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822A - 연도용 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도용 덕트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822A
KR20090073822A KR1020070141881A KR20070141881A KR20090073822A KR 20090073822 A KR20090073822 A KR 20090073822A KR 1020070141881 A KR1020070141881 A KR 1020070141881A KR 20070141881 A KR20070141881 A KR 20070141881A KR 20090073822 A KR20090073822 A KR 20090073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ssembly
tube
flue
inner tube
flan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755B1 (ko
Inventor
조용환
이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에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어텍(주) filed Critical 한국에어텍(주)
Priority to KR1020070141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7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연도용 덕트 조립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연도용 덕트 조립체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게 양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내부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된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상기 플랜지 외부면을 가압하며 상기 플랜지 외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관통되며 체결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내부관 내주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공극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발포 알루미늄 관과; 상기 발포 알루미늄 관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가 맞대어진 사이의 상기 내부관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 사이 틈새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기밀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가스에 의한 누유 및 응축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관 내부의 폭발 발생에 따른 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덕트 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 및 발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덕트 조립체, 연도, 배기가스

Description

연도용 덕트 조립체{DUCT ASSEMBLY FOR FLUE}
본 발명은 연도용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보일러, 흡수식 냉온수유니트, 디젤발전기, 터빈발전기, 가스엔진, 각종 벤트(vent) 등의 배기통으로 이용되는 연도의 시공 후, 덕트 조립체의 연결부(플랜지)에서 기밀성이 유지되어 배기가스가 누연되지 않고 응축수가 누수되지 않게 하며, 보일러와 같은 장비 결함에 의한 폭발시 덕트 조립체의 관들이 이탈되지 않게 하고, 관 내부 압력 증가에 따라 기밀성이 감소되지 않게 하며,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되게 하기 위해 개선된 연도용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아파트 또는 공장 등의 대형건물에 설치되어 이들 건물로부터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도용 덕트 시스템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보일러(7)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가스(배기가스)는 다수개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덕트 조립체(1,2)를 통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 덕트 조립체(1,2)는 설치되는 상태에 따라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 식 덕트 조립체(2)가 있다. 통상 상기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가 조합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도용 덕트 시스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를 지지하기 위해 고정지지대(4,8)가 이들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에 나란하게 고정 설치된다.
한편, 도 1에서 도면부호 3은 연돌캡(stack cap)이고, 도면부호 5는 상기 덕트 조립체(2)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구(check hole)를 나타내 보인 것이며, 그리고 도면부호 9는 덕트 조립체(2)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덕트 조립체(2)의 일측에 설치된 팽창밸브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의 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에서는 도 1의 덕트 조립체(1,2) 중 수직식 덕트 조립체(2)의 구성을 예를 들어 덕트 조립체(1,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덕트 조립체(2)는, 상,하부(또는 전,후부)의 내부관(2b,2b')과, 내부관(2b,2b')의 플랜지(2b-1)를 체결하기 위해 이용된 제1연결밴드(2e)와, 상기 내부관(2b,2b')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부관(2b,2b')의 외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외부관(2a,2a')과, 이 외부관(2a,2a')을 체결하기 위해 설치된 제2연결밴드(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관(2a,2a')과 내부관(2b,2b')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spacer)(2c,2c')가 구비된 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2c,2c')에 의해 외부관경(O.D)과 내부관경(I.D) 사이에 약 25mm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덕트 조립체(2)는 외부관(2a,2a')과 내부관(2b,2b')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이중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3에는 덕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덕트 조립체(6)는, 내부관(2b,2b')과 외부관(6a,6a') 사이에 중간관(6g,6g')이 설치되고, 이들 사이 각각에는 스페이서(2c,2c',6b,6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관(2b,2b')을 체결하기 위한 제1연결밴드(2e)와, 상기 외부관(6b,6b')을 체결하기 위한 제2연결밴드(6d)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2c,2c',6b,6b')에 의해 외부관(O.D)과 중간관경(M.D) 사이와, 그리고 중간관경(M.D)과 내부관경(I.D) 사이의 각각에는 약 25mm(모두 약 50mm)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의 덕트 조립체(6)는 외부관(6a,6a'), 중간관(6g,6g'), 및 내부관(2b,2b')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삼중관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조립체(2,6)에서 각각 내부관(2b,2b')의 플랜지(2b-1)를 체결하는 V-밴드의 일종인 제1연결밴드(2e) 주위부(A)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관(2b,2b')의 플랜지(2b-1)를 체결하기 전에 제1연결밴드(2e) 내부에 내열 실런트(sealant)(2f)를 충진하여 체결력을 증대시키거나, 덕트 조립체(2,6) 내부를 통과(유동)하는 배기가스가 누유되지 않고, 덕트 조 립체(2,6) 내벽에 형성된 응축수 등이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밴드(2e)는 볼트 너트 조립체(2h)로 최종 체결되므로서 내부관(2b,2b')이 밀착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외부관은 제2연결밴드에 의해 체결되므로써 이중관 또는 삼중관의 덕트 조립체(2,6)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조립체(2,6)는 일반적으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져, 지하층 열원장비(예컨대, 보일러)의 배기가스 토출구와 연결하고, 이들 조립체(2,6)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다수개를 조립하여 옥상층까지 연결하여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덕트 조립체의 내부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200℃~250℃ 이하 정도에서 사용되어 내부 응축수가 아주 적게 발생되었지만, 현재의 열원장비(예컨대, 보일러)에는 폐열회수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배기가스 온도가 100℃~150℃가 되어 자체 응축수가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다.
