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7094A -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 Google Patents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7094A
KR20200137094A KR1020190062856A KR20190062856A KR20200137094A KR 20200137094 A KR20200137094 A KR 20200137094A KR 1020190062856 A KR1020190062856 A KR 1020190062856A KR 20190062856 A KR20190062856 A KR 20190062856A KR 20200137094 A KR20200137094 A KR 20200137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upling
pipes
gasket
st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조인트
Priority to KR102019006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7094A/ko
Publication of KR20200137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709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16L21/02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used with sleeves or nipples for pipes of the same diameter, or with reduction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하는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 개의 파이프 사이에 끼워지는 가스켓과, 이 가스켓을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감싸며 상호 체결되는 상부커플링 및 하부커플링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스켓의 내경을 크게 하여 파이프에 삽입되기 용이하며, 파이프 사이에 스토퍼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파이프의 중앙 정렬이 용이해지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파이프 커플링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파이프에 끼워넣고 체결하게 되므로 작업공정이 매우 수월하고 시간이 단축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부에는 절개홈부를 내어 파이프 내의 유체가 가스켓 내부로 충전되도록 함으로써 파이프 커플링의 밀폐성 및 내압성을 증대시킨다.

Description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PIPE COUPLING EASY INSTALLED}
본 발명은 2개의 파이프 배관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파이프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두 개의 배관이 상호 맞닿는 부분에 상부 커플링과 하부 커플링이 상호 볼트-너트방식으로 체결되어 두 개의 배관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가정에 공급되는 상수를 비롯하여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은 복수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여 형성한다. 종래의 배관 연결 방법은 파이프의 단부와 단부를 서로 접촉시킨 후 용접하여 연결하는 방법, 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플랜지를 볼트-너트로 체결하는 방법 및 커플링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반 건물, 상수도 및 냉난방 공조 배관에서는 용접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파이프 커플링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용접 공정은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특수한 경우에만 적용되며, 근래에는 대부분 커플링 방식이 이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커플링은 반원호형의 상부커플링(1)과 하부커플링(2)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환형의 가스켓(3)으로 이루어진다. 서로 연결되는 2개의 파이프(A,B)의 단부에는 각각 오목하게 그루브(g)가 형성되어 있다. 두 개의 파이프(A,B)가 맞닿는 부분에 가스켓(3)을 끼워 넣고, 상부커플링(1)과 하부커플링(2)을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덮어 씌운다. 이 때 상하부 커플링(1,2)의 길이방향 단부는 각각 파이프의 그루브(g)에 안착된다. 상하부 커플링(1,2)의 양측 플랜지부(4)에는 각각 관통공(5)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6)가 관통공(5)에 끼워진 후 너트(7)가 체결되면 파이프 커플링이 체결되면서 파이프(A,B)이 상호 연결된다. 상하부 커플링(1,2)이 상호 체결될 때 커플링은 가스켓(3)을 가압하여 파이프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게 한다.
상기한 구성의 기존의 파이프 커플링은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기존의 파이프 커플링의 설치가 어려운 점은 우선 가스켓의 크기와 관련된다. 가스켓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설치가 어려웠다. 즉 고무 등 신축 소재인 가스켓을 당겨서 늘린 상태로 일측 파이프에 끼워 넣고, 타측 파이프를 일측 파이프에 접촉시킨 후 다시 가스켓을 늘려서 파이프 연결부로 이동시킨 후, 비로소 상부커플링과 하부커플링을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웠다.
