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392B1 - 3중관 연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중관 연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392B1
KR102219392B1 KR1020210003190A KR20210003190A KR102219392B1 KR 102219392 B1 KR102219392 B1 KR 102219392B1 KR 1020210003190 A KR1020210003190 A KR 1020210003190A KR 20210003190 A KR20210003190 A KR 20210003190A KR 102219392 B1 KR102219392 B1 KR 102219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support pipe
support
be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
Original Assignee
(주)대양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양기연 filed Critical (주)대양기연
Priority to KR102021000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08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 B21C37/09Making tubes with welded or soldered seams of coated strip material ; Making multi-wal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30Finishing tubes, e.g. sizing, burn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2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 B21D19/04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continuously-acting tools moving along the edge shaped a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 B21D5/1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 B21D5/1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for making tubes making use of forming-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23J13/025Linings; Jackets; Casings composed of concentric elements, e.g. double wa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중관 연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3중관 각 관체(지지관, 외측관, 내측관) 제작시 각각 정교한 작업이 이루어져 구조 성능이 개선됨은 물론 보온재를 포함한 3중관의 일체화 단계에서는 장착성과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연도 성능이 보장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각 관체(지지관, 외측관, 내측관) 간 조립시에는 비딩 및 플렌지를 활용한 스페이서와의 편리한 조립 고정구조로 인해 신속하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 이는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3중관 연도 제조방법{Triple-pipe flu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3중관 각 관체(지지관, 외측관, 내측관) 제작시 각각 정교한 작업이 이루어져 구조 성능이 개선됨은 물론 보온재를 포함한 3중관의 일체화 단계에서는 장착성과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되어 우수한 연도 성능이 보장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각 관체(지지관, 외측관, 내측관) 간 조립시에는 비딩 및 플렌지를 활용한 스페이서와의 편리한 조립 고정구조로 인해 신속하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 이는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관 연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대형마트와 같은 상업시설 또는 산업용으로 가동되는 공장 등에는 난방이나 온수 생산을 위한 보일러실(또는 기계실)이 구비되고, 해당 보일러의 발전시에는 연소가스(배기가스)가 발생되는데,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연도 시스템이 시공된다.
즉, 종래에는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 내 보일러(7)가 가동되면 연소가스(배기가스)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에 연소가스(배기가스)는 일련의 덕트 조립체(1,2)를 통해 건물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덕트 조립체(1,2)는 설치되는 상태에 따라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수평식 덕트 조립체(1)와 수직식 덕트 조립체(2)는 별도의 고정지지대(4,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덕트 조립체 라인 중 상부측 꼭대기에는 연돌캡(3: stack cap)이 형성되어 외부 배기를 도모하게 된다.
