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584B1 -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 Google Patents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584B1
KR102457584B1 KR1020220009928A KR20220009928A KR102457584B1 KR 102457584 B1 KR102457584 B1 KR 102457584B1 KR 1020220009928 A KR1020220009928 A KR 1020220009928A KR 20220009928 A KR20220009928 A KR 20220009928A KR 102457584 B1 KR102457584 B1 KR 102457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ar
flue
connection part
disposed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진
Original Assignee
코리아플랜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플랜트(주) filed Critical 코리아플랜트(주)
Priority to KR102022000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5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3Pre-ins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2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25B1/005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of the single unit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챔버하우징, 제 2 챔버하우징, 제 1 순환관 및 제 2 순환관의 배치를 통해 냉매의 온도차를 통해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Isulated quadruple exhaust pipe including insulation member}
본 발명은 단열재를 포함하는 연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소각장, 공장 주거 및 비주거건물 등에서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하여 석유, 석탄,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굴뚝을 통하여 배출하기 위하여 굴뚝까지 안내하는 연결라인을 연도라 한다.
연도는 통상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도금 강판 재질을 사용하고, 30-600℃ 정도의 배기가스가 통과되기 때문에, 단열구조를 갖는 이중관의 형태로 제작된다.
연도의 구성요소는, 내부관과, 내부관의 외부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보통 2.5~5센티 정도)을 띄어 외부관으로 형성되고, 내부관과 외부관 사이의 공기층이 단열재 역할을 하는 이중연도 방식으로 제작된다.
발전기처럼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우 높을 경우에 이중연도의 외부에 외부관을 추가로 덧대어 3중연도로도 제작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7200호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외통과, 외통의 양단 내주면에 다수의 스페이서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과, 단열내통의 내부 중심에 다수 개의 제2스페이서에 의하여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에 있어서, 발포형 흡음관부재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알루미늄재를 압축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연도내의 소음이 흡음내통의 흡음구멍을 통해 단열부재로 흡음되어감소됨으로써, 연도내의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98140호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는 단열 내통에 형성된 절곡부를 통해서 단열재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흡음구멍을 상부가 관통된 돌출부를 통해서 형성시키므로 연도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상하가 개구되고, 흡음 구멍이 외주면에 다수 개로 형성된 원통 형상의 흡음 내통과, 흡음 내통과 일정한 공간을 두고 결합되어 단열 부재가 충진되고, 내측으로 함몰된 절곡부가 다수 개로 형성되어 단열 부재를 고정시키는 단열 내통과, 흡음 내통과 단열 내통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1 스페이서와, 단열 내통 외면에 결합되는 외통과, 단열 내통과 외통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위하여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다수 개의 제2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연도 조립체는, 연도가 내부관과 외부관으로 형성되어 내부관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 및 외부관을 서로 연결하는 부분에 대한 기밀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단열 성능이 좋지 않으며, 이에 연도의 표면 온도가 쉽게 높아질 수 있어 열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내부의 연도를 통과하는 가스에 의해 연도조립체가 가열될 경우,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등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안민국 등록특허 제10-108720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8140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382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9688호
본 발명은 단열재가 내부에 배치되어 단열성능이 우수한 4중 연도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4중 연도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일측플랜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타측플랜지(11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114)를 포함하는 제 1 이너연도(100);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1-1 아우터연도(1511);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1-2 아우터연도(1512);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1-3 아우터연도(1513);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1-1 아우터연도(1511) 사이에 형성된 제 1-1 이격공간(1501);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아우터연도(1512) 사이에 형성된 제 1-2 이격공간(1502);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 사이에 형성된 제 1-3 이격공간(1503);상기 제 1-2 이격공간(1502)에 배치된 단열재;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에 배치된 제 1 챔버하우징(1810);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에 배치된 제 2 챔버하우징(1820);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으로 토출시키는 압축기(1860); 상기 압축기(1860)에서 토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1870);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압축기(1860)을 연결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제 1 순환관(1830);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 및 제 1 챔버하우징(1810)을 연결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제 2 순환관(1820); 상기 압축기(186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을 연결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제 3 순환관(1850); 상기 제 2 순환관(1820)에 배치된 체크밸브(1880);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1-1 아우터연도(1511) 사이에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을 형성시키는 제 1-1 스페이서(160);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아우터연도(1512) 사이에 상기 제 1-2 이격공간(1502)을 형성시키는 제 1-2 스페이서(1160);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 사이에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을 형성시키는 제 1-3 스페이서(2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161)와,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162)와, 상기 제 1 연결부(161) 및 제 2 연결부(1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16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는,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1161)와,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1162)와, 상기 제 1 연결부(1161) 및 제 2 연결부(11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116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3 스페이서(2160)는,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161)와, 상기 제 1-3 아우터연도(1513)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2162)와, 상기 제 1 연결부(2161) 및 제 2 연결부(21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216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와,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1 연결부(1161)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1 연결부(1611)는 고정부재(171)를 통해 한번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기(1860)가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1860)가 상기 단열재(800)의 상측에 배치된 연도조립체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아우터연도들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에 단열재를 채워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제 1-1 이격공간 및 제 1-3 이격공간에 단열재가 각각 배치되기 때문에 단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실란트가 배치된 밴드챔버에 단열재가 채워지기 때문에, 실란트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란트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챔버단열재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 1 단열재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너연도의 열이 상기 제 1 실란트 및 제 2 실란트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의 사용연한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제 1 챔버하우징, 제 2 챔버하우징, 제 1 순환관 및 제 2 순환관의 배치를 통해 냉매의 온도차를 통해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이너연도 및 제 2 이너연도의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너밴드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아우터밴드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연도조립체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다.