또한 가스켓을 파이프 연결부로 이동할 때, 파이프 사이의 정중앙에 가스켓을 위치시켜야 하는데 어림짐작으로 가스켓의 위치를 잡다 보니 중앙이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부커플링과 하부커플링이 그루브에 안착된 상태에서 가스켓이 커플링 안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가스켓의 위치가 중앙부를 벗어나면 커플링 내측으로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가스켓 위치를 다시 잡아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매우 간단하게 설치가능하며, 내압성 및 밀폐성이 강화된 파이프 커플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은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사이 연결부의 상측을 감싸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상부커플링과, 상기 파이프 사이 연결부의 하측을 감싸도록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플링에 결합되는 하부커플링 및 상기 파이프 사이 연결부에 끼워져 상기 파이프 사이를 밀폐시키는 환형의 가스켓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켓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플링 및 하부커플링의 내주면에 맞닿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중심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맞닿는 한 쌍의 스커트부와, 상기 밴드부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중심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파이프 사이에 끼워지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가 상기 절개홈부를 통해 상기 가스켓 내부로 유입가능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개홈부는 상기 스토퍼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파이프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파이프 사이로 끼워지지 않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사이로 끼워지며 상기 지지부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홈부는 상기 삽입부에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절개홈부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부의 원주방향 총 길이는 상기 절개홈부를 제외한 상기 스토퍼부 길이의 1/3~4/5 사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밴드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스토퍼부 방향으로 굽어져 상기 파이프에 맞닿는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은 가스켓의 내경을 작게 만들어 파이프에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스토퍼부를 형성하여 파이프가 커플링에 끼워질 때 정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게 가이드한다. 이에 따라 파이프 커플링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쉽게 파이프에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부에 절개홈부를 내어 유체가 가스켓 내부에 충전되게 함으로써 파이프커플링의 밀폐성 및 내압성이 증진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이 가조립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완전히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가스켓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가스켓의 개략적 종단면도로서, 도 6의 C-C선을 따라 가스켓을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과 대응되는 도면으로 스토퍼부의 절개홈부가 크게 형성된 경우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하우징 커플링의 내압성과 밀폐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파이프 커플링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100)은 상부커플링(10), 하부커플링(20) 및 가스켓(50)을 구비한다.
파이프 커플링(100)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2개의 파이프(91,92)에는 서로 마주보는 단부에 각각 오목한 그루브(93)가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그루브(93)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커플링(10) 및 하부커플링(2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삽입되어 안착됨으로써 파이프 커플링(100)이 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부커플링(10)과 하부커플링(20)은 대략 반원호형으로 형성되어, 파이프가 연결되는 부분, 즉 파이프 연결부의 상측과 하측을 각각 감싸게 배치된다. 상부커플링(10)과 하부커플링(20)의 양측에는 각각 플랜지부(11,21)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플랜지부(11,21)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을 통해 볼트(31)가 삽입되고 너트(32)에 체결됨으로써 상부커플링(10)과 하부커플링(20)은 상호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부커플링(10)과 하부커플링(20)의 결합에 의하여 두 개의 파이프(91,92)도 상호 연결된다. 상부커플링(10)과 하부커플링(20) 사이에 끼워진 부재(40)는 커플링의 결합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지로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이 아니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부커플링(10)과 하부커플링(20)의 사이에는 환형의 가스켓(50)이 개재된다. 가스켓(50)은 두 개의 파이프(91,92) 연결부로부터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로 기능하며, 고무와 같은 신축성 있는 소재로 이루어져, 2개의 파이프(91,92) 사이에 끼워진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여 가스켓(5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가스켓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C선을 따라 가스켓(50)을 절단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가스켓(50)은 밴드부(51), 한 쌍의 스커트부(52), 스토퍼부(53)를 구비하며, 이들은 모두 일체로 성형된다. 밴드부(51)는 상부커플링(10) 및 하부커플링(20)의 내주면과 맞닿는 부분으로서 고리형으로 형성되며, 파이프(91,92)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밴드부(51)의 길이방향 양측으로부터 스커트부(52)가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스커트부(52)의 하단은 다시 굽어져 파이프(91,92)의 외주면에 맞닿는 실링부(53)가 형성된다. 중요한 점은 파이프 커플링(100)이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는 스커트부(52)의 하단(본 실시예의 경우는 실링부(53)의 하단)이 파이프(91,92)의 외주면과 밀착되는데, 파이프 커플링(100)을 체결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스커트부(52)의 내경이 파이프(91,9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가스켓(50)이 파이프(91,92)에 손쉽게 삽입이 가능하다. 파이프 커플링(100)을 완전히 체결하게 되면 가스켓(50)이 오므라들면서 스커트부(52)의 하단이 파이프(91,92)와 밀착하게 되는 구조이다.