또한 디젤발전기, 가스터빈발전기 장비에 폐열회수장치가 적용되지 않으면 배기가스의 온도가 300℃~600℃ 이상 배출되며 동시에 고속의 강제 배기에 의해 덕트 조립체(2,6)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기밀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V-밴드인 제1연결밴드(2e)에 내열 실런트(2f)로 단순히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여 현시점에서 조건에 맞는 개선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누유 및 누수와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연결밴드(2e)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b-1) 사이에 틈새(C)가 있어 여러 개의 덕트 조립체(2,6)가 조립 된 상태에서 진동, 외부의 충격, 또는 장비(예컨대, 보일러 등)의 가동 점화 순간의 관 내부의 공기 팽창 순간에 제1연결밴드(2e) 홈 내부에서 틈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내열 실런트(2f)의 접착력이 감소되고, 높은 온도의 배기가스에 의해 내열 실런트(2f)가 경화되어 부스러져 기밀 성능이 감소한다. 이때, 배기가스의 누연 및 응축수 누수 현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장비의 작은 결함으로 폭발이 발생되어 시공된 연도(배기통)의 관들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현재, 상기와 같은 문제점(누연, 누수)을 예측 할 수 있는 경우에도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여 기존 방식대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공사완료 후 시운전 또는 사용 중에 소음, 진동, 발열, 누연, 및 누수에 대한 하자보수가 수 차례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고, 장비 결함으로 폭발시 시공된 덕트 조립체가 이탈되어 재공사 및 하자보수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 크고, 고객 불만이 많다.
다른 한편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종래에는 흡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일정하게 타공하고, 이를 원형 관으로 제작한 후, 그 외부면에 글라스 크로스 섬유로 1차 감고, 그 위에 글래스 울 또는 세락 울의 단열재로 2차 감은 흡음관을 상기와 같이 제작된 덕트 조립체(2,6) 내부에 설치하여 흡음성을 높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글래스 울 또는 세락 울 단열재로 이루어진 흡음관은, 소음과 진동 전달에 대한 흡음 성능은 높아지나, 응축수나 결로수에 의해 물이 먹어 단열재가 중력 방향으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흡음 및 단열 성능이 감소된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섬유 단열재가 낡아져 찢어져 인체에 치명적인 가루로 배출되어 대기중으로 날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덕트 조립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누유 및 누수가 방지되게 하고, 장비 결함에 의한 폭발시 덕트 조립체가 이탈(탈락)되지 않으며, 인체에 유해한 소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소음이나 진동 발생이 저감되도록 하며, 덕트 조립체의 발열을 줄여 덕트 조립체의 단열이 유지되도록 한 연도용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도용 덕트 조립체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게 양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내부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된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상기 플랜지 외부면을 가압하며 상기 플랜지 외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관통되며 체결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내부관 내주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공극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발포 알루미늄 관과; 상기 발포 알루미늄 관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 기 플랜지가 맞대어진 사이의 상기 내부관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 사이 틈새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기밀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이 유지되도록 내부관이 서로 조립되면서 맞대어진 플랜지 외부면을 가압부재로 가압하고, 플랜지 사이의 틈새와 가압부재 사이에 가스켓을 삽입하여 설치한 후, 가압부재를 체결부재로 견고히 체결함으로써, 맞대어진 플랜지 사이에 기밀성이 극대화된다.