이에, 연도 시스템 중 어느 일측에는 덕트 조립체(2)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검사구(5: check hole)가 형성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는 덕트 조립체(2)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소켓 연결구(9)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종래의 덕트 조립체는 일종의 단위식 연도로서 각 마디를 연결하여 일체의 연도 관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최근에는 연도의 단열성(보온성)을 높여 연소가스(배기가스)의 높은 열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차단)하도록 2중관 또는 다중관 형태의 연도가 다양하게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2중관 또는 다중관 형태의 연도는 선택된 관체 간 일정 공간에 간격(갭)을 두거나 그 사이에 보온재(세라쿨 등의 단열재)를 넣어 상술한 단열(보온)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이러한 2중관 또는 다중관 형태(보온재 내장 포함)의 연도는 이미 당업계에서 오래동안 연구되어 오고 있으며 조금씩 변형된 실시예를 적용하면서 각가 실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연도 제작에 따른 실시예로서 제안된 특허등록 제10-1870736호(보온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관 연도 제조방법/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에서는 2중관 연도의 제작방법을 언급하면서 현장에서 단열재를 별도로 추가 설치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되어 있다.(도 15 참조)
그러나, 인용발명에서 게재된 보온관(5)은 원통형상의 관체로서 제작되어 외부관(4)의 내부에 삽입(심지어 추후 보온관 내경으로 중간관(3)이 삽입되어야 함)된다고 기술되어 있으나 보온관을 관체로 삽입하는 경우에는 외부관과 중간관 사이에 대한 내외측 밀착성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되어 보온 성능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용발명의 보온관(5)은 보온재라는 소재(세라쿨 등일 것으로 예상) 특성상 그 재질 자체가 직물처럼 형성되어 원활한 미끄러짐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바, 각 관체가 슬라이딩 형태로 맞닿으면 마찰 삽입 과정으로 인해 구김 등이 발생되어 슬라이딩 삽입시 눌러 끼우는 작업 자체가 곤란할 것으로 예상되고 이는 추후 평탄화 작업 등을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됨)
또한, 인용발명은 보온관(5)을 가운데 두고 결합된 중간관(3)과 외부관(4)의 상하 단부에 열전달 방지캡(7,7')이 부착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전도 방지캡(7,7')은 별도의 원형링 형태의 판재로서 이를 사용하게 되면 추가 원가상승을 야기하게 되고 작업 공수의 증가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인용발명의 열전달 방지캡(7,7')은 중간관(3)과 외부관(4)의 상하단에 대하여 용접 접합시 원주면을 따라 균등(또는 일부만 점 용접을 한다 치더라도 맞닿는 중간관과 외부관 간 내외측 직경이 열전달 방지캡의 내오측 직경과 거의 일치해야 틀어짐 없이 용접할 수 있음)하게 용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정밀한 공차를 요하게 되고 틀어짐이나 변형이 발생되면 용접을 다시해야 하거나 떨어짐 탈락 등이 빈번할 것으로 예상되어 보온관(5)의 이탈이 야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즉, 판재 제관 작업부터 상당히 정밀을 요해야 함으로서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소재 변형시 용접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인용발명의 열전달 방지캡(7,7')은 중간관과 외부관 간 내외측 직경과 대응되면서 용접될 수 있도록 용접면 두께살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데 이러한 원주 형태의 접합띠는 그 자체로 열전달의 저항을 일으키게 되어 열전달 성능의 저하를 야기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상기 인용발명은 연도의 관체 중앙 센터점(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외부관으로부터 돌출된 내부관의 상하 돌출 높이를 맞춰가며 제작할 수 있는 방법론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실질적인 제작시 작업자로 하여금 제조에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0736호(2018.06.19.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3중관 각 관체(지지관, 외측관, 내측관) 제작시 각각 정교한 작업이 이루어져 구조 성능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3중관의 일체화 단계에서 보온재의 장착성이 개선되어 기밀성 및 단열성이 향상되는 바, 이는 우수한 연도 성능이 보장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각 관체(지지관, 외측관, 내측관) 간 조립시에 비딩 및 플렌지를 활용한 스페이서와의 편리한 조립 고정구조로 인해 신속하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 이는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개도 형태로 재단된 철판을 로울러로 하여금 밴딩한 후 원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맞닿은 이음부(11)를 용접하여 지지관(10)이 완성되도록 하는 지지관 외형 제작단계(S10)와; 원통체로 제작된 지지관(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일정 구간과 일정 깊이로 요홈이 형성되도록 비딩(12)을 성형하는 지지관 비딩 가공단계(S20)와; 비딩 성형이 완료된 지지관(10)의 외주면(양측 비딩 부분 사이의 테두리면)에 대하여 면상패드 형태의 세라쿨(20)을 원주방향으로 감아 밀착시킨 후 철사를 이용하여 묶어 세라쿨(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보온재 부착단계(S30)와; 