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879B1 -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879B1
KR101480879B1 KR1020140097578A KR20140097578A KR101480879B1 KR 101480879 B1 KR101480879 B1 KR 101480879B1 KR 1020140097578 A KR1020140097578 A KR 1020140097578A KR 20140097578 A KR20140097578 A KR 20140097578A KR 101480879 B1 KR101480879 B1 KR 10148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duct
spiral
duct body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규
Original Assignee
김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규 filed Critical 김현규
Priority to KR1020140097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27Ducting arrangements using parts of the building, e.g. air ducts inside the floor, walls or ceiling of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덕트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덕트본체의 하부에 조정 소켓을 구비하여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조정 소켓이 슬라브에 설치된 슬리브와 완전히 밀착되면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내화구조 없이도 화재발생시 연기나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 슬라브(S)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덕트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화장실이나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덕트 조립구조에 있어서, 원통형의 덕트본체(20)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나선돌기(24)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본체(20)가 끼워지는 원통형의 슬리브(10)에는, 상기 덕트본체(20)의 나선돌기(24)의 나선방향 및 크기에 대응하는 나선홈(12)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20)의 나선돌기(24)가 상기 슬리브(10)의 나선홈(12)을 따라 회전하면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Air Duct Assembling Structure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의 에어덕트(Air Duct)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화장실이나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환기하는데 사용되는 에어덕트에 있어서, 각 층의 슬라브(Slab)에 매설된 원통형 슬리브(Sleeve)에 덕트본체가 밀착되면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내화시공을 하지 않고서도 화재시 연기 및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조정 소켓에 의해 건물 층간에서 슬리브에 삽입되는 에어덕트의 설치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에어덕트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 업무용 빌딩 등과 같은 각종 건물의 내부에는,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악취,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냄새 및 연소가스 등을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에어덕트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에어덕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에어덕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층 슬라브(Slab)에 매설되는 원통형의 슬리브(Sleeve)(100)와, 상기 슬리브(100)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덕트본체(101)와, 상기 슬리브(100)와 덕트본체(101) 사이에 충전되는 충전재(102)와, 상기 충전재(102)의 상단을 마감하는 고정부재(10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덕트본체(101)는 통상 스파이럴 덕트 머시인(Spiral Duct Machine)에 의해 제조된다.
상기 스파이럴 덕트 머시인은, 일정 폭을 갖는 코일 상의 시트부재가 공급되면 시트부재의 양단을 자동적으로 씨임(Seam) 결합한다. 이에 따라 덕트본체(101)의 외주에는 나선돌기(107)가 자동적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덕트본체(101)는, 통상 PVC 재질 또는 알루미늄과 아연합금 도금강판(이를 통상 '갈바륨'이라 한다)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PVC 재질로 제조된 덕트는, 가격은 저렴하지만 화재에 취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갈바륨(Galvalume)은 알루미늄과 아연합금 도금강판으로서,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고 가공이 용이하여 덕트 제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물 각층의 덕트본체(101)의 상부에는, 화장실 및 주방 등과 연결되는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104)가 조립된다.
건물의 옥상에는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주방에서 발생하는 음식냄새 및 연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05)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악취 및 연기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팬(10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화장실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냄새 및 연기를 환기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에어덕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슬라브와 덕트본체 사이의 공간에 충전재를 충전하여야 한다.
즉, 종래의 에어덕트는, 덕트본체(101) 자체가 건물의 슬라브(S)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슬리브(100)와 덕트본체(101)의 외경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덕트본체(101)를 슬라브(S)에 관통시켜 설치하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덕트본체(101)의 설치 후, 상기 공간에 실리콘 등의 충전재(102)를 충전하는 작업이 필요하여 시공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둘째, 슬리브의 상단에 별도의 고정부재(103)를 설치하여야 한다.
