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396Y1 - 복합형 슬리브 - Google Patents

복합형 슬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396Y1
KR200451396Y1 KR2020080007764U KR20080007764U KR200451396Y1 KR 200451396 Y1 KR200451396 Y1 KR 200451396Y1 KR 2020080007764 U KR2020080007764 U KR 2020080007764U KR 20080007764 U KR20080007764 U KR 20080007764U KR 200451396 Y1 KR200451396 Y1 KR 200451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coupling
body portion
coupling portion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793U (ko
Inventor
하헌식
Original Assignee
하헌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헌식 filed Critical 하헌식
Priority to KR2020080007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39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14Sealing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복합형 슬리브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복합형 슬리브는, 제1 배관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슬리브; 및 제2 배관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제1 슬리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복합형 슬리브를 이루는 제1 슬리브와 제2 슬리브를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시공 환경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독 슬리브 또는 땅콩 슬리브로 사용될 수 있는 복합형 슬리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도모된다.
관통 슬리브, 땅콩 슬리브, 주배관, 보조배관, 보강리브

Description

복합형 슬리브{Composite type sleeve}
본 고안은 슬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두 개 이상의 슬리브가 상호 결합되어 구성되는 복합형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 건물의 시공에 있어서, 관통 슬리브는 콘크리트 층에 에어콘, 가스관, 수도관, 하수관,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등의 배관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층간을 구획하는 바닥지점 또는 벽체지점의 거푸집에 설치된다.
이러한 관통 슬리브는 원통형으로 일측은 뚜껑을, 타측은 거푸집 고정 돌기를 구비하며, 배관 통로지점의 거푸집에 못으로 고정시켜 설치한 후,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다음 거푸집을 분리하고, 슬리브 뚜껑을 제거하여 배관통로로 이용하게 된다.
또한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 건물의 경우, 최상층에서 최하층을 관통하는 주배관과, 각 세대별 오수 등을 수집하여 주배관으로 보내는 보조배관이 인접하게 배관되므로, 관통 슬리브는 직경이 서로 다른 슬리브 두 개를 인접하게 배치하고, 이를 청테입 등으로 감은 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방식은 서로 다른 두 개의 슬리브를 청테입 등으로 감 아 결합시켜야 하는 설치 작업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며, 서로 다른 두 개의 슬리브가 안정적으로 위치고정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사출 성형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두 개의 슬리브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이른바 땅콩 슬리브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땅콩 슬리브는 두 개의 슬리브를 각각 관통하는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이라도 슬리브와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될 수 없으므로,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의 종류에 대한 적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땅콩 슬리브는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들의 크기 조합에 따라 별도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시공 환경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독 슬리브 또는 땅콩 슬리브로 사용될 수 있는 복합형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제1 배관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슬리브; 및 제2 배관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슬리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슬리브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슬리브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리브는, 원통 형상의 제2 몸체 부와, 상기 제2 몸체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ㄴ'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ㄴ'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리브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인접하는 부분이 상기 제1 몸체부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절취된 형상을 갖는 제1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리브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2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 결합부와 인접하는 부분이 상기 제2 몸체부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절취된 형상을 갖는 제2 플랜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리브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절취용 슬릿이 형성되는 제1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리브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절취용 슬릿이 형성되는 제2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복합형 슬리브를 이루는 제1 슬리브와 제2 슬리브를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시공 환경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독 슬리브 또는 땅콩 슬리브로 사용될 수 있는 복합형 슬리브를 제공하는 효과가 도모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슬리브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제1 슬리브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2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슬리브(100)는 제1 슬리브(110)와, 제1 슬리브(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리브(120)를 포함한다.