전개도 형태로 재단된 철판을 로울러로 하여금 밴딩하도록 하되, 지지관(10)보다 소폭 넓은 직경으로 밴딩하도록 형성되고, 밴딩이 완료되면 원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맞닿은 이음단부(31)를 용접하도록 하되, 상기 용접시에는 이음단부(31) 끝부분만 가접(비딩을 위해 가접한 뒤 지지관_중간통에 감기 편하도록 하기 위해 가접)하여 외측관(30)이 완성되도록 하는 외측관 외형 제작단계(S40)와; 원통체로 제작된 외측관(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일정 구간과 일정 깊이로 요홈이 형성되도록 비딩(32:출렁거림 방지 및 원형틀 보강과 스페이서의 용접시 위치 세팅용)을 성형하는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S50)와; 외측관(30)의 비딩이 완료되면 가접되었던 이음단부(31)를 뜯어낸 후 지지관(10)의 세라쿨(20)을 향해 감싸 포개면서(외측에서 이음단부를 벌린 후 덮어 씌우듯이 감음) 지지관(10)과 함께 외측관(30)이 2중관 구조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감싼 후의 이음단부(31)는 용접되도록 형성되고, 세라쿨(20)에 의해 간격이 벌어진 지지관과 외측관의 사이 길이방향 양단부(길이방향 각 양단)에는 각각 스페이서(40)가 삽입 고정(용접)되도록 하는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S60)와; 전개도 형태로 재단된 철판을 로울러로 하여금 밴딩하도록 하되, 지지관(10)보다 소폭 좁은 직경으로 밴딩하도록 형성되고, 밴딩이 완료되면 원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맞닿은 연결단부(51) 용접하도록 하되, 상기 연결단부(51)의 용접시에는 기밀 확보를 위해 연결단부(51)의 선상 전체에 대하여 올(All) 용접하여 내측관(50)이 완성되도록 하는 내측관 외형 제작단계(S70)와; 원통체로 제작된 내측관(5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각각 플렌지(52)를 성형하여 스페이서(40)의 단턱 역할 또는 브이밴드 체결부 역할이 제공되도록 가공하는 내측관 플렌지 가공단계(S80)와; 내측관(50)의 외형 제작이 완료되면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에 의해 준비된 지지관(10)의 내경 속으로 내측관(50)을 삽입하여 외측관(30)과 함께 3중관 구조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내측관(50)의 외주면과 지지관(10)의 사이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는 스페이서(40)가 삽입 고정되어 단열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내측관 조립 및 일체화 완성단계(S9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S60)와 내측관 조립 및 일체화 완성단계(S90)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40)는 단면이 숫자 '7' 형태로서, 간격 유지부인 밑판(41)을 기준으로 일측에 길이가 짧은 접합판(42)이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가 긴 고정판(43)이 형성되도록 제조된다.
이때, 상기 지지관 비딩 가공단계(S20) 및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S50)에서 성형된 비딩(12,32)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스페이서의 밑판(41)이 안착(스페이서의 접합판과 고정판의 길이는 이미 설정된 높낮이를 갖는 것으로 비딩 자리에 밑판이 안착되는 것만으로 또는 지그틀에 안착되어 일부 돌출된 높이를 감안하면서 스페이서가 용접되는 자리를 만듦으로서 내측관의 높낮이 설정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짐)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측관 조립 및 일체화 완성단계(S90)에서는 용접된 이음부(11), 이음단부(31) 및 연결부(51)에는 녹방지용 방청코팅을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지지관, 외측관, 내측관(3중관 각 관체) 제작시 각각 정교한 작업이 이루어져 구조 성능이 개선됨은 물론 3중관의 일체화 단계에서는 보온재의 장착성이 개선되어 기밀성과 단열성이 향상되고 이에 우수한 연도 성능이 보장되도록 형성되며, 특히 각 관체 간 조립시에는 비딩 및 플렌지를 활용한 스페이서와의 편리한 조립 고정구조로 인해 신속하고 정밀한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 이는 작업성과 생산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3중관 연도 제조방법을 나타낸 제작 예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 외형 제작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 비딩 가공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온재 부착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측관 외형 제작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측관 외형 제작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관 플렌지 가공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측관 조립 일체화 완성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4는 종래의 연도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15는 종래의 인용발명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중관 연도는 지지관 외형 제작단계, 지지관 비딩 가공단계, 보온재 부착단계, 외측관 외형 제작단계,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 내측관 외형 제작단계, 내측관 플렌지 가공단계 및 내측관 조립 일체화 완성단계로 구성되어 제작된다.
