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095B1 -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095B1
KR101733095B1 KR1020160124151A KR20160124151A KR101733095B1 KR 101733095 B1 KR101733095 B1 KR 101733095B1 KR 1020160124151 A KR1020160124151 A KR 1020160124151A KR 20160124151 A KR20160124151 A KR 20160124151A KR 101733095 B1 KR101733095 B1 KR 101733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ex
fastening
sleeve
sext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춘
황혜자
Original Assignee
(주)피앤에프테크
황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에프테크, 황혜자 filed Critical (주)피앤에프테크
Priority to KR1020160124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F16L41/021T- or cross-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0Sealing by using sealing rings or sleev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하부로 하부 입상배관이 삽입되고, 하부가 개방된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지지부가 형성되는 슬리브몸체와, 발포제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포내화충진제와, 슬리브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슬리브 및 관 형상으로 하단부가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부가 슬리브몸체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부로 상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되, 상부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 입상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된 섹스티아 몸체와, 섹스티아 몸체의 측면으로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는 섹스티아 분기관과, 섹스티아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섹스티아를 포함하는 섹스티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기존의 땅콩 배관 대신 슬리브를 통하여, 슬리브의 상부와 하부 내측으로 각각 섹스티아와 입상배관을 관통 삽입하여 설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별도의 클램프 설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Sextia and sextia connecting device and constructing method of sextia connecting use the same}
본 발명은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섹스티아 연결 시공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목적 빌딩 및 공동주택의 오,배수 입상배관은 파이프 샤프트(Pipe shaft, P/S) 또는 파이프 덕트(Pipe duct, P/D)라고 하는 욕실 벽면 , 씽크대 벽면, 세탁실벽면 뒤의 공간에 배치되어 각 세대의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를 수직관통하면서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오,배수를 통합하여 배출하도록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한 입상배관에는 각 층의 욕실, 주방 등의 배관라인을 통합한 배수배관과 연결되는 섹스티아와 같은 부속자재가 연결된다.
도 1은 종래의 다층 건물에 주방싱크 및 층상배관 입상배관(31,32)과 섹스티아(20)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땅콩슬리브(1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콘크리트 슬래브(1)에 일명 땅콩슬리브(10)를 장착한 후 상기 땅콩슬리브(10)에 상부 주방싱크 및 층상배관 입상배관(32)과 배수배관(40)이 관통 설치되고, 콘크리트 슬래브(1)의 하부에 상부 입상배관(32)과 상기 배수배관(40)을 연결하는 섹스티아(20)가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땅콩슬리브(1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부 입상배관(32)이 관통 설치되는 제1관통홀(11)과 배수배관(40)이 관통 설치되는 제2관통홀(12)이 각각 인접하게 형성된 2개의 관이 서로 결합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땅콩슬리브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은 땅콩슬리브를 콘크리트 슬리브에 설치한 후 상부 입상배관과 배수배관을 각각 관통설치한 후 관통부에 발포내화제를 설치하고 입상배관을 고정시키는 클램프 작업을 각각 실시해야 하는데, 이러한 각각의 클램프 작업이 번거롭고 작업하기가 힘이 들어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한 땅콩 슬리브는 발포내화제가 설치 시 정밀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화재 시 안전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9400호(2016.01.18.)
