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0320Y1 -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 Google Patents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0320Y1
KR200330320Y1 KR20-2003-0016048U KR20030016048U KR200330320Y1 KR 200330320 Y1 KR200330320 Y1 KR 200330320Y1 KR 20030016048 U KR20030016048 U KR 20030016048U KR 200330320 Y1 KR200330320 Y1 KR 2003303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protective tube
temperature sensor
nozzle
power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60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60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03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0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03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01K1/10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for preventing chemical attac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Abstract

본 고안은 발전소(Power Plant)의 배연 통풍장치(Duct)에서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 또는 열전 설비의 배연 통풍 계통에 사용하는 온도 센서 보호관 지지 노즐에 대한 보온재를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본 고안의 구성은 발전 설비 또는 열전 설비의 배연 통풍 계통에 사용되는 덕트(27) 및 이 덕트(27)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관 지지용 덕트노즐(25)로 이루어지고,이 노즐(25)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갖추어지는 온도 센서 내,외측보호관(21,22)으로 구성된 발전소의 배연통풍장치에서의 온도센서 보호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호관(21)의 하단부와 내측보호관(22)의 사이에 개방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관 지지용 덕트 노즐(25)의 외부면을 보온재(26a)로 마감 처리 한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덕트 상부의 노즐에 보온재를 형성하여 응축수의 발생을 억제하므로써, 종래와 같은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관의 길이를 짧게 하여 센서 중량도 가벼워 제작,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A Structure of a Thermal Sensor Protection Pipe in the Duct of the Power Plant}
본 고안은 발전소(Power Plant)의 배연 통풍장치(Duct)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전 또는 열전 설비의 배연 통풍 계통에 사용하는 온도 센서 보호관 지지 노즐에 대한 보온재를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 또는 열전 설비에서 배연 통풍 계통에 사용하는 온도 센서는 덕트 내의 부식성이 강한 산성 가스 때문에 센서 보호관의 부식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내식성이 강한 재질(예로, '316LSS' 계열)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면, 종래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은 보호관의 단면도이고 오른쪽은 덕트에 설치한 설치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관 부식을 지연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내측 보호관(13)의 종단에 위치한 온도 검측부(14)를 제외한 보호관을 이중으로 제작하는데, 즉 내측 보호관(13) 및 외측 보호관(11)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풍압에 의하여 내측 보호관(13) 및 외측 보호관(11)이 상호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 보호관(11) 끝부분과 내측 보호관(13)을 용접한 용접부(12)를 구성하며, 해당 내측 보호관(13) 내에 온도 센서(17)를 설치하여 구성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덕트(18) 외부에 보온을 수행하기 위해서 보온재(16)를 설치하여 이루어져 있으나, 보호관(11, 13)을 지지하기 위하여 덕트(18) 상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보호관 지지용 노즐(15)에 대한 보온은 수행하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보호관(11, 13)의 길이가 외기 온도에 의하여 검측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길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 온도 센서 보호관의 구조는 필요이상의 부분까지 보호관을 이중화하여 중량이 많이 나가므로, 제작, 설치 및 유지 보수에 불편하며, 자재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으며, 용접에 의하여 보호관의 변형 및 부식의 원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호관 지지용 노즐에 대한 보온을 수행하지 않는 것은 온도 측정에는 영향이 없으나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하여 보호관 부식에는 지대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외측의 보호관(11)의 하단부는 이 외측의 보호관(11)안에 구비된 내측의 보호관(1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용접하여 밀폐시킴으로써,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내측 보호관과 외측 보호관 사이에 쌓여 응축수가 고이게 되어 이로 인해 부식을 촉진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발전 또는 열전 설비의 배연 통풍장치에서 사용하는 온도 센서 보호관 지지 노즐에 외부면에 보온재를 형성하여 온도편차에 의한 응축수의 발생을 억제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길이가 단축되어 경량화되어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1 : 외측 보호관 22 : 내측 보호관
23 : 온도 검측부 24 : 온도 센서
25 : 보호관 지지용 덕트 노즐
26, 26a : 보온재 27 : 덕트30 : 개방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발전 설비 또는 열전 설비의 배연 통풍 계통에 사용되는 덕트 및 이 덕트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관 지지용 덕트노즐로 이루어지고,이 노즐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갖추어지는 온도 센서 내,외측보호관으로 구성된 발전소의 배연통풍장치에서의 온도센서 보호관구조에 있어서,상기 외측 보호관의 하단부와 내측보호관의 사이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관 지지용 덕트 노즐의 외부면을 보온재로 마감 처리한 구조를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은 보호관의 단면도이고 오른쪽은 덕트에 설치한 설치상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일정형태, 예컨대 사각형태를 이루면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덕트(27)와, 이 덕트(27)의 상부에 갖추어지는 보호관 지지용 덕트노즐(25)과, 이 덕트노즐(25)의 내부에 구비되는 외측 보호관(21) 및 내측보호관(22)이 구비되어 있는바, 이 외측보호관(21)의 하단부는 내측보호관(22)과의 사이에 개방부(30)가 형성되어 있다.또한, 상기 덕트노즐(25)의 외부면에는 보온재(26a)가 감싸져 있다. 물론, 덕트(27)의 둘레면에도 모두 보온재(26)가 감싸져 있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외측보호관(21)과 내측보호관(22)의 길이는 가급적 노즐(25)의 길이범위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며, 종래에 비하여 전체 보호관의 길이가 짧아진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실질적으로 부식이 일어나는 부분은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하여 상기 내측 보호관(22)과 외측 보호관(21) 사이에 응축수가 발생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보호관(21, 22)을 지지하는 보호관 지지용 덕트 노즐(25)의 외부를 상기 보온재(26)가 감싸져 온도편차가 적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온도편차가 적으므로, 보호관(21,22)의 전체 길이를 짧게해도 온도검측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보호관(21,22)의 길이가 대폭적으로 단축되므로, 그 만큼 센서 중량도 가벼워지고 제작,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관(21,22)은 덕트노즐(25)의 형성길이 범위내에서 대체로 수용되어 있고, 덕트(27)안의 공간부에 노출된 부위가 짧으므로, 풍압에 의하여 상기 내측 보호관(22) 및 외측 보호관(21)이 상호 부딪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아 종래와 같은 용접부를 구성할 필요가 없고 개방부(30)를 형성하여 설사 응축수가 발생하여 흘러내리더라도 이 개방부(30)를 통해 빠져나가므로 종래와 같이 응축수가 고여서 발생하는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덕트 상부의 노즐에 보온재를 형성하여 응축수의 발생을 억제하므로써, 종래와 같은 부식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관의 길이를 짧게 하여 센서 중량도 가벼워 제작,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발전 설비 또는 열전 설비의 배연 통풍계통에 사용되는 덕트(27) 및 이 덕트(27)의 상부에 형성된 보호관 지지용 덕트노즐(25)로 이루어지고,이 노즐(25)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갖추어지는 온도 센서 내,외측보호관(21,22)으로 구성된 발전소의 배연통풍장치에서의 온도센서 보호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호관(21)의 하단부와 내측보호관(22)의 사이에 개방부(30)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관 지지용 덕트 노즐(25)의 외부면을 보온재(26a)로 마감 처리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KR20-2003-0016048U 2003-05-23 2003-05-23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KR200330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048U KR200330320Y1 (ko) 2003-05-23 2003-05-23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6048U KR200330320Y1 (ko) 2003-05-23 2003-05-23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0320Y1 true KR200330320Y1 (ko) 2003-10-17