이에, 상기 지지관 외형 제작단계(S10)는 전개도 형태로 재단된 철판을 로울러로 하여금 밴딩한 후 원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맞닿은 이음부(11)를 용접하여 지지관(10)이 완성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관의 용접시에는 이음부의 길이방향 양끝단을 먼저 가접한 뒤 그 사이 선상을 설정된 등간격에 따라 스폿용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롤링 형태로 권선되어 있는 철판 원소재로부터 선택된 길이만큼 절단하여 전개도 형태의 철판이 준비되면 이를 복수의 로울러 사이로 통과시켜 해당 철판이 둥그렇게 말리면서 원형의 지지관 모습을 이루게 한 뒤 벌어져 있던 이음부를 간단히 용접하도록 함으로서 지지관 전체를 제작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원통관 자체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에 비해 취급이 용이하고 소재 입고시 운반 등의 경비가 현저하게 절감됨은 물론 특히 제작시에는 발주자(요구사)의 요청에 따라 지지관의 직경을 다양하게 가변 적용하면서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상기 지지관 비딩 가공단계(S20)는 원통체로 제작된 지지관(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일정 구간과 일정 깊이로 요홈이 형성되도록 비딩(12)을 성형하게 된다.
즉, 상기 비딩(12)은 지지관의 원형의 변형, 출렁거림 방지 및 원형의 틀이 보강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추후 고정에 필요한 스페이서의 용접시 위치 세팅용 안착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후술 하겠으나, 단면이 아라비아 숫자 '7'자 형태인 스페이서의 밑판이 상기 비딩 위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서 용접시 안정적인 정위치를 잡도록 함은 물론 이미 접합판과 고정판의 길이가 설정된 형태로 제공된 스페이서로 인해 용접 작업하는 것만으로도 3중관 각 관체끼리의 높낮이 세팅 포인트가 정해지면서 조립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보온재 부착단계(S30)는 비딩 성형이 완료된 지지관(10)의 외주면(양측 비딩 부분 사이의 테두리면)에 대하여 면상패드 형태의 세라쿨(20)을 원주방향으로 감아 밀착시킨 후 철사를 이용하여 묶어 세라쿨(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세라쿨(20)은 직물 형태의 보온재로서 지지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면상패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세라쿨은 두께가 1~10cm 내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도록 하되, 지지관에 고정시에는 작업자가 지지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면상패드 형태의 세라쿨을 감아 돌리듯 밀착시키게 되고, 이후 가느다란 철사를 이용하여 묶듯이 세라쿨의 외표면을 감아 지지관에 부착되도록 조이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밀착된 세라쿨의 내주면이 지지관의 외주면과 들뜬자리가 없는지 손이나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원주방향을 돌면서 누르게 되고 이에 가느다란 철사의 꼬임 조임부를 더욱 조임으로서 밀착력을 더욱 강화시키게 된다.
이때, 선택적으로는 불연성 또는 난연성 실리콘 접착제를 세라쿨의 상하단 및 이음선 단부에 도포하여 지지관에 대한 밀착력이 더욱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세라쿨의 면상 중 지지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면상에는 부직포 시트를 부착하여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하는 바, 이는 지지관 외주면에 접착시 이종 재질의 지지관 면과 세라쿨의 내주면이 더욱 잘 부착되도록 보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상기 외측관 외형 제작단계(S40)는 전개도 형태로 재단된 철판을 로울러로 하여금 밴딩하도록 하되, 지지관(10)보다 소폭 넓은 직경으로 밴딩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지지관과 외측관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 세라쿨이 내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밴딩이 완료되면 원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맞닿은 이음단부(31)를 용접하도록 하되, 상기 용접시에는 이음단부(31) 끝부분만 가접하여 외측관(30)이 완성되도록 한다.
