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0082U -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 Google Patents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0082U
KR20200000082U KR2020180003030U KR20180003030U KR20200000082U KR 20200000082 U KR20200000082 U KR 20200000082U KR 2020180003030 U KR2020180003030 U KR 2020180003030U KR 20180003030 U KR20180003030 U KR 20180003030U KR 20200000082 U KR20200000082 U KR 2020000008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ap
pipe
double
auxiliar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0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1718Y1 (ko
Inventor
김명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Priority to KR20201800030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718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7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7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바닥층 내에 매설되거나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된 후에 콘크리트 바닥층 상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는 세대별 보조배관이 단차의 발생 없이 직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 슬리브에 대한 별도의 파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신속한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누수 등의 하자발생 위험이 없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는 상단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단면 제거시에 주배관이 관통 위치되는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슬리브 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제 1 캡이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기 제 1 캡 분리시에 보조배관과 연결되는 수직연결관이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 1 캡 분리시 그 상단 높이는 상기 제 1 슬리브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 2 슬리브가 포함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는 상단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단면 제거시에 제 1 배관이 관통 위치되는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슬리브 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제 2 캡이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기 제 2 캡 분리시에 제 2 배관이 관통 위치되되 일측면에 하향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제 2 슬리브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Step difference compensation type double through sleeve}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바닥층 내에 매설되거나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된 후에 콘크리트 바닥층 상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는 세대별 보조배관이 단차의 발생 없이 직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 슬리브에 대한 별도의 파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신속한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누수 등의 하자발생 위험이 없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빌딩과 같은 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에서 수도관, 배수관 및 하수관 그리고 에어콘, 가스관과 각종 통신케이블 등의 배관통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콘크리트 층에 다양한 규격의 관통 슬리브가 콘크리트 바닥층과 콘크리트 벽체의 거푸집에 설치된다.
이러한 관통 슬리브는 보통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일측에는 제거 가능한 캡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거푸집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가 구비된다. 이 고정구를 통해서 거푸집에 고정된 관통 슬리브는 콘크리트 타설이 마무리된 후 거푸집이 제거된 뒤에 뚜껑을 분리하여 수도관, 배수관 및 하수관 그리고 에어콘, 가스관과 각종 통신케이블 등의 배관통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층간을 연결하는 주배관과 세대별 오수가 유동되는 보조배관은 일명 땅콩슬리브라 불리우는 이중관통 슬리브에 의해서 연결된다. 이때 주배관은 보조배관에 비해 그 내경이 크기 때문에 이중관통 슬리브는 보통 내경이 큰 주배관이 관통될 수 있게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부분과 내경이 주배관보다 작은 보조배관이 관통될 수 있게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부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관통 슬리브의 하단에는 유수에 선회력이 발생되게 하여 공기코어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하나의 관으로 배수와 통기를 겸할 수 있는 배수접속기가 사용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건축법상 바닥면과 천장까지 최소 높이가 제한되면서 주방 파이프와 같은 층별 또는 세대별 보조파이프들이 콘크리트에 포함되게 함으로써 바닥면과 천장까지의 높이를 확보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이때 보조파이프가 콘크리트에 포함되게 하는 방법으로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보조파이프가 이중관통 슬리브와 연결되게 하는 방법과, 콘크리트 양생 후에 콘크리트에 보조파이프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을 이중관통 슬리브까지 연결되게 형성하는 방법이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이중관통 슬리브는 주배관이 연결되는 부분과 보조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의 상단 높이가 같아서 콘크리트에 포함된 보조배관의 단부가 이중관통 슬리브 측에 직결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이중관통 슬리브의 상단은 콘크리트 바닥층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층에 매설되거나 홈 내에 수용된 보조배관의 단부가 이중관통 슬리브의 측면부 타공 없이는 직결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중관통 슬리브 타공으로 인해 공기가 지연됨은 물론 타공시 발생될 수 있는 이중관통 슬리브의 파손으로 인해 건축물이 완공되고 난 후에 누수 등의 하자가 발생 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304310호(등록일자 2013년08월30일) 2.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733095호(등록일자 2017년04월27일) 3.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20-2009-0012793호(공개일자 2009년12월16일)