본 발명은, 섹스티아 연결시공을 비롯한 슬리브의 연결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발포내화충진제를 통하여 화재 등에 대하여 층간 구획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관 형상으로 하부가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며, 상부로 상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된 섹스티아 몸체,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측면으로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고 세대부품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끼워지는 섹스티아 분기관 및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섹스티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하부로 하부 입상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상부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슬리브몸체와,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포내화충진제와,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관통 연결되고 개방된 상기 슬리브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슬리브 및 관 형상으로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부가 상기 슬리브몸체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부로 상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된 섹스티아 몸체와,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측면으로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고 세대부품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끼워지는 섹스티아 분기관과,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섹스티아를 포함하는 섹스티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바닥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하부로 하부 입상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상부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슬리브몸체와,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포내화충진제와,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관통 연결되고 개방된 상기 슬리브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슬리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바닥 슬래브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를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관 형상으로 상부로 상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된 섹스티아 몸체와,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측면으로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는 섹스티아 분기관과,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섹스티아에서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슬리브몸체의 상부 내측으로 섹스티아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 입상배관을 상기 끼움부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몸체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 입상배관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 입상배관을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를 통하여 노출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 입상배관과 상기 섹스티아를 고정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섹스티아 분기관으로 세대부품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기존의 땅콩 배관 대신 슬리브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의 상부와 하부 내측으로 각각 섹스티아와 입상배관을 관통 삽입하여 설치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기존과 같은 입상배관 고정을 위한 별도의 클램프 설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섹스티아에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 포켓부를 형성하여 현장에서 배관 연결 시 발생되는 시공 오차(배관편차)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관 절단 등과 같은 작업의 불편함 및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슬리브에 입상배관과 섹스티아가 틈새 없이 일체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흔들림 또는 슬립을 방지하여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층간 소음이나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되고 플랜지부를 통하여 슬리브몸체에 패키지와되어 결합된 슬리브를 통하여 화재 시 확실한 층간 방화구획 역할을 할 수 있다.
다섯째, 기존의 땅콩 슬리브의 경우 발포내화제 설치가 어렵고, 설치한다고 하더라도 정밀시공이 어렵기 때문에 화재 시 안전에 취약한 반면, 발포내화충진제가 수용된 슬리브를 통하여 발포내화충진제의 설치가 용이하고, 정밀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땅콩슬리브를 통한 입상배관 연결한 상태와 섹스티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땅콩슬리브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섹스티아 연결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섹스티아 연결장치에서 슬리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섹스티아 연결장치에서 섹스티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섹스티아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섹스티아의 체결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섹스티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섹스티아와 연결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섹스티아 연결장치는, 슬리브(100)와, 섹스티아(200)와, 기밀부재(300)를 포함한다. 상기 슬리브(100)는,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며, 슬리브몸체(110)와, 발포내화충진제(120)와, 플랜지부(13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리브몸체(110)는 상기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Slab;10)에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부로 하부 입상배관(31)이 삽입되고 상부로 상기 섹스티아(200)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슬리브몸체(110)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31)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개방된 하측으로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가 수용되는 발포제 수용공간(11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11)은 삽입되는 하부 입상배관(31)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를 넣을 경우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와 상기 하부 입상배관(31)이 시공오차를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밀착되게 되어 발화 시 발포내화충진제(120)가 하부 입상배관(31) 내부로 쉽게 발포 침투되어 확실하게 방화구획을 형성하여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몸체(110)는,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하부 입상배관(31)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끼움부(112)는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가 발포 시 발포압으로 인하여 슬리브몸체(110)의 내측으로 오그라들면서 휘어져 슬리브몸체(110) 내부를 구획하도록 되어있다. 