제1 슬리브(110) 및 제2 슬리브(120)의 직경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제1 슬리브(110) 및 제2 슬리브(120)의 직경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제1 배관(이하, 주배관)이 관통하는 제1 슬리브(110)의 직경은 제2 배관(이하, 보조배관)이 관통하는 제2 슬리브(120)의 직경보다 큰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슬리브(110)의 직경을 제2 슬리브(120)의 직경보다 크게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슬리브(110)는 원통 형상의 제1 몸체부(111)와, 제1 몸체부(111)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115)를 포함하며, 제2 슬리브(120)는 원통 형상의 제2 몸체부(121)와, 제2 몸체부(121)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125)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111)는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추후 주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부분이며, 마찬가지로 제2 몸체부(121)는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어, 추후 보조배관이 관통하기 위한 공간을 마련하는 부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결합부(115) 및 제2 결합부(125)는 각각 제1 몸체부(111) 및 제2 몸체부(121)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를 자유롭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결합부(115)는, 제1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ㄴ'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재(115a,115b)를 포함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출부재(115a,115b)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도 3을 참조하면, 제2 결합부(125)는 제2 몸체부(121)의 길이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ㄴ'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재(125a,125b)를 포함하며, 한 쌍의 돌출부재(125a,125b)는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는 각각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115a,115b,125a,125b)에 의하여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제1 슬리브(1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돌출부재(115a,115b)는 제2 슬리브(120)의 슬라이딩시, 제2 슬리브(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일종의 가이드레일의 역할을 함으로써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가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결합부(115)와 제2 결합부(125)는 각각 제1 몸체부(111)와 제2 몸체부(1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제1 슬리브(110)에는 제2 슬리브(120) 이외 제3 슬리브(미도시), 제4 슬리브(미도시) 또는 그 이상의 슬리브(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는바, 시공환경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배관을 관통시킬 수 있는 복합형 슬리브(100)의 제공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결합부(115)는 제1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미도시). 여기서, 단속적이라 함은 제1 결합부(115)가 제1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아니라, 제1 몸체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부분 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제2 결합부(125)의 경우에도 제2 몸체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제1 결합부(115)와 제2 결합부(125)는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 간의 결합력이 저하되지 않는 범위에서 단속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나, 슬라이딩 방식 외에도 상호 결합 가능한 여러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제1 슬리브(110)는 제1 몸체부(111)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는 결합홈(미도시)을 포함하고, 제2 슬리브(120)는 결합홈(미도시)에 대응하여 제2 몸체부(12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돌기(미도시)를 포함함으로써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 간의 결합을 꾀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결합부(115) 및 제2 결합부(125)는 각각 제1 몸체부(111) 및 제2 몸체부(121) 전체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는바(미도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제1 결합부(115) 및 제2 결합부(125)의 실시 태양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슬리브(110)는 제1 결합부(115)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위치 결정 스토퍼(115c)를 더 포함한다.
위치 결정 스토퍼(115c)는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의 결합 위치 를 결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제1 결합부(115)의 돌출부재(115a,115b) 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된다. 제2 슬리브(120)의 슬라이딩시, 제2 결합부(125)는 위치 결정 스토퍼(115c)가 형성된 부분까지만 슬라이딩 될 수 있으므로,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의 결합위치를 간편히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슬리브를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제2 슬리브(130)는 제2 결합부(135)의 상단부에 마련되는 위치 결정 스토퍼(135c)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위치 결정 스토퍼(135c)는 제2 결합부(135)의 돌출부재(135a,135b) 상단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제2 슬리브(130)의 슬라이딩시, 제2 결합부(135)는 위치 결정 스토퍼(135c)가 형성된 부분까지만 슬라이딩 될 수 있으므로,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30)의 결합위치를 간편히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위치 결정 스토퍼(115c,135c)는 각각 제1 슬리브(110) 및 제2 슬리브(130) 모두에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어느 한쪽에만 마련되어도 무방하고, 필요에 따라 없을 수도 있다. 또한, 위치 결정 스토퍼(115c,135c)는 복수 개의 제1 결합부(115) 및 복수 개의 제2 결합부(135) 중 일부에만 마련되어도 무방하며, 본 실시예들과 달리 제2 슬리브(130)를 기준으로 제1 슬리브(110)를 슬라이딩시켜 상호 결합하는 경우에는 제1 슬리브(110)의 제1 결합부(115)의 상단부에 돌출부(미도시)를 마련하고, 제2 슬리브(130)의 제2 결합부(125)의 하단부에 막음부(미도시)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치 결정 스토퍼(115c,135c)의 실시 태양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슬리브(110)는 제1 몸체부(111)의 하단부에서 제1 몸체부(111)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플랜지부(112)를 더 포함하며, 제2 슬리브(120)는 제2 몸체부(121)의 하단부에서 제2 몸체부(121)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플랜지부(122)를 더 포함한다.
