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845B1 -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845B1
KR102045845B1 KR1020180167665A KR20180167665A KR102045845B1 KR 102045845 B1 KR102045845 B1 KR 102045845B1 KR 1020180167665 A KR1020180167665 A KR 1020180167665A KR 20180167665 A KR20180167665 A KR 20180167665A KR 102045845 B1 KR102045845 B1 KR 10204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flanges
protrus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현
최현호
Original Assignee
성운기업(주)
최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운기업(주), 최현호 filed Critical 성운기업(주)
Priority to KR102018016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2Joints; Connections between duct or stack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연통관을 밀봉되게 연결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양 단부에 플랜지를 갖는 단일의 관이나, 또는 내,외부관으로 구성되어 내부관의 양 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는 이중의 관의 플랜지 연결부분을 결합하는 관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이음장치는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 중 하나의 관의 두 개의 단부 중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둘레 단부에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플랜지의 연결면의 반대면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플랜지에 연결되는 플랜지의 둘레 끝단에 플렌지의 연결면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외측 돌출판이나, 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플랜지에 연결되는 플랜지의 둘레 단부에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플랜지의 연결면의 반대면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의 두 개의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된 밀봉패킹을 포함하고,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의 연결 단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플랜지를 외측 둘레에서 내측 방향으로 감싸면서 두 개의 플랜지를 근접되게 쐐기식으로 눌러주어 밀봉패킹의 압축 밀봉력을 향상시키고 양 둘레 단부가 서로 연결 결합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Pipe joint apparatus}
본 발명은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의 연도관을 누수나 가스가 완전 밀봉되게 연결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나 냉온수기, 터빈 발전기 등에는 연소 후 발생되는 폐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파이프 라인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파이프 라인은 고온 및 고압에 견딜 수 있는 관으로 이루어지며, 결로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물이나 폐가스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길이를 감안하여 대체로 2이상의 관을 연결하고, 이들 관의 연결지점에 관 이음장치를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관 이음장치는 관의 연결지점에서 물이나 폐가스 등이 유출됨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기능을 갖추게 된다.
도 7은 종래의 연도 연결관 이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종래 연도 연결관 이음 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P)의 연결지점에서 관(P)의 상호 접촉지점에 밴드형태로 둘러져 결합된다. 이때, 상기 관(P)은 상호간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키기 위해 외부로 1회 확장 절곡시킨 플랜지(100)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관(P)의 연결지점은 외주면에 플랜지(100)가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게 되며, 전술한 실링기능을 갖추기 위해 연결되는 두 개의 관의 플랜지(100)의 사이에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로 된 실링재(4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종래의 연도 연결관 이음 장치에는 연결되는 두 개 관의 플랜지(100)의 둘레를 관(P)의 연결단부의 방향으로 눌러주는 대략 "V"형태의 절곡부(200)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종래의 연도 연결관 이음 장치는 밴드형태의 일측이 개방되고, 개방된 지점에 그 내주 직경을 축소시켜 결합력을 부여하기 위한 체결부(300)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연도 연결관 이음 장치는 관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둘레폭이 일정하지 못하고 불균일하게 제조됨에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크기가 서로 다른 플랜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V"형태의 관이음 장치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의 폭이 서로 달라 관이음 장치의 맞춤이 어긋나 틀어지면서 관 이음부분의 밀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연도 연결관 이음 장치는 "V"형태의 관이음 장치의 내부에 실리콘 등의 실링재를 도포함에 따라, 실링재의 도포 상태가 좋지 않아 관 이음부분의 밀봉력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관 이음장치는 두 개 관의 플랜지의 둘레를 연결단부의 방향으로 눌러주는 "V"형태의 절곡부의 누름력이 약함에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 사이의 실링재의 압축 밀봉력이 약함으로써 관 내부의 결로 현상으로 인하여 단기간에 누수가 발생되고, 관을 통과하는 가스가 단기간에 누출되어 실링재의 교체 기간이 짧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종래의 관 이음장치는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 사이의 실링재의 압축 밀봉력이 약함에 따라, 종래의 관 이음장치를 고압 가스가 배출되는 터빈 발전기의 연통관의 연결에 사용할 경우에는 고압의 가스가 누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37107호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둘레 단부에 1, 2차 성형 절곡을 통해 일정하게 돌출부나 외측 돌출판을 더 형성하여 플랜지의 둘레폭을 둘레를 따라 크기가 균일하게 함에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의 둘레폭 크기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연결밴드의 맞춤이 어긋남 없이 딱 맞게되어 견고하게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 사이의 밀봉실링을 두 개의 플랜지의 강한 누름압력으로 압축함으로써 밀봉실링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의 관의 연결은 물론 내,외부관으로 이루어진 이중 또는 삼중의 관의 연결도 가능한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는 양 단부에 플랜지를 갖는 단일의 관이나, 또는 내,외부관으로 구성되어 내부관의 양 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되는 이중의 관의 플랜지 연결부분을 결합하는 관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이음장치는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 중 하나의 관의 두 개의 단부 중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둘레 단부에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플랜지의 연결면의 반대면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플랜지에 연결되는 플랜지의 둘레 끝단에 플렌지의 연결면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외측 돌출판이나, 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플랜지에 