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2467Y1 -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 - Google Patents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2467Y1
KR200262467Y1 KR2020010026783U KR20010026783U KR200262467Y1 KR 200262467 Y1 KR200262467 Y1 KR 200262467Y1 KR 2020010026783 U KR2020010026783 U KR 2020010026783U KR 20010026783 U KR20010026783 U KR 20010026783U KR 200262467 Y1 KR200262467 Y1 KR 200262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interior material
pair
sides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영
Original Assignee
김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영 filed Critical 김길영
Priority to KR2020010026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24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2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2467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데 있어 규격화된 단위 구조체를 이용하여 단 한번의 간단한 정밀 시공으로도 벽체로서의 구조와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은, 가로와 세로와 폭을 갖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내장재와,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볼록돌기가 일면에 다수개 형성된 벽판부와 상기 내장재의 세 측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벽판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벽판부의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함입된 측벽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장재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 외체와, 양측을 감싸는 상기 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내장재의 통공으로 유동성 모르타르가 주입 양생되어 상기 내장재와 한 쌍의 외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격자형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벽체 시공에 있어서의 균일성, 벽체 종횡방향의 수평 및 수직상태 우수성, 견고성과 유연성, 경량화, 방음 및 단열효과, 공정시간 단축 및 건축폐기물 발생감소 효과 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Heat insulating and soundproof light weight block brick and wall thereby}
본 고안은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데 있어 규격화된 단위 구조체로 벽체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과 이를 구비한 벽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축중이거나 계획중인 대부분의 건축물은 형성된 내부공간을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구획 정리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러한 건축물 내부공간의 구획 정리에는 대부분 영구적인 벽체 시공이 일반적으로 수반되기 마련인데, 일반적으로 벽체 시공에 이용되는 건축자재로는 시멘트 벽돌이 채택되는 바 통상 벽체 시공은 이 시멘트 벽돌에 의한 조적 시공이 대부분 시행되어 건축물의 내부공간 구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시멘트 벽돌로 구축된 벽체는 벽체의 표면을 일차적으로 매끈하게 다듬는 시멘트 모르타르 미장공정과, 미장 마감된 표면 위를 벽지나 페인트 등과 같은 기능적 마감재로 처리하는 표면처리공정을 거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목적에 따라 상기 미장공정이 생략되고 석고보드, 합판, 타일 등과 같은 마감 전문자재로 벽체의 표면을 직접 처리하는 공정을 거치기도 한다.
만약, 시멘트 벽돌로 구축된 벽체가 주택의 화장실 공간을 위한 것이라면 외부 벽체의 표면은 대부분 모르타르 미장 마감 후 벽지를 바름으로써 완성되나, 내부는 일차적으로 생활용수 및 전선 인입용 배관들을 매설하기 위한 홈파기, 배관, 고정 공정 후, 이차적으로 방수처리공정을 거치며, 삼차적으로 타일과 같은 마감재를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그러나,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은 기존의 시멘트 벽돌에 의한 벽체 시공은 단계적으로 시행되는 공정과 각 공정간의 유기적 연계관계에 따른 다수의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으므로 이를 보다 상세히 언급해 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 적용되는 시멘트 벽돌에 의한 벽체 시공을 분야별로 세분화된 기능공의 투입단계를 기준으로 다시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벽돌 조적공들을 통해 현장에 반입된 시멘트 벽돌을 설계대로 지정된 위치에 조적 축조하는 제 1 단계, 전기공들을 통해 벽체 외벽 표면에 지정된 위치를 홈파기하여 전선 인입용 전선관을 배관하고, 조명 기구나 스위치 함 등을 설치하는 제 2 단계, 위생난방 배관공을 통해 필요한 배관을 벽체 내부에 매설하기 위하여 벽체를 쪼아내는 형식으로 내벽의 표시된 위치를 홈파기하여 배관 후 고정하는 제 3 단계, 미장공들을 통해 벽체의 외벽을 모르타르 미장 마감하고, 용도에 따라 마감자재가 부착되는 제 4 단계, 방수처리공들을 통해 일정 수준의 높이까지 내부 사방 벽면과 바닥 전체가 방수 처리되는 제 5 단계, 내부 사방 벽면과 바닥면 전체를 선정된 타일로 마감 처리하는 제 6 단계로나뉘어질 수 있다.
