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4148A -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 Google Patents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4148A
KR20100004148A KR1020080064171A KR20080064171A KR20100004148A KR 20100004148 A KR20100004148 A KR 20100004148A KR 1020080064171 A KR1020080064171 A KR 1020080064171A KR 20080064171 A KR20080064171 A KR 20080064171A KR 20100004148 A KR20100004148 A KR 20100004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ack
heat dissipation
self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삼성
Original Assignee
(주) 인디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인디고텍 filed Critical (주) 인디고텍
Priority to KR102008006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4148A/ko
Publication of KR2010000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돌관, 방열관, 구조관을 구비하여 연도의 용도에 따라 일체형 또는 다발형으로 조립하는 연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는, 인접된 구조관 상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 플랜지를 용접한 후 볼트체결에 의해 구조관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구조관 내부에 연돌관과, 중간의 방열관 및 외측의 방열관으로 이루어진 3중관의 연돌이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되;
상기 연돌관은 상하로 인접된 연돌관의 외측 플랜지를 감싸는 V홈이 형성된 V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연돌관과 중간의 방열관 사이와, 상기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 사이에는 절곡된 스페이서가 각각 개재되어 이격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은 상하로 이격된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을 각각 감싸는 C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연돌관, 방열관, 구조관

Description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Assembly type Gas Flue}
본 발명은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돌관과 방열관 및 구조관을 구비하여 연도의 용도에 따라 일체형 또는 다발형으로 조립하는 연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소각장, 지역난방 굴뚝, 공장 등은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석탄, 석유, 가스 등의 원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는 통상 연도인 굴뚝으로 배출한다.
그리고 고온의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도로서 내화벽돌을 각형 또는 원통형상으로 높이 쌓아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벽돌을 하나씩 쌓아올려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어려움이 있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므로 시공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내화성 골재와 수경 시멘트 또는 화학적 결합재를 혼합한 캐스타블(Castable) 내화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유입 시공후 일정시간 경과한 다음 연도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내화벽돌, 캐스타블 내화물 연돌은 온도차에 의해 결빙 및 누수 현상으로 크랙이 발생되고 표면이 매끄럽지 않아 가스배출시 저항치수가 높으며, 또한, 배기가스 분진물이 응착하기 쉬워 연돌 내부가 오염되거나 내부 구조의 변형으로 인한 하자보수 건이 자주 발생된다.
또한, 시공상 작업순서가 복잡하고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 장기간 동안 공사를 해야 하며 그에 따른 공사비 부담이 가중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돌관과 방열관 및 구조관으로 스테인리스 스틸을 사용함으로써 내식성 및 내구성이 반영구적이고, 각 관 사이에 공기단열 구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온 및 단열수단이 필요치 않으며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 저항계수(K)값이 종래(내화벽돌 등)에 비하여 매우 적으면서 또한 형상이 정원형, 타원형으로 연소가스 배출시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면적이 축소되어 건축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는, 인 접된 구조관 상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 플랜지를 용접한 후 볼트체결에 의해 구조관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구조관 내부에 연돌관과, 중간의 방열관 및 외측의 방열관으로 이루어진 3중관의 연돌이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되;
상기 연돌관은 상하로 인접된 연돌관의 외측 플랜지를 감싸는 V홈이 형성된 V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연돌관과 중간의 방열관 사이와, 상기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 사이에는 절곡된 스페이서가 각각 개재되어 이격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은 상하로 이격된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을 각각 감싸는 C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는, 인접된 구조관 상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외측 플랜지를 용접한 후 볼트체결에 의해 구조관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구조관 내부에 연돌관과 방열관으로 이루어진 2중관의 연돌이 하나 구비되되;
상기 연돌관은 상하로 인접된 연돌관의 외측 플랜지를 감싸는 V홈이 형성된 V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연돌관과 방열관 사이에는 절곡된 스페이서가 개재되어 이격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방열관은 상하로 이격된 방열관을 감싸는 C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내식성 및 내구성이 반영구적이고, 별도의 보온 및 단열수단이 필요치 않으며 연소가스 배출시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면적이 축소되어 건축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연도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구조관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연돌 연결부의 상세도이다.
