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930A - 삽입유도 확관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Google Patents
삽입유도 확관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9930A KR20190069930A KR1020170170299A KR20170170299A KR20190069930A KR 20190069930 A KR20190069930 A KR 20190069930A KR 1020170170299 A KR1020170170299 A KR 1020170170299A KR 20170170299 A KR20170170299 A KR 20170170299A KR 20190069930 A KR20190069930 A KR 201900699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ue pipe
- pipe
- flue
- flange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4—Joints;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9/00—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 B21D19/08—Flanging or other edge treatment, e.g. of tubes by single or successive action of pressing tools, e.g. vice jaw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삽입유도 확관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연도 파이프를 신속하게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플랜지 연결부위에서의 기밀성을 향상시키며, 연도 파이프의 강성을 증대시켜 처짐 현상을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도 파이프(10)에 있어서,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일측에 내경이 증가된 삽입유도 확관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단부에 플랜지부(10b)가 형성되며,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타측에 삽입부(10e) 및 링 형상의 돌출부(10d)가 형성되어, 연도 파이프(10)의 삽입부(10e)가 다른 연도 파이프(10)의 삽입유도 확관부(10a)에 삽입된 후, 상기 돌출부(10d)와 상기 플랜지부(10b)가 서로 접하면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도 파이프(10)에 있어서,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일측에 내경이 증가된 삽입유도 확관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단부에 플랜지부(10b)가 형성되며,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타측에 삽입부(10e) 및 링 형상의 돌출부(10d)가 형성되어, 연도 파이프(10)의 삽입부(10e)가 다른 연도 파이프(10)의 삽입유도 확관부(10a)에 삽입된 후, 상기 돌출부(10d)와 상기 플랜지부(10b)가 서로 접하면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장이나 건물의 보일러 등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연도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도 파이프의 일측에 직경이 증가된 삽입유도 확관부를 형성하고, 타측에 링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연도 파이프 설치현장에서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기밀성을 향상시켜 플랜지 연결부위에서 배기가스 및 결로수의 누출을 방지하며, 연도 파이프의 강성을 향상시켜 연도 파이프의 처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도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사업장에는 보일러 등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굴뚝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통로를 통상 연도(煙道)라 부르고 있다.
과거에는 내화벽돌을 원형 또는 각형으로 쌓아 굴뚝을 설치하고, 이 벽돌로 된 굴뚝을 통해 배기가스를 배출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내화벽돌 연도는, 벽돌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쌓아 올려야 하기 때문에, 연도의 시공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각종 철판으로 원통형 연도 파이프를 제작하고, 이 원통형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연도 조립체를 설치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철판으로 제작된 원통형 파이프를 서로 연결하여 연도를 형성하는 방식은, 연도 파이프 제조공장에서 제작된 단위 연도 파이프를 설치 현장에서 조립만 하면 되므로, 연도의 시공이 간단해지고 시공기간이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스틸 재질의 연도 파이프는, 연도의 용도, 연소량, 연도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의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0.8 ~ 1.2 mm 정도의 스텐레스 스틸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세라믹으로 코팅된 스틸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대형 플랜트에 설치되는 연도는 그 직경이 수 미터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산업현장에 설치되는 종래의 연도 조립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연도 조립체는, 건물의 바닥면(4)에 설치된 보일러(1)로부터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수평 연도 파이프(2)와, 수직 연도 파이프(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 연도 파이프(2)는, 각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한데 모아 수직 연도 파이프로 (3)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 연도 파이프(3)의 하부에는, 응축수나 각종 불순물을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부(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도 파이프의 일부에 팽창부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상기 연도 조립체는, 벽체(5) 및 슬라브(7)에 고정된 지지부재(8)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지지되고, 수직 연도 파이프(3)의 상부에는 캡(3)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연도 조립체는, 조립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해, 연도 제작공장에서 일정 길이의 단위 연도 파이프로 제조된 후, 설치 현장에서 이를 서로 연결하게 된다.