때문에, 상기 끼움부(112)는 상기 하부 입상배관(31)의 연결뿐만 아니라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의 발포압에 의하여 내측으로 휘어서 슬리브몸체(110) 내부를 구획하여 층간 분리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리브몸체(110)는 상기 끼움부(112)의 상부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상기 섹스티아(200)의 하단부를 상방 지지하는 지지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1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112)의 상부에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섹스티아(200)를 상방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상기 섹스티아(200)의 삽입높이 등을 고려한 것으로서, 상기 끼움부(112)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어 상기 끼움부(112)의 저면이 상기 지지부(11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는,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11)에 수용되며, 화재가 발생하면 발포하여 상기 슬리브몸체(110)와 하부 입상배관(31)의 내부를 패쇄하여 화염이 배관을 타고 굴뚝효과 현상으로 상층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는 팬 내부에 발포성 내화충진제가 충진된 발포스트립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30)는 링형상으로 상기 하부 입상배관(31)이 관통 연결되고 개방된 상기 슬리브몸체(110)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111)을 패쇄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가 화염에 의하여 발포되었을 때 배관 내로만 효과적으로 발포될 수 있도록 하여 층간 구획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플랜지부(13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하부 입상배관(31)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플랜지몸체(131)와, 상기 플랜지몸체(131)와 상기 슬리몸체를 관통 체결하는 체결수단(132)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몸체(131)는 열전도율이 좋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발포내화충진제(120)로 그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 가열하여 발포내화충진제(120)의 발포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몸체(131)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체결수단(132)이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수단(132)이 체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100)는 끼움부(112)를 통하여 하부 입상배관(31)이 결합 후 슬립이나 흔들림을 방지하여 구조적인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부로 섹스티아(200)가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기존의 클램프시공과는 달리 작업성이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섹스티아(200)는 관 형상으로 하부가 상기 슬리브몸체(110)에 끼워져 고정 설치되고, 각 층의 욕실, 주방 씽크대 등의 배관라인을 통합한 연결배관(41)과 연결된다. 상세하게, 상기 섹스티아(200)는 섹스티아 몸체(210)와, 섹스티아 분기관(220)과, 체결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는,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113)에 지지되도록 하부가 상기 슬리브몸체(110)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부로 상부 입상배관(32)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21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는,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212)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 내부로 삽입되는 상부 입상배관(32)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의 노출길이가 조절되게 함으로써, 시공 시 시공오차 등으로 인한 배관절단 작업을 할 필요 없게 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기밀부재(300)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하여 상기 슬리브몸체(110)에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가 삽입될 시 상기 슬리브몸체(110)와의 기밀을 유지하고 상기 섹스티아(2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밀부재(300)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의 하부 외주면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외주기밀부(310)와, 상기 외주기밀부(31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의 하단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단기밀부(320)를 포함하여 상기 슬리브몸체(110)와 대면하는 하단부 외주면과 하단부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밀부재(300)는 탄력성이 있어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기밀성이 우수한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밀부재(300)는 외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스상기 슬리브몸체(110)와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섹스티아 분기관(220)은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의 측면으로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고 세대부품과 연결되는 연결배관(41)이 끼워진다. 상기 섹스티아 분기관(220)은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의 측면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연결되며,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체가 섹스티아 몸체(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유입되도록 섹스티아 몸체(210)의 원주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결된다.
상기 섹스티아 분기관(220)은, 상기 연결배관(41)과 연결되는 삽입단부 외주면에 제3나사산으로 형성된 제3체결부(22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배관(41)이 관통되게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3나사산과 치합되는 제4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체결부(221)와 체결 고정되는 제4체결부(223)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배관(41)을 상기 섹스티아 분기관(220)에 고정시키는 연결배관 체결소켓(2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체결부(221)와 제4체결부(223) 및 연결배관 체결소켓(222)은 후술하는 체결부(230)의 제1체결부(231)와 제2체결부(241) 및 체결소켓(24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체결부(230)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의 노출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부(230)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체결부(231)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이 관통되게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체결부(231)와 체결 고정되는 제2체결부(241)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을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에 고정시키는 체결소켓(2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부(231)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이고, 상기 제2체결부(241)는 상기 체결소켓(24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체결부(231)에 상기 체결소켓(240)이 나사결합한다.