도 8은 도 8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이너연도의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이너밴드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아우터밴드의 결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복수개의 연도가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수직 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연도들 및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연도들이 조립된 형태일 수 있다.
연도조립체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경우, 내부의 응축수가 중력방향 하측에 고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연도들의 연결부분을 통해 내부의 응축수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구조는 동일하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는 내부식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를 포함하는 다수개의 연도들을 연속되게 배치한다.
상기 연도조립체는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와,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경계를 밀착시키는 이너밴드(300)와, 상기 아우터연도(150)(250)의 경계를 커버하는 아우터밴드(4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는 STS304 또는 STS316과 같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구동이 동일하기 때문에, 하나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각 구성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제 1", "제 2" 등의 접두사를 붙여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는,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에 일측플랜지(111)가 형성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에 타측플랜지(11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1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파이프(114)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이너파이프(114)가 각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일측플랜지(111)는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일측에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일측플랜지(111)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타측플랜지(112)는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타측에 배치되고,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된다. 바텀뷰로 볼 때, 상기 타측플랜지(112)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플랜지(111)의 폭과 타측플랜지(112)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의 폭이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는 완전한 링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는 상기 이너파이프(114)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는 상기 이너파이프(114)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연도(200)는, 일측(본 실시예에서 상측)에 일측플랜지(211)가 형성되고, 타측(본 실시예에서 하측)에 타측플랜지(21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214)를 포함한다.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는 상기 이너파이프(214)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는 상기 이너파이프(214)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이너연도(100)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너연도(200)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가 결합될 경우, 제 1 이너연도(100)의 일측플랜지 상측에 제 2 이너연도의 타측플랜지가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가 결합될 경우,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와 제 2 이너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이너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와 제 2 이너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는 웨이브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웨이브는 상기 연도(100)의 길이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와 제 2 이너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의 웨이브(115)(215)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일측플랜지(111)의 웨이브를 제 1 웨이브(115)라 하고, 상기 타측플랜지(212)의 제 2 웨이브(215)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측단면으로 볼 때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는 산(115a)(115b) 및 골(115c)(115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115)는 2개의 산(115a)(115b) 및 2개의 골(115c)(115d)을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제 1 이너연도(100)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상기 산 및 골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산 중에서 상기 중심에 가까운 것을 제 1 산(115a)이라 하고, 중심에서 먼 것을 제 2 산(115b)이라 한다. 상기 골 중에서 중심에 가까운 것을 제 1 골(115c)이라 하고, 먼 것을 제 2 골(115d)이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산(115a), 제 2 산(115b), 제 1 골(115c) 및 제 2 골(115d)의 평단면 중심이 일치된다.
상기 평단면 중심에서 상기 제 1 산(115a)의 반경이 상기 제 2 산(115b)의 반경보다 작다. 상기 평단면 중심에서 상기 제 1 골(115c)의 반경이 제 2 골(115d)보다 작다.
즉, 상기 평단면 중심을 기준으로 제 1 산(115a), 제 1 골(115c), 제 2 산(115b) 및 제 2 골(115d) 순으로 반경이 증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산(115a), 제 1 골(115c), 제 2 산(115b) 및 제 2 골(115d)은 상기 일측플랜지(111) 전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산(115a), 제 1 골(115c), 제 2 산(115b) 및 제 2 골(115d)이 상기 일측플랜지(111)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타측플랜지(112)에도 일측플랜지(111)와 동일한 제 1 산, 제 1 골, 제 2 산 및 제 2 골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에는 제 1 산(115a), 제 1 골(115c), 제 2 산(115b) 및 제 2 골(115d)에 대응되는 제 1 산(215a), 제 1 골(215c), 제 2 산(215b) 및 제 2 골(215d)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의 일측플랜지(211)에도 제 1 산, 제 1 골, 제 2 산 및 제 2 골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제 1 산(115a)이 제 2 이너연도(200)의 제 1 산(215a)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의 제 1 산(215a)에 삽입되어 지지한다. 나머지 산 및 골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지지된다.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의 제 1 골(215c)은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제 1 골(115c) 상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제 1 골(115c)에 삽입된다.
상기 일측플랜지(111)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길이 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는 제 1 웨이브(115)와, 상기 제 1 웨이브(115)의 반경방향 끝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 1 연장부(116)을 포함한다.