제1실시 예에 따른 연도(5)는 하나의 구조관(1) 내부에 3중관으로 이루어진 연돌(2)을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한 다발형으로서, 구조관(1) 내부에서 상기 연돌(2)을 수리 및 보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관(1)의 연결은, 인접된 구조관(1) 상하단부에서 내측으로 90도 절곡되게 내측 플랜지(IF)를 형성하여 내측 플랜지(IF)를 용접한 후 볼트체결에 의해 연결하고, 이 구조관(1)의 내부에 사다리, 플랫폼, 금구류(가공 송배전 선로나 가공 통신 선로에서 전선을 지지물에 매다는 데 쓰는 금속제 부속품류) 등이 설치된다.
상기 3중관으로 이루어진 연돌(2)은 내측의 연돌관(3), 중간의 방열관(4a), 외측의 방열관(4b)이 소정간격을 두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배치되어 도 3의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중관은 V밴드(10), 제1,2스페이서(20,30), 제1,2C밴드(40,50)로 연결된다.
먼저, 상하로 인접한 연돌관(3)의 상하단부에는 외측으로 90도 절곡되게 외측 플랜지(OF)가 형성된다.
상기 V밴드(10)는 일방이 개구된 링(ring) 형상으로, 가운데 부분은 외측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플랜지(OF)를 감쌀 수 있도록 V홈(11)이 형성되고, 개구된 양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브래킷(12)이 형성된다.
상기 V홈(11)에 실란트(60)가 충진된 V밴드(10)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외측 플랜지(OF) 부위가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12)이 서로 대향되어 볼트 등에 의해 상호 체결되는 것에 의해 연돌관(3)이 상하로 연결된다.
또한, 외측 플랜지(OF)를 용접하고 실란트가 충진되지 않은 V밴드(10)로 용접된 외측 플랜지(OF) 부위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12)을 서로 대향되게 한 후 볼트 등에 의해 상호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연돌관(3)을 상하로 연결할 수도 있다.
중간의 방열관(4a)은 상기 연돌관(3)보다 직경이 커 연돌관(3)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1스페이서(20)는 일단이 상기 연돌관(3)과 V밴드(10) 사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후 타단이 상기 중간의 방열관(4a)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고정하여 연돌관(3)과 방열관(4a)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제1C밴드(40)는 일방이 개구된 링(ring) 형상으로, 상기 중간의 방열관(4a)에 제2스페이서(30)의 일단을 개재하여 고정하고 개구된 양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브래킷(41)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된 중간의 방열관(4a)의 단부가 제2스페이서(30)의 일단이 개재된 상태에서 제1C밴드(40)에 의해 감싸진 후 상기 제1C밴드(40)의 브래킷(41)이 서로 대향되어 상호 체결된다.
상기 외측의 방열관(4b)은 상기 중간의 방열관(4a)보다 직경이 커 중간의 방열관(4a)의 외측에 위치하고 요홈(4ba)이 형성된다.
제2스페이서(30)는 일단이 상기 중간의 방열관(4a)과 제1C밴드(40) 사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후, 타단이 상기 외측의 방열관(4b)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고정하여 중간의 방열관(4a)과 외측의 방열관(4b) 사이의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제2C밴드(50)는 일방이 개구된 링(ring) 형상으로, 상기 외측의 방열관(4b)의 요홈(4ba)에 끼워지도록 상하 양측이 절곡되고, 개구된 양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브래킷(51)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된 외측의 방열관(4b)에 형성된 요홈(4ba)에 제2C밴드(50)의 절곡된 상하 양측이 끼워져 인접된 외측의 방열관(4b)의 단부가 제2C밴드(50)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제2C밴드(50)의 브래킷(51)이 서로 대향되어 상호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연돌관(3), 방열관(4a,4b), 구조관(1)의 재질은 내화벽돌, 캐스타블이 아닌 금속(Stainless Steel) 또는 기타 연돌에 적합한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인리스 스틸과 동등 이상의 재질을 사용하고 폐열 및 자연 통풍압에 의하여 배기가스의 흐름을 상부로 유도하여 배출한다.