Family

ID=49339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6048U KR200330320Y1 (ko) 2003-05-23 2003-05-23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03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51027C1 (ru) Охлажд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KR20180049688A (ko) 이중연도
KR200330320Y1 (ko) 발전소의 배연 통풍장치에서의 온도 센서 보호관 구조
KR100914754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US7766731B2 (en) Exhaust gas chimney
KR10091475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KR20100004148A (ko)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CN112805503B (zh) 包括带有压力测量装置的压力迁移管线的组件以及包括这种类型的组件的流量测量点
JPS6140056B2 (ko)
US9518764B2 (en) Longer-life solar power plant receiver
KR102023117B1 (ko) 배관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히팅 시스템
CN112629685A (zh) 一种锅炉受热面管炉内温度测量装置和方法
KR100942657B1 (ko) 폐열회수보일러의 기구적 슬리브 타입 신축이음장치
US20190056052A1 (en) Cooling device for high temperature pipe
CN103090401B (zh) 烟道挡板
JP5111165B2 (ja) 流体道構造
KR10182903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누출방지구조
JP5106445B2 (ja) 修復用配管、修復済みボイラウインドボックス、及びボイラウインドボックスの修復方法
CN220524336U (zh) 一种保温风管
RU157621U1 (ru) Дымоходная труба
KR200453413Y1 (ko) 연도 조립체
JP6918662B2 (ja) 高温配管の冷却構造及び高温配管の冷却システム
KR200156970Y1 (ko) 팽창대의 열 차단 및 소음 방지 장치
KR20090007014A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