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2819B1 - 일체형 배기덕트 - Google Patents

일체형 배기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819B1
KR102132819B1 KR1020190065943A KR20190065943A KR102132819B1 KR 102132819 B1 KR102132819 B1 KR 102132819B1 KR 1020190065943 A KR1020190065943 A KR 1020190065943A KR 20190065943 A KR20190065943 A KR 20190065943A KR 102132819 B1 KR102132819 B1 KR 102132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sleeve
circumferential surface
main sleev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범
Original Assignee
재우이엔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우이엔지(주) filed Critical 재우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90065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 슬래브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설치되어 배기관의 연결부위를 이루는 배기덕트에 관한 것으로,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건물의 상층부에서 상기 배기관이 끼워지는 메인슬리브;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의 하단에 동일체로 연장되고, 건물의 하층부에서 상기 배기관이 끼워지는 서브슬리브; 및 상기 서브슬리브의 외곽을 따라 내화충전재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내화충전재를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충전재슬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배기덕트{EXHAUSTING DUCT}
본 발명은 일체형 배기덕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연결관의 구성이 없이도 배기관을 연결시키면서 배기관의 외주면에 내화충전재를 밀착시킬 수 있는 일체형 배기덕트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딩 등의 다층 건물의 층간에는 배기덕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기덕트는 건물의 층간을 이루는 슬래브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배기덕트를 설치할 경우에는 슬래브의 관통공에 관체형의 슬리브를 설치하고, 덕트를 이루는 배기관을 상층부 및 하층부에서 각각 슬리브에 결합하면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는 층간의 슬래브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슬래브를 시공하면 슬리브가 슬래브의 상하측으로 노출되어 슬래브에 상하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슬리브에는 배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관이 결합되어 배기관의 연결부위를 이루며, 배기관이 연결관에 연결된 상태로 별도의 고정밴드에 의해 마감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기덕트는 배기관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관의 구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성품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과정 또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배기관과 슬리브의 슬리브의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기 때문에, 아랫층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는 수직배관과 슬리브 사이의 틈을 통해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가 상층부로 퍼지게 되므로 피해가 확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건축 관련 법에는 건축물의 용도에 따라서 일정한 내화구조의 성능기준을 명시하여 건축물의 벽면, 바닥면 등에 대해서는 일정시간이상 화염(1,049℃ 이상)에 견딜 수 있는 구조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층간의 슬리브에는 내화충전재를 통해 틈새를 막도록 함으로써 화재의 피해가 윗층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배기덕트는 내화충전재를 충전할 수 있는 별도의 충전브라켓을 구비하여 슬리브의 하부에 설치한 후 내화충전재를 충진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작업시간이 길어져 작업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074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164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별도의 연결관이 없이도 배기관을 상층부 및 하층부에서 연결할 수 있는 일체형 배기덕트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관이 연결되는 슬리브의 하단부에 내화충전재를 충전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는 일체형 배기덕트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슬리브의 하단부는 물론 슬리브의; 상단부에도 내화충전재를 시공할 수 있는 일체형 배기덕트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는, 건물의 층간 슬래브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설치되어 배기관의 연결부위를 이루는 배기덕트에 있어서,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건물의 상층부에서 상기 배기관이 끼워지는 메인슬리브;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슬리브의 하단에 동일체로 연장되고, 건물의 하층부에서 상기 배기관이 끼워지는 서브슬리브; 및 상기 서브슬리브의 외곽을 따라 내화충전재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내화충전재를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충전재슬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슬리브는, 상기 배기관보다 큰 내경의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이 내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배기관이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내주면에 돌출되고, 상기 서브슬리브는, 상기 배기관보다 작은 내경의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이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재슬리브는, 상기 서브슬리브보다 큰 링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서브슬리브의 외주면과 이격공간을 이루면서 고정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상기 내화충전재의 충전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재슬리브는, 상기 슬래브의 하단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배기덕트는, 상기 상층부의 배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슬리브의 상단부에 배치되면서 열기를 차단하는 상단차열재; 및 상기 하층부의 배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내화충전재의 하단부에 배치되면서 열기를 차단하는 하단차열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는, 건물의 층간 슬래브의 관통공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메인슬리브에 상층부의 배기관이 결합되고, 메인슬리브 하부에 구비되는 서브슬리브에 하층부의 배기관이 결합되므로 별도의 연결관이 없이도 배기관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메인슬리브의 하부에 설치되는 서브슬리브가 메인슬리브의 길이와 유로를 확장시키면서 하층부의 배기관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므로 별도의 연결관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슬리브의 외곽에 설치되는 충전재슬리브가 내화충전재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므로 슬리브의 설치와 동시에 내화충전재를 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단차열재 