상기 중간의 방열관(4a)은 연돌관(3)과 이격 공간을 확보하고, 외측의 방열관(4b)은 중간의 방열관(4a)과 이격 공간을 확보하여 자연 통풍압에 의한 공기 흐름을 상부로 유도하고 배기가스가 흐르는 연돌관(3)의 열을 단열한다.
그리고 구조관(1)은 스테인리스 스틸, 콘크리트 및 트러스트(truss)에 외장을 한 구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방열관 역할을 수행하면서 구조체로서 역할도 수행한다.
상기 구조관(1)의 재질이 스테인리스 스틸인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용접 또는 구조관(1)에 용접된 내측 프렌지(IF)를 볼트로 조립하며, 콘크리트 및 트러스(truss)에 외장을 한 구조인 경우에 해당 시방에 의하여 설치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고정 지지수단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수단(100)은 스페이서(20,30)에 의해 이격되는 연돌관(3)과 중간의 방열관(4a) 및 외측 방열관(4b)의 3중관으로 이루어진 연돌(2)의 중간에 설치되어 열팽창이나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연돌(2)을 튼튼하게 고정한다.
상기 고정 지지수단(100)은 연돌관(3)의 외주면에 용접 고정한 채 상하로 인접된 방열관(4a,4b)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연결대(101)와, 상기 보강연결대(101)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는 L자형 앵글링(102)과, 상기 L자형 앵글링(102)의 하부에 위치하는 방진고무(103)와, 상기 방진고무(103) 하부에 위치되어 볼트/너트에 의해 방진고무(103)를 통해 L자형 앵글링(102)에 체결되는 ㄷ자형 부재(104)로 이루어진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배수처리관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처리관(110)은 연돌관(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배수와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돌관(3)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배수되는 물을 모을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하는 배수캡(111)과, 상기 깔때기 형상의 배수캡(111)의 중앙의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는 니플(112)과, 상기 니플(112)에 체결되어 트렌치까지 연결되는 배수 파이프(113)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점검구의 상세도로서, 연돌(2)의 중간에 형성되어 구조관(1) 내부에서 3중관으로 이루어진 연돌(2)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검구(120)는 상기 연돌관(3)과 중간의 방열관(4a)과 외측의 방열관(4b)을 측면으로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점검 파이프(121)와, 상기 점검 파이프(121)의 돌출된 단부에 볼트/너트로 체결되어 점검 파이프(121)를 개폐하는 마개(122)와, 상기 점검 파이프(121)와 마개(122) 사이에 개재되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가스켓(12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측 방열관(4b)과 점검 파이프(121) 사이의 틈새에는 실란트(60)가 도포되어 밀봉 처리되고, 구조관(1) 내부에 위치하여 점검구(120)를 통해 점검 하는 경우에 상기 볼트/너트를 풀어 마개(122)를 열고 점검 파이프(121)를 통해 연돌(2)의 내부를 점검하게 된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빗물받이관의 상세도로서, 상기 배수처리관(110)의 소정거리 이격된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의 빗물이 3중관을 통해 하부의 배수처리관(110)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빗물을 모아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빗물받이관(130)은 상기 연돌관(3)과 중간의 방열관(4a)과 외측의 방열관(4b)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드레인 니플(131)과, 상기 연돌관(3)의 내부에 드레인 니플(13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부로 모아진 빗물을 드레인 니플(131)측으로 배수하는 빗물받이(13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측의 방열관(4b)과 드레인 니플(131) 사이의 틈새에는 실란트(60)가 도포되어 밀봉 처리되고, 드레인 니플(131)은 외부의 드레인 파이프와 연결된다.