셋째, 가연성 물질인 실리콘을 사용하므로 화재에 취약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에어덕트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에어덕트는, 건물의 슬라브(S)에 매설되는 슬리브(100)에 받침턱(120) 및 합성턱(130)을 형성하고, 상기 슬라브(S)에 덕트본체(101)의 하단과 상단을 각각 끼워서 결합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슬리브(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관(110)의 상부에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받침턱(120)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합성턱(130)을 형성한다.
상기한 받침턱(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101)의 조립시 덕트본체(101)의 하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덕트본체(101)가 조립된 후에는, 실리콘(140)으로 슬리브(100)와 덕트본체(101)의 틈새를 밀폐한다.
상기한 종래의 구조에 의하면, 덕트본체(101)가 건물의 각 층마다 각각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덕트본체(101) 자체가 슬라브(S)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구조에 비해 설치작업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또한 슬리브(100)와 덕트본체(101)가 밀착되는 구조이므로, 종래와 같이 슬리브(100)와 덕트본체(101) 사이의 공간에 충전재를 충전하지 않아도 된다.
즉, 슬리브(100)와 조립되는 덕트본체(101)의 단부에만 실리콘(140)으로 마감하면 되므로 시공이 간편해진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에어덕트 조립구조는, 슬리브(100)와 덕트본체(101)가 완전히 밀착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에어덕트의 가동시 악취나 냄새가 누설되고, 화재 발생시 연기와 화염을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에어덕트 조립구조는, 덕트본체(101)의 하단이 슬리브(100)의 받침턱(120)에 지지되는 구조이므로(만일 받침턱이 없으면 덕트본체가 슬리브의 내부를 관통하여 밑으로 빠지게 된다), 건물 층간에서 덕트본체(101)의 설치시 슬리브(100)로의 삽입깊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한 종래의 에어덕트 조립구조에 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101)의 하단이 슬리브(1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ℓ)가 항상 일정하므로, 덕트본체(101)의 조립시 슬리브(100) 내부로 삽입되는 덕트본체(10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국내 등록특허 제10-1347079호(2014. 1. 6. 공고) 특허문헌 2 :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6439호(2008. 12. 23. 공개) 특허문헌 3 :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23368호(2006. 8. 7.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덕트본체가 슬리브에 밀착되면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덕트본체가 슬리브에 밀착되면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악취 및 냄새의 누설을 방지하고, 화재 발생시 연기나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덕트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조정 소켓에 의해, 덕트본체를 슬리브에 끼우면서 조립할 때, 슬리브에 삽입되는 덕트본체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리브에 삽입되는 덕트본체를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층 슬라브 사이에서 덕트본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덕트본체가 슬리브에 밀착되어 조립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내화구조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각 층 슬라브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슬리브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덕트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화장실이나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덕트 조립구조에 있어서, 원통형의 덕트본체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나선돌기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본체가 끼워지는 원통형의 슬리브에는, 상기 덕트본체의 나선돌기의 나선방향 및 크기에 대응하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의 나선돌기가 상기 슬리브의 나선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본체의 하단과 슬리브 사이에 나선돌기가 형성된 조정소켓이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정소켓에 형성된 나선돌기가 상기 슬리브의 나선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끼움 결합되고, 상기 조정소켓과 덕트본체의 하단은 연결밴드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본체에 형성되는 나선돌기는, 그 단면이 채널형상으로서 외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에 형성되는 나선홈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서 각각 출발하여 두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에 형성되는 나선홈은, 슬리브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부의 상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 층의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덕트본체는,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로 분리 제작되고, 상기 하부덕트에 형성된 나선돌기가 슬리브의 나선홈에 직접 끼움 결합되고, 상기 상부덕트와 하부덕트는 연결밴드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덕트본체의 하부와 결합된 슬리브의 상단외주부 및 덕트본체의 상부와 결합된 슬리브의 하단외주부 틈새는, 각각 내화제로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 소켓이 슬리브에 밀착되면서 조립되므로, 악취 및 냄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별도의 내화구조 없이도 화재 발생시 연기나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덕트본체의 하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조정 소켓에 의해, 덕트본체를 슬리브에 끼우면서 조립할 때 슬리브에 삽입되는 덕트본체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각 층의 슬라브 사이에서 덕트본체를 설치할 때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덕트본체가 슬리브에 밀착되어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고가의 내화구조 없이도 화재시 연기나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에어덕트의 조립구조의 일례를 도시한 설치단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종래의 에어덕트의 다른 예로서 슬리브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슬리브를 사용하여 에어덕트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덕트를 도시한 분해 조립도.
