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210B1 -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7210B1 KR101667210B1 KR1020140182990A KR20140182990A KR101667210B1 KR 101667210 B1 KR101667210 B1 KR 101667210B1 KR 1020140182990 A KR1020140182990 A KR 1020140182990A KR 20140182990 A KR20140182990 A KR 20140182990A KR 101667210 B1 KR101667210 B1 KR 1016672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pipe
- vertical exhaust
- diameter tube
- tube portion
- air du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4—Air-ducts or air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4—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fire or other external sources of extreme hea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슬랩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슬리브와 수직배기관 사이에 방화형 절연패드를 삽입하여 전도에 의한 층간 열전달을 차단하고 수직배기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수직배기관 단부의 내외측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결합됨으로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화재발생시 화재로 인한 고열이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통하여 타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일정두께와 폭을 갖으며 중앙에 통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연통되어 결합되는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이 상호간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으로 함께 결합되는 방화형 절연패드와,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와 결합되는 수직배기관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가 없는 경우, 상기 수직배기관의 단부를 삽입하면서 내,외측면에서 동시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홈부가 형성되어 수직배기관 단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를 구비하는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화재발생시 화재로 인한 고열이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통하여 타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일정두께와 폭을 갖으며 중앙에 통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호 연통되어 결합되는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이 상호간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으로 함께 결합되는 방화형 절연패드와,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와 결합되는 수직배기관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가 없는 경우, 상기 수직배기관의 단부를 삽입하면서 내,외측면에서 동시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홈부가 형성되어 수직배기관 단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를 구비하는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랩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슬리브와 수직배기관 사이에 방화형 절연패드를 삽입하여 전도에 의한 층간 열전달을 차단하고 수직배기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수직배기관 단부의 내외측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결합됨으로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축 관련법규(법 제40조, 건축법 시행령 제2조, 국토해양부 고시(제2008-154호 내화구조의 인정 및 관리기준 등)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 이상 1,049℃ 이상의 화염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제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이 인접실로 급속히 퍼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국지화 내지는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로 건축공사에서 관통부의 밀폐는 매우 중요한데, 하층의 유독가스와 화염이 상층으로 유도되는 통로로 사용되기에 충분하여 '층간 방화구획'으로 구분하고 내열 및 내화 소재의 메움재를 이용하여 틈새를 밀폐하는 작업을 별도로 하고 있는데 틈새가 워낙 넓어 메움재로 사용된 난연 실란트 또는 충진재로도 온전한 밀폐가 용이치 않고 작업자로 하여금 상당히 불편한 작업을 요구하며 별도의 고가(高價) 부자재로 인한 설비 원가 상승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 제10-1426894호와 제10-1466271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연결밀폐부재(115)를 이용하여 슬랩콘크리트(A)에 매설되는 슬리브(120)에 끼움결합시켜 수직배기관(110)과 삽입연결되거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고정밴드(125)와 관지지구(102)를 이용하여 수직배기관(110)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슬리브(120)와 수직배기관(110)을 직결시켜 사용함으로써 '층간 방화구획'을 제거하는 수직배기관 연결구조(101)를 도입한 바 있다.