상기 타측플랜지(212)는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의 길이 방향으로 굴곡을 형성하는 제 2 웨이브(215)와, 상기 제 2 웨이브(215)의 반경방향 끝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 2 연장부(21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의 상측에 상기 제 2 웨이브(215)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장부(216)의 상측에 상기 제 2 연장부(216)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형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연도들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연장부(216) 및 제 2 연장부(216)는 상기 연도들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연도들의 길이방향에 직교한 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는 수평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웨이브(115) 및 제 2 웨이브(215)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조립 시,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위치 정렬이 용이하다.
즉,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위에 상기 제 2 이너연도(200)를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제 2 이너연도(200)를 정위치에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너파이프(114)(214)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에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웨이브(115)(215)들의 형합에 의한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위치 정렬은 이러한 유체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가 일렬로 정렬되지 않고, 어느 한쪽이 튀어나올 경우, 가스에 포함된 이물질 들이 적층될 수 있고, 적층된 이물질이 부식을 유발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웨이브(115)(215)들의 형합을 통해 이러한 이물질의 적층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 사이에 제 1 실란트(500, sealant)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상기 웨이브(115)(215) 및 연장부(116)(216) 사이에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내부식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상기 이너파이프(114)(214)들의 내측면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상기 연장부(116)(216)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는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는 상기 제 1 실란트(500)에 의해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실란트(500)가 탄성을 갖는 재질이기 때문에,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또는 제 2 이너연도(200)에서 진동 또는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제 1 실란트(500)가 이를 어느 정도 완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란트(500)는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직접 접촉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실란트(500)로 인해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 내부의 물이 상기 제 1 이너파이프(114) 및 제 2 이너파이프(214) 사이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밴드(300)는 상기 플랜지들을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밸드(300)는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를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이너밴드(3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이너밴드(300)는,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가 삽입되는 밴드삽입부(310)와, 상기 밴드삽입부(310)에서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밴드연장부(320)(330)와, 상기 밴드삽입부(310)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배치된 밴드체결부(351)(352)와, 상기 밴드체결부(351)(352)를 체결 결합시키는 밴드체결부재(353)(35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밴드체결부재(353)(354)는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다양한 체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삽입홈(31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V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15)은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이 삽입되는 측이 넓고, 연도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정단면으로 볼 때,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 또는 ">"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상기 일측플랜지(111)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경사부(311)와, 상기 타측플랜지(212) 상측에 배치되는 제 2 경사부(312)와, 상기 제 1 경사부(311) 및 제 2 경사부(312)를 연결하고,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212)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연결부(313)를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밴드삽입부(310)는 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밴드삽입부(310)의 일단 및 타단은 분리되고, 상기 일단 및 타단에 각각 밴드체결부(351)(352)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체결부(351)(352)는 상기 밴드삽입부(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밴드삽입부(310)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하여 상기 밴드체결부(351)(352)를 형성한다.
상기 일단에 배치된 것을 제 1 밴드체결부(351)라 하고, 타단에 배치된 것을 제 2 밴드체결부(352)라 한다.
상기 제 1 밴드체결부(351) 및 제 2 밴드체결부(352)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밴드체결부(351) 및 제 2 밴드체결부(352)는 상기 연도의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밴드체결부(351) 및 제 2 밴드체결부(352)에 각각 체결홀(355)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체결부재(353)(354)의 체결을 통해 상기 제 1 밴드체결부(351) 및 제 2 밴드체결부(352)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밴드(300)의 직경은 상기 이너파이프(114)와 같거나 상기 이너파이프(114)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차를 통해 상기 이너밴드(300)가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밴드연장부(320)(330)는 상기 밴드삽입부(3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띠 형태의 판을 절곡하여 상기 밴드체결부재(353)(354)를 제외한 밴드삽입부(310), 밴드연장부(320)(330) 및 밴드체결부(351)(352)를 제작한다.
