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754B1 - 연도용 덕트 조립체 - Google Patents

연도용 덕트 조립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754B1
KR100914754B1 KR1020070141880A KR20070141880A KR100914754B1 KR 100914754 B1 KR100914754 B1 KR 100914754B1 KR 1020070141880 A KR1020070141880 A KR 1020070141880A KR 20070141880 A KR20070141880 A KR 20070141880A KR 100914754 B1 KR100914754 B1 KR 10091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ssembly
flange
tube
inner tube
f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821A (ko
Inventor
조용환
이재형
Original Assignee
한국에어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어텍(주) filed Critical 한국에어텍(주)
Priority to KR102007014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7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7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개시된 연도용 덕트 조립체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게 양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관과, 다수개의 상기 내부관을 연결하며 조립되기 위해 서로 맞대어진 상기 플랜지를 체결하는 제1연결밴드와, 상기 내부관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내부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된 외부관을 구비하여 된 연도용 덕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을 연결 조립하기 위해 맞대어진 상기 플랜지 틈새 면에 충진된 제1내열 실런트와; 상기 플랜지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밴드 내부와 상기 플랜지 외부에 충진된 제2내열 실런트와; 상기 내부관 내주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공극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발포 알루미늄 관과; 상기 발포 알루미늄 관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가 맞대어지며 형성된 상기 플랜지 틈새 사이를 커버하며 상기 내부관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틈새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기밀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기가스에 의한 누유 및 응축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덕트 조립체에서 발생되는 소음, 진동, 및 발열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연도용 덕트 조립체{DUCT ASSEMBLY FOR FLUE}
본 발명은 연도용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용 보일러, 흡수식 냉온수유니트, 디젤발전기, 터빈발전기, 가스엔진, 각종 벤트(vent) 등의 배기통으로 이용되는 연도의 시공 후, 소음, 진동 발생을 감소시키고, 고온의 배기가스 단열이 유지되도록 하며, 덕트 조립체의 연결부(플랜지)에서 배기가스가 누연되지 않고 응축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선된 연도용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아파트 또는 공장 등의 대형건물에 설치되어 이들 건물로부터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도용 덕트 시스템이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건물 내의 보일러(7)의 가동에 의해 발생되는 연소가스(배기가스)는 다수개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덕트 조립체(1,2)를 통하여 건물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 덕트 조립체(1,2)는 설치되는 상태에 따라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가 있다. 통상 상기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가 조합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도용 덕트 시스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를 지지하기 위해 고정지지대(4,8)가 이들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에 나란하게 고정 설치된다.
한편, 도 1에서 도면부호 3은 연돌캡(stack cap)이고, 도면부호 5는 상기 덕트 조립체(2)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검사구(check hole)를 나타내 보인 것이며, 그리고 도면부호 9는 덕트 조립체(2)의 길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덕트 조립체(2)의 일측에 설치된 팽창밸브를 나타내 보인 것이다.