그런데, 실제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연기 및 화염 뿐만 아니라 화재발생장소의 열(熱)이 건축자재를 통하여 상부로 전달시 1시간에 180℃를 넘지 않도록 관련법에서 규정하고 있는데, 최근 기술인 상기 특허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101)에서도 도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재 슬리브(20)와 금속재 수직배기관(10)이 접한 상태로 교차 연결됨으로 인하여 1시간에 180℃이하의 열전도를 만족하지 못함으로 개선이 필요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다층건물의 실제 층고(層高)는 설계기준치에 비하여 일정범위의 오차가 발생되는데 대체적으로 5㎜ 내지 20㎜ 범위 내에서 오차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오차를 고정된 길이를 갖는 수직배기관(110)으로는 수용할 수 없어 개별적으로 추가 제작된 수직배기관을 각 층마다 설치하거나 보충할 수 있는 조인트배관을 덧대어 작업해야함으로 자재 및 공정이 추가적으로 들어가게 되어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120)와 수직배기관(110) 연결시 보다 간편하면서도 밀폐가 용이하고 층고(層高) 오차에 따른 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수직배기관 연결구조가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슬랩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슬리브와 수직배기관 사이에 방화형 절연패드를 삽입하여 전도에 의한 층간 열전달을 차단하고 수직배기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수직배기관 단부의 내외측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결합됨으로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화재발생시 화재로 인한 고열이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통하여 타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일정두께와 폭을 갖으며 중앙에 통공을 갖는 링 형상(Ring-Type)으로 형성되어, 상호 연통되어 결합되는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10)이 상호간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으로 함께 결합되는 방화형 절연패드(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는, 화재 발생시 열전도율이 낮고 화염에 연소되지 않도록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수화물계 난연제, 실리콘과 실리카를 포함하는 규소계 난연제, 브롬을 포함하는 할로겐 난연제, 인산 에스테르와 적린을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는,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10)의 사이에 삽입되어 방화형 절연패드(30)의 양측면에 대응되는 수직배기관의 플랜지부(11)와 슬리브의 플랜지부(21)와 밀착되어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와 결합되는 수직배기관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11)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배기관(10)의 단부를 삽입하면서 내,외측면에서 동시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홈부(44)를 형성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원통형 내경관부(41)와 상기 내경관부(41)보다 큰 지름을 갖는 외경관부(42)가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경관부(41)의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확경되어 외경관부(42)와 연결되는 확경 플랜지부(43)를 형성하여 상기 내경관부(41)와 외경관부(42) 사이에 원통형 홈부(44)가 형성되어 수직배기관 단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는, 상기 확경 플랜지부(43)를 일단에 형성하고 일정길이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내경관부(41)와, 확경 플랜지부(43a)를 일단에 형성하고 상기 내경관부(41)보다 큰 지름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외경관부(42)로 이루어져, 상기 내경관부(41)의 원통형 단부가 외경관부(42)의 확경 플랜지부(43a)측 통공에 삽입결합됨으로, 상기 내경관부(41)와 외경관부 사이에 원통형 홈부(4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20)는 수직배기관(10)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는 슬리브(20)의 상,하부 플랜지부(43)에 결합되어 슬랩 콘크리트(A) 타설과 함께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는, 난연 실란트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수직배기관의 플랜지부(11,43)와 밀착되는 대응면의 중앙부에 0.5∼3㎜ 깊이의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으로 형성되는 실란트홈(3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는, 절단면이 'ㄷ'모양으로 슬리브 또는 수직배기관의 플랜지부(43)를 외측으로부터 감싸도록 형성되되 좌우양측에서 끼움결합이 되도록 2개의 대칭되는 반링형상(Half Ring-Type)으로 절단되며 상호 결합시 체결이 용이하도록 일측 반링형상의 절단부는 플랜지부(43)를 중심으로 상측이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 반링형상의 절단부는 플랜지부(43)를 중심으로 하측이 대등한 길이로 길게 형성되는 교차체결부(32)를 각각 대응되게 형성하여 플랜지부(43)에 끼움결합후 체결수단으로 체결시 교차체결부(32)를 직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함으로써 2개의 반링형상의 절연패드(30)를 함께 결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슬랩콘크리트를 관통하는 슬리브와 수직배기관 사이에 방화형 절연패드를 삽입하여 전도에 의한 층간 열전달을 차단하고 수직배기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수직배기관 단부의 내외측면에 동시에 밀착되어 결합됨으로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도 2 는 최근 개시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제1 예시도
도 3 은 최근 개시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제2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방화형 절연패드를 보이는 사시도