이는 최초 비딩을 위해 가접만 한 뒤 추후 지지관에 대하여 조립시 가접된 부분을 뜯어 펼친 후 다시 감아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S50)는 원통체로 제작된 외측관(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일정 구간과 일정 깊이로 요홈이 형성되도록 비딩(32:출렁거림 방지 및 원형틀 보강과 스페이서의 용접시 위치 세팅용)을 성형하게 된다.
즉, 상기 비딩(32)은 외측관의 원형의 변형, 출렁거림 방지 및 원형의 틀이 보강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추후 고정에 필요한 스페이서의 용접시 위치 세팅용 안착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단면이 아라비아 숫자 '7'자 형태인 스페이서의 밑판이 상기 비딩 위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서 용접시 안정적인 정위치를 잡도록 함은 물론 이미 접합판과 고정판의 길이가 설정된 형태로 제공된 스페이서로 인해 용접 작업하는 것만으로도 3중관 각 관체끼리의 높낮이 세팅 포인트가 정해지면서 조립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S60)는 외측관(30)의 비딩이 완료되면 가접되었던 이음단부(31)를 뜯어낸 후 지지관(10)의 세라쿨(20)을 향해 감싸 포개면서(외측에서 이음단부를 벌린 후 덮어 씌우듯이 감음) 지지관(10)과 함께 외측관(30)이 2중관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감싼 후의 이음단부(31)는 용접되도록 형성되고, 세라쿨(20)에 의해 간격이 벌어진 지지관과 외측관의 사이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스페이서(40)가 삽입 고정(용접)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내측관 외형 제작단계(S70)는 전개도 형태로 재단된 철판을 로울러로 하여금 밴딩하도록 하되, 지지관(10)보다 소폭 좁은 직경으로 밴딩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지지관보다 소폭 좁은 직경을 갖게 함으로서 그 간격으로 하여금 단열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으로, 이렇게 밴딩이 완료되면 원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맞닿은 연결단부(51) 용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단부(51)의 용접시에는 기밀 확보를 위해 연결단부(51)의 선상 전체에 대하여 올(All) 용접하여 내측관(50)이 완성되도록 한다.
이에, 상기 내측관 플렌지 가공단계(S80)는 원통체로 제작된 내측관(5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각각 플렌지(52)를 성형하여 스페이서(40)의 단턱 역할 또는 브이밴드 체결부 역할이 제공되도록 가공하게 된다.