이에 의해 연돌관(3) 내부로 떨어지는 빗물은 빗물받이(132)에 모아진 후 자중에 의해 드레인 니플(131)과 드레인 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연돌의 상단부 상세도로서, 연돌관(3)과 중간의 방열관(4a), 외측의 방열관(4b)의 상단부에는 연돌관(3)과 중간의 방열관(4a), 중간의 방열관(4a)과 외측의 방열관(4b) 사이의 이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20,30)가 각각 개재되며, 상기 이격 공간으로 빗물이나 눈 또는 이물질 등이 들 어가지 않도록 연돌(2)의 상단부에 보호캡(140)이 설치된다.
상기 보호캡(140)은 연돌관(3)의 내주면에 덧대어진 상태에서 연돌관(3)의 상부보다 돌출 형성되어 외측 연돌관(4b) 외측보다 더 바깥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부로 절곡된다.
상기 연돌관(3) 내측 공간은 상부로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이격 공간은 상부로 공기가 배출된다.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진동방지관의 상세도이다.
상기 진동방지관(150)은 연돌(2)의 중간에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진동방지관(150)의 양단부는 연돌관(3)에 연결될 수 있도록 외측 플랜지(151)와 그 내부에 슬립부(153)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플랜지(151)의 중간 부위에는 일정길이의 주름이 다수 형성된 주름관(152)이 형성되어 지진이나 기타 요인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진동을 흡수하여 연돌(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연도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연도 연결부의 상세도이다.
제2실시예에 따른 연도(5)는 하나의 구조관(1) 내부에 연돌관(3)과 방열관(4)의 2중관으로 이루어진 연돌(2)을 하나 구비하는 일체형으로서, 구조관(1) 외부에서 상기 연돌(2)을 수리 및 보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조관(1)의 연결은 제1실시예와는 반대로 인접된 구조관(1) 상하단부에서 외측으로 90도 절곡되게 외측 플랜지를 형성하여 외측 플랜지를 용접한 후 볼트체결에 의해 연결하고, 구조관(1)의 외부에 사다리, 플랫폼, 금구류 등이 설치된다.
상기 연돌관(3)과, 상기 연돌관(3)보다 직경이 큰 방열관(4)은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연돌(2)을 구성하며 도 11과 같은 방식에 의해 연결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돌관(3)과 방열관(4)은 V밴드(70), 스페이서(80), C밴드(90)로 연결된다.
먼저, 상하로 인접한 연돌관(3)의 상하단부에는 외측으로 외측 플랜지(OF)가 형성된다.
상기 V밴드(70)는 일방이 개구된 링(ring) 형상으로, 가운데 부분은 외측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외측 플랜지(OF)를 감쌀 수 있도록 V홈(71)이 형성되고, 개구된 양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브래킷(72)이 형성된다.
상기 V홈(71)에 실란트(60)가 충진된 V밴드(70)에 의해 서로 접촉하는 외측 플랜지(OF) 부위가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72)이 서로 대향되어 상호 체결되는 것에 의해 연돌관(3)이 연결된다.
또한, 외측 플랜지(OF)를 용접하고 실란트가 충진되지 않은 V밴드(70)로 용접된 외측 플랜지(OF) 부위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브래킷(72)을 서로 대향되게 한 후 볼트 등에 의해 상호 체결하는 것에 의해 연돌관(3)을 상하로 연결할 수도 있다.
방열관(4)은 상기 연돌관(3)보다 직경이 커 연돌관(3)의 외측에 위치하고 요홈(4aa)이 형성된다.
스페이서(80)는 일단이 상기 연돌관(3)과 V밴드(70) 사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절곡된 후 타단이 상기 방열관(4)의 끝단부를 감싸도록 고정하여 연돌관(3)과 방열관(4) 사이의 이격 거리를 유지한다.