도 5,6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방화형 절연패드를 수직배기관과 슬리브 사이에 배치하는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방화형 절연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 은 도 7의 방화형 절연패드를 수직배기관과 슬리브 사이에 삽입하여 결합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결합 단면도
도 9,10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방화형 절연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11,1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부를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부를 수직배기관과 결합시 가변되는 길이를 보이는 개략도
도 14,15,16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및 수직배기관에 결합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및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2 는 최근 개시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제1 예시도
도 3 은 최근 개시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제2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방화형 절연패드를 보이는 사시도
도 5,6 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방화형 절연패드를 수직배기관과 슬리브 사이에 배치하는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7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방화형 절연패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8 은 도 7의 방화형 절연패드를 수직배기관과 슬리브 사이에 삽입하여 결합한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보이는 결합 단면도
도 9,10 는 본 발명을 적용한 방화형 절연패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
도 11,12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부를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을 적용한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부를 수직배기관과 결합시 가변되는 길이를 보이는 개략도
도 14,15,16 는 본 발명을 적용한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사시도 및 수직배기관에 결합하는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및 결합상태의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하며,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 발명은 그 구성요소로서 난연제를 포함하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된 방화용 절연패드(30)와, 상기 방화용 절연패드(30)와의 결합시 수직배기관 단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며 수직배기관의 내외주면을 모두 밀착하면서 결합되는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1) - 링형상의 방화형 절연패드
본 발명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밀폐부재(115)를 이용하여 슬랩 콘크리트(A)에 매설되는 슬리브(120)에 끼움결합되어 관통하여 수직배기관(110)과 결합하는 연결구조(101)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리브고정밴드(125)와 관지지구(102)를 이용하여 수직배기관(110)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슬리브(120)와 수직배기관(110)을 직접 결합하는 연결구조(101)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일반적인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의 구성요소가 모두 금속재(주석,아연,철)로 제작되는데, 일반적으로 수직배기관(10)과 슬리브(20)의 주재료로 사용되는 아연(Zn)의 열전도율은 44 W/MK 로서, 매우 빠른 열전도율을 갖고 있어 화재발생시 고열이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10)의 전도를 통하여 다른 곳으로 빠르게 전도된다.
본 발명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성수지 소재로 일정두께와 폭을 갖으며 중앙에 통공을 갖는 링 형상(Ring-type)으로 방화형 절연패드(30)를 제조하되,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은 합성수지 중에서도 난연성 또는 불연성 난연제를 함유하는 PVC로서 열전도율은 0.19 W/MK 이며, 이는 아연에 비하여 232:1의 현저한 열전도율 차이를 보여 화재시 발생되는 고열을 절연시켜 타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막아 추가적인 방화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5,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러한 상기 방화용 절연패드(30)는, 상기 상호 연통되어 결합되는 상호 연통되어 결합되는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10)이 상호간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으로 함께 결합된다. 화재발생시 화재로 인한 고열이 금속재 수직배기관(10)과 슬리브(20)를 통하여 빠르게 타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절연시켜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슬리브(20)와 수직배기관(10)의 사이에 삽입되어 방화형 절연패드(30)의 양측면에 대응되는 수직배기관(10) 또는 슬리브(20)의 각 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1,21)와 밀착되어 체결수단(50)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는, 10 내지 40 ㎜ 범위의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수직배기관(10)또는 슬리브(20)와 체결수단(50)을 이용하여 체결이 용이하도록 형성하되, 15 내지 20 ㎜ 범위의 두께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는, 화재 발생시 열전도율이 낮고 화염에 연소되지 않도록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수화물계 난연제, 실리콘과 실리카를 포함하는 규소계 난연제, 브롬을 포함하는 할로겐 난연제, 인산 에스테르와 적린을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된다.