더욱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밀용 가이드 링을 내부관이 서로 조립되면서 맞대어진 플랜지 사이의 내부관 내벽면에 설치하여 맞대어진 플랜지 사이에 기밀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기밀 가이드 링에 발포 알루미늄 관을 끼워 설치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덕트 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에 의한 누유 및 응축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덕트 조립체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되어도 관의 이탈(탈락)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유지보수가 최소화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며, 제품에 대한 고객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 조립체의 단열이 유지될 수 있어 연도의 발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어, 즉 연도의 흡음성, 단열성, 기밀성, 및 안전성이 극대화된 연도(배기통)를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덕트 조립체(연도)의 유지보수가 최소화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소음, 진동 및 발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고객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 조립체에 적용된 소재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 유해한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이와 함께 공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모두 금속 소재이므로 재활용이 가능해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연도용 이중관 덕트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이중관 덕트 조립체(10)는, 그 내부를 연소가스 또는 배기가스가 유동하여 배출되게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양 단부)에 플랜지(12a)가 구비된 내부관(12,12')과, 이 내부관(12,12')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부관(12,12')의 외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외부관(11,11')과, 이 외부관(11,11')과 내부관(12,12')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13,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3,13')에 의해 외부관경(O.D)과 내부관경(I.D) 사이에 약 50mm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연도용 삼중관 덕트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삼중관 덕트 조립체(30)는, 내부관(12,12')과 외부관(31,31') 사이에 중간관(33,33')이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는 각각 스페이서(13,13',35,3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3,13',35,35')에 의해 외부관경(O.D)과 중간관경(M.D) 사이와, 그리고 중간관경(M.D)과 내부관경(I.D) 사이의 각각에는 모두 약 25mm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관(12,12')은 0.8∼2.0mm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의 판재를 이용하여 가공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b)는 내부관(12,12')의 양단을 약 10∼12mm로 90도 절곡하여 형성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외부관(11,11',31,31')을 체결하기 위해 연결밴드(14,36)가 설치되고, 이때, 연결밴드(14,36)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5)가 이용되어 체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조립체(10,30)에서 각각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 주위부(B)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는 이중관 덕트 조립체(10)나 삼중관 덕트 조립체(30)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10,30)는, 상기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 외부면을 가압하며 플랜지(12a) 외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22)와, 이 가압부재(22)에 관통되며 체결되어 가압부재(22)를 가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는 볼트(23) 및 너트(24)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22) 중앙에는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 사이의 틈새(C; 도 4 참조)와 일치되게 일정 간극(22a)이 형성되고, 상기 틈새(C)와 간극(22a)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gasket)(21)이 삽입 설치된다. 이 가스켓(21)은 고온(약 800℃ 이상)용 흑연 가스켓(21)(그라파이트)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압부재(22)는 상하로 분리되어 이루어지고, 이렇게 분리된 가압부재(22) 사이 간극(22a)과 플랜지 사이 틈새(C)에 고온용 흑연 가스켓(21)을 끼워 볼트(23) 및 너트(24)로 가압부재(22) 및 상기 가스켓(21)이 가압되도록 하며 체결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10,30)에는, 상기 내부관(12,12')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공극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발포 알루미늄 관(25,25')과, 이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내부관(12,12')이 결합되어 플랜지(12a)가 맞대어진 사이의 내부관(12,12') 내벽면에 설치되어 플랜지(12a) 사이 틈새(C; 도 4 참조)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기밀 가이드 링(26,26')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기밀 가이드 링(26,26')은 내부관(12,12')과 같은 소재인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밀 가이드 링(26,26')은 용접(w1,w2)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1.0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밀 가이드 링(26,26')은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의 양 단부 를 지지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U-홈(26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6,26')의 높이, 즉 U-홈(26a)의 외주면의 높이는 기밀 가이드 링(26,26')이 설치되면서 플랜지(12a) 사이의 틈새(C)를 커버하는 최소한 높이에서부터 100mm 이하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6,26')이 플랜지(12a) 면에서 비켜나게 위치시키며 설치되지 않아도 된다. 그 이유는 상기 플랜지(12a) 사이의 틈새(C)를 가스켓(21)이 메우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6,26')을 플랜지(12a) 근처의 내부관(12,12') 내벽에 용접으로 부착하면 된다.