C밴드(90)는 일방이 개구된 링(ring) 형상으로, 상기 방열관(4)의 요홈(4aa)에 끼워지도록 상하 양측이 절곡되고, 개구된 양 끝단에 서로 대향되도록 브래킷(91)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된 방열관(4)에 형성된 요홈(4aa)에 C밴드(90)의 절곡된 상하 양측이 끼워져 인접된 방열관(4)의 단부가 C밴드(90)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C밴드(90)의 브래킷(91)이 서로 대향되어 상호 체결된다.
상기 연돌관(3), 방열관(4), 구조관(1)의 재질은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고정 지지수단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지지수단(200)은 스페이서(80)에 의해 이격되는 연돌관(3)과 방열관(4)으로 이루어지는 연돌(2)의 중간에 설치되어 열팽창이나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연돌(2)을 튼튼하게 고정한다.
상기 고정 지지수단(200)은 상하 스페이서(80)의 절곡된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연결대(201)와, 상기 보강연결대(201)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는 L자형 앵글 링(202)과, 상기 L자형 앵글링(202)의 하부와 방열관의 외측에 접촉되는 방진고무(203)와, 상기 방열관(4)과 이격된 채 방진고무(203) 하부에 위치되어 볼트/너트에 의해 방진고무(203)를 통해 L자형 앵글링(202)에 체결되는 ㄷ자형 부재(204)로 이루어진다.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점검구의 상세도로서, 연도(5)의 중간과 상부에 형성되어 연돌(2)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검구(210)는 상기 연돌관(3)과 방열관(4)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점검 파이프(211)와, 상기 점검 파이프(211)의 돌출된 단부에 볼트/너트로 체결되어 점검 파이프(211)를 개폐하는 마개(212)와, 상기 점검 파이프(211)와 마개(212) 사이에 개재되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가스켓(213)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방열관(4)과 점검 파이프(211) 사이의 틈새에는 실란트(60)가 도포되어 밀봉 처리되고, 점검구(210)를 통해 내부를 점검하는 경우에 상기 볼트/너트를 풀어 마개(212)를 열고 점검 파이프(211)를 통해 연돌관(3)과 방열관(4) 내부를 점검하게 된다.
도 14는 도 10에 나타낸 우수 차단막의 상세도이다.
우수 차단막(220)은 방열관(4)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어 우수가 방열관(4)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실란트(60)의 도포에 의해 방열관(4)의 외주면 을 따라 고정되고 아래로 경사진 형상을 하는 예비 차단막(221)과, 상기 예비 차단막(221)과 소정거리 아래로 이격되어 경사면과 수직면을 갖는 차단막(222)으로 이루어진다.
도 15는 도 10에 나타낸 장비 연결관의 상세도로서, 상기 장비 연결관(240)은 연도(5) 하부의 연돌관(3)과 방열관(4)에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관(230)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보일러의 출구측과 연결된다.
상기 수평관(230)은 연돌(2)과 같이 수평 연돌관(231)과 수평 방열관(232)으로 이루어지고, 그 수평 연돌관(231)과 수평 방열관(232)의 끝단부에 설치된 스페이서(233)에 의해 수평 연돌관(231)과 수평 방열관(232) 사이의 끝단부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장비 연결관(240) 중에서 수평 연돌관(231)에 연결되는 장비 연결관(240)의 일단은 좁고 보일러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타단은 넓게 확개되는 형상으로, 장비 연결관(240)의 일단과 타단에는 연결을 위한 외측 플랜지(OF)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수평 연돌관(231)과 장비 연결관(240)의 일단은 실란트(60)가 충진된 V밴드(23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V밴드(234)와 스페이서(233)를 감싸는 C밴드(235)에 의해 체결되고, 장비 연결관(240)의 타단과 보일러 출구측은 플랜지(OF)의 볼트 결합으로 연결된다.
