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3984A -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3984A
KR20100123984A KR1020090042995A KR20090042995A KR20100123984A KR 20100123984 A KR20100123984 A KR 20100123984A KR 1020090042995 A KR1020090042995 A KR 1020090042995A KR 20090042995 A KR20090042995 A KR 20090042995A KR 20100123984 A KR20100123984 A KR 20100123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flue
tube member
absorbing tube
exhaus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2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7220B1 (ko
Inventor
김동섭
장은수
Original Assignee
김동섭
장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섭, 장은수 filed Critical 김동섭
Priority to KR1020090042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7220B1/ko
Publication of KR20100123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3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7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7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공장의 굴뚝에 설치되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연도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고온 배기가스의 열손실을 방지하여 단열기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배기가스의 배출을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하며 결로현상을 최소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통과, 상기 외통의 양단 내주면에 복수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열내통의 내부 중심에 다수개의 제2스페이서에 의하여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연도, 배기가스, 흡음내통, 단열내통

Description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CHIMNEY ASSEMBLY FOR DISCHARGING EXHAUST GAS}
본 발명은 각종 공장의 굴뚝에 설치되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도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고온 배기가스의 열손실을 방지하여 단열기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배기가스의 배출을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하며, 결로현상을 최소화 하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연소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연도는, 내화벽돌을 각형 또는 원통형상으로 높이 쌓아 형성된다. 이러한 연도는, 벽돌을 하나씩 쌓아올려야 하기 때문에, 시공에 어려움이 있고 시간도 많이 소요되므로 시공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연도 조립체(10)를 연결하여 굴뚝을 형성한다. 상기 연도 조립체(1)에 의하여 형성되는 연도는, 조립을 통해 형성됨으로써, 시공이 간소화되고 시공시간도 단축된다. 이에 따라,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도를 형성하는 연도 조립체(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식에 강한 금속,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로 단열내통(12) 및 외통(13)을 제작한다. 상기한 단열내통(12) 및 외통(13)은, 간격이 균일하도록 스페이서(15)로 고정된다. 또한, 단열내통(12)의 상,하단에는 플랜지부(12a)가 형성되어, 연도 조립체(1)의 단열내통(12)을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서로 조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와 같이 외통(13) 및 내통(12)으로 구성된 연도 조립체(10)는, 길이가 긴 연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개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2a)의 연결부위는, 씨일부재(6)로 밀봉되고, 커버(7)로 은폐된다. 상기 플랜지부(12a)의 연결부위가 밀봉됨에 따라, 내통(12) 및 외통(13)사이의 공간은 공기단열층(16)이 기밀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연도 조립체(10)에 의해 형성된 연도는, 소음감소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도와 연결된 기계실의 기계음이 직접 전달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구경의 연도인 경우에는 공명현상에 의해 소음이 더욱 확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도 조립체(10)는,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연도 상부의 배기구(8)로 유입되는 빗물로 인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미세입자가 흘러내리는 물에 의하여 연도의 내 벽면인 내통(12)의 안쪽면에 흡착되어 잔류하게 됨으로써, 연도의 내벽면을 깨끗이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연도의 내벽면에 쌓인 미세입자는, 장기간 부착되면 금속재의 내통(12)을 부식시켜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국내 특허등록 제10-0728137호의‘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를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13)과, 상기 외통(13)의 양단 내주면에 다수개의 스페이서(15)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12) 및 흡음내통(11)으로 구성되는 이중 흡음관부재(P1)와,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P1)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부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외통(13)은, 연도 조립체(10)의 외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스페이서(15)로 단열내통(12)이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한 스페이서(15)는, 외통(13) 및 단열내통(12)사이에 공기단열층(16)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한 이중 흡음관부재(P1)는, 외통(13)의 내부에 다수개의 스페이서(15)로 고정되고 상하단의 플랜지부(12a)에 흡음내통(11)의 플랜지부(11b)가 접합 고정되는 단열내통(1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단열내통(12)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흡음구멍(11a)이 형성되고,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외향으로 플랜지부(11b)가 상하단에 형성되는 흡음내통(1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P1)는, 흡음내통(11) 및 단열내통(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 흡음과 흡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단열부재(14)가 충진된다.
