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0738B1 -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 Google Patents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0738B1
KR101870738B1 KR1020170181057A KR20170181057A KR101870738B1 KR 101870738 B1 KR101870738 B1 KR 101870738B1 KR 1020170181057 A KR1020170181057 A KR 1020170181057A KR 20170181057 A KR20170181057 A KR 20170181057A KR 101870738 B1 KR101870738 B1 KR 101870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and
beading
pipe
inn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한국스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스택(주) filed Critical 한국스택(주)
Priority to KR1020170181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23J13/025Linings; Jackets; Casings composed of concentric elements, e.g. double wal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3/00Chimneys or flues
    • F23J2213/20Joints; Connections
    • F23J2213/204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하부 양단에 제 1 비딩이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외부로 삽입된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과 내부관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간격 유지대가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비딩을 밀착하는 방식으로 내부관을 연결한 다음 제 1 비딩을 브이밴드로 감싸 체결할 때 내부관에 부착되는 간격 유지대의 일측 단부가 브이밴드에 삽입되지않고 외부에 인접되게 또는 내부관에 형성된 제 2 비딩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브이밴드 체결시 브이밴드와 내주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기밀성을 유지하여 누수 및 누기를 방지하는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The double pipe chimney}
본 발명은 이중관 연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하부 양단에 제 1 비딩이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외부로 삽입된 외부관과 상기 외부관과 내부관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간격 유지대가 부착된 상태에서 제 1 비딩을 밀착하는 방식으로 내부관을 연결한 다음 제 1 비딩을 브이밴드로 감싸 체결할 때 내부관에 부착되는 간격 유지대의 일측 단부가 브이밴드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인접되게 또는 내부관에 형성된 제 2 비딩에 인접되게 형성되어 브이밴드 체결시 브이밴드와 내주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지않고 기밀성을 유지하여 누수 및 누기를 방지하는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 소각장, 지역난방 발전소 굴뚝, 공장, 주거시설, 업무시설 등에서는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석탄, 석유, 가스 등의 연료를 사용하여 연소시키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굴뚝을 통해 배출하기 위해 굴뚝까지 안내하는 연결라인을 연도라 한다.
따라서 통상 연도는 소형의 열기기에서부터 대형의 열기기에 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열기기가 설치되는 장소와 주변여건에 따라 설치되는 연도의 높이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원하는 높이로의 연도 제작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제공되고 있는 연도의 대부분은 일정한 높이의 규격으로 규격화되어 제작된 것을 현장에서 상·하로 적층한 후 연결 작업을 통하여 원하는 높이로 설치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도는 통상 고온의 연기로 인한 연도 표면으로 열 차단을 위한 단열층 형성을 위하여 내부관과 외부관으로 이루어지는 이중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중관 연도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 양단에 비딩이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의 외부로 외부관이 삽입된다.
상기 비딩은 내부관을 조립할 때 밀착이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 밀착된 부부분을 브이밴드로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또한, 내·외부관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L" 형상으로 형성된 간격 유지대가 배열된 내·외부관에 각각 고정하되, 내부관에 밀착되는 간격 유지대의 일측 단부는 비딩에 연접되게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간격 유지대의 일측 단부를 비딩에 연접되게 부착하는 이유는 간격 유지대의 부착하는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간격 유지대의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밀착한 다음 지지한 상태에서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중관 연도를 일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부에 위치하는 내부관의 하부와, 상기 내부관의 하부에 위치한 내부관의 상부 비딩을 밀착한 다음 이를 고정하기 위해 브이밴드로 감싸 체결할 때 내부관에 위치한 간격 유지대의 일측 단부를 브이밴드로 감싸는 방식으로 조임 체결한다.