도 6은 도 5에서 덕트본체의 나선돌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A-A"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덕트의 설치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덕트본체의 나선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에어덕트의 설치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덕트 조립구조의 제1 실시예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 층 슬라브(Slab)(S)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슬리브(Sleeve)(10)와, 상기 슬리브(10)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덕트본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덕트본체(20)의 상부 일측에는 화장실이나 주방 등과 연결되는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104)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의 화장실이나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 음식냄새 및 연기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한 에어덕트의 일반적인 사항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본 발명의 특징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20)의 하부에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정 소켓(Socket)(19)이 더 구비된다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조정 소켓(19)이 끼워지는 원통형의 슬리브(10) 내부에는, 상기 덕트본체(20)의 나선돌기(24)의 나선방향 및 크기에 대응하는 나선홈(12)이 형성된다는데 특징이 있다.
상기한 조정 소켓(19)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되며 그 상부에는 플랜지부(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정 소켓(19)과 결합되는 덕트본체(20)의 하단부에는, 상기 조정소켓(19)의 플랜지부(16)와 동일한 형상의 플랜지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밴드(18)로 상기 덕트본체(19)의 하단부와 조정 소켓(19)을 기밀성 있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조정 소켓(19)의 나선돌기(24)가 상기 슬리브(10)의 나선홈(12)을 따라 회전하면서 끼움 결합된다.
즉, 조정 소켓(19)의 외주에 형성된 나선돌기(24)가 슬리브(10)의 나선홈(12)에 밀착되면서 조립되므로 기밀성이 향상된다.
종래의 에어덕트 조립구조는, 슬리브와 덕트본체 사이의 공간에 충전재를 충전하거나(도 1 및 도 2 참조), 슬리브에 덕트본체를 단순히 끼움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다(도 3 및 도 4 참조).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 소켓(19)의 나선돌기(24)와 슬리브(10)의 나선홈(12)을 타고 나선상으로 밀착되면서 결합되므로, 조정 소켓(19)과 슬리브(10) 가 기밀성 있게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악취 및 냄새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발생시 연기나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가 있다.
상기 덕트본체(20) 및 조성 소켓(19)에 형성되는 나선돌기(2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폭을 갖는 시트부재의 양단부가 씨임(Seam)결합에 의해 서로 겹쳐져서 형성된다.
상기 나선돌기(24)의 폭(w)은 약 3 ~ 5mm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나선돌기의 폭(w) 및 높이(h)는 덕트본체(20)의 직경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본체(20) 및 조정 소켓(19)에 형성되는 나선돌기(24)는, 스파이럴 덕트 머시인(Spiral Duct Machine)에 의해 자동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파이럴 덕트 머시인은, 일정 폭을 갖는 코일 상의 시트부재를 공급하면 시트부재의 양단을 자동적으로 씨임 결합한다(이를 통상 락 씨임(Lock Seam)이라 한다).
이에 따라 씨임결합된 덕트를 일정 길이로 절단하기만 하면, 나선돌기(24)가 형성된 덕트본체(20) 및 조정 소켓(19)을 제조할 수가 있다.
또한 슬리브(10) 내부에는, 상기 나선돌기(24)의 폭, 높이 및 나선각(α)(도 5 참조)에 대응되는 나선홈(12)이 형성된다.