도 16은 도 10에 나타낸 배수처리관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처리관(250)은 연돌관(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배수와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돌관(3)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배수되는 물을 모을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하는 배수캡(251)과, 상기 깔때기 형상의 배수캡(251)의 중앙의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는 니플(252)과, 상기 니플(252)에 체결되어 트렌치까지 연결되는 배수 파이프(253)로 이루어진다.
도 17은 도 1이나 도 10에 나타낸 연돌관에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의 설치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방지 밸브(260)는 배수처리관(250)이 설치되는 연돌관(3)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연돌관(3)의 변형(찌그러짐)을 방지한다.
상기 역류방지 밸브(260)는 상기 연돌관(3) 하단부에 상하로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슬리브(262)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역류방지 밸브(260)에는 원형의 디스크(261)가 개폐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연도 내에 배기가스가 흐르다가 갑자기 배기가스 공급이 중단되면 연도 내에 진공이 생기게 되고, 그 진공상태에 의해서 외부압력을 받은 연돌관(3)에 변형(찌그러짐)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압력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연돌관(3) 하단부에 설치된 압력조절 밸브(260)는 연돌관(3)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평상시에 닫혀 있던 디스크(261)가 열려 순간적인 풍량을 연돌관(3) 내에 공급함으로써 연돌관(3)의 변형 (찌그러짐)을 방지한다.
이상에서는 제1실시예의 다발형인 경우에 연돌관(3)과 중간의 방열관(4a) 및 외 측 방열관(4b)의 3중관으로 이루어진 연돌(2)을, 제2실시예의 일체형인 경우에 연돌관(3)과 방열관(4)의 2중관으로 이루어진 연돌(5)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1실시예에서 2중관의 연돌을, 제2실시예에서 3중관의 연돌을 구조관(1) 내부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종래 내화 벽돌식이나 캐스타블/콘크리트식에 비해 스테인리스 스틸을 내식성 및 내구성이 반영구적이다.
또한, 연돌관과 방열관, 방열관과 구조관 사이에 공기를 단열하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별도의 보온 및 단열이 필요치 않다.
또한 연돌관의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 저항계수(K)값이 종래(내화벽돌 등)에 비하여 매우 적고, 형상이 정원형, 타원형으로서 연소가스 배출시 와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형상이 정원형, 타원형으로 종래 연도의 필요면적보다 1/3 축소되므로 건축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정 지지수단이나 진동방지관을 구비하고 있어 열팽창 및 진동에 대해서 안전하며, 배수처리관 등으로 응축수 및 빗물의 배출 기능이 있다.
또한, 구조관 내부에 설치되는 연돌관과 방열관의 2중관, 또는 3중관은 조립식이며 경량이므로, 적은 인원,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조립 연결부위를 용접 또는 내열 실란트 충진한 후에 V밴드, C밴드로 조립하므로 가스 누출 우려가 없다.