연결되는 플랜지의 둘레 단부에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플랜지의 연결면의 반대면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며,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의 두 개의 플랜지의 사이에 구비된 밀봉패킹을 포함하고,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의 연결 단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플랜지를 외측 둘레에서 내측 방향으로 감싸면서 두 개의 플랜지를 근접되게 쐐기식으로 눌러주어 밀봉패킹의 압축 밀봉력을 향상시키고 양 둘레 단부가 서로 연결 결합되는 연결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의 상기 연결밴드는 외측 둘레에 플랜지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의 외측을 감싸는 띠 형태의 둘레 밀착판과, 상기 둘레 밀착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의 일측 단부에서 내측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를 밀봉패킹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눌러주는 제1 누름 경사판과, 상기 둘레 밀착판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의 타측 단부에서 내측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플랜지에 연결되는 플랜지나, 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형성된 플랜지에 연결되는 플랜지에 형성된 제2 돌출부를 밀봉패킹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눌러주는 제2 누름 경사판과, 양 둘레 단부를 서로 근접되게 조이면서 결합하는 체결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관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둘레폭을 1차 및 2차의 성형과정을 거쳐 둘레를 따라 크기가 균일하게 함에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의 설치시 플랜지의 맞춤이 어긋남 없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관 이음부분의 밀봉력을 최대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 사이의 밀봉실링을 두 개의 플랜지가 강한 누름압력으로 압축하여 밀봉실링의 밀봉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관의 시공 후 관 내부의 결로 현상으로 인한 누수를 완전히 방지하고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밀봉 실링의 교체가 필요없는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압의 가스가 배출되는 터빈 발전기의 연통관의 연결에 사용할 경우에도, 관 사이의 밀봉패킹을 플랜지의 강한 누름압력으로 압축함으로써 밀봉패킹에서 고압의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가 포함되는 단일의 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하나의 단일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단일의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가 포함되는 단일의 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하나의 단일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c는 단일의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에 관 연결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b는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에 관 연결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관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b는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를 통해 이중의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제2 실시예의 관 이음짱치를 통해 이중의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연도 연결관 이음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가 포함되는 단일의 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하나의 단일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1c는 단일의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양 단부에 플랜지(11)를 갖는 단일의 관(1)이나 또는 내,외부관으로 구성되어 내부관의 양 단부에 플랜지(11)가 구비되는 이중의 관(1)의 플랜지(11) 연결부분을 결합하는 것이다. 여기서 삼중관의 형태도 이중관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이중관 외측으로 하나의 관이 더 부가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구조적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 중 하나의 관(1)의 두 개의 단부 중에 하나의 단부에 1차 성형된 플랜지(11)의 둘레 단부에 폭이 일정하게 2차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플랜지(11)의 연결면의 반대면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2)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 장치는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의 둘레 끝단에 플렌지(11)의 연결면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외측 돌출판과,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의 두 개의 플랜지(11)의 사이에 구비된 밀봉패킹(3)을 포함하고,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의 연결 단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외측 둘레에서 내측 방향으로 감싸면서 두 개의 플랜지(11)를 근접되게 쐐기식으로 눌러주어 밀봉패킹(3)의 압축 밀봉력을 향상시키고, 양 둘레 단부가 서로 연결 결합되는 연결밴드(4)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밀봉패킹(3)은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의 두 개의 플랜지(11)의 사이에 충진되거나 삽입되어 관(1) 사이를 밀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고압의 가스가 배출되는 터빈 발전기의 연도 연결관의 연결에 사용할 경우에는 경질의 패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은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의 두 개의 플랜지(11)의 사이에 충진되거나 삽입되어 관(1) 사이를 밀봉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신축성을 가지는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거나, 또는 고압의 가스가 배출되는 터빈 발전기의 연도 연결관의 연결에 사용할 경우에는 경질의 패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밴드(4)는 종래와 같이 브이형 단면을 갖는 연결밴드로도 가능하지만, 더 바람직하게 밀봉패킹(3)의 압축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외측 둘레에 플랜지(11)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래지의 외측을 감싸는 띠 형태의 둘레 밀착판(4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밴드(4)는 상기 둘레 밀착판(4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의 일측 단부에서 내측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강도가 강하게 향상된 상기 제1 돌출부(2)를 밀봉패킹(3)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눌러주는 제1 누름 경사판(42)과, 상기 둘레 밀착판(4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의 타측 단부에서 내측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를 밀봉패킹(3)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눌러주는 제2 누름 경사판(43)을 더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연결밴드(4)는 양 둘레 단부를 서로 근접되게 조이면서 결합하는 체결 결합수단(44)를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체결 결합수단(44)은 여러 종류가 공지되어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체결 결합수단(44)을 도시하였다.