따라서 본 고안은 콘크리트 타설 전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바닥층 내에 매설되거나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된 후에 콘크리트 바닥층 상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는 세대별 보조배관이 단차의 발생 없이 직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통 슬리브에 대한 별도의 파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신속한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누수 등의 하자발생 위험이 없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단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단면 제거시에 주배관이 관통 위치되는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슬리브 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제 1 캡이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기 제 1 캡 분리시에 보조배관과 연결되는 수직연결관이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 1 캡 분리시 그 상단 높이는 상기 제 1 슬리브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 2 슬리브가 포함되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제 1 슬리브 상단과 상기 제 2 슬리브 상단의 높이 차이는 상기 보조배관의 최대 두께 이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단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단면 제거시에 제 1 배관이 관통 위치되는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슬리브 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제 2 캡이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기 제 2 캡 분리시에 제 2 배관이 관통 위치되되 일측면에 하향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는 제 2 슬리브가 포함되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절개부의 형성 높이는 상기 보조배관의 최대두께 이상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 2 캡 분리시 상기 제 2 슬리브의 개방된 상단과 연결 형성되며 그 하단은 보조배관이 밀착 가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에 의하면, 첫째로 콘크리트 타설 전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바닥층 내에 매설되거나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된 후에 콘크리트 바닥층 상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는 세대별 보조배관이 단차의 발생 없이 직결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둘째로 관통 슬리브에 대한 별도의 파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신속한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누수 등의 하자발생 위험이 없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는 상단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단면 제거시에 주배관이 관통 위치되는 제 1 슬리브와, 상기 제 1 슬리브 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제 1 캡이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기 제 1 캡 분리시에 보조배관과 연결되는 수직연결관이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 1 캡 분리시 그 상단 높이는 상기 제 1 슬리브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 2 슬리브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1)의 구성요소들과 이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1 슬리브(10)는 주배관(100)이 관통 위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 형성되며 주배관(100) 관통을 위해 상단면이 제거된다. 이를 위해서 제 1 슬리브(10)는 주배관(100)이 관통될 수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면은 폐쇄되어 있다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제거될 수 있게 절개선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제 1 슬리브(10) 상단은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잠기지 않도록 콘크리트 바닥층(300) 상부면보다 소정높이만큼 높게 배치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 1 슬리브(10) 내에 주방용 주배관(100)이 관통 배치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러한 주배관(100) 외에도 제 1 슬리브(1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른 용도의 배관 또는 각종 전기배선 등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 1 슬리브(10)는 종래기술에 따른 관통 슬리브와 동일한 것으로 구체적인 설치방법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제 1 슬리브(10)의 측면에는 제 2 슬리브(20)가 일체로 연결 구비되는데, 이러한 제 2 슬리브(20)는 그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제 1 캡(21)이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제 1 캡(21) 분리시에 보조배관(200)과 연결되는 수직연결관이 관통 위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캡(21)은 분리시에 그 상단 높이가 제 1 슬리브(10)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는 보조배관(200)이 콘크리트 바닥층(300) 상에 안착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타설 전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바닥층(300) 내에 매설되거나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된 후에 콘크리트 바닥층(300) 상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는 세대별 보조배관(200)이 단차의 발생 없이 직결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보조배관(200)의 단부에는 "L"자 형태의 엘보관(210)이 연결되는데, 이 엘보관(210)의 수평부는 보조배관(200)과 연결되고 수직부가 제 2 슬리브(20)의 상단에 삽입된다. 이때 제 1 슬리브(10) 상단과 제 2 슬리브(20) 상단의 높이 차이는 엘보관(210)의 두께를 포함해 보조배관(200)의 최대 두께 이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 2 배관은 콘크리트 바닥층(300) 상으로 돌출되지 않고 콘크리트 바닥층(300) 내에 단차 없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보조배관(200)이 콘크리트 바닥층(300) 상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보조배관(200)이 콘크리트 바닥층(300) 상으로 돌출되지 않을 정도로 홈의 깊이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보조배관(200)의 단부에 엘보관(210)이 연결되며, 이 엘보관(210)의 수직부가 제 2 슬리브(20) 상단에 삽입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엘보관(210) 연결 없이 보조배관(200)의 단부가 수직방향으로 하향 절곡되고, 이 하향 절곡 된 단부가 제 2 슬리브(20) 상단으로 직결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의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1)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가 사용됨을 밝혀둔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1')는 상단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단면 제거시에 제 1 배관이 관통 위치되는 제 1 슬리브(10)와, 상기 제 1 슬리브(10) 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제 2 캡(22)이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기 제 2 캡(22) 분리시에 제 2 배관이 관통 위치되되 일측면에 하향 절개된 절개부(23)가 형성되는 제 2 슬리브(20)가 포하되되, 상기 절개부(23)의 형성 높이는 상기 보조배관(200)의 최대두께 이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23)는 상기 제 2 캡(22) 분리시 상기 제 2 슬리브(20)의 개방된 상단과 연결 형성되며 그 하단은 보조배관(200)이 밀착 가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1')는 제 2 슬리브(20)의 상단이 제 1 슬리브(10) 상단과 동일 높이로 형성되지만 그 일측면에 하향 절개된 절개부(23)가 형성되어 보조배관(200)의 단부에 연결된 엘보관(210)의 