즉, 상기 플렌지(복수의 플렌지가 서로를 향해 바라보는 면)는 비딩에 의해 고정된 스페이서의 고정판 상단부가 닿으면서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고 동시에 체결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상기 내측관 조립 및 일체화 완성단계(S90)는 내측관(50)의 외형 제작이 완료되면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에 의해 준비된 지지관(10)의 내경 속으로 내측관(50)을 삽입하여 외측관(30)과 함께 3중관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관(50)의 외주면과 지지관(10)의 사이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는 스페이서(40)가 삽입 고정되어 단열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S60)와 내측관 조립 및 일체화 완성단계(S90)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40)는 단면이 숫자 '7' 형태로서, 간격 유지부인 밑판(41)을 기준으로 일측에 길이가 짧은 접합판(42)이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가 긴 고정판(43)이 형성되도록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 비딩 가공단계(S20) 및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S50)에서 성형된 비딩(12,32)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스페이서의 밑판(41)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스페이서의 접합판과 고정판의 길이는 이미 설정된 높낮이를 갖는 것으로 비딩 자리에 밑판이 안착되는 것만으로 또는 지그틀에 안착되어 일부 돌출된 높이를 감안하면서 스페이서가 용접되는 자리를 만듦으로서 내측관의 높낮이 설정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관-외측관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는 간격 유지부인 밑판을 기준으로 짧은 쪽 접합판이 외측관에 붙고, 긴 쪽의 고정판은 지지관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관-지지관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는 간격 유지부인 밑판을 기준으로 짧은 쪽의 접합판이 먼저 지지관에 용접되도록 하되, 긴 쪽의 고정판은 최초 내측관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은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밀착만 하고 있다가 관체 전체를 뒤집으면 밀착만 하고 있던 고정판을 기준으로 지지관과 짧은 쪽의 접합판이 동시에 위로 밀리면서 중앙 센터점을 기준으로 양단부가 동일한 돌출 높이로 서로 대칭되듯 튀어 나오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슬라이딩 하면서 상향 올라오는 고정판의 상단부는 내측관의 플렌지에 닿으면서 이동이 멈추게 된다.(플렌지가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됨)
다시 말해, 최초 접합판이 지지관에만 용접된 것은 내측관이 상하로 돌출된 높이가 동일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전체 통을 뒤집었을 때, 내측관이 고정판을 통해 가이드되면서 슬라이딩되면 접합판을 통해 지지관에 붙어 있던 스페이서의 고정판 상단부가 플렌지에 의해 자동 스토퍼 구조가 되어 높이 거리를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관 조립 및 일체화 완성단계(S90)에서는 용접된 이음부(11), 이음단부(31) 및 연결부(51)에는 녹방지용 방청코팅을 처리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지지관의 높이는 외측관의 높이보다 조금 길게 형성되고, 내측관의 높이는 지지관의 높이보다 조금 더 길게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3중관의 각 관체(지지관, 외측관, 내측관)가 철판의 밴딩 공정에 의해 제작되어 다양한 직경과 길이 가변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취급(원자재 입고, 운반, 가공)과 제작이 편리하며 보온재와 함께 일체화됨에 있어서 장착성과 제작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바 이는 작업 효율이 높고 구조 성능이 우수하며 변형이나 공차 발생에 유동적인 대응이 가능함은 물론 단열성(보온성)의 확보로 인해 기밀 신뢰성이 크게 향상되며 비딩과 스페이서(지그 포함)로 하여금 거의 반자동에 가까운 작업 성능이 확보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S10 ... 지지관 외형 제작단계
S20 ... 지지관 비딩 가공단계
S30 ... 보온재 부착단계
S40 ... 외측관 외형 제작단계
S50 ...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
S60 ...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
S70 ... 내측관 외형 제작단계
S80 ... 내측관 플렌지 가공단계
S90 ... 내측관 조립 일체화 완성단계
10 ... 지지관 11 ...이음부
12... 비딩 20 ... 세라쿨
30 ... 외측관 31 ... 이음단부
32 ... 비딩 40 ... 스페이서
41 ... 밑판 42 ... 접합판
43 ... 고정판 50 ... 내측관
51 ... 연결단부 52 ... 플렌지

Claims (1)