상기 밴드연장부(320)(330)는 상기 제 1 경사부(311)와 연결된 제 1 밴드연장부(320)와, 상기 제 2 경사부(312)와 연결된 제 2 밴드연장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 및 제 2 밴드연장부(330)는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 및 제 2 밴드연장부(330)가 상기 이너파이프(114)에 밀착됨으로서 상기 삽입홈(315)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홈(315)에 제 2 실란트(600)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란트(600)는 상기 삽입홈(315)을 따라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315)의 부피보다 많은 부피의 제 2 실란트(600)가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실란트(600)가 상기 삽입홈(315)의 부피보다 적게 충진될 경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한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 2 실란트(600)는 상기 밴드연장부(320)(330) 밖으로 일부(601)(602)가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홈(315)에 충진된 제 2 실란트(600)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 전체를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일측플랜지(111) 및 제 2 이너연도(200)의 타측플랜지(212)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가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는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가 각기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외측을 감싸는 제 1 아우터연도(150)들과,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의 외측을 감싸는 제 2 아우터연도(250)들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는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1 아우터연도(150)들의 조립체를 제 1 연도조립체(1001)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이너연도(20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들의 조립체를 제 2 연도조립체(1002)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연도조립체(1001) 및 제 2 연도조립체(1002)는 4중관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와 이격되어 제 1 이너연도(1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1-1 아우터연도(1511)와,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와 이격되어 제 1-1 아우터연도(1511)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1-2 아우터연도(1512)와,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와 이격되어 제 1-2 아우터연도(1512)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1-3 아우터연도(1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1-1 아우터연도(1511) 사이에 제 1-1 이격공간(150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아우터연도(1512) 사이에 제 1-2 이격공간(150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 사이에 제 1-3 이격공간(150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1 이격공간(1501) 및 제 1-3 이격공간(1503)은 빈공간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2 이격공간(1502)에 단열재(80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 제 1-2 이격공간(1502) 및 제 1-3 이격공간(1503)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 제 1-2 이격공간(1502) 및 제 1-3 이격공간(1503)가 제 1 이너연도(1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층되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 바깥쪽에 상기 제 1-2 이격공간(1502)이 배치되고, 상기 제 1-2 이격공간(1502) 바깥쪽에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이 배치된다.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의 반경방향 간격이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 및 제 1-3 이격공간(1503)의 반경방향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단열재(800)를 충분히 채울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 1-1 아우터연도(1511),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은 각기 다른 길이로 형성된다.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의 길이를 L1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의 길이를 L2라 정의하며, 상기 제 1-3 아우터연도(1513)의 길이를 L3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길이를 L0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L0 > L1 > L2 > L3 의 관계를 형성한다. 즉,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들은 제 1 이너연도(100)에서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될수록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수평방향 중심(O)을 기준으로 제 1-1 아우터연도(1511),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이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 제 1-2 스페이서(1160) 및 제 1-3 스페이서(2160)도 상기 중심(O)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들을 통해 이너연도 및 아우터연도들이 결합되기 때문에, 결합을 위한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너연도의 열이 아우터연도들로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중심(O)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는 제 1-1 아우터연도(1511)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중심(O)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3 스페이서(2160)는 제 1-2 아우터연도(1512)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중심(O)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들은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들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는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와 이격되어 제 2 이너연도(2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2-1 아우터연도(2511)와, 상기 제 2-1 아우터연도(2511)와 이격되어 제 2-1 아우터연도(2511)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2-2 아우터연도(2512)와, 상기 제 2-2 아우터연도(2512)와 이격되어 제 2-2 아우터연도(2512)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2-3 아우터연도(25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이너연도(200) 및 제 2-1 아우터연도(2511) 사이에 제 2-1 이격공간(250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1 아우터연도(2511) 및 제 2-2 아우터연도(2512) 사이에 제 2-2 이격공간(250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2-3 아우터연도(2513) 사이에 제 2-3 이격공간(250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1 이격공간(2501) 및 제 2-3 이격공간(2503)은 빈공간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2-2 이격공간(1502)에 단열재(800)가 배치된다.
상기 제 2-1 이격공간(2501), 제 2-2 이격공간(2502) 및 제 2-3 이격공간(2503)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적층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 2-1 이격공간(2501) 바깥쪽에 상기 제 2-2 이격공간(2502)이 배치되고, 상기 제 2-2 이격공간(2502) 바깥쪽에 상기 제 2-3 이격공간(150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 제 1-3 이격공간(1503), 제 2-1 이격공간(2501) 및 제 2-3 이격공간(2503)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 형태이고, 공기가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이격공간(1502) 및 제 2-2 이격공간(2502)은 상측면 또는 하측면 중 적어도 일부가 막힌 형태이고, 단열재(800, 801)가 채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단열재(801)는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 또는 제 2-2 스페이서(1260)에 지지된다.
상기 제 2-3 이격공간(2503)의 반경방향 간격이 상기 제 2-1 이격공간(2501) 및 제 2-3 이격공간(2503)의 반경방향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상기 단열재(800)를 충분히 채울 수 있다.