수평부가 절개부(23) 내에 밀착 위치되고, 엘보관(210)이 절개부(23)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엘보관(210)이 포함되는 보조배관(200)이 콘크리트 바닥층(300) 상에 돌출 위치되는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절개부(23)의 형성 높이는 보조배관(200)의 최대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며, 엘보관(210)이 절개부(23)에 밀착될 수 있도록 그 하단이 라운드지게 형성된다는 부분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 전체적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이들의 연결관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1)와 동일 및 유사하여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 전에 위치되어 콘크리트 바닥층 내에 매설되거나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 된 후에 콘크리트 바닥층 상에 형성된 홈 내에 위치되는 세대별 보조배관(200)이 단차의 발생 없이 직결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관통 슬리브에 대한 별도의 파공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신속한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누수 등의 하자발생 위험이 없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 :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10 : 제 1 슬리브
20 : 제 2 슬리브
21 : 제 1 캡
22 : 제 2 캡
23 : 절개부
100 : 주배관
200 : 보조배관
210 : 엘보관
300 : 콘크리트 바닥층

Claims (5)

  1. 상단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단면 제거시에 주배관(100)이 관통 위치되는 제 1 슬리브(10); 및
    상기 제 1 슬리브(10) 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슬리브(10) 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제 1 캡(21)이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기 제 1 캡(21) 분리시에 보조배관(200)과 연결되는 수직연결관이 관통 위치되되, 상기 제 1 캡(21) 분리시 그 상단 높이는 상기 제 1 슬리브(10)의 상단보다 낮게 형성되는 제 2 슬리브(20);가 포함되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리브(10) 상단과 상기 제 2 슬리브(20) 상단의 높이 차이는 상기 보조배관(200)의 최대 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3. 상단면이 선택적으로 제거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단면 제거시에 제 1 배관이 관통 위치되는 제 1 슬리브(10); 및
    상기 제 1 슬리브(10) 측면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측에 분리 가능한 제 2 캡(22)이 구비되고 내부가 중공 형성되어 상기 제 2 캡(22) 분리시에 제 2 배관이 관통 위치되되 일측면에 하향 절개된 절개부(23)가 형성되는 제 2 슬리브(20);가 포함되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3)의 형성 높이는 상기 보조배관(200)의 최대두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23)는 상기 제 2 캡(22) 분리시 상기 제 2 슬리브(20)의 개방된 상단과 연결 형성되며 그 하단은 보조배관(200)이 밀착 가능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KR2020180003030U 2018-07-02 2018-07-02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KR2004917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30U KR200491718Y1 (ko) 2018-07-02 2018-07-02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030U KR200491718Y1 (ko) 2018-07-02 2018-07-02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82U true KR20200000082U (ko) 2020-01-10
KR200491718Y1 KR200491718Y1 (ko) 2020-05-25

Family

ID=6915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030U KR200491718Y1 (ko) 2018-07-02 2018-07-02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718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647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20090012793U (ko) 2008-06-11 2009-12-16 하헌식 복합형 슬리브
KR101081970B1 (ko) * 2009-02-16 2011-11-09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304310B1 (ko) 2012-02-20 2013-09-11 노중석 섹스티아와 관통슬리브 및 이들의 욕실시공법
KR101733095B1 (ko) 2016-09-27 2017-05-24 (주)피앤에프테크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JP2018044356A (ja) * 2016-09-14 2018-03-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の区画貫通部に設置されるスリーブ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647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청완 층상 배수 배관용 설치틀
KR20090012793U (ko) 2008-06-11 2009-12-16 하헌식 복합형 슬리브
KR200451396Y1 (ko) * 2008-06-11 2010-12-13 하헌식 복합형 슬리브
KR101081970B1 (ko) * 2009-02-16 2011-11-09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다층건물 욕실의 층상배관 시공방법
KR101304310B1 (ko) 2012-02-20 2013-09-11 노중석 섹스티아와 관통슬리브 및 이들의 욕실시공법
JP2018044356A (ja) * 2016-09-14 2018-03-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物の床又は壁体の区画貫通部に設置されるスリーブ
KR101733095B1 (ko) 2016-09-27 2017-05-24 (주)피앤에프테크 섹스티아, 섹스티아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섹스티아 연결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718Y1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7059A1 (en) Tile floor drain
KR101218810B1 (ko) 조립식 욕실의 설치구조
US20180258653A1 (en) Concrete form system
KR20200000082U (ko)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KR200459142Y1 (ko) 높낮이 조절기능을 가진 배관 슬리브
KR20150143186A (ko) 기포층 배수 배관 및 그 시공 방법
KR200393504Y1 (ko) 건축물의 비트용 배관보호슬리브
US9206592B2 (en) Toilet installation aid
US20200214507A1 (en) Bathtub Installation Aide
US102215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floor drain
KR101338222B1 (ko) 개선된 구조의 슬리브 보양 덮개
US7013927B2 (en) Sleeve for toilet flanges and drains
US20180155914A1 (en) Pre-form for drain installation
AU713645B2 (en) Adjustable fire rated floor penetration
DK44491A (da) Fremgangsmaade og beslag til brug ved udlaegning af spildevandsroer i hule etageadskillelser
JP2009174307A (ja) 排水設備
JP5037321B2 (ja) 排水ヘッダー
KR101999248B1 (ko) 기포 콘크리트층 배수 배관 실링구조
KR200481665Y1 (ko) 관통 슬리브용 받침부재
JP3111021U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用スリーブ
KR102125000B1 (ko) 다층식건물의 배수관 누수차단 연결구
KR102602072B1 (ko) 관통슬리브용 고정구
JP6799194B2 (ja) 排水配管構造
KR102104940B1 (ko) 리모델링 공동주택의 욕실 층상배관 시공방법
KR200481666Y1 (ko) 관통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