  1. 전개도 형태로 재단된 철판을 로울러로 하여금 밴딩한 후 원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맞닿은 이음부(11)를 용접하여 지지관(10)이 완성되도록 하는 지지관 외형 제작단계(S10)와; 원통체로 제작된 지지관(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일정 구간과 일정 깊이로 요홈이 형성되도록 비딩(12)을 성형하는 지지관(10) 비딩 가공단계(S20)와; 비딩 성형이 완료된 지지관(10)의 외주면에 대하여 면상패드 형태의 세라쿨(20)을 원주방향으로 감아 밀착시킨 후 철사를 이용하여 묶어 세라쿨(20)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보온재 부착단계(S30)와; 전개도 형태로 재단된 철판을 로울러로 하여금 밴딩하도록 하되, 지지관(10)보다 소폭 넓은 직경으로 밴딩하도록 형성되고, 밴딩이 완료되면 원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맞닿은 이음단부(31)를 용접하도록 하되, 상기 용접시에는 이음단부(31) 끝부분만 가접하여 외측관(30)이 완성되도록 하는 외측관 외형 제작단계(S40)와; 원통체로 제작된 외측관(3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일정 구간과 일정 깊이로 요홈이 형성되도록 비딩(32)을 성형하는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S50)와; 외측관(30)의 비딩이 완료되면 가접되었던 이음단부(31)를 뜯어낸 후 지지관(10)의 세라쿨(20)을 향해 감싸 포개면서 지지관(10)과 함께 외측관(30)이 2중관 구조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감싼 후의 이음단부(31)는 용접되도록 형성되고, 세라쿨(20)에 의해 간격이 벌어진 지지관과 외측관의 사이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각각 스페이서(40)가 삽입 고정 및 용접되도록 하는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S60)와; 전개도 형태로 재단된 철판을 로울러로 하여금 밴딩하도록 하되, 지지관(10)보다 소폭 좁은 직경으로 밴딩하도록 형성되고, 밴딩이 완료되면 원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맞닿은 연결단부(51) 용접하도록 하되, 상기 연결단부(51)의 용접시에는 기밀 확보를 위해 연결단부(51)의 선상 전체에 대하여 올(All) 용접하여 내측관(50)이 완성되도록 하는 내측관 외형 제작단계(S70)와; 원통체로 제작된 내측관(5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대하여 각각 플렌지(52)를 성형하여 스페이서(40)의 단턱 역할 또는 브이밴드 체결부 역할이 제공되도록 가공하는 내측관 플렌지 가공단계(S80)와; 내측관(50)의 외형 제작이 완료되면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에 의해 준비된 지지관(10)의 내경 속으로 내측관(50)을 삽입하여 외측관(30)과 함께 3중관 구조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내측관(50)의 외주면과 지지관(10)의 사이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는 스페이서(40)가 삽입 고정되어 단열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내측관 조립 및 일체화 완성단계(S9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3중관 연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관-외측관 조립단계(S60)와 내측관 조립 및 일체화 완성단계(S90)에서 사용되는 스페이서(40)는 단면이 숫자 '7' 형태로서, 간격 유지부인 밑판(41)을 기준으로 일측에 길이가 짧은 접합판(42)이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가 긴 고정판(4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 비딩 가공단계(S20) 및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S50)에서 성형된 비딩(12,32)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스페이서의 밑판(41)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측관 조립 및 일체화 완성단계(S90)에서는 용접된 이음부(11), 이음단부(31) 및 연결부(51)에는 녹방지용 방청코팅을 처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온재 부착단계(S30)에서 세라쿨은 두께가 1~10cm 내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도록 하되, 지지관의 외주면에 대하여 세라쿨을 밀착시킬 때에는 세라쿨의 내주면이 지지관의 외주면에 들뜨지 않도록 손이나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누르면서 철사의 꼬임 조임부를 조여 밀착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지지관 외형 제작단계(S10)에서 지지관(10)의 용접시에는 이음부의 길이방향 양끝단을 먼저 가접한 뒤 그 사이 선상을 설정된 등간격에 따라 스폿용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보온재 부착단계(S30)에서 세라쿨(30)은 면상 중 지지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면상에는 부직포 시트를 부착하여 실리콘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관 비딩 가공단계(S20) 및 외측관 비딩 가공단계(S50)에서 성형된 비딩(12,32)은 관체의 축선을 향해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스페이서의 밑판(41)이 안착되도록 하되, 지지관-외측관 간 조립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는 간격 유지부인 밑판을 기준으로 짧은 쪽 접합판이 외측관에 붙고, 긴 쪽의 고정판은 지지관에 부착되며, 내측관-지지관 간 조립에 사용되는 스페이서는 간격 유지부인 밑판을 기준으로 짧은 쪽의 접합판이 먼저 지지관에 용접되도록 하되, 긴 쪽의 고정판은 최초 내측관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은 하지 않은 상태에서 밀착만 하고 있다가 관체 전체를 뒤집으면 밀착만 하고 있던 고정판을 기준으로 지지관과 짧은 쪽의 접합판이 동시에 위로 밀리면서 중앙 센터점을 기준으로 관체 양단부가 동일한 돌출 높이로 튀어 나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향 올라오면 고정판의 상단부가 내측관의 플렌지에 닿으면서 이동이 멈춰지면 상하 돌출 높이가 서로 동일하게 맞춰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중관 연도 제조방법.