밴드부(51)의 중앙부, 즉 한 쌍의 스커트부(52) 사이에는 스토퍼부(56)가 하방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데, 스토퍼부(56)는 밴드부(51)와 이어지는 지지부(54)와, 지지부(54)로부터 다시 하방으로 연장되되 지지부(54)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삽입부(55)를 구비한다. 삽입부(55)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되어, 두 개의 파이프(91,92) 사이에 끼워진다. 즉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파이프(91,92)가 기존의 방식처럼 서로 완전히 맞닿아 있는 것이 아니라, 약간 이격된 상태에서 삽입부(55)가 끼워지게 된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스토퍼부(56)는 파이프의 원주방향을 따라 완전히 이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부(58)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예에서는 일정 각도 간격으로 3곳이 절개되어 절개홈부(58)가 형성된다. 또한 도 7에서는 슬릿 형태의 절개홈부(58)이지만, 도 8의 예에서와 같이 넓게 절개홈부(59)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절개홈부를 넓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스토퍼부(절개홈부 제외) 길이 대비 1/3~4/5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부는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 끼워져 들어가고 파이프의 삽입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이기 때문에 너무 짧으면 파이프에 밀려서 정위치를 잡기가 곤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파이프 커플링(100)의 체결 과정의 간편함과, 내압성 및 밀폐성이 강화되는 이유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의 파이프 커플링은 가스켓의 내경이 파이프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바, 가스켓을 벌려서 일측 파이프에 끼워 놓은 상태에서 두 개의 파이프를 맞닿게 한 후 가스켓을 다시 벌려서 파이프 연결부로 이동시켜 장착하였다. 가스켓이 장착된 후에는 상부커플링과 하부커플링을 설치하였다. 가스켓을 벌려서 끼우고, 가스켓의 위치를 파이프 연결부의 중앙에 잘 맞추는 작업이 번거로웠다.
본 발명의 체결작업은 훨씬 간단하며 수월하다.
본 발명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켓(50)과 상부커플링(10) 및 하부커플링(20)을 느슨하게 가조립해 놓는다. 즉 볼트(31), 너트(32)를 느슨하게 체결해 놓는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커플링(100)을 일측의 파이프(91)에 끼워 넣는다. 가스켓(50)이 아직 압축되기 전이므로 가스켓(50)의 내경이 파이프(91)의 외경보다 커서 수월하게 삽입이 가능하다. 또한 스토퍼부(56)의 삽입부(55)가 파이프(91)의 단부에 접촉하도록 삽입하면 되므로 위치 선정도 매우 수월하다. 그리고 타측 파이프(92)를 파이프 커플링(100) 내측으로 삽입하는데, 마찬가지로 파이프(92)의 외경이 가스켓(50)의 내경보다 작으므로 매우 쉽게 삽입되며, 파이프(92)가 스토퍼부(56)에 닿을 때까지 삽입하면 되므로 위치 선정이 수월하다. 파이프(91,92)가 삽입될 때 파이프의 단부 위치가 파이프 커플링(100)에 가려 있지만, 파이프(91,92)의 단부가 스토퍼부(56)에 접촉되는 것을 촉감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위치 선정에 어려움이 없다. 이렇게 파이프(91,92)의 삽입이 완료되면 스토퍼부(56)가 두 개의 파이프(91,92) 사이에 끼워진 형태가 되며, 볼트(31)와 너트(32)를 완전히 체결하면, 스커트부(56)가 파이프(91,92)의 외주면에 밀착하면서 설치가 완료된다. 기존에는 가스켓, 상부커플링, 하부커플링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설치해야 했고, 가스켓을 억지로 벌려서 설치했던 과정에 비하면, 본 파이프 커플링은 모든 구성부품을 사전에 가조립한 상태에서 단지 두 개의 파이프를 끼워 넣고 볼트를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 공정이 훨씬 수월할 뿐만 아니라, 작업 시간 역시 단축된다. 하나의 파이프 커플링만 설치하는 것이라면 기존의 방법과 본 방법의 차이에 따른 작업 수월성이나 작업 시간을 따지는 것이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지만, 파이프 커플링 작업은 수십개에서 수백개까지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차이는 현장에서 매우 크게 나타난다. 요즘과 같이 재료비보다는 인건비가 공사의 경제성을 좌우하는 환경에서는 공정시간의 단축은 매우 큰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의 작업수월성의 차이는 현장에서 매우 큰 차이로 부각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100)은 내압성과 밀폐성에 있어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는 절개홈부와 관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파이프 커플링을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가스켓(50)의 내경을 크게 만들고 스토퍼부(56)를 형성하였다. 