한편, 상기 섹스티아 연결장치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와 상기 체결소켓(240) 사이에 위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압착오링(243)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는 상기 제1체결부(231)가 형성되는 내주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압착오링(243)이 안착되는 안착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소켓(240)은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와 체결 시 상기 압착오링(243)을 가압하는 압착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섹스티아 연결장치는, 기존의 땅콩 슬리브가 아닌 슬리브(100)를 설치하고, 상기 슬리브(100)의 하부로는 하부 입상배관(31)을 삽입설치하고 상부로는 섹스티아(200)를 삽입 설치하여,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에 대한 클램프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섹스티아 연결장치는, 섹스티아(200)를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연결배관(41)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틈새 없는 슬리브(100) 시공방식으로 슬리브몸체(110)와 하부 입상배관(31)과 섹스티아(200)가 일체방식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악취와 소음의 역류 및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섹스티아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섹스티아 연결장치는 전술한 섹스티아 연결장치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바닥 슬래브(1)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한다(S10).
그런 다음,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1)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상기 슬리브(100)를 설치한다(S20). 여기서, 상기 슬리브(100)는 공장에서 상기 발포내화충진제(120)가 삽입 설치된 후 체결수단(132)을 통하여 플랜지부(130)가 결합된 완성 조립품으로서 현장에서는 조립된 상기 슬리브(100)를 납품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슬리브(100)를 설치하면,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S30) 상기 바닥 슬래브(1)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100)를 상기 바닥 슬래브(1)에 고정시킨다. 이렇게, 바닥 슬래브(1)에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바닥 슬래브(1) 거푸집을 해체한다.
한편, 상기 섹스티아(200)는 상기 슬리브몸체(110)에 결합하기 전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의 하단부에 기밀부재(300)를 결합하여(S40), 슬리브몸체(110)에 삽입되면 상기 기밀부재(300)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몸체(110)에 밀착되게 고정 결합되게 한다.
이렇게 섹스티아 몸체(210)의 하단부에 기밀부재(300)를 결합한 후에는 상기 기밀부재(300)가 결합한 상기 섹스티아 몸체(210)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113)에 지지되도록 상기 슬리브몸체(110)의 상부 내측으로 섹스티아(200)를 삽입한다(S50).
그런 다음, 상기 하부 입상배관(31)을 상기 끼움부(112)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몸체(110)의 내측으로 삽입한다(S60).
또한,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212)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이때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을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212)를 통하여 노출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부(230)를 통하여 상기 상부 입상배관(32)과 상기 섹스티아(200)를 고정결합한다(S70). 한편, 여기서, 상기 하부 입상배관(31)과 상부 입상배관(32)은 각각 상기 슬리브몸체(110)와 섹스티아(200)에 삽입하기 전 동일선상으로 얼라인(Align) 시키고, 이 상태에서 슬리브몸체(110)와 섹스티아(200)에 삽입하여 연결한다.
이때,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은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212)에 최대한 삽입하여 상기 상부 입상배관(32)의 노출길이가 짧도록 하여 배관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노출길이를 조절한 후 상부 입상배관(32)이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소켓(240)을 이용하여 상부 입상배관(32)을 체결 고정한다.