상기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의 구성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에서는 도 1의 덕트 조립체(1,2) 중 수직식 덕트 조립체(2)의 구성을 예를 들어 덕트 조립체(1,2)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덕트 조립체(2)는, 상,하부(또는 전,후부)의 내부관(2b,2b')과, 내부관(2b,2b')의 플랜지(2b-1)를 체결하기 위해 이용된 제1연결밴드(2e)와, 상기 내부관(2b,2b')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부관(2b,2b')의 외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외부관(2a,2a')과, 이 외부관(2a,2a')을 체결하기 위해 설치된 제2연결밴드(2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외부관(2a,2a')과 내부관(2b,2b')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spacer)(2c,2c')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2c,2c')에 의해 외부관경(O.D)과 내부관경(I.D) 사이에 약 25mm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덕트 조립체(2)는 외부관(2a,2a')과 내부관(2b,2b')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이중관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3에는 덕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덕트 조립체(6)는, 내부관(2b,2b')과 외부관(6a,6a') 사이에 중간관(6g,6g')이 설치되고, 이들 사이 각각에는 스페이서(2c,2c',6b,6b')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내부관(2b,2b')을 체결하기 위한 제1연결밴드(2e)와, 상기 외부관(6b,6b')을 체결하기 위한 제2연결밴드(6d)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2c,2c',6b,6b')에 의해 외부관경(O.D)과 중간관경(M.D) 사이와, 그리고 중간관경(M.D)과 내부관경(I.D) 사이의 각각에는 약 25mm(모두 약 50mm)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도 3의 덕트 조립체(6)는 외부관(6a,6a'), 중간관(6g,6g'), 및 내부관(2b,2b')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삼중관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조립체(2,6)에서 각각 내부관(2b,2b')의 플랜지(2b-1)를 체결하는 V-밴드의 일종인 제1연결밴드(2e) 주위부(A)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내부관(2b,2b')의 플랜지(2b-1)를 체결하기 전에 제1연결밴드(2e) 내부에 내열 실런트(sealant)(2f)를 충진하여 체결력을 증대시키거나, 덕트 조립체(2,6) 내부를 통과(유동)하는 배기가스가 누유되지 않고, 덕트 조립체(2,6) 내벽에 형성된 응축수 등이 누수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밴드(2e)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2h)로 최종 체결됨으로서 내부관(2b,2b')이 밀착 결합된다. 또한 상기 외부관(2a,2a',6a,6a')도 제2연결밴드(2d,6d)와 체결부재(2h)에 의해 체결되므로써 이중관 또는 삼중관의 덕트 조립체(2,6)의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조립체(2,6)는 일반적으로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이루어져, 지하층 열원장비(예컨대, 보일러)의 배기가스 토출구와 연결하고, 이들 조립체(2,6)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다수개를 조립하여 옥상층까지 연결하여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덕트 조립체의 내부를 유동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200℃~250℃ 이하 정도에서 사용되어 내부 응축수가 아주 적게 발생되었지만, 현재의 열원장비(예컨대, 보일러)에는 폐열회수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배기가스 온도가 100℃~150℃가 되어 자체 응축수가 다량으로 발생되고 있다.
또한 디젤발전기, 가스터빈발전기 장비에 폐열회수장치가 적용되지 않으면 배기가스의 온도가 300℃~600℃ 이상 배출되며 동시에 고속의 강제 배기에 의해 덕트 조립체(2,6) 내부의 압력이 높아져 기밀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V-밴드인 제1연결밴드(2e)에 내열 실런트(2f)로 단순히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여 현시점에서 조건에 맞는 개선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누유 및 누수와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밴드(2e)가 체결된 상태에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b-1) 사이에 틈새(C)가 있어 여러 개의 덕트 조립체(2,6)가 조립된 상태에서 진동, 외부의 충격, 또는 장비의 가동 점화 순간의 관 내부의 공기 팽창 순간에 제1연결밴드(2e) 홈 내부에서 틈이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이 반복적으로 진행하여 내열 실런트(2f)의 접착력이 감소되고, 높은 온도의 배기가스에 의해 내열 실런트(2f)가 경화되어 부스러져 기밀 성능이 감소한다. 이때 배기가스의 누연 및 응축수 누수 현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현재, 상기와 같은 문제점(누연, 누수)을 예측 할 수 있는 경우에도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부족하여 기존 방식대로 공사를 진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공사완료 후 시운전 또는 사용 중에 소음, 진동, 발열, 누연, 및 누수에 대한 하자보수가 수 차례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어 경제적인 손실 및 소비자의 불만이 많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덕트 조립체에 사용되는 관을 스테인리스 스틸 타공판으로 만들고, 그 외주면에 글래스 크로스 섬유 소재로 1차 감고, 2차로 글래스 울 또는 세락 울 단열재로 감아 흡음성을 높인 흡음관을 고안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글래스 울 또는 세락 울 단열재로 이루어진 흡음관은, 소음과 진동 전달에 대한 흡음 성능은 높아지나, 응축수나 결로수를 흡수하여 상기한 단열재가 중력 방향으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여 흡음 및 단열 성능이 감소된다.