상하 방향에 대하여 제 2-1 아우터연도(2511), 제 2-2 아우터연도(2512) 및 제 2-3 아우터연도(2513)은 각기 다른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들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1-1 아우터연도(1511)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1-1 아우터연도(1511)를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제 1-1 스페이서(160)와,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아우터연도(1512)에 결합되고,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아우터연도(1512)를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제 1-2 스페이서(1160)와,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에 결합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를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제 1-3 스페이서(2160)와, 상기 제 2 이너연도(200) 및 제 2-1 아우터연도(2511)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이너연도(200) 및 제 2-1 아우터연도(2511)를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제 2-1 스페이서(260)와, 상기 제 2-1 아우터연도(2511) 및 제 2-2 아우터연도(2512)에 결합되고, 상기 제 2-1 아우터연도(2511) 및 제 2-2 아우터연도(2512)를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제 2-2 스페이서(1260)와, 상기 제 2-2 아우터연도(2512) 및 제 2-3 아우터연도(2513)에 결합되고, 상기 제 2-2 아우터연도(2512) 및 제 2-3 아우터연도(2513)를 반경방향으로 이격시키는 제 2-3 스페이서(2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에 의해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에 의해 상기 제 1-2 이격공간(1502)이 형성되며, 상기 제 1-3 스페이서(2160)에 의해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2-1 스페이서(260)에 의해 상기 제 2-1 이격공간(250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2 스페이서(1260)에 의해 상기 제 2-2 이격공간(2502)이 형성되며, 상기 제 2-3 스페이서(2260)에 의해 상기 제 2-3 이격공간(250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의 직경은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직경은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의 길이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2 이너연도(200) 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길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의 길이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 및 제 2 아우터연도(25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상기 제 1-3 아우터연도(1513) 및 제 2-3 아우터연도(2513)의 이격된 경계를 커버한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일단(401, 본 실시예에서 하단)이 제 1 아우터연도(150, 본 실시예에서 제 1-3 아우터연도)에 밀착되고, 타단(402, 본 실시예에서 상단)이 제 2 아우터연도(250, 제 2-3 아우터연도)에 밀착된다. 상기 일단(401)은 상기 연도(100)(200)들의 길이 방향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이너밴드(300)를 감싸는 제 1 아우터밴드(410)와, 상기 제 1-3 아우터연도(1513) 및 제 2-3 아우터연도(2513)의 경계를 감싸는 제 2 아우터밴드(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아우터밴드(410)는 상기 이너밴드(300)의 외측을 감싸게 배치된 링형태이다. 상기 이너밴드(300) 및 제 1 아우터밴드(410) 사이에 밴드챔버(1504)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챔버(1504)에 챔버단열재(802)가 채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밴드챔버(1504)는 밀폐된 공간이다.
상기 밴드챔버(1504)에 채워진 상기 챔버단열재(802)를 통해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 사이로 누설되는 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외부 충격 또는 경화로 인해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에 크랙이 발생될 경우, 상기 일측플랜지(211) 및 타측플랜지(212) 사이로 가스가 누설될 수 있고, 상기 밴드챔버(1504)에 채워진 상기 챔버단열재(802)는 상기 누설가스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일단(401) 및 타단(402)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절곡된다.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1 삽입홈(151)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51)은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의 외측면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홈(151)에 상기 아우터밴드(400)의 일단(401)이 삽입된다.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는 반경방향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 2 삽입홈(25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삽입홈(251)은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외측면을 따라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삽입홈(251)에 상기 아우터밴드(400)의 타단(402)이 삽입된다.
상기 아우터밴드(400)의 원주방향 일단 및 타단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절곡된 밴드체결부(403)(404)가 형성된다. 상기 밴드체결부(403)(40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밴드체결부재(405)(406)을 통해 체결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1 아우터연도(150)를 이격시킨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는 제 1 이너연도(100)의 열이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로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2-1 스페이서(260)도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 및 제 2-1 스페이서(260)는 상하 대칭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1-1 스페이서(160)들은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1 스페이서(260)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2-1 스페이서(260)들은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는 상기 제 1 일측플랜지(111) 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1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2 타측플랜지(212)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161)와,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162)와, 상기 제 1 연결부(161) 및 제 2 연결부(1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16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161) 및 제 2 연결부(162)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연결부(163)는 상기 제 1 연결부(161) 및 제 2 연결부(162)와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161)는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 및 제 1 이너연도(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밴드(300)의 체결 시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가 상기 제 1 연결부(161)에 밀착되고, 기밀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특히 제 2 실란트(600)가 상기 제 1 밴드연장부(320) 및 제 1 연결부(161) 사이로 충진될 수 있기 때문에, 기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62)는 상기 제 1 아우터연도(150)의 일측단(1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162)는 상기 제 1 삽입홈(151)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는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1161)와,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1162)와, 상기 제 1 연결부(1161) 및 제 2 연결부(11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1163)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3 스페이서(2160)는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161)와, 상기 제 1-3 아우터연도(1513)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2162)와, 상기 제 1 연결부(2161) 및 제 2 연결부(21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216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와,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1 연결부(1161)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1 연결부(1611)는 고정부재(170, 171)를 통해 한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1 연결부(1611)는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볼트,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1 연결부(1611)가 고정부재(171)를 통해 한번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이 간편하고, 3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2 연결부(1162),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스페이서(2160)의 제 1 연결부(2161)도 고정부재(172)를 통해 한번에 결합된다.
상기 제 1-3 스페이서(2160)의 제 2 연결부(216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도 고정부재(173)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수평방향 중심(O)을 기준으로,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3 연결부(163)가 상기 중심(O)과 가장 멀게 배치되고, 상기 제 1-3 스페이서(2160)의 제 3 연결부(2163)가 가장 가깝게 배치되며,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3 연결부(1163)는 상기 연결부(163)(2163)들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 2-1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2 이너연도(2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61)와,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262)와, 상기 제 1 연결부(261) 및 제 2 연결부(2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26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연결부(261) 및 제 2 연결부(262)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연결부(263)는 상기 제 1 연결부(261) 및 제 2 연결부(262)와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261)는 상기 제 2 밴드연장부(330) 및 제 2 이너연도(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밴드(300)의 체결 시 상기 제 2 밴드연장부(330)가 상기 제 1 연결부(261)에 밀착되고, 기밀성능을 더 높일 수 있다.