및 하단차열재가 설치될 경우에는 배기관이나 메인슬리브 및 내화충전재의 과열이 방지되므로 화재 피해를 더욱 예방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층과 아래층의 층간을 이루는 슬래브(1)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시공되어 상층부 및 하층부 배기관(2)의 연결부위를 이루는 기술이며, 화재발생 시 화염이나 연기 또는 유독가스가 상층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슬리브(100), 서브슬리브(200) 및 충전재슬리브(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슬리브(100)는 상층부의 배기관(2)이 각각 끼워져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슬래브(1)의 관통공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어 배기관(2)의 연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슬리브(100)는 배기관(2)보다 작은 관경을 갖는 관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주면 쪽으로 돌출형성된 암형돌기(100a)가 구비되어 상층부 배기관(2)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층부의 배기관(2)은 메인슬리브(100)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면서 메인슬리브(100)에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슬리브(100)에는 암형돌기(100a)가 단수로 구비됨으로써 배기관(2)만이 지지될 뿐 별도의 연결관이 결합될 수 없다.
이러한 메인슬리브(100)는 상단부에 플랜지부(110)가 형성되어 슬래브(1)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하단부에 플랜지부(210)가 형성되어 후술되는 충전재슬리브(300)의 고정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브슬리브(200)는 메인슬리브(100)의 하부에 동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슬리브(100)의 길이 및 유로를 확장시키면서 하층부의 배기관(2)의 연결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서브슬리브(200)는 메인슬리브(100)보다 작은 내경의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메인슬리브(100)의 하단부에 동일체로 연장됨으로써 하층부 배기관(2)의 연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슬리브(200)는 메인슬리부(100) 및 배기관(2)보다 작은 내경의 관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배기관(2)이 외부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재슬리브(300)는 서브슬리브(200)의 외곽을 따라 내화충전재(40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내화충전재를 배기관(2)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충전재슬리브(3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슬리브(200)보다 내경이 큰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메인슬리브(100)의 하단플랜지(210)에 동일체로 고정되면서 서브슬리브(200)의 외주면과 이격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재슬리브(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슬리브(200)와의 이격공간에 내화충전재(400)의 이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층전재슬리브(300)는 상단 및 하단부에 플랜지부(310)가 형성되어 슬래브(1)와의 고정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재슬리브(300)는 슬래브(1)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면서 슬래브(1)의 하단부와 평면을 이루면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충전재슬리브(300)는 슬래브(1)의 하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도 있다.
내화충전재(400)는 충전재슬리브(300)와 서브슬리브(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충전되면서 배기관(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가스가 상층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내화충전재(400)는 예컨대, 무기계인 암면(MINERALWOOL), 세라믹 울(Ceramic wool) 등과 유기재료 계통인 실리콘 폼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화재에 의한 고열에 의해 팽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화충전재(400)는 충전재슬리브(300)와 서브슬리브(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공간에 억지끼워지면서 고정될 수 있으며, 접착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충전재슬리브(300)는 메인슬리브(100) 및 서브슬리브(2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함께 슬래브(1)에 시공될 수 있으며, 메인슬리브(100) 및 서브슬리브(200)가 슬래브(1)에 시공되는 과정에서 메인슬리브(100)의 하단플랜지(210)에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상층부 배기관(2) 및 하층부 배기관(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차열재(500) 및 하단차열재(6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차열재는 단열소재 및 난연소재로 형성되어 열기를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상단차열재(500)는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층부 배기관(2)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메인슬리브(100)의 상단부에 배치됨으로써 열기를 차단할 수 있다.
하단차열재(500)는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하층부 배기관(2)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내화충전재(400)의 하단부에 배치됨으로써 열기를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서브슬리브(200') 및 추가충전재슬리브(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서브슬리브(200')는 전술한 서브슬리브(2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슬리브(100)를 중심으로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메인슬리브(10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상층부 배기관(2)의 연결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추가충전재슬리브(300')는 전술한 충전재슬리브(30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메인슬리브(100)를 중심으로 대칭상태를 이루면서 추가서브슬리브(200')의 외곽에 고정되어 내화충전재(400)의 충전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추가서브슬리브(200')나 추가충전재슬리브(300')가 설치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슬래브(1)에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추가충전재슬리브(300')가 설치될 경우에는 슬래브(1) 관통공의 상부측에도 내화충전재(400)가 설치됨으로써 가스의 누출이 좀 더 견고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배기덕트(10)는 건물의 층간 슬래브의 관통공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메인슬리브(100)에 상층부의 배기관(2)이 결합되고, 메인슬리브(100) 하부에 구비되는 서브슬리브(200)에 하층부의 배기관(2)이 결합되므로 별도의 연결관이 없이도 배기관을 연결할 수 있으며, 내화충전재(400)에 의해 배기관(2)의 외주면이 차폐될 수 있으므로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가 상층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일체형 배기덕트
100 : 메인슬리브
100a : 암형돌기
110 : 상단플랜지
200 : 서브슬리브
210 : 하단플랜지
300 : 충전재슬리브
310 : 플랜지
400 : 내화충전재
500 : 상단차열재
600 : 하단차열재
200' : 추가서브슬리브
300' : 추가충전재슬리브
1 : 슬래브
2 : 배기관