또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섬유 단열재가 낡아져 찢어져 인체에 치명적인 가루로 배출되어 대기중으로 날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덕트 조립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누유 및 누수가 방지되도록 하고, 인체에 유해한 단열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소음이나 진동 발생이 방지되도록 하며, 덕트 조립체의 단열이 유지되도록 하여 발열이 방지되도록 한 연도용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도용 덕트 조립체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게 양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관과, 다수개의 상기 내부관을 연결하며 조립되기 위해 서로 맞대어진 상기 플랜지를 체결하는 제1연결밴드와, 상기 내부관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내부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된 외부관을 구비하여 된 연도용 덕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을 연결 조립하기 위해 맞대어진 상기 플랜지 틈새 면에 충진된 제1내열 실런트와; 상기 플랜지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밴드 내부와 상기 플랜지 외부에 충진된 제2내열 실런트와; 상기 내부관 내주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공극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발포 알루미늄 관과; 상기 발포 알루미늄 관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가 맞대어지며 형성된 상기 플랜지 틈새 사이를 커버하며 상기 내부관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틈새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기밀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밀용 가이드 링을 조립되면서 맞대어진 플랜지 사이가 커버되도록 내부관 내벽면에 설치하여 플랜지 사이 틈새의 기밀성이 극대화되도록 하고, 기밀 가이드 링에 발포 알루미늄관을 끼워 설치하여 단열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배기가스에 의한 누유 및 응축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덕트 조립체의 단열이 이루어져 발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어, 즉 연도의 흡음성, 단열성, 기밀성, 및 안전성을 극대화된 연도(배기통)를 구현할 수 있어 덕트 조립체(연도)의 유지보수가 최소화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소음, 진동 및 발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제품에 대한 고객 신뢰도를 제고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 조립체에 적용된 소재가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어, 인체 유해한 물질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이와 함께 공해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모두 금속 소재이므로 재활용이 가능해 경제적이며 친환경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도용 덕트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의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도 2 및 도 3의 'A'부분을 보다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확대 상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 보인 도면.
도 7은 도 5 및 도 6의 'B'부분을 보다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확대 상세 단면도.
도 8은 도 7의 구성을 전체적으로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중 덕트 조립체
12,12'. 내부관
12a. 플랜지
15. 제1연결밴드
33,33'. 중간관
21. 제1내열 실런트
22. 제2내열 실런트
23,23'. 기밀 가이드 링
25,25'. 발포 알루미늄 관
30. 삼중관 덕트 조립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 연도용 이중 덕트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이중 덕트 조립체(10)는, 그 내부를 연소가스 또는 배기가스가 유동하여 배출되게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양 단부)에 플랜지(12a)가 구비된 내부관(12,12')과, 이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를 체결하기 위한 제1연결밴드(15)와, 상기 내부관(12,12')의 외주면을 감싸며 내부관(12,12')의 외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외부관(11,11')과, 이 외부관(11,11')을 체결하기 위해 설치된 제2연결밴드(14)와, 상기 외부관(11,11')과 내부관(12,12')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13,13')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3,13')에 의해 외부관경(O.D)과 내부관경(I.D) 사이에 약 25mm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 연도용 삼중 덕트 조립체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삼중 덕트 조립체(30)는, 내부관(12,12')과 외부관(31,31') 사이에 중간관(33,33')이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는 각각 스페이서(13,13',35,35')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내부관(12,12')을 체결하기 위해 제1연결밴드(15)와, 상기 외부관(31,31')을 체결하기 위해 제2연결밴드(3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페이서(13,13',35,35')에 의해 외부관경(O.D)과 중간관경(M.D) 사이와, 그리고 중간관경(M.D)과 내부관경(I.D) 사이의 각각에는 모두 약 25mm의 공기층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관(12,12')은 0.8∼2.0mm 두께의 스테인리스 스틸의 판재를 이용하여 가공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12b)는 내부관(12,12')의 양단을 약 10∼12mm로 90도 절곡하여 형성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서 상기 외부관(11,11',31,31')을 체결하기 위해 연결밴드(14,36)가 설치되고, 이때, 연결밴드(14,36)는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6)가 이용되어 체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덕트 조립체(10,30)에서 각각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를 체결하는 V-밴드의 일종인 제1연결밴드(15) 주위부(B)를 상세하게 도시한 상세도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는 이중관 덕트 조립체(10)나 삼중관 덕트 조립체(30)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10,30)에는, 상기 내부관(12,12')을 연결 조립하기 위해 맞대어진 플랜지(12a) 내부 사이 틈새(C; 도 4참조)에 충진된 제1내열 실런트(21)와, 상기 제1연결밴드(15)를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에 체결한 상태에서 제1연결밴드(15) 내부(15a)와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 외부에 충진된 제2내열 실런트(22)와, 상기 내부관(12,12')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공극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발포 알루미늄 관(25,25')과, 이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내부관(12)이 결합되어 플랜지(12a)가 맞대어진 사이의 내부관(12,12') 내벽면에 설치되어 플랜지(12a) 사이 틈새(C)를 커버하여 틈새(C)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기밀 가이드 링(23,23')이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은 내부관(12,12')과 같은 소재인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은 용접(w1,w2)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1.0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의 양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그 가장자리에 U-홈(23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의 높이, 즉 U-홈(23a)의 외주면의 높이는 기밀 가이드 링(23,23')이 설치되면서 플랜지(12a) 사이의 틈새(C)를 커버하는 최소한 높이에서부터 100mm 이하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은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를 폐쇄되게 하며 설치(용접)된다. 즉,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이 플랜지(12a) 면에서 어느 정도 비켜나게 위치시키며 설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의 외주면은 내부관(12,12')의 내주면에 스테인리스 스틸 소재 용접에 적합한 예컨대, 아르곤 용접(w1,w2)에 의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2내열 실런트(21,22)는 내열 실리콘을 이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10,30)의 내부관(12,12')은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원형 관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고, 특히 내부관(12,12')의 양단을 90도로 절곡하여 플랜지(12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관(12,12')의 외주면에 25mm의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하며, 그 외주면에 외부관(11,11')만을 설치하면 도 5의 이중관이 되고, 내부관(12,12')의 외주면에 두 개의 관, 즉 중간관(33,33')과 외부관(31,31')을 연속하여 설치하면 삼중관이 된다.