상기 이중관 연도를 상·하층으로의 연도 연결작업시 상·하층으로 연결된 내부관의 상·하단에 형성된 비딩이 밀착되도록 브이밴드로 체결하여 연결 조립하고, 외부관의 상·하단에 형성된 조립홈에 아웃밴드의 상·하단을 삽입시켜 체결토록 하는 직립 연결방식으로 조립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브이밴드로 조임 체결하면 브이밴드의 내주면으로 간격 유지대의 일측 단부가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간격 유지대의 두께만큼 브이밴드와 내주면 사이에 틈새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중관 연도의 내부관에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고, 상기 결로현상으로 발생하는 수분 및 가스가 틈새로 누기 및 누수되어 기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10-2011-0035389 호 "이중관 연도의 체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 이중관 연도는 내주관과 외주관 사이에 부착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의 유지대의 일측 단부가 브이밴드의 내주면으로 삽입되지 않고 부착된 상태에서 브이밴드를 내주관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체결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은 외부관에 내부관이 삽입된 이중관 연도에 있어서,
상·하부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비딩과, 상기 제 1 비딩의 내측으로 간격을 형성한 다음 제 2 비딩이 각각 형성된 내부관과,
상기 내부관과 외부로 삽입된 외부관과,
상기 내·외부관 사이에 위치하여 좌우 양단이 부착 고정되면 내부관의 외주면에 위치한 일측 단부는 제 2 비딩에 인접되게 위치하여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대와,
상기 이중관 연도를 조립하기 위해 내부관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비딩에는 상부에 위치한 내부관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비딩을 밀착한 다음 밀착된 제 1, 2 비딩을 브이밴드로 감싸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내부관의 외주면과 브이밴드와 내주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중관 연도는 내주관과 외주관사이에 간격 유지대를 삽입한 다음 일측 단부가 제 2 비딩에 인접되게 고정한 상태에서 제 1 비딩에 브이밴드를 체결하면 내주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밀착하여 기밀성이 향상되어 누수 및 누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이중관 연도는 누수 및 누수를 방지하여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중관 연도는 업무시설, 주거시설, 근린생활시설, 발전설비를 포함한 각종 플랜트 등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내부관(2)과 상기 내부관(2)의 외주면으로 삽입된 외부관(3)과, 상기 내·외부관(2, 3)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간격 유지대(6)가 배열되어 고정된다.
상기 내부관은 상·하부 양단에 제 1 비딩(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비딩(4)의 내측으로 간격을 형성한 다음 제 2 비딩(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1 비딩(4)은 다수개의 내부관(2)을 일렬로 용이하게 밀착한 다음 브이밴드(8)로 견고하게 체결하기 위한 것이고, 제 2 비딩(5)은 내·외부관(2, 3) 사이에 간격 유지대(6)를 위치한 상태에서 간격 유지대(6)의 일측 단부를 지지하여 용접에 의해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간격 유지대(6)를 일정한 높이로배열하여 설치하기 위함이다.
또한, 내부관(2)의 외부로 삽입된 외부관(3)다음 간격 유지대(6)에 의해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외부관(3)에 용접하여 고정한다.
따라서 간격 유지대는 "∩"자 형상으로 내·외부관(2, 3) 사이에 위치하여 좌우 양단이 부착 고정되면 내부관(2)의 외주면에 위치한 일측 단부는 제 2 비딩(5)에 인접되게 위치하여 내·외부관의 간격한 유지한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관(3)이 결합된 내부관(3)을 조립하기 위해 내부관(2)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비딩(4)에는 상부에 위치한 내부관(2)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비딩(4)을 밀착한 다음 밀착된 제 1 비딩(4)을 포함한 주변을 실란트에 의해 실링처리한 다음 브이밴드(8)로 감싸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내부관(2)의 외주면과 브이밴드(8)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내부관(2)의 상·하부에 형성된 제 2 비딩에는 간격 유지대(6)의 일측 단부가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고, 이를 지지하기 때문에 브이밴드 체결시 내부관의 외주면과 제 1 비딩에 간격이 없이 밀착되어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중관 연도의 다른 실시예로 내부관(2)에는 제 2 비딩(5)을 생략하고, 제 1 비딩(4)에 브이밴드(8) 체결시 브이밴드(8)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위치하도록 간격 유지대(6)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여도 브이밴드(8)를 긴밀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이중관 연도를 도시해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로로서, 외부관(3)이 결합된 내부관(2)을 일렬로 위치한 상태에서 내부관(2)의 상부에 위치한 제 1 비딩(4)에는 상부에 위치하는 내부관(2)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비딩(4)을 밀착한 다음 실란트(7)로 실링 처리한 다음 밀착된 제 1 비딩(4)을 감싸도록 브이밴드(8)로 조임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브이밴드(8)로 조임 체결하면 제 2 비딩(5)에는 간격 유지대(6)의 일측 단부가 위치하고, 제 1 비딩(4)에는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브이밴드(8)로 조임 체결시 간격 유지대(6)의 일측 단부가 포개지지않아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 다음 일렬로 밀착되는 외부관(3)의 양단을 아웃밴드(9)로 조임 체결함으로써 누수 및 누기를 방지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이다.