특히 제 2 실란트(600)가 상기 제 2 밴드연장부(330) 및 제 1 연결부(261) 사이로 충진될 수 있기 때문에, 기밀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262)는 상기 제 2 아우터연도(250)의 일측단(25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262)는 상기 제 2 삽입홈(251)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및 제 2-1 스페이서(260)의 제 2 연결부(262) 사이에 상기 이너밴드(3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및 제 2-1 스페이서(260)의 제 2 연결부(262)의 반경방향 돌출길이는 상기 이너밴드(300)의 돌출길이와 같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의 상하 방향(연도들의 길이방향) 길이가 상기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및 제 2-1 스페이서(260)의 제 2 연결부(262)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밴드(400)는 상기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제 2-1 스페이서(260)의 제 2 연결부(262) 및 이너밴드(300)를 동시에 감싸게 배치된다.
이하 상기 제 2-1 스페이서(260)는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와 대칭의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이너파이프(114)(214)의 내부에 세라믹 성분, 바나듐 및 티타니아를 포함하는 코팅층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라믹 성분은 알루미나를 포함하여 일련의 공정을 거쳐 세라믹 형태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탄화규소, 코디어라이트(MgO.Al2O3.SiO2), 실리마나이트(sillimanite group, Al2O3·SiO2), 카올린(kaolin group, Al2O3·2SiO2·2H2O), 실리카(SiO2), 규조토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바나듐은 원자번호 23번의 은회색 전이 금속으로 상기 조성물에 소량 첨가되어 연도관의 내열성 및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너무 과량 첨가되는 경우 코팅 과정 중 코팅층의 미세 균열을 일으킬 수 있다.
티타니아는 티타늄 산화물로 자연에서 무정형, 아나타제(anatase), 브루카이트(brookite), 루타일(rutile) 등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티타니아는 무정형, 아나타제(anatase), 브루카이트(brookite), 루타일(rutil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가장 폭넓게 사용되는 형태로서 아나타제 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에서 세라믹 성분에 더하여 추가되는 금속 성분은 바나듐 및 티타니아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연도관 내부 코팅 성분으로 추가될 수 있는, 다른 금속 성분, 예를 들어 텅스텐, 인, 코발트 등은 세라믹 코팅층의 형성 과정에서 미세 균열을 유발하여 코팅층 형성에 방해가 되고, 바나듐 및 티타니아 조합만 함유된 것과 비교해 내열성이 감소된다. 따라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촉매 조성물은 텅스텐, 인 또는 코발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바나듐 및 티타니아 혼합물은 세라믹 성분 5 중량부를 기준으로, 각각 0.1 내지 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나듐 및 티타니아 조합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고온 하에서 충분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없어 뒤틀림 및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바나듐 및 티타니아 각각의 성분비는 중량비로 1 내지 5:1 내지 3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약 1.3:2.5 중량비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량비보다 바나듐이 과하게 첨과되는 경우에는 코팅층의 미세 균열을 일으켜 코팅층의 수명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으며, 티타니아가 과하게 첨가되는 경우 세라믹 성분과 잘 혼합되지 않아 충분한 내열성을 나타낼 수 없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단열재(800)가 제 1-1 이격공간(1501) 및 제 1-3 이격공간(1503)에 각각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에 배치된 단열재를 제 1 단열재(810)라 정의하고,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에 배치된 단열재를 제 2 단열재(820)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단열재(810)는 이너파이프(114) 및 제 1-1 아우터연도(1511)에 밀착되고, 상기 이너파이프(114)의 열이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상기 제 2 단열재(820)는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에 밀착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의 열이 제 1-3 아우터연도(1513)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열재(810)의 상하 길이가 상기 제 2 단열재(820)의 상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단열재(820)가 상기 제 1 단열재(810)와 이격되어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단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챔버단열재(80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 1 단열재(810)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너연도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아우터연도가 가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챔버단열재(802)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제 1 단열재(810)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너연도의 열이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의 사용연한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상기 제 1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제 1-1 이격공간(1501)에 배치된 제 1 챔버하우징(1810)과,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에 배치된 제 2 챔버하우징(1820)과,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을 연결하는 제 1 순환관(1830) 및 제 2 순환관(18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은 밀폐된 형태이고,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 내부에 냉매가 충진되며, 상기 냉매는 상기 제 1 순환관(1830) 및 제 2 순환관(1840)을 통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 사이에 상기 단열재(801)가 배치되고, 상기 단열재(801)는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의 열전달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이너연도관(100)이 가열될 경우,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에 저장된 냉매가 가열되어 상측으로 유동되고, 상측에 배치된 제 1 순환관(1830)을 통해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순환관(1830)의 일단(1831)이 제 1 챔버하우징(1810)에 연결되고, 타단(1832) 제 2 챔버하우징(1820)에 연결되고, 상기 일단(1831)이 타단(1832) 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순환관(1830)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순환관(1840)의 일단(1841)이 제 1 챔버하우징(1810)에 연결되고, 타단(1842) 제 2 챔버하우징(1820)에 연결되며, 상기 일단(1841)이 타단(1842) 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순환관(1840)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된다.