KR1020210003190A 2021-01-11 2021-01-11 3중관 연도 제조방법 KR10221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190A KR102219392B1 (ko) 2021-01-11 2021-01-11 3중관 연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190A KR102219392B1 (ko) 2021-01-11 2021-01-11 3중관 연도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375 Division 2020-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392B1 true KR102219392B1 (ko) 2021-02-25

Family

ID=7473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190A KR102219392B1 (ko) 2021-01-11 2021-01-11 3중관 연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3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415A (ja) * 1994-12-14 1996-06-25 Suzuki Motor Corp 多重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36657Y1 (ko) * 2001-03-21 2001-10-08 주식회사 하나스텍 내부식성 강화 연도관
KR20100004148A (ko) * 2008-07-03 2010-01-13 (주) 인디고텍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KR101870736B1 (ko) 2017-12-22 2018-08-02 한국스택(주) 보온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관 연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4415A (ja) * 1994-12-14 1996-06-25 Suzuki Motor Corp 多重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36657Y1 (ko) * 2001-03-21 2001-10-08 주식회사 하나스텍 내부식성 강화 연도관
KR20100004148A (ko) * 2008-07-03 2010-01-13 (주) 인디고텍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KR101870736B1 (ko) 2017-12-22 2018-08-02 한국스택(주) 보온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관 연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55834A (en) Apparatus for connecting ducts with a self-sealing joint
JP4933437B2 (ja) 管継手
JP4052566B2 (ja) フレーム結合構造およびその結合方法
JP2020520440A (ja) ばねクランプのための位置決めデバイス
KR102219392B1 (ko) 3중관 연도 제조방법
WO2018043126A1 (ja) 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WO2012056083A1 (en) Joining device for connecting air conditioning duct members to each other and a method for fabricating a joining device
JPH0914545A (ja) 管継手とパッキン
EP0678062B1 (en) A method and a pipe element for providing a radially outwards directed bead at the end rim of a pipe
JPH06265289A (ja) プレート式熱交換器
US9644841B2 (en) Chimney duct
JP2001262775A (ja) 鋼管柱の製造方法および鋼管柱
JP2002361322A (ja) 角形鋼管の製造方法および角形鋼管
JPH0723532Y2 (ja) 給・排気筒
JP2001303661A (ja) 鋼管柱および鋼管柱の製造方法
JP3801586B2 (ja) 角形鋼管柱の製造方法
KR100440434B1 (ko) 원통형 저장탱크 및 그의 제작방법
JPH11324637A (ja) サイレンサ―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とそのようなハウジング
JP3101892B2 (ja) 充填型鋼管コンクリート柱の外スチフナーリングの取付け方法
JPH0821532A (ja) 渦巻形ガスケット
CN212378210U (zh) 一种风管接头
CN115306957B (zh) 隔热耐火复合风管及其制作方法
JPH1061775A (ja) 渦巻形ガスケット
JP2001096324A (ja) 配管及びタンク類の製造方法並びに組立構造
KR20210115830A (ko) 연도 파이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