만약 스토퍼부(56)에 절개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파이프(91,92) 사이에 끼워져 압착되면 파이프 사이의 밀폐성이 더 우수해질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절개홈부(58)가 형성되어 있어서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가 가스켓(50) 내부에 충전되는 것이 밀폐성에 더 유리하다.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과 같이 스토퍼부(56)에 절개홈부가 형성되면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가 절개홈부를 통해 가스켓(50) 내측으로 유입된다. 가스켓에 채워진 유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위로 압력을 가하게 되며, 파이프(91,9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있는 실링부(53)에도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게 된다. 즉, 실링부(53)가 파이프(91,92) 외주면에 더욱 밀착되도록 하방 압력을 인가하게 되므로, 실링부(53)의 밀폐성이 더욱 증가되는 결과로 나타난다. 또한 유체의 압력은 가스켓을 상부 및 하부커플링 쪽으로 밀착시킴으로써 밀폐성이 강화된다.
한편, 내압성도 강화된다. 가스켓 내부에 채워진 유체는 상부커플링(10)과 하부커플링(20)이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가압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상부커플링(10)과 하부커플링(20)을 상호 결합시키고 있는 볼트(31)와 너트(32) 역시 상호 벌어지는 방향, 다시 말하면 볼트와 너트가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렇게 되면 볼트(31)의 나사산과 너트(32)의 나사산이 더욱 강하게 가압되어, 나사산 체결이 헐거워져서 풀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흔히 볼트-너트 결합을 할 때 신축 소재의 와셔를 끼워 넣는데, 이는 와셔가 압축된 후 복원하려는 힘이 볼트와 너트의 나사산이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의 나사산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스켓에 채워진 유체가 상기한 바와 같은 와셔 역할을 수행하여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파이프 커플링(100)의 내압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파이프 커플링에서 내압성이 문제가 되는 것은 파이프 커플링의 강도 문제가 아니라,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 느슨해져서 나타나는 것인데, 본 발명에서 유체를 가스켓 내부로 유입되게 하여 볼트와 너트의 풀림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내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커플링은 가스켓의 내경을 크게 만들어 파이프에 쉽게 끼워질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스토퍼부를 형성하여 파이프가 커플링에 끼워질 때 정위치에 자리잡을 수 있게 가이드한다. 이에 따라 파이프 커플링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쉽게 파이프에 설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스토퍼부에 절개홈부를 내어 유체가 가스켓 내부에 충전되게 함으로써 파이프커플링의 밀폐성 및 내압성이 증진된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00 ... 파이프 커플링 10 ... 상부커플링 20 ... 하부커플링
31 ... 볼트 32 ... 너트 40 ... 식별지
50 ... 가스켓 51 ... 밴드부 52 ... 스커트부
53 ... 실링부 54 ... 지지부 55 ... 삽입부
56 ... 스토퍼부 58,59 ... 절개홈부

Claims (6)

  1. 인접한 두 개의 파이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사이 연결부의 상측을 감싸도록 호형으로 형성된 상부커플링과, 상기 파이프 사이 연결부의 하측을 감싸도록 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커플링에 결합되는 하부커플링 및 상기 파이프 사이 연결부에 끼워져 상기 파이프 사이를 밀폐시키는 환형의 가스켓을 구비하며,
    상기 가스켓은 호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커플링 및 하부커플링의 내주면에 맞닿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중심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에 맞닿는 한 쌍의 스커트부와, 상기 밴드부로부터 상기 파이프의 중심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두 개의 파이프 사이에 끼워지는 스토퍼부를 구비하되,