또한 연도 파이프는, 연도를 통과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양단에 형성된 플랜지부(2a)를 실런트(Sealant)(20)로 충전한 후, 이를 밴드(30)로 감싸서 조립하고 있다.
즉, 연도 파이프 몸체의 양단부를 절곡하여 플랜지부(12a)를 형성하고, 이를 다른 연도 파이프의 플랜지부(2a)와 서로 맞댄 상태에서, 밴드(30)와 실런트(20)에 의해 상기 플랜지부(12a)를 서로 연결해나간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연도 파이프 조립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연도 파이프를 현장에 설치하는 작업이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즉, 공중에서 연도 파이프의 양단에 구비된 플랜지부(2a)를 서로 맞대어 놓은 상태에서, 실런트(20)를 충전하고 밴드(30)로 체결하는 작업이 쉽지 않다.
이에 따라 연도 파이프를 현장에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인건비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높은 위치에 수평 연도 파이프를 설치할 경우에 더욱 심각해진다.
한편 설치작업의 간편화를 위해 파이프 설치 지그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에는 공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도 파이프 전체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설치하는 방식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긴 연도 파이프의 운반 및 설치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둘째, 연도 파이프의 플랜지 연결부위의 기밀성이 불량하여 가스 및 결로수가 누출될 가능성이 높다.
종래의 연도 파이프 조립구조에 의하면, 단위 연도 파이프를 길게 제작하게 될 경우 현장 설치가 어려워지므로, 연도 파이프의 길이를 길게 제조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연도 파이프의 플랜지 연결부위가 많아지게 되고, 이렇게 플랜지 연결부위가 많아지게 되면, 플랜지 연결부위에서 가스 및 결로수가 누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셋째, 연도 파이프의 각 플랜지 연결부위에서 처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수평 연도 파이프가 서로 연결되는 플랜지 연결부위에서 파이프의 처짐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플랜지 연결부위가 처지게 되면, 기밀성이 저하되어 부분에서 가스 및 결로수가 누출될 가능성이 더 높아지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슬라브에 지지부재를 더 설치하여 연도 파이프를 지지할 수도 있지만, 이는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을 검색해 본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발전기나 보일러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설치되는 스틸 재질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통로가 되는 내통(10)의 단부 외곽에, 단면이 U자 형상인 링(20)의 양 단부가 각각 용접되고, 상기 링(20)이 용접된 2개의 내통(10) 단부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밴드(40)가 상기 2개의 링(20)을 감싸면서 조립되도록 하여, 상기 밴드(40)의 양단에 구비되는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2개의 링(20)과 밴드(40)가 직접 밀착되면서 조여지는,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외통과, 상기 외통의 양단 내주면에 복수개의 스페이서에 의해 고정되는 단열내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단열내통의 내부 중심에 다수개의 제2스페이서에 의하여 중심에 고정 설치되는 발포형 흡음관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상하부로 플랜지(21)(21')가 설치된 연도내통(20)의 외주연 상하부에 두 개 이상의 스페이서(22)(22')를 설치하고, 그 외부에 외통(30)을 삽입시켜 연도내통(20)의 외주연과 외통(30)의 내주연 사이에 공기단열층(40)을 형성하며, 각각 상하부에 플랜지(51)(51')가 형성되고 하상부에 걸림턱(52)(52')이 형성되며 주연부에 다수의 흡음공(53)(53')이 천공되고, 외주연 상하단에 두 개 이상의 홀더(54)(54')가 형성된 상하부 흡음내통(50)(50')를 형성하되, 상기 상하부 흡음내통(50)(50')의 외주연 상하단에 설치된 홀더(54)(54')의 내측으로, 글라스 클로쓰(61)(61')와 글라스 울(62)(62')를 순차적으로 감아서 설치한 흡음단열층(60)(60')을 클램핑시켜, 상기 연도내통(20)의 상하부에서 각각의 상하부 흡음내통(50)(50')을 삽입시켜 조립시킴으로써, 연도내통(20)의 내주연과 흡음내통(50)(50')의 외주연 사이에 흡음단열층(60)(60')을 형성한,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및 조립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내측에 위치하는 흡음내통, 흡음내통과의 사이에 흡음단열재를 충진시켜 감싸는 단열내통, 단열내통의 외측에 배치되어 공기단열층을 형성하는 외통으로 이루어진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흡음내통에는 그 내주면에 생기는 결로가 흘러내려 상기 흡음단열재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결로침입방지용 그루브가 1개소 이상 형성되고, 상기 결로침입방지용 그루브에는 연도내의 소음을 흡음단열재로 전달 흡수시키는 다수의 흡음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로침입이 없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에 대해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위 연도 파이프를 현장에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에서 연도 파이프의 설치시간을 단축하여 공사비를 절감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위 연도 파이프를 최대한 길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플랜지 연결부위의 개수를 최대한 감소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밀성을 향상시켜 파이프 연결부위에서 가스 및 결로수가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연도 파이프의 강성을 향상시켜 지지부재를 추가하지 않고서도 수평 연도 파이프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도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연도 파이프의 일측에 내경이 증가된 삽입유도 확관부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의 