또한, 제1실시예인 다발형은 구조관 플랜지를 내부에서 체결하여 대형 구조관의 설치시, 그에 따른 위험 요소들을 방지하고 시공의 공기를 단축하며 제작 비용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발전기 운전 중 급정지시 연도내 흐르던 배기가스 공급이 중단되면서 생기는 연도 내의 진공 상태에 의한 연돌관에 변형을 압력조절 밸브를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풍량을 연도 내에 공급함으로써 연돌관의 방지하고 연도의 스트레스를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립형 연도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구조관의 구조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연도 연결부의 상세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고정 지지수단의 상세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배수처리관의 상세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점검구의 상세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빗물 받이관의 상세도,
도 8은 도 1에 나타낸 최상층 연돌의 상세도,
도 9는 도 1에 나타낸 진동방지관의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조립형 연도의 개략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연도 연결부의 상세도,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고정 지지수단의 상세도,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점검구의 상세도,
도 14는 도 10에 나타낸 우수 차단막의 상세도,
도 15는 도 10에 나타낸 장비 연결관의 상세도,
도 16은 도 10에 나타낸 배수처리관의 상세도,
도 17은 도 1이나 도 10에 나타낸 연돌관에 구비되는 역류방지밸브의 설치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조관 2: 연돌
3: 연돌관 4,4a,4b: 방열관
5: 연도 10,70: V밴드
20,30,80: 스페이서 40,50,60: C밴드
60: 실란트

Claims (14)

  1. 인접된 구조관 상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내측 플랜지를 용접한 후 볼트체결에 의해 구조관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구조관 내부에 연돌관과, 중간의 방열관 및 외측의 방열관으로 이루어진 3중관의 연돌이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되;
    상기 연돌관은 상하로 인접된 연돌관의 외측 플랜지를 감싸는 V홈이 형성된 V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연돌관과 중간의 방열관 사이와, 상기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 사이에는 절곡된 스페이서가 각각 개재되어 이격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은 상하로 이격된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을 각각 감싸는 C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중간에 설치되어 열팽창이나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고정 지지수단은, 연돌관의 외주면에 접촉한 채 상하로 이격된 방열관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연결대와, 상기 보강연결대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는 L자형 앵글링과, 상기 L자형 앵글링의 하부에 위치하는 방진고무와, 상기 방진고무 하부에 위치되어 볼트/너트에 의해 방진고무를 통해 L자형 앵글링에 체결되는 ㄷ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배수처리관은, 연돌관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배수되는 물을 모을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하는 배수캡과, 상기 깔때기 형상의 배수캡의 중앙의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는 니플과, 상기 니플에 체결되어 트렌치까지 연결되는 배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처리관의 소정거리 이격된 상부에 설치되는 빗물받이관은, 상기 연돌관과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드레인 니플과, 상기 연돌관의 내부에서 드레인 니플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상부로 모아진 빗물을 드레인 니플측으로 배수하는 빗물받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중간에 형성되어 연돌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구는, 상기 연돌관과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을 측면으로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점검 파이프와, 상기 점검 파이프의 돌출된 단부에 볼트/너트로 체결되어 점검 파이프를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점검 파이프와 마개 사이에 개재되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가스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상단부에 연돌관과 중간의 방열관 사이, 상기 중간의 방열관과 외측의 방열관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빗물이나 눈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캡이 구비되되, 상기 보호캡은 연돌관의 내주면에 덧대어진 상태에서 연돌관의 상부보다 돌출 형성되어 외측 연돌관 외측보다 더 바깥으로 절곡된 후 다시 하부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중간에 설치되는 진동방지관은, 양단부에 연돌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외측 플랜지와 상기 외측 플랜지 내부에 슬립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플랜지의 중간 부위에는 일정길이의 주름이 다수 형성된 주름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8. 인접된 구조관 상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외측 플랜지를 용접한 후 볼트체결에 의해 구조관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구조관 내부에 연돌관과 방열관으로 이루어진 2중관의 연돌이 하나 구비되되;
    상기 연돌관은 상하로 인접된 연돌관의 외측 플랜지를 감싸는 V홈이 형성된 V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고,