Claims (5)

  1. 건물의 층간 슬래브에 형성되는 관통공에 설치되어 배기관의 연결부위를 이루는 배기덕트에 있어서,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며, 건물의 상층부에서 상기 배기관이 끼워지는 메인슬리브;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슬리브의 하단에 동일체로 연장되고, 건물의 하층부에서 상기 배기관이 끼워지는 서브슬리브;
    상기 서브슬리브의 외곽을 따라 내화충전재의 설치공간을 제공하면서 상기 내화충전재를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충전재슬리브;
    단열소재 및 난연소재의 관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층부의 배기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슬리브의 상단부에 배치되면서 열기를 차단하는 상단차열재; 및
    단열소재 및 난연소재의 관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층부의 배기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화충전재의 하단부에 배치되면서 열기를 차단하는 하단차열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슬리브는,
    상기 배기관보다 큰 내경의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이 내주면에 끼워지고, 상기 배기관이 지지되는 지지돌기가 내주면에 돌출되고, 상기 충전재슬리브의 고정부위를 제공하는 하단플랜지가 하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서브슬리브는,
    상기 배기관보다 작은 내경의 관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관이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충전재슬리브는,
    상기 메인슬리브와 분리된 상태로 구성되면서 상기 서브슬리브보다 큰 링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슬리브의 하단플랜지에 고정되고, 상기 서브슬리브의 외주면과 이격공간을 이루면서 고정되어 상기 이격공간에 상기 내화충전재의 충전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슬래브의 하단부에 매립된 상태로 고정되는 일체형 배기덕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65943A 2019-06-04 2019-06-04 일체형 배기덕트 KR102132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943A KR102132819B1 (ko) 2019-06-04 2019-06-04 일체형 배기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943A KR102132819B1 (ko) 2019-06-04 2019-06-04 일체형 배기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819B1 true KR102132819B1 (ko) 2020-07-21

Family

ID=7183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943A KR102132819B1 (ko) 2019-06-04 2019-06-04 일체형 배기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96A (ko) * 2020-12-21 2022-06-28 박성례 내화 충전재 일체형 방화 연결소켓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079B1 (ko) * 2013-09-13 2014-01-06 (주)대양기연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KR101361647B1 (ko) 2013-06-05 2014-02-12 (주)영진에스피산업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
KR101733095B1 (ko) * 2016-09-27 2017-05-24 (주)피앤에프테크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20170001881U (ko) * 2015-11-20 2017-05-30 김대현 대구경 슬리브 조립체
KR20180110748A (ko) 2017-03-30 2018-10-11 (주)워터풀 내화충전재가 고착된 일체형 관통슬리브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647B1 (ko) 2013-06-05 2014-02-12 (주)영진에스피산업 내화충전재 고정프레임
KR101347079B1 (ko) * 2013-09-13 2014-01-06 (주)대양기연 소켓 일체형 스리브 및 상기 소켓 일체형 스리브를 이용한 에어덕트 시공방법
KR20170001881U (ko) * 2015-11-20 2017-05-30 김대현 대구경 슬리브 조립체
KR101733095B1 (ko) * 2016-09-27 2017-05-24 (주)피앤에프테크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20180110748A (ko) 2017-03-30 2018-10-11 (주)워터풀 내화충전재가 고착된 일체형 관통슬리브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9496A (ko) * 2020-12-21 2022-06-28 박성례 내화 충전재 일체형 방화 연결소켓
KR102454441B1 (ko) * 2020-12-21 2022-10-14 박성례 내화 충전재 일체형 방화 연결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022B1 (ko)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US11913585B2 (en) Device for passing pipes or cables through an opening in a building
KR102239032B1 (ko)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KR20170004159U (ko) 입상배관 고정용 클램프
JP2023160921A (ja) 排水配管継手
KR102132819B1 (ko) 일체형 배기덕트
JP2024024060A (ja) 排水配管継手および排水配管継手の施工方法
JP4278368B2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JP4907499B2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US20080006339A1 (en) Insulating element with wound pipe shell formed as a prefabricated element for accommodating a hot pipe
KR102264697B1 (ko) 내화충전재 일체형 슬리브
JP2010139056A (ja) 防災配管方法及び耐火カバー
KR20190096568A (ko) 건축물 관통부 화재 확산 방지용 내화구조물
JP6916241B2 (ja) 管継手構造
JP4942964B2 (ja) 排水配管構造
GB2108614A (en) Fire-seal for pipe or duct extending through wall, floor or ceiling
KR101602773B1 (ko)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용 방화 슬리브와 이것을 이용한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1667210B1 (ko) 층간 열전달 차단 및 밀폐 결합이 용이한 건식 에어덕트 시스템의 수직배기관 연결구조
JP3883913B2 (ja) 防火区画体の貫通構造及び同貫通構造を形成する貫通筒体
KR102365449B1 (ko) 내화 충전 소켓을 이용한 배기관
KR102073509B1 (ko)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KR101802373B1 (ko) 방화 슬리브 및 이의 시공방법
JP2021533837A (ja) 建設物貫通部火災拡散防止用の耐火構造物
KR20210150796A (ko) 설비 관통부 내화충전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249786B1 (ko) 조인트타입 내화충전재의 일체형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