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도 파이프의 타측에 삽입부 및 링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연도 파이프의 삽입부가 다른 연도 파이프의 삽입유도 확관부에 삽입된 후, 상기 플랜지와 상기 돌출부가 서로 접하면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의 내경은, 연도 파이프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외경은, 플랜지부의 외경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부의 길이는,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의 수평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연도 파이프의 제관 작업시 파이프를 압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도 파이프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비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와 돌출부의 접촉부위에 실런트를 충전하고, 플랜지부와 돌출부 외주를 밴드로 감싸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도 파이프의 일측에 삽입유도 확관부를 형성하고 타측 에 링 형상의 돌출부를 형성함으로써, 현장에서 연도 파이프를 손쉽게 조립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연도 파이프의 조립시간을 대폭 단축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설치작업에 따르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작업이 간편해지므로, 단위 연도 파이프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제작하여 플랜지부를 최소화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랜지 연결부위가 최소화되므로, 기밀성이 향상되어 플랜지 연결부위에서 가스 및 결로수가 누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도 파이프의 강성이 향상되므로, 수평 연도 파이프의 처짐 현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연도 조립체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도 파이프의 조립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도 파이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도 파이프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도 파이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도 파이프의 조립방식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도 파이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도 파이프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도 파이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삽입유도 확관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도 파이프(10)에 있어서,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일측에 내경이 증가된 삽입유도 확관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단부에 플랜지부(10b)가 형성되며,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타측에 삽입부(10e) 및 링 형상의 돌출부(10d)가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연도 파이프(10)의 삽입부(10d)가 다른 연도 파이프(10)의 삽입유도 확관부(10a)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플랜지부(10b)와 상기 돌출부(10d)가 서로 접하면서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연도 파이프를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여기서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내경(d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도 파이프(10)의 외경(D1)보다 약 1~3 mm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삽입부(10e)를 다른 연도 파이프의 삽입유도 확관부(10a)에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10d)의 외경(D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10b)의 외경(d2)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10d)와 플랜지부(10b)를 서로 맞댄 후, 실런트(20)를 충전하고, 돌출부(10d)와 플랜지부(10b)의 외주를 밴드(30)로 감싸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20)로는 실리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플랜지 연결부분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면 어느 밀봉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삽입부(10d)의 길이(L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수평 길이(L2)보다 약 1~3 mm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삽입부(10e)를 삽입유도 확관부(10a)에 삽입한 후, 돌출부(10d)와 플랜지부(10b)가 잘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10d)는, 연도 파이프(10)의 제관 작업시 파이프를 압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돌출부(10d)를 링 형상으로 제관하여 연도 파이프(10)의 외주에 용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외주에,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비드(10c)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는 상기 비드(10c)가 하나로 표시되어 있지만, 상기 비드(10c)의 개수는 연도 파이프(10)이 길이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도 파이프를 사용하여 연도 조립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수평 연도 파이프를 설치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연도 파이프(10)의 일단에 삽입유도 확관부(10a)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단부에 플랜지부(10b)를 형성한다.