(실시예2) - 실란트홈이 구비된 방화형 절연패드
실시예2에서는 도 7에서 보시된 바와 같이 방화형 절연패드(30)의 표면에 난연 실란트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수직배기관(10)의 플랜지부(11)와 밀착되는 대응면의 중앙부에 0.5∼3㎜ 깊이의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으로 형성되는 실란트홈(31)을 구비하여, 체결작업전 방화형 절연패드(30)의 실란트홈(31)에 적당량의 난연 실란트를 도포하여 수직배기관(10)과 밀착하게 되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실란트홈(31)에 유입된 난연 실란트가 이탈되지 않고 자리를 지켜 밀폐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실시예3) - 교차결합부를 구비된 반링형상의 방화형 절연패드
실시예3에서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를 링형상(Ring-type)이 아닌 2개의 대칭되는 반링형상(Half Ring-type)으로 형성하여, 좌우측에서 플랜지부(11,21)에 끼워서 링형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2개의 대칭되는 반링형상의 방화형 절연패드(30)는, 절단면이 'ㄷ'모양으로 슬리브의 플랜지부(21) 또는 수직배기관의 플랜지부(11)를 외측으로부터 감싸도록 플랜지부(11,21)의 좌우양측에서 끼움결합이 되도록 내주면 중앙에 플랜지삽입홈(33)이 형성되는 2개의 반링형상으로 절단되는 것이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2개의 대칭되는 반링형상의 방화형 절연패드(30)는, 상호 결합시 체결이 용이하도록 일측 반링형상의 절단부는 플랜지부(11,21)를 중심으로 상측이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 반링형상의 절단부는 플랜지부(11,21)를 중심으로 하측이 대등한 길이로 길게 형성되는 교차체결부(32)를 각각 대응되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하여 플랜지부(11,21)에 끼움결합후, 체결수단(50)으로 체결시 교차체결부(32)를 직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함으로써 2개의 반링형상의 절연패드(30)를 함께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4) - 플랜지부가 없는 수직배기관에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를 구비
실시예4에서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와 밀착되어 체결수단(50)으로 결합되는 플랜지부(11)가 없는 수직배기관(10)의 경우, 방화형 절연패드(30)와 결합되는 플랜지부(43)를 형성함과 동시에 단부를 삽입하면서 길이조절 및 밀폐결합이 가능한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를 밀착 결합시키는 수직배기관 연결구조(1)를 제공한다.
도 11 내지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는, 상기 수직배기관(10)의 단부를 삽입하면서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홈부(44)를 형성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원통형 내경관부(41)와 상기 내경관부(41)보다 큰 지름을 갖는 외경관부(42)가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경관부(41)의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확경되어 외경관부(42)와 연결되는 확경 플랜지부(43)를 형성하여 상기 내경관부(41)와 외경관부(42) 사이에 원통형 홈부(44)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배기관 단부를 상기 원통형 홈부(44)에 삽입시 밀폐 결합되면서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수직배기관(10)의 전체 길이조절(L1 내지 L2 범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수직배기관의 단부에 플랜지부가 없는 경우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가 수직배기관의 단부의 내,외측면을 동시에 밀폐하면서 결합되므로 온전히 밀폐결합되면서 플랜지부(43)를 형성함과 동시에 원통형 홈부(44)에 수직배기관의 단부를 삽입하는 정도에 따라 수직배기관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다층건물의 층고(層高)에 발생되는 5㎜ 내지 20㎜ 범위 내의 오차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의 원통형 홈부(44)에 수직배기관의 단부를 삽입 전 또는 후에 난연 실란트를 소량 주입하는 것으로 보다 향상된 밀폐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20)가 수직배기관(10)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어 슬리브(20)가 수직배기관(10)과 직결되는 경우,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30)는 슬리브(20)의 상,하부 플랜지부(43)에 결합되어 슬랩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매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방화형 절연패드(30)가 슬랩 콘크리트에 슬리브(20)와 함께 매설되면, 수직배기관(10) 체결시 슬랩 콘크리트를 직접 관통하는 작업 또는 1.6T 두께를 갖는 강철제 관지지구(102)를 관통하는 작업보다 합성수지제 방화형 절연패드(30)에 체결하는 작업이 매우 수월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실시예5) - 분리되는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
실시예5에서는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를 보다 제조와 조립이 용이하도록 단순한 형상의 분리결합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4 내지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를 단순하면서 분리결합이 용이한 구조로 제조하되,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43)를 형성한 일정길이를 갖는 원통형 내경관부(41)와,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43a)를 형성하고 상기 내경관부(41)보다 큰 지름을 갖는 원통형 외경관부(42)로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내경관부(41)를 원통형 외경관부(42)의 플랜지부(43a) 하측에서 삽입하여 결합함으로써 상기 내경관부(41)의 플랜지부(43)와 외경관부(42)의 플랜지부(43a)가 밀착되고 상기 내경관부(41)와 외경관부(42) 사이에 원통형 홈부(44)가 형성됨으로 실시예4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경관부(41)의 외주면과 외경관부(42)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 홈부(44)에 수직배기관(10)의 일측 단부를 삽입함으로써 내,외측에서 동시에 밀폐하면서 플랜지부(43,43a)를 형성하고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40)를 제공한다.