상기한 단열부재(14)로는, 글래스울(Glass wool), 락울(Rock wool) 또는 세라믹울(Ceramic wool)중 하나로 사용된다. 상기 단열부재(14)는, 단열기능과 함께 흡음(吸音)기능 및 흡수(吸水)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연도의 연도 조립체(10)는, 다수개를 연이어 조립함으로써 하나의 길이가 긴 연도를 형성하여 고온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도 조립체(10)는, 기계실로부터 전달되는 기계음 또는 연도내부의 공명현상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배기소음은, 이중 흡음관부재(P1)에 의하여 흡음된다. 즉, 소음은, 이중 흡음관부재(P1)를 형성하는 흡음내통(11)의 다수 흡음구멍(11a)을 통해 유입된 후 글래스울, 락울 또는 세라믹울 중 하나인 단열부재(14)에 의하여 흡음된다.
또한, 연도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수는, 흡음내통(11)의 흡음구멍(11a)을 통해 유입이 되면 단열부재(14)에 의하여 흡수된다.
그러나, 글래스울, 락울 또는 세라믹울 등으로 이루어진 단열부재(14)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내구성이 떨어져 배기가스의 배출시 소실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연도 조립체(10)의 교체 및 정비를 해야 하는 등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14)가 결로수를 흡수하면, 배기소음에 대한 흡음율이 저하됨으로써, 소음방지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중 흡음관부재(P1)는, 단열부재(14)의 충진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단열내통(12)과 흡음내통(11)의 사이를 이격시킨 후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면적이 불필요하게 확대되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소구경의 연도 조립체(10)는,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연도 조립체(10)의 이중 흡음관부재(P1)는, 단열부재(14)를 단열내통(12)과 흡음내통(11)사이에 충진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자재를 사용하여 제조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도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공명음을 감소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도 조립체에 대한 단열 향상으로 결로현상 및 누수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도내 배기가스의 온도를 유지해 줌으로써, 배기가스의 배출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도구경이 최소화되더라도 연도 조립체에 대한 단열 및 흡음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통과, 상기 외통의 양단 내주면에 복수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열내통의 내부 중심에 다수개의 제2스페이서에 의하여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발포형 흡음관부재는, 일정 직경 및 길이로 형성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양단에 외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연결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는 플랜지부와, 상기 관부 및 플랜지부에 걸쳐 다수 형성되는 기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발포형 흡음관부재는, 다수의 기공을 갖는 알루미늄재를 압축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통과, 상기 외통의 양단 내주면에 복수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고정되는 이중 흡음관부재와,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스페이서와,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보다 직경이 작고 제2스페이서에 의하여 중심에 설치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이중 흡음관부재는, 외통의 양단 내주면에 복수개의 제1스페이서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과, 상기 단열내통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고 흡음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하단의 플랜지부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는 흡음내통과, 상기 흡음내통과 단열내통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도내의 소음이 흡음내통의 흡음구멍을 통해 단열부재로 흡음되어 감소됨으로써, 연도내의 소음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결로현상이나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은 흡음구멍을 통해 단열부재에 의하여 흡수됨으로써, 누수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통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층과, 단열부재로 형성되는 단열층 및 발포형 흡음관부재에 의하여 단열 및 흡음 기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포성 알루미늄재로 제조된 발포형 흡음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단열부재처럼 내구성의 저하에 따라 손실되는 문제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포성 알루미늄재로 제조된 발포형 흡음관부재는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내구성이 그대로 유지됨에 따라 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복수 단열층만으로 형성된 구성에 비하여 3중으로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단열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단일 흡음층만으로 형성된 구성에 비하여 2중으로 흡음층을 형성함으로써, 흡음 기능이 향상되어 배기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13)을 구비한다. 상기한 외통(13)의 양단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스페이서(15)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내통(12)을 포함한다.