상기 나선돌기(24) 및 나선홈(12)의 조립공차는 중간 끼워맞춤 정도의 조립공차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선돌기(24)와 나선홈(12)의 결합이 억지 끼워맞춤 방식이 되면 밀착성은 매우 우수하지만 조립에 어려움이 있고, 헐거운 끼워맞춤 방식이 되면 조립은 양호하나 밀착성을 확보할 수가 없다.
상기 슬리브(10)의 상부에는, 강도를 향상시켜 슬리브(10)의 진원도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슬라브(S)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하기 위한 플랜지부(16)가 형성된다.
또한 슬리브(10)의 중간 부위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14)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10)에 형성되는 나선홈(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서 각각 출발하여 두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나선돌기(24)를 나선홈(12)에 조립할 때 조립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10)에 형성되는 나선홈(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0)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부(14)의 상부, 즉 슬리브 상부(17)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리브 상부(17)에만 나선홈(12)을 형성하여, 덕트본체(20)의 하단은 나선결합에 의해 조립되도록 하고, 덕트본체(20)의 상단은 나선결합이 아닌 단순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덕트본체(20)의 하부와 결합된 슬리브(10)의 상단외주부 및 덕트본체(20)의 상부와 결합된 슬리브(10)의 하단외주부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내화제(26)로 마감처리된다.
이에 따라 고가 내화제의 사용을 줄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에어덕트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조정 소켓(19)을 하층 슬리브(10)의 슬리브 상부(17)에 조립한다.
이때 조정 소켓(19)에 형성된 나선돌기(24)를 슬리브 상부(17)의 나선홈(12)에 맞추어 회전시키면서 결합한다.
이어서 일체형 덕트본체(20)의 상부를 상층의 슬리브 하부(15)에 일정 깊이 끼워 넣는다.
상기 슬리브 하부(15)에는 나선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덕트본체(20)의 상부를 끼워 넣기만 하면 된다.
이어서 조정 소켓(19)의 삽입깊이와 덕트본체(20)의 설치 길이를 서로 조정하면서, 덕트본체(20)의 하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부(16)를 조정 소켓(19)의 상단부에 구비된 플랜지부(16)에 안착시킨다.
마지막으로 연결밴드(18)를 사용하여 덕트본체(20)와 조정 소켓(19)을 결합하면 덕트의 설치가 완료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본체(20)의 상부에 형성된 나선돌기(24)로 인하여, 덕트본체(20)의 상부와 슬리브 하부(15) 간에 약간의 틈새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환기팬의 작동에 의해 덕트 내부의 공기는 항상 상방향으로 유동하기 때문에, 덕트본체(20)의 상부와 슬리브 하부(15) 간의 틈새(도 7의 "A")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즉, 연기가 상기 틈새를 타고 하부로 다시 내려오지는 않는다.
공기 및 연기의 누설이 문제가 되는 부분은 도 7의 "B" 부분이며, 이러한 이유로 슬리브 상부(17) 부분에만 나선홈(12)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덕트본체(20)의 상부는, 나선홈이 형성되지 않은 슬리브 하부(15)에 단순 끼워맞춤 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덕트본체(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조정 소켓(19)의 나선돌기(24)는 하층의 슬리브 상부(17)에 나선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덕트본체와 슬리브가 단순 끼움결합에 의해서만 조립되고, 그 틈새를 실리콘(140)으로 밀폐하는 구조이므로, 내화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조정 소켓(19)에 형성된 나선돌기(24)와 슬리브 상부(17)의 나선홈(12)이 견고하게 나사결합되고, 내화제(26)로 틈새를 마감처리 하므로, 화재 발생시 연기나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리브(10)의 상단외주부 및 하단 외주부에만 내화제를 시공하면 되므로, 고가 내화제의 사용을 줄여 시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 소켓(19)이 슬리브(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ℓ)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덕트본체(20)의 조립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도 4에 도시된 종래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덕트본체(101)가 슬리브((100)에 삽입되는 길이(ℓ)가 항상 일정하여 조립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덕트본체(20) 및 조정 소켓(19)에 형성되는 나선돌기(24)를 씨임결합이 아닌 채널(Channel)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채널 형상의 단면은, 원통형 직관으로 형성된 덕트본체(20)를 회전시켜 가면서 덕트본체(20)를 나선상으로 확관하여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채널형상의 나선돌기(24)와 슬리브의 나선홈(12)을 더욱 밀착시켜 조립할 수가 있다.