    상기 연돌관과 방열관 사이에는 절곡된 스페이서가 개재되어 이격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방열관은 상하로 이격된 방열관을 감싸는 C밴드의 체결에 의해 상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중간에 설치되어 열팽창이나 진동에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상기 고정 지지수단은, 상하 스페이서의 절곡된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연결대와, 상기 보강연결대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는 L자형 앵글링과, 상기 L자형 앵글링의 하부와 방열관의 외측에 접촉되는 방진고무와, 상기 방진고무 하부에 위치되어 볼트/너트에 의해 방진고무를 통해 L자형 앵글링에 체결되는 ㄷ자형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의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점검구는, 상기 연돌관과 방열관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점검 파이프와, 상기 점검 파이프의 돌출된 단부에 볼트/너트로 체결되어 점검 파이프를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점검 파이프와 마개 사이에 개재되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밀봉하는 가스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관의 상부 외측에 설치되는 우수 차단막은, 실란트의 도포에 의해 방열관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되고 아래로 경사진 형상을 하는 예비 차단막과, 상기 예비 차단막과 소정거리 아래로 이격되어 상하로 인접된 방열관의 외측 플랜지면을 따라 고정되고 경사면과 수직면을 갖는 차단막과, 상기 외측 플랜지 하부와 차단막 내부에 형성되는 방수마감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 하부의 연돌관과 방열관에 각각 수평으로 연결된 수평 연돌관과 수평 방열관으로 수평관이 구성되고, 상기 수평 연돌관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보일러의 출구측과 장비 연결관이 연결되되, 상기 장비 연결관은 수평 연돌관에 연결되는 일단은 좁고 보일러의 출구측에 연결되는 타단은 넓게 확개되는 형상으로, 그 일단과 타단에는 외측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관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배수처리관은, 연돌관의 하단부에 체결되어 배수되는 물을 모을 수 있도록 깔때기 형상을 하는 배수캡과, 상기 깔때기 형상의 배수캡의 중앙의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는 니플과, 상기 니플에 체결되어 트렌치까지 연결되는 배수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14.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돌관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연돌관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류방지 밸브는, 상기 연돌관 하단부에 상하로 연통하도록 구비되는 슬리브 내측에 설치되고, 디스크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연돌관 내부의 압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닫혀 있던 디스크가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KR1020080064171A 2008-07-03 2008-07-03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KR20100004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171A KR20100004148A (ko) 2008-07-03 2008-07-03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171A KR20100004148A (ko) 2008-07-03 2008-07-03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148A true KR20100004148A (ko) 2010-01-13

Family

ID=41813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171A KR20100004148A (ko) 2008-07-03 2008-07-03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414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392B1 (ko) * 2021-01-11 2021-02-25 (주)대양기연 3중관 연도 제조방법
KR102356499B1 (ko) * 2021-06-18 2022-02-08 코리아플랜트(주) 스페이서가 설치된 4중 연도조립체
KR102356493B1 (ko) * 2021-06-14 2022-02-08 코리아플랜트(주)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392B1 (ko) * 2021-01-11 2021-02-25 (주)대양기연 3중관 연도 제조방법
KR102356493B1 (ko) * 2021-06-14 2022-02-08 코리아플랜트(주)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KR102457584B1 (ko) * 2021-06-14 2022-10-24 코리아플랜트(주)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KR102356499B1 (ko) * 2021-06-18 2022-02-08 코리아플랜트(주) 스페이서가 설치된 4중 연도조립체
KR102457587B1 (ko) * 2021-06-18 2022-10-24 코리아플랜트(주) 스페이서가 설치된 4중 연도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6828C1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дымохода с изоляцией
US1052026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tecting heat exchanger pipes and a ceramic component
KR20100004148A (ko)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US9140450B2 (en) Retrofitted corrosive resistant venting system
KR100914754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094218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091475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KR101870736B1 (ko) 보온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관 연도 제조방법
KR20100011498U (ko)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
JP5878256B1 (ja) 煙突の接続構造
RU125608U1 (ru) Модуль дымовой трубы
KR101565929B1 (ko) 물 침투를 방지하는 이중연도
KR10091475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435456B1 (ko) 고단열 및 소음저감 조립식 연도
CN203810711U (zh) 一种节能的燃气燃油锅炉
RU157621U1 (ru) Дымоходная труба
CN215001529U (zh) 一种锅炉蒸汽集箱的保温结构
KR10182903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누출방지구조
RU208166U1 (ru) Экономайзер для бытовой печи
EP3757458A1 (en) Chimney flue sleeve of a chimney flue
CN209259681U (zh) 制氢转化炉用防漏风装置及制氢转化炉
KR200330320Y1 (ko)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KR20240082953A (ko) 소음 저감 덕트
RU72254U1 (ru) Дымовая труба большой высо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