또한,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통(13)을 구비한다. 상기 외통(13)의 양단 내주면에는, 다수의 스페이서(15)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12) 및 흡음내통(11)으로 구성되는 이중 흡음관부재(P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P1)의 내부 공간에는, 단열 및 흡음 기능을 하도록 단열부재(14)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한 일반적인 구조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10)의 특징부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10)는, 단열내통(12)의 내부 중심에 다수개의 제2스페이서(15a)에 의하여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P2)를 구비한다.
상기한 제2스페이서(15a)는, 단열내통(12)의 내부에 발포형 흡음관부재(P2)가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제2스페이서(15a)는, 단열내통(12)의 내주면을 따라 발포형 흡음관부재(P2)가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일정 직경 및 길이로 형성되는 관부(Pa)와, 상기 관부(Pa)에 다수 형성되는 기공(Ph)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알루미늄재의 압축 성형을 통해 제조된 경 량 제품이다.
상기한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배기가스 소음을 기공(Ph)을 통해 흡음한다. 그리고, 상기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결로수도 흡수한다. 또한, 상기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알루미늄재를 압축 성형하여 제조됨에 따라, 종래의 흡음내통(11) 및 단열부재(14)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즉, 상기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단열 기능도 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글래스울, 락울 또는 세라믹울 등의 단열부재(14)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단일소재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경에 대한 변경이 용이하여 불필요한 단면적을 줄일 수 있어, 내경을 최소화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종래의 흡음내통(11)을 보완할 수 있어 흡음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연도 조립체(10)에 한번 조립되고 시공되면, 장시간에 걸쳐 사용되더라도 효과가 동일하여 유지보수가 필요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부품수가 줄어 가볍고 수명이 반영구적인 연도 조립체(10)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1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중 흡음관부재(P1)의 내부에 발포형 흡음관부재(P2)를 더 배치시킨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10)는, 이중 흡음관부재(P1)의 흡음내통(11)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개의 제2스페 이서(15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P1)의 내부에는, 흡음내통(11)의 직경보다 작고 제2스페이서(15a)에 의하여 고정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P2)가 설치된다.
상기한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일정 직경 및 길이로 형성되는 관부(Pa)와, 상기 관부(Pa)에 다수 형성되는 기공(Ph)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배기소음을 흡음할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Ph)이 형성되고, 불필요한 단면적을 줄여 내경을 최소화하여 알루미늄재의 경량제품이다. 상기한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알루미늄재로 제조됨에 따라 한번의 시공으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단열부재(14)가 충진된 이중 흡음관부재(P1)와 더불어 단열 및 흡음 기능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연도 조립체(10)를 통과하는 배기가스 소음은, 발포형 흡음관부재(P2)에 형성된 기공들에 의하여 흡음된다.
이러한,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단열부재(14)를 사용하지 않고 알루미늄재로 제조됨에 따라, 가볍고 수명이 반영구적이며 구조가 간단하다.
그리고,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종래의 흡음내통(11)과 단열부재(14)를 보완할 수 있어 번거로운 가공 및 불필요한 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도 5 및 도 6에 의하여 설명한다.
먼저, 외통(13)의 안쪽에 스페이서(15)를 이용하여 단열내통(12)을 중심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단열내통(12)의 내주면에 제2스페이서(15a)를 이용하여 발포형 흡음관부재(P2)를 중심에 설치하면, 연도 조립체(10)가 완성된다.
상기한 연도 조립체(10)가 다수 완성되면, 발전기 및 보일러의 구동에 따른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발전기 및 보일러에 연도 조립체(10)를 연결하여 연도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도가 설치되면, 발전기 및 보일러의 구동에 따른 배기가스는, 연도 조립체(10)로 연결된 연도를 따라 배출된다.