한편 상기 제1 돌출부(2)는 상기 제1 누름 경사판(42)이 외면에 선접촉을 하여 쐐기식의 누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1 돌출부(2)의 둘레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단면의 형상이 원호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1)의 단부에 1차 불균일하게 형성된 플랜지(11)의 둘레 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2차 절곡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2)나 외측 돌출판(5)을 더 형성하여 플랜지(11)의 둘레폭을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함에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관의 내주경이 일치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4)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11)의 둘레폭 및 관의 내경이 일치되게 균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완전 일치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5)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11)의 둘레폭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연결밴드의 맞춤이 어긋남 없이 또한 관의 내경이 직관의 형태로 틀어짐이 없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관 이음부분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따라서 본 발명은 관(1)의 단부에 1차 불균일하게 형성된 플랜지(11)의 둘레 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2차 절곡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2)나 외측 돌출판(5)을 더 형성하여 플랜지(11)의 둘레폭을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함에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관의 내주경이 일치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4)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11)의 둘레폭 및 관의 내경이 일치되게 균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완전 일치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5)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11)의 둘레폭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연결밴드의 맞춤이 어긋남 없이 또한 관의 내경이 직관의 형태로 틀어짐이 없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관 이음부분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1)의 단부에 1차 불균일하게 형성된 플랜지(11)의 둘레 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2차 절곡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2)나 외측 돌출판(5)을 더 형성하여 플랜지(11)의 둘레폭을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함에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관의 내주경이 일치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4)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11)의 둘레폭 및 관의 내경이 일치되게 균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완전 일치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5)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11)의 둘레폭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연결밴드의 맞춤이 어긋남 없이 또한 관의 내경이 직관의 형태로 틀어짐이 없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관 이음부분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되는 플랜지(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1)의 단부에 1차 불균일하게 형성된 플랜지(11)의 둘레 단부에 일정한 폭으로 2차 절곡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2)나 외측 돌출판(5)을 더 형성하여 플랜지(11)의 둘레폭을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함에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관의 내주경이 일치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4)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11)의 둘레폭 및 관의 내경이 일치되게 균일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완전 일치하게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5)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11)의 둘레폭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연결밴드의 맞춤이 어긋남 없이 또한 관의 내경이 직관의 형태로 틀어짐이 없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관 이음부분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의 내,외측 중간의 둘레에는 플랜지(11) 연결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외면이 상기 제2 누름 경사판(43)에 밀착되어 쐐기식으로 눌려지는 강도가 강한 압축 돌출부(12)가 절곡되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압축 돌출부(12)는 제2 누름 경사판(43)이 외면에 선접촉을 하여 쐐기식의 누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돌출부분이 끝단이 뾰족하게 "V"자 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축 돌출부(12)의 내부에는 밀봉패킹(3)이 더 충진됨으로써 밀봉패킹(3) 밀봉력이 더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를 사용하여 관(1)을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서로 연결할 관(1)의 두 개의 플랜지(11) 사이에 밀봉패킹(3)을 충진하거나 삽입한다.