1: 이중관 연도 2: 내부관
3: 외부관 4: 제 1 비딩
5: 제 2 비딩 6: 간격 유지대
7: 실란트 8: 브이밴드
9: 아웃밴드

Claims (3)

  1. 내부관(2)과 상기 내부관(2)의 외주면으로 삽입된 외부관(3)과, 상기 내·외부관(2, 3) 사이에는 간격을 유지하도록 간격 유지대(6)가 배열되어 고정된 이중관 연도(1)에 있어서,
    상ㆍ하부 양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비딩(4)과, 상기 제 1 비딩(4)의 내측으로 간격을 형성한 다음 제 2 비딩(5)이 각각 형성된 내부관(2); 과
    상기 내부관(2)의 외부로 삽입된 외부관(3); 과
    상기 내·외부관(2, 3) 사이에 위치하여 좌우 양단이 부착 고정되면 내부관(2)의 외주면에 위치한 일측 단부는 제 2 비딩(5)에 인접되게 위치하여 내·외부관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 유지대(6); 와
    상기 외부관(3)이 결합된 내부관(2)을 조립하기 위해 내부관(2)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비딩(4)에는 상부에 위치한 내부관(2)의 하부에 위치한 제 1 비딩(4)을 밀착한 다음 밀착된 제 1 비딩(4)을 브이밴드(8)로 감싸 체결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여 내부관(2)의 외주면과 브이밴드(8)의 내주면 사이에 간격이 발생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2. 삭제
  3. 삭제
KR1020170181057A 2017-12-27 2017-12-27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KR101870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057A KR101870738B1 (ko) 2017-12-27 2017-12-27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057A KR101870738B1 (ko) 2017-12-27 2017-12-27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738B1 true KR101870738B1 (ko) 2018-08-02

Family

ID=63251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057A KR101870738B1 (ko) 2017-12-27 2017-12-27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7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776U (ja) * 1992-10-13 1994-05-13 保雄 梶原 ダクト接続装置
KR200301817Y1 (ko) * 2002-07-19 2003-01-29 장을종 내열 내산성 에어 단열 2중관 조립식연도
KR200437228Y1 (ko) * 2006-11-20 2007-11-16 중산건설 주식회사 신축 이음 이중관 연도의 배기가스 누출방지구조
KR20090129601A (ko) * 2008-06-13 2009-12-17 현광환 원형관 연결구조
KR20110035389A (ko) 2009-09-30 2011-04-06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776U (ja) * 1992-10-13 1994-05-13 保雄 梶原 ダクト接続装置
KR200301817Y1 (ko) * 2002-07-19 2003-01-29 장을종 내열 내산성 에어 단열 2중관 조립식연도
KR200437228Y1 (ko) * 2006-11-20 2007-11-16 중산건설 주식회사 신축 이음 이중관 연도의 배기가스 누출방지구조
KR20090129601A (ko) * 2008-06-13 2009-12-17 현광환 원형관 연결구조
KR20110035389A (ko) 2009-09-30 2011-04-06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지폐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9038B1 (en) Multiple walled chimney
JP2011021601A (ja) タービンエンジン用のシール及びタービンエンジンを組立てる方法
KR101648312B1 (ko) 단열 연도 조립체
US4462618A (en) Prefabricated double-walled metal chimney
US11255541B2 (en) Joint seal system and method
KR20180049688A (ko) 이중연도
KR101870738B1 (ko) 더블 비딩 기밀형 이중관 연도
KR101939190B1 (ko) 연도용 에어덕트 조립체
KR20100005323U (ko) 보일러용 연통과 연도의 고정장치
KR101734783B1 (ko) 일체형 에어타이트 소켓 이중배기연도
KR20090129601A (ko) 원형관 연결구조
KR101563579B1 (ko) 보일러의 이중 연도
KR101870736B1 (ko) 보온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관 연도 제조방법
FR2756606A1 (fr) Conduit metallique modulaire a emboitement, notamment pour l'evacuation des fumees
KR100942183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US4666189A (en) Prefabricated multi-wall chimney
KR101994965B1 (ko) 걸림부를 구비한 연도 파이프 및 그 설치방법
GB2516315A (en) A duct
KR20100011498U (ko) 연도 조립체의 내통 연결구조
KR20230089933A (ko) 배관 조립체
KR20110011805U (ko) 보일러용 연도와 연통의 고정장치
JP2993423B2 (ja) 熱機器
KR101829035B1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의 누출방지구조
KR100942657B1 (ko) 폐열회수보일러의 기구적 슬리브 타입 신축이음장치
KR101048134B1 (ko) 배기 매니폴드의 벨로우즈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