그 이외의 사항은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는, 각 층에 설치되는 덕트본체(20)를 상부덕트(22a)와 하부덕트(22b)로 분리하여 제작한 후, 연결밴드(18)에 의해 서로 결합시킨 것이다.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조정 소켓(19)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즉, 하부덕트(22b)의 하부에 형성된 나선돌기(24)를 하층에 설치된 슬리브 상부(17)의 나선홈(12)에 직접 나선 결합하고, 상부덕트(22a)의 상부는 상층의 슬리브 하부(15)에 끼움 결합하면 된다.
상기 상부덕트(22a)와 하부덕트(22b)는 연결밴드(18)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덕트본체(20)의 하부와 결합된 슬리브(10)의 상단외주부 및 덕트본체(20)의 상부와 결합된 슬리브(10)의 하단외주부의 틈새는, 내화제(26)로 마감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고가의 내화제를 소량만 사용하면서도 화재발생시 연기와 화염이 상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슬리브(Sleeve) 12: 나선홈
14: 돌출부 15: 슬리브 하부
16: 플랜지(Flange)부 17: 슬리브 상부
18: 연결밴드 19: 조정 소켓(Socket)
20: 덕트(Duct)본체 22a: 상부덕트 22b: 하부덕트 24: 나선돌기 26: 내화제
100: 슬리브 101: 덕트본체
102: 충전재 103: 고정부재
104: 플렉시블 덕트(Flexible Duct) 105: 배출부 106: 환기팬 107: 나선돌기
108: 연결밴드 110: 중공관
120: 받침턱 130: 합성턱
140: 실리콘(Silicon) S: 슬라브(Slab)

Claims (7)

  1. 건물의 각 층 슬라브(Slab)(S)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슬리브(Sleeve)와, 상기 슬리브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의 덕트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물의 화장실이나 주방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 및 연기를 건물의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덕트(Air Duct) 조립구조에 있어서,
    원통형의 덕트본체(20)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는 나선돌기(24)가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덕트본체(20)가 끼워지는 원통형의 슬리브(10)에는, 상기 덕트본체(20)의 나선돌기(24)의 나선방향 및 크기에 대응하는 나선홈(12)이 형성되어,
    상기 덕트본체(20)의 나선돌기(24)가 상기 슬리브(10)의 나선홈(12)을 따라 회전하면서 끼움 결합되고,
    상기 덕트본체(20)의 하단과 슬리브(10) 사이에 나선돌기(24)가 형성된 조정소켓(19)이 더 구비되어,
    상기 조정소켓(19)에 형성된 나선돌기(24)가 상기 슬리브(10)의 나선홈(12)을 따라 회전하면서 끼움 결합되고,
    상기 조정소켓(19)과 덕트본체(20)의 하단은 연결밴드(18)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본체(20)에 형성되는 나선돌기(24)는, 그 단면이 채널형상으로서 외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에 형성되는 나선홈(12)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에서 각각 출발하여 두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0)에 형성되는 나선홈(12)은, 슬리브(10)의 중간에 형성된 돌출부(14) 상부인 슬리브 상부(17)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층의 슬라브(S)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덕트본체(20)는, 상부덕트(22a)와 하부덕트(22b)로 분리 제작되고,
    상기 하부덕트(22b)에 형성된 나선돌기(24)가 슬리브(10)의 나선홈(12)에 직접 끼움 결합되고,
    상기 상부덕트(22a)와 하부덕트(22b)는 연결밴드(18)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7.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덕트본체(20)의 하부와 결합된 슬리브(10)의 상단외주부 및 덕트본체(20)의 상부와 결합된 슬리브(10)의 하단외주부의 틈새는, 각각 내화제(26)로 마감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KR1020140097578A 2014-07-30 2014-07-30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KR101480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78A KR101480879B1 (ko) 2014-07-30 2014-07-30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7578A KR101480879B1 (ko) 2014-07-30 2014-07-30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0879B1 true KR101480879B1 (ko) 2015-01-13