다음, 상기 연결밴드(4)로 두 개의 플랜지(11)를 감싸면서 연결밴드(4)의 체결 결합수단(44)을 통해 연결밴드(4)의 직경이 작아지게 조이는 과정을 통해, 연결밴드(4)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누름 경사판(42)을 통해 절곡되어 강도가 강한 제1 돌출부(2)를 밀봉패킹(3)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강하게 누르고, 타측에 구비된 제2 누름 경사판(43)을 통해 절곡되어 강도가 강한 압축 돌출부(12)를 밀봉패킹(3)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강하게 누름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사이의 밀봉패킹(3)이 강한 누름압력으로 압축되면서 관(1)의 연결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의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 사이에 구비된 밀봉패킹(3)이 두 개의 플랜지(11)의 강한 누름압력으로 압축됨으로써, 관(1)의 시공 후 관 내부의 결로 현상으로 인한 누수 및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전 차단할 수 있고 밀봉실링(3)의 교체가 전혀 필요없는 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관 이음장치를 고압의 가스가 배출되는 터빈 발전기의 연통관(1)의 연결에 사용할 경우에도, 관(1) 사이의 밀봉패킹(3)이 두 개의 플랜지의 강한 누름압력으로 압축됨으로써 밀봉패킹(3)에서 고압의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가 포함되는 단일의 관을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하나의 단일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2c는 단일의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구성들 중 상기 외측 돌출판(5)과 압축 돌출부(12)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의 둘레 단부에 원호형으로 절곡되어 플랜지(11)의 연결면의 반대면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 돌출부(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연결밴드를 구성하는 상기 제2 누름 경사판(43)은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에 형성된 제2 돌출부(6)를 밀봉패킹(3)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눌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1)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1)의 둘레 단부에 절곡을 통해 상기 제1 돌출부(2)나 제2 돌출부(6)을 더 형성하여 플랜지(11)의 둘레폭을 둘레를 따라 균일하게 함에 따라,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밴드(4)의 설치시 두 개의 플랜지(11)의 둘레폭을 균일하게 함으로써, 연결밴드의 맞춤이 어긋남 없이 견고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관 이음부분의 밀봉력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 관 이음장치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관 이음장치를 사용하여 관(1)을 연결할 경우에는, 먼저, 서로 연결할 관(1)의 두 개의 플랜지(11) 사이에 밀봉패킹(3)을 충진하거나 삽입한다.
다음 상기 연결밴드(4)로 두 개의 플랜지(11)를 감싸면서 연결밴드(4)의 쳬결 결합수단(44)을 통해 연결밴드(4)의 직경이 작아지게 조이는 과정을 통해, 연결밴드(4)의 일측에 구비된 제1 누름 경사판(42)을 통해 절곡되어 강도가 강한 제1 돌출부(2)를 밀봉패킹(3)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강하게 누르고, 타측에 구비된 제2 누름 경사판(43)을 통해 절곡되어 강도가 강한 제2 돌출부(6)를 밀봉패킹(3)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강하게 누름으로써,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사이의 밀봉패킹(3)이 강한 누름압력으로 압축되면서 관(1)의 연결 시공을 완료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11) 사이에 구비된 밀봉패킹(3)이 두 개의 플랜지(11)의 강한 누름압력으로 압축됨으로써, 관(1)의 시공 후 관 내부의 결로 현상으로 인한 누수 및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관 이음장치를 고압의 가스가 배출되는 터빈 발전기의 연통관(1)의 연결에 사용할 경우에도, 관(1) 사이의 밀봉패킹(3)이 두 개의 플랜지의 강한 누름압력으로 압축됨으로써 밀봉패킹(3)에서 고압의 가스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에 관 연결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에 관 연결관이 더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가 포함하는 상기 관의 내주면의 양 단부 중 하나의 단부의 둘레 일부에는 관의 끝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관 연결판(10)이 용접을 통해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관 연결판(10)의 높이는 연결되는 관들이 수평으로 시공된 상태에서 결로로 인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관의 내경보다 1/3 정도의 짧은 높이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 연결판(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 단부에는 관(1)의 끼움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관(1)의 중앙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0a)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관의 내주면의 양 단부 중 하나의 단부의 둘레 일부에는 관의 끝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관 연결판(10)을 용접을 통해 더 구비함으로써, 관의 수평 연결시 관 연결판(10)의 하부에 위치시키게 되면, 관 