또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6,26')의 외주면은 내부관(12,12')의 내주면에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 용접에 적합한 예컨대, 아르곤 용접(w1,w2)에 의해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10,30)의 내부관(12,12')은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원형 관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특히 내부관(12,12')의 양단을 90도로 절곡하여 플랜지(12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관(12,12')의 외주면에 50mm의 간격으로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바로 외부관(11,11')을 설치한 도 5의 이중관을 제작하거나, 또는 내부관(12,12')의 외주면에 두 개의 관, 즉 중간관(33,33')과 외부관(31,31')을 설치한 삼중관을 제작한다.
또한 알루미늄을 용융한 상태에서 발포시켜 전체에 걸쳐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한 판재로 내부관(12,12')의 직경 및 길이에 맞게 원형으로 밴딩하여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을 만든다.
그리고 1.0mm 이상의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이용하여 가장자리에 U-홈(26a)이 형성되도록 절곡하고, 원형 링으로 밴딩하여 기밀 가이드 링(26,26')을 만든다. 이때 상기 U-홈(26a)의 외주면 높이는 100mm 이하로 한다.
이때, 상기 U-홈(26a) 절곡시 성형성을 좋게 하기 위해 그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한다.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 높이는 낮게 하고, 용접(w1,w2)이 이루어지는 외주면의 높이는 높게 형성한다.
이렇게 제작된 기밀 가이드 링(26,26')의 U-홈(26a)에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을 끼워 조립한다.
그런 후,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로 이루어진 가장자리에 U-홈(26a)을 형성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6,26')의 외주면과 내부관(12,12')의 내주면을 서로 맞대어 밀착되게 한 후 아르곤 용접(w1,w2)을 실시하여 서로 부착되게 한다.
이어서, 내부관(12,12')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내부관(12,12')의 양 단부에서 회전하는 방식이고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진 가압부재(22)를 설치한다. 상기 가압부재(22) 설치시 어느 방향에서도 볼트(23)가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볼트용 홀을 맞추어 설치되게 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가압부재(22) 사이의 간극(22a)과 상기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 틈새(C) 사이에 고온용 흑연 가스켓(21)을 삽입 설치하고 고장력의 체 결부재인 볼트(23) 및 너트(24)를 견고하게 체결한다.
상기 고온용 흑연 가스켓(21)의 사용으로 고온의 배기가스가 내부관(12,12')을 유동하여도 기밀 성능 유지가 가능하다.
그런 후, 도 5의 이중관의 연결지점을 연결밴드(14)로 또는 도 6의 삼중관의 연결지점을 연결밴드(36)로 채워 조립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완성된 덕트 조립체(10,30)를 지하층 열원장비의 배기가스 토출구와 연결하고, 이를 옥상층까지 연결하여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도 시공 이후 고온의 배기가스가 내부관(12,12') 내부를 유동할 때 내부관(12,12') 연결부인 플랜지(12a) 부분에서 팽창되어 서로 맞대어진 플랜지(12a)의 틈새(C)가 벌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온 및 높은 압력의 배기가스가 내부관(12,12')을 유동하는 상태에서 회전식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진 가압부재(22)를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에 견고하게 체결 설치하여 누연 및 누수를 차단하고 압력이나 폭발에 의해 내부관(12,12')의 연결부의 이탈(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6,26')이 상기와 같이 발생된 틈새(C) 내부에 슬립(slip)됨으로 배기가스의 누연 및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열원장비 운전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소음, 진동, 압력을 동반하여 내부관(12,12') 내부를 유동하는 상태에서 내부관(12,12') 안쪽의 발포 알루미늄 관(25,25') 자체의 공극 표면을 흐르며 소음과 진동이 소멸되며, 내부관(12,12') 연결부 안 쪽에서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이 기밀 가이드 링(26,26') 역할을 하여 누연 및 누수를 차단하고 우수한 단열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알루미늄을 발포시켜 표면 전체가 공극을 형성한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은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며,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이 기밀 가이드 링(26,26') 역할로 배기가스가 기밀 가이드 링(26,26')을 타고 흐르는 상태로 유도하여 기체 및 유체의 누연, 누수가 없고 내부의 일정 압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그리고 상기 내부관(12,12')의 연결부인 플랜지(12a)를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상기한 연결부에 틈이 발생하지 않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연결부에서 배기가스의 누연 및 응축수의 누수가 없고, 내부 압력 팽창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종래와 같이 연도의 누연, 누수, 관의 이탈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최상의 배기통(연도)으로 최상의 기밀성, 시공성, 안전성 있는 연도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10,30)에는 모두 금속 소재만이 적용되어 인체에 무해하며, 반영구적이고, 모두 재활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조립체(10,30)는 고온, 고압, 소음, 진동, 누연, 누수 등의 문제점이 있는 열원장비(예컨대, 보일러 등)를 사용하는 각종 건축물 등의 장비의 배기통(연도)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도용 덕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의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도 2 및 도 3의 'A'부분을 보다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확대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7은 도 5 및 도 6의 'B'부분을 보다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확대 상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중관 덕트 조립체
12,12'. 내부관
12a. 플랜지