실시예4와 상이한 점은, 분리결합가능한 구조로 형성하여 제조가 매우 용이하고 수직배기관(10)의 단부와 결합시 내경관부(41)와 외경관부(42)를 따로 따로 결합하면서 분리작업할 수도 있으며 내경관부(41)와 외경관부(42)의 결합직전에 난연 실란트를 도포함으로써 밀폐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미설명부호 101은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102는 관지지구, 103은 V밴드, 104는 무동력 배기휀, 115는 연결밀폐부재, 120은 슬리브, 125는 슬리브고정밴드, 160은 체결수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슬랩 콘크리트 1: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10: 수직배기관 11: 수직배기관 플랜지부
20: 슬리브 21: 슬리브 플랜지부
30: 방화형 절연패드 31: 실란트홈
32: 교차체결부 33: 플랜지삽입홈
40: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 41: 원통형 내경관부
42: 원통형 외경관부 43,43a: 확경플랜지부
44: 원통형 홈부 50: 체결수단
A: 슬랩 콘크리트 1: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10: 수직배기관 11: 수직배기관 플랜지부
20: 슬리브 21: 슬리브 플랜지부
30: 방화형 절연패드 31: 실란트홈
32: 교차체결부 33: 플랜지삽입홈
40: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 41: 원통형 내경관부
42: 원통형 외경관부 43,43a: 확경플랜지부
44: 원통형 홈부 50: 체결수단
Claims (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에 있어서,
화재발생시 화재로 인한 고열이 수직배기관 연결구조를 통하여 타층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난연성 또는 불연성의 합성수지 소재로 일정두께와 폭을 갖으며 중앙에 통공을 갖는 링 형상(Ring-Type)으로 형성되어, 상호 연통되어 결합되는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이 상호간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그 사이에 삽입되어 체결수단으로 함께 결합되는 방화형 절연패드를 구비하되;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는, 화재 발생시 열전도율이 낮고 화염에 연소되지 않도록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수화물계 난연제, 실리콘과 실리카를 포함하는 규소계 난연제, 브롬을 포함하는 할로겐 난연제, 인산 에스테르와 적린을 포함하는 인계 난연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소재로 제조되고, 슬리브와 수직배기관의 사이에 삽입되어 방화형 절연패드의 양측면에 대응되는 수직배기관의 플랜지부 및 슬리브의 플랜지부와 밀착되어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며;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와 결합되는 수직배기관 일측 단부에 플랜지부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배기관의 단부를 삽입하면서 내,외측면에서 동시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는 원통형 홈부를 형성하도록 일정길이를 갖는 원통형 내경관부와 상기 내경관부보다 큰 지름을 갖는 외경관부가 동심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경관부의 일측단부는 외측으로 확경되어 외경관부와 연결되는 확경 플랜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내경관부와 외경관부 사이에 원통형 홈부가 형성되어 수직배기관 단부의 삽입정도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를 구비하되,
상기 길이가변밀폐형 플랜지는,
상기 확경 플랜지부를 일단에 형성하고 일정길이를 갖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내경관부와, 확경 플랜지부를 일단에 형성하고 상기 내경관부보다 큰 지름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외경관부로 이루어져, 상기 내경관부의 원통형 단부가 외경관부의 확경 플랜지부측 통공에 삽입결합됨으로, 상기 내경관부와 외경관부 사이에 원통형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수직배기관과 동일한 내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는 슬리브의 상,하부 플랜지부에 결합되어 슬랩 콘크리트 타설과 함께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는, 난연 실란트의 접착이 용이하도록 수직배기관의 플랜지부와 밀착되는 대응면의 중앙부에 0.5∼3㎜ 깊이의 다수의 요홈을 형성하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내측으로 형성되는 실란트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형 절연패드는, 절단면이 'ㄷ'모양으로 슬리브 또는 수직배기관의 플랜지부를 외측으로부터 감싸도록 형성되되 좌우양측에서 끼움결합이 되도록 2개의 대칭되는 반링형상(Half Ring-Type)으로 절단되며 상호 결합시 체결이 용이하도록 일측 반링형상의 절단부는 플랜지부를 중심으로 상측이 일정길이 길게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 반링형상의 절단부는 플랜지부를 중심으로 하측이 대등한 길이로 길게 형성되는 교차체결부를 각각 대응되게 형성하여 플랜지부에 끼움결합후 체결수단으로 체결시 교차체결부를 직각으로 관통하도록 체결함으로써 2개의 반링형상의 절연패드를 함께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2990A KR101667210B1 (ko) | 2014-12-18 | 2014-12-18 |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82990A KR101667210B1 (ko) | 2014-12-18 | 2014-12-18 |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4773A KR20160074773A (ko) | 2016-06-29 |