연결판(10)이 관의 연결부분의 하부를 완벽하게 커버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결로로 인한 수분이 외부로 전혀 배출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를 통해 이중의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제2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를 통해 이중의 관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의 관 이음장치는 내,외부관(P1)(P2)으로 구성되어 내부관(P1)의 양 단부에 플랜지(11)가 구비되는 이중의 관(1)의 연결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중의 관(1)은 내,외부관(P1)(P2)의 사이에 단열재(D)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는 이중의 관(1)의 양 끝단의 둘레 개방단부에 둘레 간격으로 두고 더 삽입 구비되어 내,외부관(P1)(P2)의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간격 유지부재(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간격 유지부재(7)는 이중의 관(1)의 내,외부관(P1)(P2)의 간격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관(1)의 내부관(P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일부가 관(1) 끝단의 둘레 개방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측판(71)과, 상기 내측판(71)의 삽입측 단부에 외측의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는 삽입판(72)과, 상기 삽입판(72)의 외측 둘레 끝단에서 상기 내측판(71)과 마주보게 돌출되어 상기 관(1)의 외부관(P2)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관(1) 끝단의 둘레 개방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외측판(73)과, 상기 외측판(73)의 돌출 단부에서 외측판(73)의 외면과 마주보게 절곡되어 내부에 외부관(P2)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고정 절곡판(74)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는 전술한 연결밴드(4)를 통해 두 개의 이중의 관(1)의 플랜지(11)가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의 사이에 관(1)의 외부로 노출된 내부관(P1)의 외측과 연결밴드(4)의 외측을 감싸게 구비되는 연결 단열재(8)와,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이중의 관(1)의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 단열재(8)의 외측을 감싸며 양 둘레 단부가 연결 수단으로 연결 결합되는 외측 커버밴드(9)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볼트와 너트의 체결 등의 공지된 여러 연결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단일의 관(1)의 연결은 물론, 이중의 관(1)도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연결 단열재(8)와 외측 커버밴드(9)를 통해 보온성도 가지는 관 이음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고, 현장에서 관(1)의 연결부분을 연결 단열재(8)와 외측 커버밴드(9)를 통해 바로 보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1)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관
11 : 플랜지
12 : 압축 돌출부
2 : 제1 돌출부
3 : 밀봉패킹
4 : 연결밴드
41 : 둘레 밀착판
42 : 제1 누름 경사판
43 : 제2 누름 경사판
44 : 체결 결합수단
5 : 외측 돌출판
6 : 제2 돌출부
7 : 간격 유지부재
71 : 내측판
72 : 삽입판
73 : 외측판
74 : 고정판
8 : 연결 단열재
9 : 외측 커버밴드
10 : 관 연결판

Claims (7)

  1. 양 단부에 플랜지(11)를 갖는 단일의 관(1)이나, 또는 내,외부관(P1)(P2)으로 구성되어 내부관(P1)의 양 단부에 플랜지(11)가 구비되는 이중의 관(1)의 플랜지 연결부분을 결합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 이음장치는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 중 하나의 관(1)의 두 개의 단부 중에 하나의 단부에 1차 형성된 플랜지(11)의 둘레 단부에 2차 절곡되어 플랜지(11)의 연결면의 반대면 외측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돌출부(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의 둘레 끝단에는 플렌지(11)의 연결면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외측 돌출판(5)을 포함하며,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의 두 개의 플랜지(11)의 사이에 구비된 밀봉패킹(3)을 포함하고,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의 연결 단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플랜지(11)를 외측 둘레에서 내측 방향으로 감싸면서 두 개의 플랜지(11)를 근접되게 쐐기식으로 눌러주어 밀봉패킹(3)의 압축 밀봉력을 향상시키고 양 둘레 단부가 서로 연결 결합되는 연결밴드(4)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의 중간부위 둘레에는 플랜지(2) 연결면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로 밀봉패킹(3)이 충진되는 압축 돌출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4)는
    외측 둘레에 플랜지(11)의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플랜지의 외측을 감싸는 띠 형태의 둘레 밀착판(41)과,
    상기 둘레 밀착판(4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의 일측 단부에서 내측의 일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2)를 밀봉패킹(3)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눌러주는 제1 누름 경사판(42)과,