반경방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에 저장된 냉매의 온도가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에 저장된 냉매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온도가 낮은 냉매는 상기 제 2 순환관(1840)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으로 유동된다.
특히, 상기 제 2 순환관(1840)은 타단(1842)에서 일단(1841)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기 때문에, 냉매의 밀도차에 의해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으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다.
또한,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에 저장된 냉매의 온도가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에 저장된 냉매의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온도가 높은 냉매는 상기 제 1 순환관(1830)을 통해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으로 유동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제 1 챔버하우징(1810), 제 2 챔버하우징(1820), 제 1 순환관(1830) 및 제 2 순환관(1840)의 배치를 통해 냉매의 온도차를 통해 냉매를 순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무동력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매가 대류되면서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을 냉각하여 상기 단열재(800)를 통한 단열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더불어 냉매의 순환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가 냉각됨으로써,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실란트(500) 및 제 2 실란트(600)의 사용연한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연도조립체의 정비 또는 교체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의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상기 제 3 실시예와 달리 냉매를 냉각사이클로 순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도조립체는 제 1-1 이격공간(1501)에 배치된 제 1 챔버하우징(1810)과,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에 배치된 제 2 챔버하우징(1820)과,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으로 토출시키는 압축기(1860)과, 상기 압축기(1860)에서 토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1870)와,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압축기(1860)을 연결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제 1 순환관(1830)과,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 및 제 1 챔버하우징(1810)을 연결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제 2 순환관(1820)과, 상기 압축기(186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을 연결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제 3 순환관(1850)과, 상기 제 2 순환관(1820)에 배치된 체크밸브(188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의 냉매는 제 1 이너연도(100)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고, 상기 압축기(1860)는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의 냉매를 흡입하여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으로 토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압축기(1860)는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압축기(1860)는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 및 제 2-2 스페이서(126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압축기(1860)는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3 연결부(1163)의 상측에 거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 1 연결부(1161) 및 제 2 연결부(1162)에 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순환관(1830)의 일단(1831)은 제 1 챔버하우징(1810)에 연결되고, 타단(1832)은 상기 압축기(1860)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순환관(1830)의 연결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 3 순환관(1850)의 일단(1851)은 상기 압축기(1860)에 연결되고, 타단(1852)은 제 2 챔버하우징(1820)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전자팽창밸브(1870)는 인가된 제어신호를 통해 개도값을 조절하여 무화되는 냉매의 입자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 순환관(1850)에 설치된다.
상기 전자팽창밸브(1870)는 상기 압축기(1860)에서 토출된 냉매를 무화시키고, 무화된 냉매는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 내부에서 증발될 수 있다.
증발된 냉매는 상기 제 2 순환관(1840)을 통해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으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1880)는 상기 제 2 순환관(1840)에 배치되고, 제 2 챔버하우징(1820)에서 제 1 챔버하우징(1810)으로만 냉매를 유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도조립체는 압축기(1860)의 작동을 통해 냉매를 냉각사이클로 강제순환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의 온도를 능동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3 실시예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제 1 이너연도 111 : 일측프랜지
112 : 타측플랜지 114 : 이너파이프
115 : 제 1 웨이브 150 : 제 1 아우터연도
200 : 제 2 이너연도 250 : 제 2 아우터연도
300 : 이너밴드 400 : 아우터밴드
500 : 제 1 실란트 600 : 제 2 실란트
800 : 단열재

Claims (1)

  1.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일측플랜지(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타측플랜지(112)가 형성되며, 상기 일측플랜지(111) 및 타측플랜지(112)를 연결시키는 이너파이프(114)를 포함하는 제 1 이너연도(100);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1-1 아우터연도(1511);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1-2 아우터연도(1512);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와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의 외주면을 감싸게 배치된 제 1-3 아우터연도(1513);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1-1 아우터연도(1511) 사이에 형성된 제 1-1 이격공간(1501);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아우터연도(1512) 사이에 형성된 제 1-2 이격공간(1502);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 사이에 형성된 제 1-3 이격공간(1503);
    상기 제 1-2 이격공간(1502)에 배치된 단열재;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에 배치된 제 1 챔버하우징(1810);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에 배치된 제 2 챔버하우징(1820);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의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고, 압축된 냉매를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으로 토출시키는 압축기(1860);
    상기 압축기(1860)에서 토출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전자팽창밸브(1870);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압축기(1860)을 연결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제 1 순환관(1830);
    상기 제 2 챔버하우징(1820) 및 제 1 챔버하우징(1810)을 연결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제 2 순환관(1820);
    상기 압축기(186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을 연결하여 냉매를 안내하는 제 3 순환관(1850);
    상기 제 2 순환관(1820)에 배치된 체크밸브(1880);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이너연도(100) 및 제 1-1 아우터연도(1511) 사이에 상기 제 1-1 이격공간(1501)을 형성시키는 제 1-1 스페이서(160);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아우터연도(1512) 사이에 상기 제 1-2 이격공간(1502)을 형성시키는 제 1-2 스페이서(1160);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의 둘레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 및 제 1-3 아우터연도(1513) 사이에 상기 제 1-3 이격공간(1503)을 형성시키는 제 1-3 스페이서(2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는,
    상기 제 1 이너연도(100)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161)와,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162)와, 상기 제 1 연결부(161) 및 제 2 연결부(1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16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는,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1161)와,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1162)와, 상기 제 1 연결부(1161) 및 제 2 연결부(11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116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3 스페이서(2160)는,
    상기 제 1-2 아우터연도(1512)에 결합되는 제 1 연결부(2161)와, 상기 제 1-3 아우터연도(1513)에 고정되는 제 2 연결부(2162)와, 상기 제 1 연결부(2161) 및 제 2 연결부(2162)를 연결하는 제 3 연결부(216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1 아우터연도(151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와, 상기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1 연결부(1161)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제 1-1 스페이서(160)의 제 2 연결부(162), 제 1-1 아우터연도(1511) 및 제 1-2 스페이서(1160)의 제 1 연결부(1611)는 고정부재(171)를 통해 한번에 결합되고,
    상기 압축기(1860)가 상기 제 1 챔버하우징(1810) 및 제 2 챔버하우징(18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압축기(1860)가 상기 단열재(800)의 상측에 배치된 연도조립체.
