 감싸면서 고정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V형 밴드(150)는 외향 돌출되는 플랜지(120)를 감싸도록 V 형상을 이루는 절곡부(152)와, 이 절곡부(152)의 양 단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간격유지재(140) 또는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 측 외면과 밀착되거나 일정 간격만큼 미세하게 이격되는 밀착부(154)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V형 밴드(150)의 밀착부(154)가 간격유지재(140)와 밀착된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간격유지재(140)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경우 배관 단위체(100)의 외면과 직접 밀착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패킹(200)은, 배관 단위체(100)의 플랜지(120) 외면과, V형 밴드(150)의 절곡부(152) 내면에 개재되어 기밀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패킹(200)은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의 플랜지(120)가 밀착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배관 단위체(100)의 플랜지(120) 외면과, V형 밴드(150)의 절곡부(152) 내면에 개재됨에 따라 양쪽에 한 쌍으로 개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이 플랜지(120)의 밀착에 따른 결합이 이루어지고, 각 플랜지(120)의 외면 측에 각각 패킹(200)을 배치시킨 후, V형 밴드(150)로서 결합된 플랜지(120)들을 감싼 다음 볼트와 너트로서 V형 밴드(150)를 조이게 되면,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은 결합된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때 서로 연결된 배관 단위체(100)들을 통과하는 배기가스 중 일부가 플랜지(120)들의 결합부위를 통해 V형 밴드(150)의 절곡부(152)로 누설되더라도 패킹(200)에 의해 기밀이 유지되어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서와 같이 V형 밴드(150)의 밀착부(154)와 간격유지재(140) 사이의 틈새, 또는 V형 밴드(150)의 밀착부(154)와 배관 단위체(100)의 외면 사이의 틈새에 별도로 실리콘 코킹 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기밀성이 유지되는바, 그 분해 및 재조립에 의한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는,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의 플랜지(120)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기밀 유지를 위한 패킹(200)에 열 전도율을 낮춤에 따라 패킹(200)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도록 한 것이다.
즉, 배관 단위체(100)의 플랜지(120)는,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 끝단으로부터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단부(122)와, 이 제1 단부(122)로부터 접힘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단부(124)와, 이 제2 단부(124)로부터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단부(126)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 단위체(100)의 제3 단부(126)는, 배관 단위체(100)의 내경을 이루는 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이에 따라 패킹(200)은 제3 단부(126) 외면과 V형 밴드(150)의 절곡부(152)에 개재됨에 따라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의 내부관(110)을 유동하는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열 전도율이 낮아지게 된다.
즉,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부관(110)들을 유동하는 고온의 배기가스에 의한 열은 내부관(110)들의 단부를 거쳐, 플랜지(120)의 제1 단부(122)와, 제2 단부(124) 및 제3 단부(126)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전달되는바, 패킹(200)으로 전달되는 열 전도율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패킹(200)이 고온에 의해 사용수명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 예들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도,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의 플랜지(120)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기밀 유지를 위한 패킹(200)에 열 전도율을 낮춤에 따라 패킹(200)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도록 한 것이다.
즉, 배관 단위체(100)의 플랜지(120)는,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로부터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단부(122)와, 이 제1 단부(122)로부터 접힘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단부(124)와, 이 제2 단부(124)로부터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3 단부(126)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3 단부(126)는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에 전달된 열이 플랜지(120)의 제3 단부(126)로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써, 패킹(200)에 대한 열 전도율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다만, 플랜지(120)의 제3 단부(126)가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됨에 따라 유동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바, 제3 단부(126)의 일 부분을 둘레 방향에 걸쳐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여 요홈(126a)과, 이 요홈(126a)에 대응하는 배면 측에 돌기(126b)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돌기(126b)가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 외면과 밀착,지지되도록 하여 유동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앞선 제2 실시 예에서의 경우,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로 전달되는 열 중, 일부의 열은 제1 단부(122)와 제2 단부(124)를 거쳐 제3 단부(126)로 전달되기에 앞서 직접 제3 단부(126)로 직접 전달될 우려가 있는 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의 경우 돌기를 통해서만 일부의 열이 제3 단부(126)로 직접 전달됨으로써, 패킹(200)으로의 열 전도율이 더욱 낮아지게 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 예들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도,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의 플랜지(120) 형상을 개선함으로써, 기밀 유지를 위한 패킹(200)에 열 전도율을 낮춤에 따라 패킹(200)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도록 한 것이다.
즉, 배관 단위체(100)의 플랜지(120)는,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로부터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단부(122)와, 이 제1 단부(122)로부터 접힘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2 단부(124)와, 이 제2 단부(124)로부터 대략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연장 형성되는 제3 단부(126)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단부(124)는 제1 단부(122)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제1 단부(122)에 전달된 열이 제2 단부(124)로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써, 패킹(200)으로의 열 전도율이 더욱 낮아지게 된다.
다만, 플랜지(120)의 제2 단부(124)가 제1 단부(122)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됨에 따라 유동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바, 제2 단부(124)의 일 부분을 둘레 방향에 걸쳐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여 요홈(124a)과, 이 요홈(124a)에 대응되는 배면 측에 돌기(124b)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돌기(124b)가 제1 단부(122)와 밀착,지지되도록 하여 유동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 단부(126)도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에 전달된 열이 플랜지(120)의 제3 단부(126)로 직접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써, 패킹(200)에 대한 열 전도율을 더욱 낮출 수 있게 된다.
다만, 플랜지(120)의 제3 단부(126)가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됨에 따라 유동성을 가질 수 있게 되는바, 제3 단부(126)의 일 부분을 프레스 등으로 가압하여 요홈(126a)과, 이 요홈(126a)에 대응하는 배면 측에 돌기(126b)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돌기(126b)가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 외면과 밀착,지지되도록 하여 유동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실시 예에서의 경우, 배관 단위체(100)의 단부로 전달되는 열이 제1 단부(122)와 제2 단부(124) 및 제3 단부(126)를 순차적으로 전달됨으로써, 패킹(200)으로의 열 전도율이 더욱 낮아지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실시 예에 따른 연도 또는 에어덕트 조립체에서, 다른 밴드에 의해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100)들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절곡부(152) 내측에 V형 패킹(300)이 부착된 형태의 V형 밴드(150)가 제공될 수 있다.
즉, 앞선 실시 예들의 경우 한 쌍의 패킹(200)이 O링 형태로 제공되어 V형 밴드(150)의 양 쪽에 개재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변형 실시 예의 경우 V형 밴드(150)의 절곡부(152) 내측에 V형 패킹(300)이 부착된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 그 조립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7에서는 배관 단위체(100)의 플랜지(120) 단부가 앞선 제1 실시 예에 따른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2 실시 예 내지 제4 실시 예에 따른 플랜지(120) 형상인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도및 에어덕트를 중점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각 가정이나 식당 등의 배기배관을 비롯하여 각종 산업 현장에서의 각종 배관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배관 단위체 110 : 내부관
120 : 플랜지 122 : 제1 단부
124 : 제2 단부 124a : 홈부
124b : 돌부 126 : 제3 단부
126a : 홈부 126b : 돌부
130 : 외부관 140 : 간격유지재
150 : V 밴드 152 : 절곡부
154 : 밀착부 160 : 커버부재
170,180 : 단열층 200 : 패킹
300 : V형 패킹