상기한 연도의 연도 조립체(10)를 이동하는 배기가스는, 단일내통(12)의 내부 및 발포형 흡음관부재(P2)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발전기 및 보일러의 구동에 따른 공명음 및 소음은, 연도를 따라 배출되는 배기가스와 함께 연도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연도 조립체(10)는, 배기가스의 이동과 함께 발생한 공명음 및 소음을 발포형 흡음관부재(P2)가 흡음하게 된다. 즉, 배기가스가 발포형 흡음관부재(P2)의 기공(Ph)들에 의하여 흡음됨으로써, 소멸되거나 약화된다.
상기한 연도 조립체(10)들을 거쳐 배기구(8)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소음 및 공명음이 발포형 흡음관부재(P2)에 의하여 흡음되어 정숙한 상태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발포형 흡음관부재(P2)외에 이중 흡음관부재(P1)가 연도 조립체(10)에 함께 형성된 경우를 도 7 및 도 8을 통해서 설명한다.
먼저, 이중 흡음관부재(P1)를 외통(13)의 안쪽에 스페이서(15)를 이용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P1)의 내부에는, 제2스페이서(15a)를 이용하여 발포형 흡음관부재(P2)를 중심에 설치한다.
상기한 외통(13), 이중 흡음관부재(P1), 발포형 흡음관부재(P2)를 포함하는 연도 조립체(10)를 다수개 제작한다.
그리고 나서, 발전기 및 보일러의 구동에 따른 배기가스가 대기중에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연도 조립체(10)를 길게 형성되도록 연결한다.
상기한 연도 조립체(10)들의 연결로 연도가 설치되면, 발전기 및 보일러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는, 연도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상기한 연도의 연도 조립체(10)를 이동하는 배기가스는, 고온 상태임에 따라 중심의 발포형 흡음관부재(P2), 이중 흡음관부재(P1), 외통(13)들에 의하여 차례로 단열이 된다. 이에 따라 외통(13)에는, 고온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접촉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또한, 연도의 연도 조립체(10)를 통해 배기가스의 배출시 발생하는 소음 및 공명음은, 발포형 흡음관부재(P2)를 통과하면서 무수한 기공(Ph)들에 의하여 흡음되어 소멸된다. 또한, 배기가스에 의한 소음 및 공명음은, 이중 흡음관부재(P1)의 무수한 흡음구멍(11a)을 통과한 후 단열부재(14)에 의하여 흡음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감소된다.
그리고, 다수의 연도 조립체(10)로 연결된 연도에는, 내부에 흡음기능을 갖는 2개의 이중 흡음관부재(P1) 및 발포형 흡음관부재(P2)가 설치되어 있어 흡음효율이 증대된다.
또한, 다수의 연도 조립체(10)로 연결된 연도에는, 내부에 단열기능을 갖는 3개의 외통(13)에 의한 공기단열층(16), 이중 흡음관부재(P1) 및 발포형 흡음관부재(P2)에 의하여 단열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연도의 배기구(8)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많은 공기단열층(16), 이중 흡음관부재(P1) 및 발포형 흡음관부재(P2)가 구성된 연도 조립체(10)를 통과함으로써, 소음 및 공명음의 세기가 약해지거나 소멸되어 정숙한 상태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발포형 흡음관부재를 연도 조립체에 적용시켜 배기가스의 소음 감소 및 단열을 향상시킴으로써, 배기가스의 신속한 배출과, 결로현상을 최소화한 것으로,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연도 조립체 제조 산업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도 5의 B-B선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나타낸 따른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C-C선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연도 조립체 11: 흡음내통
11a: 흡음구멍 11b,12a: 플랜지(Flange)부
12: 단열내통 13: 외통
14: 단열부재 15: 스페이서(Spacer)
16: 공기단열층 P1: 이중 흡음관부재
P2: 발포형 흡음관부재

Claims (5)

  1. 외통(13)과, 상기 외통(13)의 양단 내주면에 다수의 스페이서(15)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열내통(12)의 내부 중심에 다수개의 제2스페이서(15a)에 의하여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P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일정 직경 및 길이로 형성되는 관부(Pa)와, 상기 관부(Pa)에 다수 형성되는 기공(Ph)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형 흡음관부재(P2)는, 다수의 기공(Ph)을 갖는 알루미늄재를 압축 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4. 외통(13)과, 상기 외통(13)의 양단 내주면에 다수개의 스페이서(15)에 의해 고정되는 이중 흡음관부재(P1)와,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P1)의 내부에 충진되는 단 열부재(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P1)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수개의 제2스페이서(15a)와,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P1)보다 직경이 작고 중심에 설치되도록 제2스페이서(15a)로 고정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P2)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배출용 2중 흡음 연도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흡음관부재(P1)는, 외통(13)의 양단 내주면에 다수개의 스페이서(15)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12)과, 상기 단열내통(12)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이격되고 