33,33'. 중간관
21. 가스켓
22. 가압부재
23. 볼트
24. 너트
25,25'. 발포 알루미늄 관
26,26'. 기밀 가이드 링
30. 삼중관 덕트 조립체

Claims (9)

  1.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게 양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내부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된 외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상기 플랜지 외부면을 가압하며 상기 플랜지 외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에 관통되며 체결되어 상기 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체결부재와;
    상기 내부관 내주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공극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발포 알루미늄 관과;
    상기 발포 알루미늄 관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가 맞대어진 사이의 상기 내부관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플랜지 사이 틈새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기밀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 중앙에는 상기 플랜지 사이의 틈새와 일치되게 일정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틈새와 상기 간극에는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이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고온용 흑연 가스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은 1.0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은 상기 발포 알루미늄 관의 양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U-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의 외주면의 높이는 100mm 이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의 외주면은 상기 내부관의 내주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 중앙에는 중간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20070141881A 2007-12-31 2007-12-31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0914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81A KR100914755B1 (ko) 2007-12-31 2007-12-31 연도용 덕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81A KR100914755B1 (ko) 2007-12-31 2007-12-31 연도용 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22A true KR20090073822A (ko) 2009-07-03
KR100914755B1 KR100914755B1 (ko) 2009-08-31

Family

ID=4133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881A KR100914755B1 (ko) 2007-12-31 2007-12-31 연도용 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75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190B1 (ko) 2018-05-18 2019-04-11 주식회사 중앙연도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KR102301203B1 (ko) 2020-10-26 2021-09-13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반가공 자동화장치 및 배관 제조방법
KR20230089933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조립체
KR20230167878A (ko)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중앙연도 고열 배기가스용 배관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598Y1 (ko) * 1980-01-10 1981-05-28 이경준 냉 난방환기 닥트(duct)의 이음구
KR900002696Y1 (ko) * 1987-09-30 1990-03-31 이성우 조립식 덕트의 연결구조
KR200392861Y1 (ko) * 2005-06-02 2005-08-18 이병구 건식 에어닥트 연결장치
JP2007170739A (ja) * 2005-12-21 2007-07-05 Kumagai Gumi Co Ltd ダクト部品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9190B1 (ko) 2018-05-18 2019-04-11 주식회사 중앙연도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KR102301203B1 (ko) 2020-10-26 2021-09-13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반가공 자동화장치 및 배관 제조방법
KR20230089933A (ko) 2021-12-14 2023-06-21 주식회사 중앙연도 배관 조립체
KR20230167878A (ko)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중앙연도 고열 배기가스용 배관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755B1 (ko) 2009-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75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0914754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CN103672943B (zh) 空气预热器浮管密封弹性密封套装置
JPH0639910B2 (ja) ガスタ−ビン用排気消音装置
KR10094218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20180049688A (ko) 이중연도
KR101554899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101087220B1 (ko)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KR10091475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82903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누출방지구조
KR20100011498U (ko)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
JPH10259902A (ja) ボイラ天井壁貫通部のシール構造
KR101435456B1 (ko) 고단열 및 소음저감 조립식 연도
KR101994965B1 (ko) 걸림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및 그 설치방법
KR20240082953A (ko) 소음 저감 덕트
CN213020996U (zh) 一种黄磷电炉密封设备
KR20100004148A (ko)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KR102449830B1 (ko) 고온에 적합한 연도 연결구조
CN219692643U (zh) 悬浮式热隔离装置
CN215001529U (zh) 一种锅炉蒸汽集箱的保温结构
CN208778875U (zh) 一种穿墙管下法兰密封结构
CN111998376A (zh) 预制式三层保温烟管结构
CN220667666U (zh) 一种燃机排气出口膨胀节过渡结构
RU60111U1 (ru) Дымовая труб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