이후, 상기 섹스티아 분기관(220)으로 세대부품과 연결되는 연결배관(41)을 연결하여 고정한다(S8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 31... 하부 입상배관
32... 상부 입상배관 41... 연결배관
100... 슬리브 110... 슬리브몸체
111... 발포제 수용공간 112... 끼움부
113... 지지부 120... 발포내화충진제
130... 플랜지부 131... 플랜지몸체
132... 체결수단 200... 섹스티아
210... 섹스티아 몸체 211... 삽입구
212... 슬라이딩 포켓부 213... 안착홈
220... 섹스티아 분기관 230... 체결부
231... 제1체결부 240... 체결소켓
241... 제2체결부 243... 압착오링
300... 기밀부재 310... 외주기밀부
320... 하단기밀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설치되며,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하부로 하부 입상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상부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슬리브몸체와,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포내화충진를 포함하는 슬리브;
    관 형상으로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하부가 상기 슬리브몸체의 상부에 끼워지고, 상부로 상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된 섹스티아 몸체와,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측면으로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고 세대부품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끼워지는 섹스티아 분기관과,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섹스티아; 및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결합하여 상기 슬리브몸체와의 기밀을 유지하고 상기 섹스티아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기밀부재를 포함하는 섹스티아 연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재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하부 외주면에 밀착되게 결합하는 외주기밀부와,
    상기 외주기밀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하단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하단기밀부를 포함하는 섹스티아 연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입상배관이 관통되게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1체결부와 체결 고정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을 상기 섹스티아 몸체에 고정시키는 체결소켓을 더 포함하는 섹스티아 연결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상부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이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체결소켓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나사산과 치합되는 제2나사산인 섹스티아 연결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섹스티아 몸체와 상기 체결소켓 사이에 위치하여 기밀을 유지하는 압착오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섹스티아 몸체는 상기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내주 상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압착오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소켓은 상기 섹스티아 몸체와 체결 시 상기 압착오링을 가압하는 압착돌기가 돌출 형성된 섹스티아 연결장치.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관통 연결되고 개방된 상기 슬리브몸체의 하부에 결합하여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을 패쇄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관통되는 관통구가 형성된 플랜지몸체와, 상기 플랜지몸체와 상기 슬리브몸체를 관통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섹스티아 연결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섹스티아 분기관은, 상기 연결배관과 연결되는 삽입단부 외주면에 제3나사산으로 형성된 제3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배관이 관통되게 삽입되고, 내주면에 상기 제3나사산과 치합되는 제4나사산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체결부와 체결 고정되는 제4체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배관을 상기 섹스티아 분기관에 고정시키는 연결배관 체결소켓을 더 포함하는 섹스티아 연결장치.
  11.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바닥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건물의 층간을 경계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에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 장착구에 관통홀이 형성된 관 형상으로 하부로 하부 입상배관이 삽입되고, 상기 하부 입상배관의 측면으로 직경이 확장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발포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부를 향하여 개방되어 상기 하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상부 상기 관통홀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슬리브몸체와, 상기 발포제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발포내화충진를 포함하는 슬리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기 바닥 슬래브를 형성하고 상기 슬리브를 상기 바닥 슬래브에 고정시키는 콘크리트 양생단계;
    관 형상으로 상부로 상부 입상배관이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슬라이드 유격을 위한 슬라이딩 포켓부가 형성된 섹스티아 몸체와,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측면으로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는 섹스티아 분기관과,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입상배관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를 포함하는 섹스티아에서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하단부에 기밀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기밀부재가 결합한 상기 섹스티아 몸체의 하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지지되도록 상기 슬리브몸체의 상부 내측으로 섹스티아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하부 입상배관을 상기 끼움부를 통하여 상기 슬리브몸체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 입상배관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의 내측으로 삽입하는 단계;