    상기 둘레 밀착판(4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되는 방향의 타측 단부에서 내측의 타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나, 또는 상기 제1 돌출부(2)가 형성된 플랜지(11)에 연결되는 플랜지(11)에 형성된 제2 돌출부(6)를 밀봉패킹(3)의 방향으로 쐐기식으로 눌러주는 제2 누름 경사판(43)과,
    양 둘레 단부를 서로 근접되게 조이면서 결합하는 체결 결합수단(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돌출부(12)는 돌출부분이 끝단이 뾰족하게 "V"자 형태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의 내주면의 양 단부 중 하나의 단부의 둘레 일부에는
    관의 끝단에서 외부로 돌출된 관 연결판(10)이 용접을 통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판(10)의 높이는
    상기 관의 내경보다 1/3 이하의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7.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1)은 내,외부관(P1)(P2)으로 구성되어 내부관(P1)의 양 단부에 플랜지(11)가 구비되고,
    상기 이중의 관(1)의 내,외부관(P1)(P2)의 사이에는 단열재(D)가 구비되며,
    상기 관 이음장치는
    이중의 관(1)의 양 끝단의 둘레 개방단부에 둘레 간격을 두고 삽입 구비되어 내,외부관(P1)(P2)의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간격 유지부재(7)와,
    상기 연결밴드(4)를 통해 두 개의 이중의 관(1)의 플랜지(11)가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관(1)의 사이에 관(1)의 외부로 노출된 내부관(P1)의 외측과 연결밴드(4)의 외측을 감싸게 구비되는 연결 단열재(8)와,
    상기 서로 연결되는 두 개의 이중의 관(1)의 연결되는 부분의 외주면과 상기 연결 단열재(8)의 외측을 감싸며 양 둘레 단부가 연결수단으로 연결 결합되는 외측 커버밴드(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KR1020180167665A 2018-12-21 2018-12-21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KR102045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665A KR102045845B1 (ko) 2018-12-21 2018-12-21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7665A KR102045845B1 (ko) 2018-12-21 2018-12-21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845B1 true KR102045845B1 (ko) 2019-11-18

Family

ID=68727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665A KR102045845B1 (ko) 2018-12-21 2018-12-21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8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6676A (ja) * 1997-12-03 1999-06-22 Futaba Sangyo Co Ltd パイプのジョイント構造
KR19990076621A (ko) * 1995-12-21 1999-10-15 만프레트 마이니히 에어 덕트 섹션의 맞대기 이음매 장치
KR20090073821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에어텍(주)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537107B1 (ko) 2013-12-05 2015-07-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6621A (ko) * 1995-12-21 1999-10-15 만프레트 마이니히 에어 덕트 섹션의 맞대기 이음매 장치
JPH11166676A (ja) * 1997-12-03 1999-06-22 Futaba Sangyo Co Ltd パイプのジョイント構造
KR20090073821A (ko) * 2007-12-31 2009-07-03 한국에어텍(주)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537107B1 (ko) 2013-12-05 2015-07-1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배기관과 연도관의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8368B2 (en) Coupling having seal with lip projections
RU249531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RU2045692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муфта для труб
US4564220A (en) Elastic gasket pipe coupling for pressurized plumbing systems
KR101545332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US3533650A (en) Pipe clamp for plastic or thin walled pipe
KR102045845B1 (ko) 연도 연결관 이음장치
KR20090085922A (ko) 락심이 형성된 파형강관 연결구
KR200251682Y1 (ko) 강관 연결장치
US9285066B2 (en) Positive pressure pipe coupling
KR200458990Y1 (ko) 고온 및 고압 가스관용 관이음 장치
US3408097A (en) Gasket ring and conduit coupling
US3235292A (en) Pipe coupling
KR101464659B1 (ko) 패킹재가 내장된 누수방지용 이중연통관 체결밴드
JP4948082B2 (ja) 水圧試験装置
US2462504A (en) Pipe clamp
KR102213246B1 (ko) 신축 이음관
RU211687U1 (ru)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секций биметаллического радиатора
CN220727473U (zh) 蒸汽输送管线
JPH0314624Y2 (ko)
KR200397996Y1 (ko) 파이프 커플링
KR101997716B1 (ko) 파형관 연결용 커플러
JP3534571B2 (ja) 高温高圧用2重管
KR200220068Y1 (ko) 강관 연결장치
JP2017133598A (ja) 伸縮継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