Claims (6)

  1. 단부에 외향 확장된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간격유지재에 의해 일정 공간의 단열층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외부관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배관 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관 단위체 중, 서로 다른 배관 단위체의 플랜지가 밀착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를 감싼 형태로 결합되는 V형 밴드와, 상기 V형 밴드와 상기 플랜지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링 형태의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배관 단위체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접힘되어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단부와,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배관 단위체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단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3 단부는 상기 배관 단위체의 단부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3 단부의 일 부분은 둘레 방향에 걸쳐 가압되어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과 대응되는 배면 측에는 상기 배관 단위체의 단부 외면과 밀착,지지되는 돌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1 단부와 일정 간격의 공간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되, 상기 제2 단부의 일 부분은 둘레 방향에 걸쳐 가압되어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과 대응되는 배면 측에는 상기 제1 단부와 밀착,지지되는 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V형 밴드는,
    상기 플랜지를 감싸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양 단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내부관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밀착부로 구성되고,
    상기 패킹은,
    상기 절곡부의 내면과 상기 플랜지의 내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의 내면에는 V형 패킹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KR1020180057402A 2018-05-18 2018-05-18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KR101939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402A KR101939190B1 (ko) 2018-05-18 2018-05-18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7402A KR101939190B1 (ko) 2018-05-18 2018-05-18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190B1 true KR101939190B1 (ko) 2019-04-11

Family

ID=6616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402A KR101939190B1 (ko) 2018-05-18 2018-05-18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1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203B1 (ko) 2020-10-26 2021-09-13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반가공 자동화장치 및 배관 제조방법
KR20230167878A (ko)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중앙연도 고열 배기가스용 배관 연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14Y1 (ko) * 2002-07-19 2002-10-31 주식회사 파워넷 이어폰 소켓
KR20090073822A (ko) 2007-12-31 2009-07-03 한국에어텍(주)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648312B1 (ko) 2015-04-19 2016-08-12 조영택 단열 연도 조립체
KR101734783B1 (ko) * 2016-10-28 2017-05-11 김요시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414Y1 (ko) * 2002-07-19 2002-10-31 주식회사 파워넷 이어폰 소켓
KR20090073822A (ko) 2007-12-31 2009-07-03 한국에어텍(주)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648312B1 (ko) 2015-04-19 2016-08-12 조영택 단열 연도 조립체
KR101734783B1 (ko) * 2016-10-28 2017-05-11 김요시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203B1 (ko) 2020-10-26 2021-09-13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반가공 자동화장치 및 배관 제조방법
KR20230167878A (ko)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중앙연도 고열 배기가스용 배관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77264B2 (ja) 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
KR101939190B1 (ko)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US20100072710A1 (en) Gas Turbine Seal
JP5743442B2 (ja) 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シール及びタービンエンジンを組立てる方法
JP2013526673A (ja) 排ガスターボチャージャ
US7712302B2 (en) Crossfire tube assembly for gas turbines
RU2748245C2 (ru) Головка блока цилиндров с примыкающим выпускным коллектором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101648312B1 (ko) 단열 연도 조립체
KR20180049688A (ko) 이중연도
KR20100005323U (ko) 보일러용 연통과 연도의 고정장치
KR20090129601A (ko) 원형관 연결구조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KR10094218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9990082297A (ko) 굴뚝용 상호결합되는 모듈러 금속 덕트
JP5039684B2 (ja) サイレンサー
US20150020912A1 (en) Duct
KR20230089933A (ko) 배관 조립체
KR101870738B1 (ko)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KR101870736B1 (ko) 보온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관 연도 제조방법
KR20150113481A (ko) 보일러의 이중 연도
KR101048134B1 (ko) 배기 매니폴드의 벨로우즈 커넥터
KR20170136059A (ko) 이중배관 커넥터 어셈블리 및 열교환 구조
KR20110011805U (ko) 보일러용 연도와 연통의 고정장치
KR10182903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누출방지구조
KR20230167878A (ko) 고열 배기가스용 배관 연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