그리고 연도 파이프(10)의 타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부(10d)를 형성하고, 연도 파이프(1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비드(10c)를 형성한다.
이어서 하나의 연도 파이프(10)를 슬라브에 고정되는 지지부재(8)로 고정한 후(도 2 참조), 다른 연도 파이프(10)를 연결해 나간다.
이때 연도 파이프(10)의 삽입부(10e)를 다른 연도 파이프(10)의 삽입유도 확관부(10a)에 삽입하고, 돌출부(10d)가 다른 연도 파이프(10)의 플랜지부(10b)에 닿을 때까지 밀어 넣는다.
이어서 상기 돌출부(10d)와 플랜지부(10b)가 맞닿은 부위에 실런트(20)를 충전하고, 밴드(30)로 감싸면 2개의 연도 조립체가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계속 반복해나가면 연도 조립체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종래의 연도 파이프 조립 방식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연도 파이프의 플랜지부를 서로 맞댄 상태에서 조립을 한다.
이에 따라 연도 파이프를 조립해 나가기 위해서는, 2개의 플랜지부를 정확하게 맞춘 후, 밴드로 체결할 때까지 이 상태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
이로써 2개의 플랜지부를 서로 연결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다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인건비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플랜지 연결부위에서 가스 및 결로수가 누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플랜지 연결부위에서 파이프의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재(8)에 의해 고정된 연도 파이프(10)의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내부에 다른 연도 파이프(10)의 삽입부(10e)를 끼워가면서 조립할 수 있다.
즉 삽입부(10e)를 삽입유도 확관부(10a)에 걸치면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연도 파이프의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연도 파이프(10)의 삽입유도 확관부(10a)가 다른 연도 파이프의 삽입부(10e)를 지지하는 상태가 되므로, 플랜지 연결부위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에 삽입부(10e)가 끼워지는 방식이므로, 기밀성이 향상되어 배기가스 및 결로수의 누출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설치상의 제약이 없어 단위 연도 파이프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플랜지 결합부위를 최소화하여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연도 파이프의 처짐을 보완하기 위한 지지부재의 개수를 늘이지 않고서도, 연도 파이프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아니한다.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보일러 2: 수평 연도 파이프
2a: 플랜지부 3: 수직 연도 파이프
4: 바닥면 5: 벽체
6: 드레인(Drain) 8: 지지부재
9: 캡(Cap) 10: 연도 파이프
10a: 삽입유도 확관부 10b: 플랜지(Flange)부
10c: 비드(Bead) 10d: 돌출부
10e: 삽입부 20: 실런트(Sealant)
30: 밴드(Band)
2a: 플랜지부 3: 수직 연도 파이프
4: 바닥면 5: 벽체
6: 드레인(Drain) 8: 지지부재
9: 캡(Cap) 10: 연도 파이프
10a: 삽입유도 확관부 10b: 플랜지(Flange)부
10c: 비드(Bead) 10d: 돌출부
10e: 삽입부 20: 실런트(Sealant)
30: 밴드(Band)
Claims (7)
-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연도 파이프(10)에 있어서,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일측에 내경이 증가된 삽입유도 확관부(10a)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단부에 플랜지부(10b)가 형성되며,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타측에 삽입부(10e) 및 링 형상의 돌출부(10d)가 형성되어,
연도 파이프(10)의 삽입부(10e)가 다른 연도 파이프(10)의 삽입유도 확관부(10a)에 삽입된 후, 상기 돌출부(10d)와 상기 플랜지부(10b)와 서로 접하면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유도 확관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내경(d1)은, 연도 파이프(10)의 외경(D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유도 확관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d)의 외경(D2)은, 플랜지부(10b)의 외경(d2)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유도 확관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0e)의 길이(L1)는, 상기 삽입유도 확관부(10a)의 수평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유도 확관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0d)는, 연도 파이프(10)의 제관 작업시 파이프를 압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유도 확관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도 