    상기 스토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가 상기 절개홈부를 통해 상기 가스켓 내부로 유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부는 상기 스토퍼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는 상기 밴드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후 다시 스토퍼부 방향으로 굽어져 상기 파이프에 맞닿는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밴드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되 상기 파이프 사이로 끼워지지 않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상기 파이프 사이로 끼워지며 상기 지지부에 비하여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삽입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개홈부는 상기 삽입부에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홈부는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부의 원주방향 총 길이는 상기 절개홈부를 제외한 상기 스토퍼부 길이의 1/3~4/5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의 스커트부의 단부를 연결한 원의 반경은 연결하고자 하는 상기 파이프의 외경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커플링.
KR1020190062856A 2019-05-29 2019-05-29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Ceased KR20200137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56A KR20200137094A (ko) 2019-05-29 2019-05-29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56A KR20200137094A (ko) 2019-05-29 2019-05-29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7094A true KR20200137094A (ko) 2020-12-09

Family

ID=7378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856A Ceased KR20200137094A (ko) 2019-05-29 2019-05-29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3709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37A1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KR20230166586A (ko) *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폴딩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KR20230166588A (ko) *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은닉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37A1 (ko) 2020-10-21 2022-04-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 전자 디바이스, 및 자동차
KR20230166586A (ko) *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폴딩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KR20230166588A (ko) * 2022-05-31 2023-12-07 주식회사 동우스페이스 은닉형 식별수단을 갖는 소방 배관용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7094A (ko) 설치가 용이한 파이프 커플링
US7073796B2 (en) Metal packing
KR101508659B1 (ko) 배관용 조인트 장치
JP6836309B2 (ja) シール
KR101948112B1 (ko) 임의의 방향과 각도로 배관 연결이 가능한 배관용 연결구
KR101973816B1 (ko) 누출 검출 o링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2162670B1 (ko) 배관용 파이프 연결장치
US9939091B2 (en) Modular pipe clamp
KR20190056870A (ko) 시공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수도관 연결장치
KR20180030958A (ko) 파이프 연결구
KR101580154B1 (ko) 탄성 클램프가 구비된 배관 보수용 커플링
JP6266988B2 (ja) 壁貫通配管のシール装置
RU2637154C2 (ru) Наклонные сопряженные поверхности в сборке клапана
US20190145556A1 (en) Packing member for sealing a pipe
US9366368B2 (en) Pipe coupling
KR20160000717A (ko) 관로의 구조물 벽체 접속부 수밀장치
KR101325712B1 (ko) 파이프 연결장치
JP2017133589A (ja) 補修用継手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US20170356584A1 (en) Grooved-End Rubber Expansion Joint with 4-Way Compression Grooved Coupling
KR100818607B1 (ko) 밸브의 설치구조
US10837584B2 (en) Restraint device
KR102752908B1 (ko) 지진에 대응이 가능한 내진밸브
JP6833328B2 (ja) ガスケットとこれを用いた配管機材のフランジ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0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006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105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4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2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010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00624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