또한 알루미늄을 용융한 상태에서 발포시켜 전체에 걸쳐 다수개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한 판재로 내부관(12,12')의 직경 및 길이에 맞게 원형으로 밴딩하여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을 만든다.
그리고 1.0mm 이상의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를 이용하여 가장자리에 U-홈(23a)이 형성되도록 절곡하고, 원형 링으로 밴딩하여 기밀 가이드 링을 만든다. 이때 상기 U-홈(23a)의 외주면 높이는 100mm 이하로 한다.
또한 상기 U-홈(23a) 절곡시 성형성을 좋게 하기 위해 그 높이를 서로 다르게 한다. 예컨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 높이는 낮게 하고, 용접(w1,w2)이 이루어지는 외주면의 높이는 높게 형성한다.
이렇게 제작된 기밀 가이드 링(23,23')의 U-홈(23a)에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을 끼워 조립하고, 한쪽(배기가스 유동 방향)으로 플랜지(12a) 면에서 비켜나도록 하여 위치시킨다.
그런 후, 스테인리스 스틸 판재로 이루어진 가장자리에 U-홈(23a)을 형성한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의 외주면과 내부관(12,12')의 내주면을 서로 맞대어 밀착되게 한 후 아르곤 용접(w1,w2)을 실시하여 서로 부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이 부착된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 틈새(C) 면에 1차로 제1내열 실런트(21)를 충진한다. 또한 V-홈(15a)을 갖고 원형을 형성하는 제1연결밴드(15) 내부에 제2내열 실런트(22)를 2차로 충진한다.
그리고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이 부착된 상태로 내부관(12,12')의 플랜지(12a)를 제1연결밴드(15)의 V-홈(15a)에 끼워 한쪽에서 볼트 및 너트로 이루어진 체결부재(16)로 조여 내부관(12,12')을 조립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2내열 실런트(21,22)를 각각 두 번에 걸쳐 충진하고, 상기 내부관(12,12')을 조립함으로써 제1,2내열 실런트(21,22)의 기능이 극대화되어 기밀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런 후, 도 5의 이중관의 연결지점을 제2연결밴드(14)로 또는 도 6의 삼중관의 연결지점을 제2연결밴드(36)로 채워 조립을 완성한다.
이렇게 완성된 덕트 조립체(10,30)를 지하층 열원장비의 배기가스 토출구와 연결하고, 이를 옥상층까지 연결하여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연도 시공 이후 고온의 배기가스가 내부관(12,12') 내부를 유동할 때 내부관(12,12') 연결부인 플랜지(12a) 부분에서 팽창되어 서로 맞대어진 플랜지(12a)의 틈새(C)가 벌어지게 된다.