흡음구멍(11a)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하단의 플랜지부(11b)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는 흡음내통(11)과, 상기 흡음내통(11)과 단열내통(12)사이의 공간에 충진되는 단열부재(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KR1020090042995A 2009-05-18 2009-05-18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KR101087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995A KR101087220B1 (ko) 2009-05-18 2009-05-18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2995A KR101087220B1 (ko) 2009-05-18 2009-05-18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3984A true KR20100123984A (ko) 2010-11-26
KR101087220B1 KR101087220B1 (ko) 2011-11-29

Family

ID=4340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2995A KR101087220B1 (ko) 2009-05-18 2009-05-18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722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81B1 (ko) * 2013-10-22 2015-01-16 최원영 낙수 소음방지 연통장착구
KR20170008343A (ko) 2015-07-13 2017-01-24 박희수 나선형 패턴이 형성된 벤투리관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기 배출장치와 차량용 보조추진장치
KR20190042980A (ko) 2017-10-17 2019-04-25 경동에너텍 주식회사 걸림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및 그 설치방법
KR20190069930A (ko) 2017-12-12 2019-06-20 경동에너텍 주식회사 삽입유도 확관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KR20210115830A (ko) 2020-03-16 2021-09-27 경동에너텍 주식회사 연도 파이프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331B2 (ja) * 1976-03-03 1983-01-1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煙突の騒音防止装置
JPS52134139A (en) 1976-05-06 1977-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uffling device
JPS5710234U (ko) 1980-06-12 1982-01-19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3881B1 (ko) * 2013-10-22 2015-01-16 최원영 낙수 소음방지 연통장착구
KR20170008343A (ko) 2015-07-13 2017-01-24 박희수 나선형 패턴이 형성된 벤투리관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기 배출장치와 차량용 보조추진장치
KR20190042980A (ko) 2017-10-17 2019-04-25 경동에너텍 주식회사 걸림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및 그 설치방법
KR20190069930A (ko) 2017-12-12 2019-06-20 경동에너텍 주식회사 삽입유도 확관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KR20210115830A (ko) 2020-03-16 2021-09-27 경동에너텍 주식회사 연도 파이프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7220B1 (ko) 201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7220B1 (ko)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EA010510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металлических поверхностей от воздействия конденсатов коррозионных сред с высокой температурой в технических установках
KR100879770B1 (ko) 결로침입이 없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KR100728137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101554899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JP2019507861A (ja) 高強度ガス燃焼式赤外線放射器
KR100914754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091475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JP2012220154A (ja) 熱交換装置
KR100855218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및 조립방법
KR20090073820A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102221820B1 (ko) 연도 조립체
KR200423911Y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101305560B1 (ko) 다기통의 가스 및 디젤 엔진용 배기관 시스템
CN104534185B (zh) 一种复合风管
KR102356493B1 (ko) 단열재를 포함하는 4중 연도 조립체
KR102356499B1 (ko) 스페이서가 설치된 4중 연도조립체
KR20100011498U (ko)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
JP5878256B1 (ja) 煙突の接続構造
KR20090007014A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KR200423368Y1 (ko) 주방 및 화장실 배기용 건식 에어덕트 조립체
KR20230043334A (ko) 소음감소와 단열기능을 구비한 배기가스배출용 연도조립체
JP5746850B2 (ja) 熱交換器
KR200437228Y1 (ko) 신축 이음 이중관 연도의 배기가스 누출방지구조
KR10091475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