제1 플랜지부(112)는 응력집중으로 인한 제1 슬리브(110)의 파손을 막기 위해 제1 몸체부(111)의 하단부로부터 제1 몸체부(111)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몸체부(111)와 마찬가지로 내측부에 중공 형상을 지님으로써 주배관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플랜지부(112)에 있어서 제1 결합부(115)와 인접하는 부분은 제1 몸체부(111)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절취된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의 결합시 결합거리를 좁히기 위함이다. 즉, 제1 슬리브(110)에 삽입되는 주배관과 제2 슬리브(120)에 삽입되는 보조배관은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제1 슬리브(110)의 중심과 제2 슬리브(120)의 중심 간의 거리는 지나치게 벌어져서는 안되며, 배관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정도의 거리만을 지녀야 한다. 제1 플랜지부(112)가 원형 단면만을 갖는 경우에는, 배관 사이의 거리에 정확히 대응하는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의 결합거리를 확보하기 어려우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슬리브(100)는 제1 플랜지부(112)의 형상을 전술한 바와 같이 마련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즉, 주배관과 보조배관의 인접거리를 고려하여, 제1 플랜지부(112)의 제1 결합부(115)와 인접하는 부분에 절취된 형상을 포함시켜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의 결합거리를 확보하도록 한 다.
한편, 제2 플랜지부(122)에 있어서도 제2 결합부(125)와 인접하는 부분은 제2 몸체부(121)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절취된 형상을 갖는데, 이는 제1 플랜지부(112)의 절취된 형상 부분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 플랜지부(112)와 제2 플랜지부(122)에 각각 마련되는 절취된 형상 부분은, 제1 플랜지부(112)와 제2 플랜지부(122)의 외주면 일부를 절취하는 별개의 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의 제작단계에서 미리 마련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1 플랜지부(112)와 제2 플랜지부(122)의 절취된 형상 부분은 각각 제1 결합부(115)와 제2 결합부(125)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마련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슬리브(110)는 제1 몸체부(111)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제1 절취용 슬릿(113a)이 형성되는 제1 덮개(113)를 더 포함하며, 제2 슬리브(120)는 제2 몸체부(121)의 상단부에 마련되며 복수 개의 제2 절취용 슬릿(123a)이 형성되는 제2 덮개(123)를 더 포함한다.
제1 덮개(113)는 제1 몸체부(111)의 상단부에 사출 성형 등의 방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슬리브(110)가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는 경우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제1 몸체부(111)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배관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슬라브를 구성하는 콘크리트의 타설·양생 완료시, 제1 몸체부(111)의 상단부에 마련된 제1 덮개(113)를 절취하고, 주배관을 관통시킴으로써 배관시공이 완료된다. 제1 절취용 슬릿(113a)은 제1 덮 개(113)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됨으로써, 망치 등을 사용하여 제1 덮개(113) 부분을 타격하는 경우 제1 절취용 슬릿(113a)의 형성부위를 따라 간단히 제1 덮개(113)가 절취될 수 있도록 한다. 제2 덮개(123) 및 제2 절취용 슬릿(123a)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제1 덮개(113) 및 제1 절취용 슬릿(113a)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슬리브(110) 및 제2 슬리브(120)는 각각 제1 몸체부(111) 및 제2 몸체부(12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1 슬리브(110) 및 제2 슬리브(12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114,124)를 포함한다.
제1 슬리브(110)는 주배관을 따라 흐르는 오수 등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어 열팽창 및 수축에 의해 강도가 저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보강리브(114)는 제1 슬리브몸체(111)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마련됨으로써 제1 슬리브몸체(11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이는 제2 슬리브(12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플랜지부(112)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체결돌기(112c)와, 못 등의 체결요소(미도시)가 삽입되기 위해 제1 체결돌기(112c)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체결홀(112d)을 포함한다. 다만, 제1 체결돌기(112c)는 제1 슬리브(110)의 고정편의를 위해 추가되는 구성이므로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체결홀(112d)은 제1 플랜지부(112)를 직접 관통하여 형성된다(미도시). 제1 슬리브(110)는 제1 체결홀(112d)을 따라 체결요소를 삽입하고 고정함으로써 거푸집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플랜지부(122)는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체결돌기(122c)와, 못 등의 체결요소(미도시)가 삽입되기 위해 제2 체결돌기(122c)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체결홀(122d)을 포함한다. 제2 체결돌기(122c)와 제2 체결홀(122d)에 관한 사항은 각각 제1 체결돌기(112c)와 제1 체결홀(112d)에 관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제1 슬리브와 제2 슬리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슬리브(120)는 제2 결합부(125)에 마련된 돌출부재(125a,125b) 부분이 제1 결합부(115)에 마련된 돌출부재(115a,115b) 부분에 각각 삽입되어 슬라이딩 됨으로써 제1 슬리브(110)와 결합된다. 이 경우, 제1 결합부(115)의 하단부에 마련되는 위치 결정 스토퍼(115c)에 의하여 제2 슬리브(120)의 슬라이딩 범위가 제한되게 되므로,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의 결합위치를 간편히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랜지부(112) 및 제2 플랜지부(122)의 절취된 형상 부분에 의하여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는 상호 밀착하여 결합된다.