Family

ID=5258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7578A KR101480879B1 (ko) 2014-07-30 2014-07-30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08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33104A (en) * 2022-06-24 2022-11-04 Univ Chongqing Sci & Tech Centralized exhaust system for public toilet
KR102481573B1 (ko) * 2022-06-16 2022-12-27 주식회사 성광피이엠 축열조 지수판 슬리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153B2 (ko) * 1973-07-31 1976-11-01
JPH08303000A (ja) * 1995-04-28 1996-11-19 Sanko Kogyosho:Kk 建築用スリーブ
JP2007024455A (ja) * 2005-07-21 2007-02-01 Fujimori Sangyo Kk スパイラル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140153B2 (ja) * 2007-06-22 2013-02-06 ベーレ エンフィネーリンフ ベー.フェー. 固定導管と該導管内に延伸する熱可塑性素材からなるパイプ、チューブまたはダクトとの間の環状隙間をシーリングする方法およびシーリングシステム
KR101347079B1 (ko) * 2013-09-13 2014-01-06 (주)대양기연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0153B2 (ko) * 1973-07-31 1976-11-01
JPH08303000A (ja) * 1995-04-28 1996-11-19 Sanko Kogyosho:Kk 建築用スリーブ
JP2007024455A (ja) * 2005-07-21 2007-02-01 Fujimori Sangyo Kk スパイラルダ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140153B2 (ja) * 2007-06-22 2013-02-06 ベーレ エンフィネーリンフ ベー.フェー. 固定導管と該導管内に延伸する熱可塑性素材からなるパイプ、チューブまたはダクトとの間の環状隙間をシーリングする方法およびシーリングシステム
KR101347079B1 (ko) * 2013-09-13 2014-01-06 (주)대양기연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1573B1 (ko) * 2022-06-16 2022-12-27 주식회사 성광피이엠 축열조 지수판 슬리브
NL2033104A (en) * 2022-06-24 2022-11-04 Univ Chongqing Sci & Tech Centralized exhaust system for public toil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792B1 (ko)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KR101480879B1 (ko) 건물의 에어덕트 조립구조
KR101529144B1 (ko) 건물 슬라브의 입상덕트 설치용 슬리브
JP2007056536A (ja) 排水配管構造及び排水集合管及び排水管用耐火性付属部材
JP5380133B2 (ja) 配管用耐火部材
JP5330352B2 (ja) 中空壁の気密性ダクト構造
KR101522564B1 (ko) 에어덕트의 소켓형 슬리브 직결 마감링
KR101471451B1 (ko) 건물 슬라브 설치용 덕트 연결 슬리브
JP4942964B2 (ja) 排水配管構造
KR101426894B1 (ko) 설치와 방화구획 밀폐가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JP3122546U (ja) 建屋壁体への配管構造
KR102340536B1 (ko) 건식 에어 덕트 더블 슬리브
JP2010190034A (ja) 排水配管構造
KR101666369B1 (ko) 배관용 가변형 내화고정구
CA2396765A1 (en) Sealed fitting for use with corrugated tubing
KR101602773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JP7206074B2 (ja) キャップおよび継手の遮音構造
KR101737582B1 (ko) 방화 슬리브형 환기 시스템
JP4547303B2 (ja) 耐火二層管継手
CN210034547U (zh) 双开式金属烟道止逆阀
JP2018127766A (ja) 管継手および脚部継手
KR102657859B1 (ko) 일체형 내화 소켓
KR20170115900A (ko) 에어덕트 결합용 슬리브
KR20100085575A (ko) 에어 덕트
KR102260133B1 (ko) 난방배관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