KR101667210B1 true KR101667210B1 (ko) | 2016-10-19 |
Family
ID=56365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2990A KR101667210B1 (ko) | 2014-12-18 | 2014-12-18 |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721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303689B (zh) * | 2020-09-25 | 2023-09-01 |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 排烟组件、吸油烟装置及组合烹饪设备 |
CN115012614A (zh) * | 2022-06-15 | 2022-09-06 | 中国五冶集团有限公司 | 一种竖向排风管安装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6595B1 (ko) * | 2006-12-22 | 2008-04-30 | 주식회사 영진공영 |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25537Y1 (ko) * | 1995-08-29 | 1998-10-15 | 최해권 | 건축 철골용 관통 슬리브 감착금구 |
KR101466271B1 (ko) * | 2014-05-02 | 2014-11-28 | 주식회사 제일테크 |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KR101480792B1 (ko) * | 2014-07-15 | 2015-01-09 | 주식회사 동영기계공조 | 내화 구조 및 높이 가변용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구조 |
-
2014
- 2014-12-18 KR KR1020140182990A patent/KR1016672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6595B1 (ko) * | 2006-12-22 | 2008-04-30 | 주식회사 영진공영 | 배관용 파이프 지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4773A (ko) | 2016-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54004A (en) | Fire barrier device | |
RU2651920C2 (ru) | Огнезащитная манжета | |
KR101637197B1 (ko) | 내화충진재가 삽입되는 층간 입상배관 시공구조 | |
JP6837736B2 (ja) | 貫通孔カバー、及び区画貫通孔の防火構造 | |
JP5311686B2 (ja) | 壁/天井貫通孔に対する換気ダクトの絶縁材 | |
US12085215B2 (en) | Pipe assembly insulation and vapor barrier | |
KR101667210B1 (ko) |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 |
JP2016165356A (ja) | 防火措置構造 | |
US20080006339A1 (en) | Insulating element with wound pipe shell formed as a prefabricated element for accommodating a hot pipe | |
JP2010139056A (ja) | 防災配管方法及び耐火カバー | |
JP6767092B2 (ja) | 防火区画貫通部構造 | |
JP6762146B2 (ja) | 防火措置具 | |
KR20190096568A (ko) |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 |
JP6666654B2 (ja) | 梁の耐火構造 | |
JP2018044356A (ja) |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の区画貫通部に設置されるスリーブ | |
KR101618593B1 (ko) | 패널연결재를 이용한 연소 확대 방지용 복합패널 | |
KR102132819B1 (ko) | 일체형 배기덕트 | |
JP3883913B2 (ja) | 防火区画体の貫通構造及び同貫通構造を形成する貫通筒体 | |
KR20180018248A (ko) | 플라스틱 파이프 및 전선의 철판 관통을 위한 이중 보온 슬리브 | |
JP2002084635A (ja) | ケーブル配線の貫通部の防火構造 | |
US11648427B2 (en) | Fire-protection collar | |
WO2021020614A1 (ko) |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 |
DE102004030750B4 (de) | Dämmung einer Rohrleitung in Flucht- und/oder Rettungswegen und Abschottung einer Gebäudewandung | |
JP2008256216A (ja) | 防火区画貫通部の断熱被覆金属管の施工方法及び防火区画貫通部構造 | |
JPH084952A (ja) | 建物耐火スラブの貫通部防火構造及びその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