도 5는 도 1의 복합형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건물 건축시 슬라브(S)는 철근콘크리트로 축조되며, 배수용 배관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슬라브(S) 상측 및 하측을 관통하는 공간이 미리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관통 슬리브는, 배관 관통 위치를 고려하여 거푸집의 시공단계에서 미리 설치됨으로써 배수용 배관이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아파트 등과 같은 고층건물은 최상층 세대로부터 최하층 세대를 관통하는 주배관(10)이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세대에서 배출되는 오수(汚染)는 주배관(10)을 따라 흐르고, 정화조로 수집되고, 각 세대의 개수대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수는 각종 연결배관(30)을 따라 흐른 후, 엘보(31) 등의 연결장치를 통해 보조배관(20)으로 유입되며, 주배관(10)으로 유입된 후 정화조로 수집된다. 따라서, 슬라브(S)의 시공시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는 주배관(10) 및 보조배관(2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 슬리브가 미리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종래의 관통 슬리브는 주배관(10)을 관통시키기 위한 큰 직경의 슬리브와 보조배관(20)을 관통시키기 위한 작은 직경의 슬리브를 인접하여 배치시키고, 이를 청테입 등으로 감아 고정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슬리브 상호 간을 결합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땅콩 슬리브는 두 개의 슬리브를 각각 관통하는 두 개의 배관 중 어느 하나의 배관이라도 슬리브와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될 수 없으므로,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의 종류에 대한 적응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땅콩 슬리브는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들의 크기 조합에 따라 별도의 금형을 제작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생산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슬리브(100)는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를 상호 탈착 가능 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시공환경에 적절히 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복합형 슬리브(100)는 주배관(10) 및 보조배관(20)이 동시에 관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슬라브(S) 내부에 매립된다. 슬라브(S)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에 고정되는 복합형 슬리브(100)는, 제1 결합부(115)와 제2 결합부(125)를 통해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를 결합시키며, 제1 체결홀(112d) 및 제2 체결홀(122d)을 따라 못 등의 체결요소를 삽입함으로써 거푸집에 고정된다.
복합형 슬리브(100)를 거푸집에 고정한 뒤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S)를 축조하고, 망치 등을 사용하여 제1 덮개(113)와 제2 덮개(123)를 제거한 후 주배관(10)과 보조배관(20)을 관통시킴으로써 배관공사가 완료되게 된다.
본 고안의 복합형 슬리브(100)는, 복합형 슬리브(100)를 이루는 제1 슬리브(110)와 제2 슬리브(120)를 상호 탈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시공 환경에 부응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단독 슬리브 또는 땅콩 슬리브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도모된다.
앞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형 슬리브의 제1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합형 슬리브의 제2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복합형 슬리브의 제1 슬리브와 제2 슬리브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복합형 슬리브의 개략적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형 슬리브의 제2 슬리브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합형 슬리브 110 : 제1 슬리브
111 : 제1 몸체부 112 : 제1 플랜지부
112c : 제1 체결돌기 112d : 제1 체결홀
113 : 제1 덮개 113a : 제1 절취용 슬릿
114 : 보강리브 115 : 제1 결합부
115a, 115b : 돌출부재 115c, 135c : 위치 결정 스토퍼
120, 130 : 제2 슬리브 121, 131 : 제2 몸체부
122 : 제2 플랜지부 122c : 제2 체결돌기
122d : 제2 체결홀 123 : 제2 덮개
123a : 제2 절취용 슬릿 124 : 보강리브
125 : 제2 결합부 10 : 주배관
125a, 125b, 135a, 135b : 돌출부재 20 : 보조배관
30 : 연결배관 31 : 엘보
S : 슬라브

Claims (9)

  1. 원통 형상의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몸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제1 배관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슬리브; 및
    원통 형상의 제2 몸체부와, 상기 제2 몸체부에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를 구비하며, 제2 배관이 관통하는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슬리브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스토퍼가 마련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슬리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슬리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ㄴ'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며 'ㄴ'자형 단면을 갖는 한 쌍의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슬리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슬리브.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는,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1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인접하는 부분이 상기 제1 몸체부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절취된 형상을 갖는 제1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리브는,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부에서 상기 제2 몸체부의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2 결합부와 인접하는 부분이 상기 제2 몸체부의 접선 방향을 따라 절취된 형상을 갖는 제2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슬리브.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리브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제1 몸체부의 내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절취용 슬릿이 형성되는 제1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슬리브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콘크리트 타설시 상기 제2 몸체부의 내부로 콘크리트의 유입을 차단하되, 가장자리에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절취용 슬릿이 형성되는 제2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슬리브.