이런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 가이드 링(23,23')이 상기와 같이 발생된 틈새(C) 내부에 슬립(slip)됨으로 배기가스의 누연 및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도용 덕트 조립체(10,30)에는 모두 금속 소재만이 적용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며, 반영구적이고, 모두 재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열원장비 운전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가 소음, 진동, 압력을 동반하여 내부관(12,12')을 유동하면, 내부관(12,12') 안쪽에 배치된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의 공극 표면으로 유동하여 소음과 진동이 소멸되며, 내부관(12,12')의 연결부 안 쪽에서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이 기밀 가이드 링(23,23') 역할을 하여 누연 및 누수를 차단하고 우수한 단열 기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조립체(10,30)는 고온, 고압, 소음, 진동, 누연, 누수 등의 문제점이 있는 열원장비(예컨대, 보일러 등)를 사용하는 각종 건축물 등의 장비의 배기통(연도)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을 발포시켜 표면 전체가 공극을 형성한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은,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흡수하며, 발포 알루미늄 관(25,25')이 기밀 가이드 링(23,23') 역할로 배기가스가 기밀 가이드 링(23,23')을 타고 흐르는 상태로 유도하여 기체 및 유체의 누연, 누수가 없고 내부의 일정 압력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다수개가 연속해서 결합되게 양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된 내부관과, 다수개의 상기 내부관을 연결하며 조립되기 위해 서로 맞대어진 상기 플랜지를 체결하는 제1연결밴드와, 상기 내부관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상기 내부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설치된 외부관을 구비하여 된 연도용 덕트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을 연결 조립하기 위해 맞대어진 상기 플랜지 틈새 면에 충진된 제1내열 실런트와;
    상기 플랜지를 체결한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밴드 내부와 상기 플랜지 외부에 충진된 제2내열 실런트와;
    상기 내부관 내주면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공극이 전체에 걸쳐 형성된 발포 알루미늄 관과;
    상기 발포 알루미늄 관을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플랜지가 맞대어지며 형성된 상기 플랜지 틈새 사이를 커버하며 상기 내부관 내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틈새에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 기밀 가이드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은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은 1.0mm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판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은 상기 발포 알루미늄 관의 양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가장자리에 U-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의 외주면의 높이는 100mm 이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 가이드 링의 외주면은 상기 내부관의 내주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과 상기 외부관 사이 중앙에는 중간관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20070141880A 2007-12-31 2007-12-31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091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80A KR100914754B1 (ko) 2007-12-31 2007-12-31 연도용 덕트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80A KR100914754B1 (ko) 2007-12-31 2007-12-31 연도용 덕트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21A KR20090073821A (ko) 2009-07-03
KR100914754B1 true KR100914754B1 (ko) 2009-08-31

Family

ID=4133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880A KR100914754B1 (ko) 2007-12-31 2007-12-31 연도용 덕트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7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90Y1 (ko) * 2014-07-01 2014-08-06 김요시 이중 배기연도
KR102045845B1 (ko) * 2018-12-21 2019-11-18 성운기업(주)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KR102221820B1 (ko) * 2020-12-15 2021-02-26 배상진 연도 조립체
KR102356493B1 (ko) 2021-06-14 2022-02-08 코리아플랜트(주)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KR102356499B1 (ko) 2021-06-18 2022-02-08 코리아플랜트(주) 스페이서가 설치된 4중 연도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598Y1 (ko) * 1980-01-10 1981-05-28 이경준 냉 난방환기 닥트(duct)의 이음구
KR890007278U (ko) * 1987-09-30 1989-05-16 이성우 조립식 덕트의 연결구조
KR200392861Y1 (ko) * 2005-06-02 2005-08-18 이병구 건식 에어닥트 연결장치
JP2007170739A (ja) * 2005-12-21 2007-07-05 Kumagai Gumi Co Ltd ダクト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0598Y1 (ko) * 1980-01-10 1981-05-28 이경준 냉 난방환기 닥트(duct)의 이음구
KR890007278U (ko) * 1987-09-30 1989-05-16 이성우 조립식 덕트의 연결구조
KR200392861Y1 (ko) * 2005-06-02 2005-08-18 이병구 건식 에어닥트 연결장치
JP2007170739A (ja) * 2005-12-21 2007-07-05 Kumagai Gumi Co Ltd ダクト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21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754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US6968923B2 (en) Reduced noise valve stack connection
KR10091475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648312B1 (ko) 단열 연도 조립체
JPH0639910B2 (ja) ガスタ−ビン用排気消音装置
KR100879770B1 (ko) 결로침입이 없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KR10094218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0915630B1 (ko) 배관용 단열커버 및 그 시공방법
KR101554899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101087220B1 (ko)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KR10091475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KR20090129601A (ko) 원형관 연결구조
RU25492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ульсирующего горения
JP4031726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5878256B1 (ja) 煙突の接続構造
KR200491769Y1 (ko) 연결부 내화성이 강화된 단위식 연도관
KR101994965B1 (ko) 걸림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및 그 설치방법
KR10182903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누출방지구조
KR20100004148A (ko)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KR20100011498U (ko)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
KR102449830B1 (ko) 고온에 적합한 연도 연결구조
KR101435456B1 (ko) 고단열 및 소음저감 조립식 연도
KR200453413Y1 (ko) 연도 조립체
KR102189068B1 (ko) 불연성과 기밀성이 개선된 연도용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