KR1020220009928A 2021-06-14 2022-01-24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KR102457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928A KR102457584B1 (ko) 2021-06-14 2022-01-24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717A KR102356493B1 (ko) 2021-06-14 2021-06-14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KR1020220009928A KR102457584B1 (ko) 2021-06-14 2022-01-24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17A Division KR102356493B1 (ko) 2021-06-14 2021-06-14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584B1 true KR102457584B1 (ko) 2022-10-24

Family

ID=8025208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17A KR102356493B1 (ko) 2021-06-14 2021-06-14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KR1020220009928A KR102457584B1 (ko) 2021-06-14 2022-01-24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717A KR102356493B1 (ko) 2021-06-14 2021-06-14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649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129A (ja) * 1999-06-25 2001-01-12 Kawasaki Heavy Ind Ltd 排煙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多重管式煙突
JP2001056114A (ja) * 1999-08-19 2001-02-27 Michiharu Tsubosaka 煙突ユニットおよび煙突装置
KR20090073821A (ko) 2007-12-31 2009-07-03 한국에어텍(주)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20100004148A (ko) * 2008-07-03 2010-01-13 (주) 인디고텍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KR101087200B1 (ko) 2003-05-14 2011-11-29 리치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안정성이 개선된 휩가능한 식품
KR20150098140A (ko) 2014-02-19 2015-08-27 (주) 거성엔지니어링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20180049688A (ko) 2016-11-03 2018-05-11 이종만 이중연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4129A (ja) * 1999-06-25 2001-01-12 Kawasaki Heavy Ind Ltd 排煙方法及び該方法に用いる多重管式煙突
JP2001056114A (ja) * 1999-08-19 2001-02-27 Michiharu Tsubosaka 煙突ユニットおよび煙突装置
KR101087200B1 (ko) 2003-05-14 2011-11-29 리치 프로덕츠 코포레이션 안정성이 개선된 휩가능한 식품
KR20090073821A (ko) 2007-12-31 2009-07-03 한국에어텍(주)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20100004148A (ko) * 2008-07-03 2010-01-13 (주) 인디고텍 자체구조식 조립형 연도
KR20150098140A (ko) 2014-02-19 2015-08-27 (주) 거성엔지니어링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20180049688A (ko) 2016-11-03 2018-05-11 이종만 이중연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493B1 (ko)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2087C2 (ru) Теплообменник,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в особенности, для тепловых генераторов
RU2717732C2 (ru) Конденсационный теплообменник, оснащенный теплообмен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US4183399A (en) Heat pipe recuperator
CN100449220C (zh) 冷凝式热交换器
KR102457584B1 (ko)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WO2007066369A1 (en) Improved heat exchanger
KR100728137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102221820B1 (ko) 연도 조립체
US3730073A (en) Chimneys
KR20100123984A (ko)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KR20080003925A (ko) 이중벽 연장부
KR20130140943A (ko) 콘덴싱 열교환기 및 이를 포함한 보일러
CN111829179A (zh) 一种耦合预混水冷燃烧的单锅片串接铸铝硅热水炉
CN201081587Y (zh) 复合式热管换热设备
KR102356499B1 (ko) 스페이서가 설치된 4중 연도조립체
KR100392594B1 (ko) 콘덴싱 가스보일러
KR100391258B1 (ko) 응축잠열식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KR20090007014A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200423911Y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CN215892315U (zh) 一种锅炉蒸汽集箱保温层的支撑结构
CN212870320U (zh) 一种制冷剂用的高效冷凝器
CN219776384U (zh) 用于水泥窑烟室的溜槽结构及水泥窑烟室
CN220270166U (zh) 一种石墨换热器的排列固定石墨管
CN216115568U (zh) 圆块孔式碳化硅换热器
CN212250599U (zh) 一种磁悬浮鼓风机出风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