    상기 상부 입상배관을 상기 슬라이딩 포켓부를 통하여 노출길이를 조절한 후 상기 체결부를 통하여 상기 상부 입상배관과 상기 섹스티아를 고정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섹스티아 분기관으로 세대부품과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연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1020160124151A 2016-09-27 2016-09-27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101733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51A KR101733095B1 (ko) 2016-09-27 2016-09-27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51A KR101733095B1 (ko) 2016-09-27 2016-09-27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095B1 true KR101733095B1 (ko) 2017-05-24

Family

ID=5905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151A KR101733095B1 (ko) 2016-09-27 2016-09-27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09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KR101984485B1 (ko) * 2018-11-15 2019-05-31 노상언 원터치 삽입 고정식 내화충전재 장착구조를 갖는 플렌지 조립형 내화 슬리브
KR102032740B1 (ko) * 2019-02-26 2019-10-16 ㈜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가 간편한 구조로 내장 설치되는 건축용 슬리브
KR20200000082U (ko)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KR102132819B1 (ko) * 2019-06-04 2020-07-21 재우이엔지(주) 일체형 배기덕트
CN112031083A (zh) * 2020-05-22 2020-12-04 康泰塑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卫生间排水汇集系统
KR102211584B1 (ko) * 2019-09-24 2021-02-02 유영수 입상관용 내화충전 슬리브 어셈블리
KR102270215B1 (ko) 2020-12-14 2021-06-25 황혜자 층고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설치되는 입상 배관 조립체
KR200495342Y1 (ko) * 2021-07-20 2022-05-04 (주)에프엔테크 입상 배관 조립체 및 그 입상 배관 조립체의 시공방법
KR102442708B1 (ko) * 2021-06-30 2022-09-13 정호수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403B1 (ko) * 2015-04-17 2015-11-17 황혜자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9403B1 (ko) * 2015-04-17 2015-11-17 황혜자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5266A (ko) * 2017-06-12 2018-12-20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KR101951868B1 (ko) * 2017-06-12 2019-02-25 황혜자 배관 연결장치
KR20200000082U (ko)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KR101984485B1 (ko) * 2018-11-15 2019-05-31 노상언 원터치 삽입 고정식 내화충전재 장착구조를 갖는 플렌지 조립형 내화 슬리브
KR102032740B1 (ko) * 2019-02-26 2019-10-16 ㈜세이프코리아 내화충전재가 간편한 구조로 내장 설치되는 건축용 슬리브
KR102132819B1 (ko) * 2019-06-04 2020-07-21 재우이엔지(주) 일체형 배기덕트
KR102211584B1 (ko) * 2019-09-24 2021-02-02 유영수 입상관용 내화충전 슬리브 어셈블리
CN112031083A (zh) * 2020-05-22 2020-12-04 康泰塑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卫生间排水汇集系统
CN112031083B (zh) * 2020-05-22 2021-09-21 康泰塑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卫生间排水汇集系统
KR102270215B1 (ko) 2020-12-14 2021-06-25 황혜자 층고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어 설치되는 입상 배관 조립체
KR102442708B1 (ko) * 2021-06-30 2022-09-13 정호수 악취 및 벌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배수관 커버
KR200495342Y1 (ko) * 2021-07-20 2022-05-04 (주)에프엔테크 입상 배관 조립체 및 그 입상 배관 조립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095B1 (ko)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KR101603620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의 시공방법
KR101569403B1 (ko) 입상배관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상배관 시공방법
KR101809911B1 (ko) 공동주택 오배수 모듈화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US10060102B2 (en) Plumbing supply boxes
CN102725456B (zh) 盥洗室座凸缘的密封
KR101951868B1 (ko) 배관 연결장치
KR102211584B1 (ko) 입상관용 내화충전 슬리브 어셈블리
US10119263B2 (en) Universal height absorbing toilet seal
US20140062035A1 (en) Flexible seal with modular spacers
US11828052B2 (en) Universal height absorbing toilet seal
US6035886A (en) Prefabricated sink rough-in plumbing apparatus
EP1953439A2 (en) An assembly for terminating a flexible water pipe
KR200396618Y1 (ko) 배관용 방수 슬리브
KR101545438B1 (ko) 다층 건물의 층상 배수배관의 설치구조
KR101537035B1 (ko) 이중관 구조의 방음공기층과 슬라이딩 지수결합부를 갖는 배관파이프와 배관결합부속과 부분오픈형 배관연결소켓을 포함하는 세대슬랩 부분매립형 오,배수관 배관연결구조와 그 시공방법
JP3936549B2 (ja) 回転自在の接続継手
KR101496881B1 (ko) 세대슬랩 부분매립형 오,배수관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1214485A (ja) 集合住宅における要排水設備の排水ヘッダーの設置構造
JP4916674B2 (ja) 配管固定具
JP7284558B2 (ja) 管継手
JP7431507B2 (ja) 配管構造及び配管構造の施工方法
JP6861391B2 (ja) 水栓
JP2006275073A (ja) 配管固定具
JP2999358B2 (ja) 排水管の接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