KR2020080007764U 2008-06-11 2008-06-11 복합형 슬리브 KR200451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764U KR200451396Y1 (ko) 2008-06-11 2008-06-11 복합형 슬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764U KR200451396Y1 (ko) 2008-06-11 2008-06-11 복합형 슬리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93U KR20090012793U (ko) 2009-12-16
KR200451396Y1 true KR200451396Y1 (ko) 2010-12-13

Family

ID=4447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764U KR200451396Y1 (ko) 2008-06-11 2008-06-11 복합형 슬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39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82U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28Y1 (ko) * 2010-03-26 2012-03-21 원승호 배관의 긴밀한 고정을 위한 씽크관통슬리브 덮개
KR101325966B1 (ko) * 2012-02-24 2013-11-07 신홍진기업주식회사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KR102532847B1 (ko) * 2017-06-07 2023-05-1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용 파우셋
CN109837809A (zh) * 2019-03-07 2019-06-04 江苏振华轨道交通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隔振器外套筒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194Y1 (ko) * 2003-11-07 2004-03-10 장명수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KR200346948Y1 (ko) * 2004-01-15 2004-04-01 주식회사 리텍 배수관 고정슬리브
KR100566931B1 (ko) * 2004-03-09 2006-04-07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상수 파이프 고정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194Y1 (ko) * 2003-11-07 2004-03-10 장명수 다층식 구조로 된 건축물의 배관 고정 슬리브
KR200346948Y1 (ko) * 2004-01-15 2004-04-01 주식회사 리텍 배수관 고정슬리브
KR100566931B1 (ko) * 2004-03-09 2006-04-07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상수 파이프 고정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082U (ko) * 2018-07-02 2020-01-10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KR200491718Y1 (ko) 2018-07-02 2020-05-25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단차 보상형 이중관통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93U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396Y1 (ko) 복합형 슬리브
US9228346B2 (en) Supporting element for pipes in buildings and application method of a pipe supporting element in a flagstone
US9441367B2 (en) Supporting element for pipes in buildings and application method of a pipe supporting element in a flagstone
KR100500913B1 (ko) Grp 맨홀구조 및 grp 맨홀의 본체와 연결관의제조공정
RU2376427C2 (ru) Система подключения оболочки к выходу плиты
KR20070122190A (ko) 배수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200449740Y1 (ko) 건물 옥상의 편심 루프 드레인
KR101301626B1 (ko) 배수트렌치
KR20039442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KR102278060B1 (ko) 설비배관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홈이 형성된 경량기포 콘크리트 블록
KR100634759B1 (ko)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KR100642983B1 (ko) 매립형 트렌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바닥 시공방법
KR200378341Y1 (ko) Grp 맨홀구조
KR200346948Y1 (ko) 배수관 고정슬리브
KR200369209Y1 (ko) 배수관 고정 슬리브의 개선구조
JP3134664U (ja) U字溝などのコンクリート型枠への排水管接続用継手
KR200372042Y1 (ko) 배수트렌치 구조
KR101999248B1 (ko) 기포 콘크리트층 배수 배관 실링구조
KR20060029830A (ko) 배수트렌치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200229362Y1 (ko) 건축물의 벽체시공용 온수난방관 관통 슬리브
KR200314409Y1 (ko) 바닥용 복합 패널
KR100684059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200262467Y1 (ko)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
KR200456309Y1 (ko) 관통 슬리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