파이프(10)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비드(10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유도 확관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10b)와 돌출부(10d)의 접촉부위에 실런트(20)를 충전하고, 플랜지부(10b)와 돌출부(10d) 외주를 밴드(30)로 감싸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유도 확관부와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0299A KR20190069930A (ko) | 2017-12-12 | 2017-12-12 | 삽입유도 확관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70299A KR20190069930A (ko) | 2017-12-12 | 2017-12-12 | 삽입유도 확관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9930A true KR20190069930A (ko) | 2019-06-20 |
Family
ID=6710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0299A KR20190069930A (ko) | 2017-12-12 | 2017-12-12 | 삽입유도 확관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69930A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218B1 (ko) | 2008-04-08 | 2008-08-29 | 주식회사 제일테크 |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및 조립방법 |
KR100879770B1 (ko) | 2008-09-29 | 2009-01-21 | 곽봉조 | 결로침입이 없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
KR20100011498U (ko) | 2009-05-18 | 2010-11-26 | 김동섭 |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 |
KR20100123984A (ko) | 2009-05-18 | 2010-11-26 | 김동섭 |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
-
2017
- 2017-12-12 KR KR1020170170299A patent/KR201900699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218B1 (ko) | 2008-04-08 | 2008-08-29 | 주식회사 제일테크 |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및 조립방법 |
KR100879770B1 (ko) | 2008-09-29 | 2009-01-21 | 곽봉조 | 결로침입이 없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
KR20100011498U (ko) | 2009-05-18 | 2010-11-26 | 김동섭 |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 |
KR20100123984A (ko) | 2009-05-18 | 2010-11-26 | 김동섭 |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703083A (en) | Reactor | |
KR102301203B1 (ko) | 배관 반가공 자동화장치 및 배관 제조방법 | |
AU2015371598A1 (en) | Method for realizing internal walls of catalytic reactors | |
KR100879770B1 (ko) | 결로침입이 없는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 |
NO159744B (no) | Prefabrikert dobbeltvegget skorsteinsseksjon. | |
KR101994965B1 (ko) | 걸림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및 그 설치방법 | |
US1123694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furnace sealing | |
KR20180049688A (ko) | 이중연도 | |
KR20190069930A (ko) | 삽입유도 확관부 및 돌출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 |
KR100942183B1 (ko) | 연도용 덕트 조립체 | |
KR101087220B1 (ko) | 배기가스 배출 연도용 연도 조립체 | |
KR101734783B1 (ko) |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 |
KR20090073821A (ko) | 연도용 덕트 조립체 | |
KR20100011498U (ko) |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 | |
JPS61173018A (ja) | マントル付放射伝熱管用煙管 | |
KR101829035B1 (ko) |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누출방지구조 | |
KR100855218B1 (ko) |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조립체 및 조립방법 | |
KR20210115830A (ko) | 연도 파이프 조립체 | |
KR200473890Y1 (ko) | 이중 배기연도 | |
KR101261441B1 (ko) | 메탈 벨로우즈 | |
KR100914753B1 (ko) | 연도용 덕트 조립체 | |
KR101870738B1 (ko) |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 |
KR102449830B1 (ko) | 고온에 적합한 연도 연결구조 | |
KR20230043338A (ko) | 결로누수방지를 할수있는 연도연결구조 | |
CN210004010U (zh) | 一种管道膨胀节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