즉, 기존의 시멘트 벽돌로 구축된 벽체 시공은 이와 같이 대략 6종의 단종 면허 시공회사가 분야별로 벽체 축조에 각자의 기능인력을 투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 바, 현장의 공정 순서상 선행자가 뒤따르는 시공자를 염두에 두고 자기 분야 작업 공정의 비능률을 감수하면서까지 작업을 꼼꼼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밖에 없으므로, 기존 벽체는 벽체 시공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는 문제점이 있는 한편, 작업이 완료된 후의 현장은 정리정돈 상태가 매우 불량하여 때로는 뒤처리를 위한 인력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즉, 상기한 문제점을 보다 면밀히 검토하여 정리해 보면,
첫째, 시멘트 벽돌로 이미 구축된 벽체는 배관 등을 위한 홈파기 단계 중에 상당량의 건축폐기물을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발생된 건축폐기물은 작업현장의 정리정돈 상태의 불량과 뒤처리를 위한 부득이한 인력 소모를 야기하는 요인이 되는 한편, 이를 다른 관점에서 본다면 벽체 구축에 소요된 상당량의 모르타르 손실로도 판단해 볼 수 있다.둘째, 배관 공정 중 시행되는 홈파기 과정은 예컨대 정으로 쪼아서 시행하는 것과 같은 인위적인 작업에 의한 부정확한 공정이 시행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과정 중에 발생된 오차는 다시금 상기한 제 4 단계인 모르타르 미장 마감단계를 진행할 때 벽체 표면에 노출된 모든 흠집과 불균형을 최대한 정리 교정해야 하는 비능률을 떠넘겨 주는 요인으로도 작용하며, 이는 미장공의 숙련도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기는 하나 미장시의 정리 교정에 따른 세심한 주의를 요하는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불필요한 벽체 두께의 증가 및 부하 하중의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셋째, 상기한 제 5 단계와 제 6단계에 해당되는 방수처리 공정과 타일 마감공정 역시 벽체의 표면 불균일 정도에 따라 보다 세심한 작업을 시행해야 하므로, 이 과정에서도 시간과 인력이 비효율적으로 소모되고, 특히 벽체의 불균형 정도에 따라 타일자재의 낭비를 초래하기 쉽다.결국, 이러한 문제점들은 각 공정간 기능공들의 작업수행 태도에 기인한 것이라기 보다는 시멘트 벽돌로 구축된 벽체 자체에 기인한 문제점이라고 판단해 볼 수 있겠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데 있어 규격화된 단위 구조체를 이용하여 단 한번의 간단한 정밀 시공으로도 벽체로서의 구조와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체 시공단계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벽체 시공에 따른 불필요한 인력이 소요되지 않으며, 시공 과정 중에서 발생되는 건축폐기물로 인한 정리정돈 및 자재낭비를 방지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 벽체 시공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코너용 블록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을 구비한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벽체 내부에 형성된 격자형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이격공간 10, 41: 내장재
11, 12, 13, 42: 통공 20, 30: 외체
21, 31, 42, 43: 벽판부 21a, 21b: 볼록돌기
22, 23, 24, 32, 34, 43a, 43b, 44a, 44b: 측벽부
40: 코너용 블록벽돌 50: 격자형 구조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은, 가로와 세로와 폭을 갖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내장재와,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볼록돌기가 일면에 다수개 형성된 벽판부와 상기 내장재의 세 측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벽판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벽판부의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함입된 측벽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장재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 외체와, 양측을 감싸는 상기 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내장재의 통공으로 유동성 모르타르가 주입 양생되어 상기 내장재와 한 쌍의 외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격자형 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장재는, 단열성과 흡음성을 부여하고 하중을 경량화할 수 있는 스티로폼일 수 있다.한편, 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을 구비한 벽체는 가로와 세로와 폭을 갖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내장재와,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볼록돌기가 일면에 다수개 형성된 벽판부와 상기 내장재의 세 측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벽판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벽판부의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함입된 측벽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장재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 외체와, 양측을 감싸는 상기 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내장재의 통공으로 유동성 모르타르가 주입 양생되어 상기 내장재와 한 쌍의 외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격자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블록벽돌 다수개가 사방으로 적층되되, 하나의 상기 블록벽돌의 측벽부와 그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블록벽돌의 측벽부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는 유동성 모르타르가 주입되어 다수개 적층된 상기 블록 벽돌들이 상호 결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은 내장재(10)와 외체(20, 30)가 격자형 구조체를 통해 상호 결속되어 이루어진 단위 구조체인 것이 특징이다.내장재(10)는, 블록벽돌의 내부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가로, 세로 및 높이를 갖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며, 특히 내장재(10)에는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다.통공은, 후술하게 될 격자형 구조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빈 공간 역할을 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가로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한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12), 세로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한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11), 폭 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한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13) 등 세 가지 형태의 통공이 내장재의 소정 부위마다 적절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통공이 이와 같이 세분화될수록 후술하게 될 격자형 구조체는 보다 치밀한 구조를 갖추게 된다.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내장재(10)로는 스티로폼(styrofoam, 발포 폴리스티렌)이 채택될 수 있으며, 블록벽돌 전체 체적의 대략 70%를 차지하는 스티로폼재 내장재는 블록벽돌의 경량화에 기여함과 아울러 재료의 단열성과 흡음성으로 차음, 흡음등의 방음효과와 보온 등의 단열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외체(20)는, 벽판부(21)와 측벽부(22)로 이루어져 내장재(10)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어 포개어지는 구성이다.벽판부(21)는, 블록벽돌의 벽면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특히 그 일면에는 내장재(10)의 통공에 삽입되는 볼록돌기(21a)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측벽부(22)는, 내장재(10)의 세 측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벽판부(21)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특히 측벽부(22)는 벽판부(21)의 중앙으로 오목하게 함입되는 구조를 이룬다.결국, 내장재(10)는 벽판부(21)와 측벽부(22)로 이루어져 양측에서 마주보며 포개어지는 한 쌍의 외체(20, 3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되, 일면만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면상으로는 세로방향과 수직하게 위치한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11)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외체(20, 30)는 고강도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고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격자형 구조체는, 도 1에 인접한 구성들과의 도면상 구분을 위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5에 도시된 격자형 구조체(50)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어질 수 있다.격자형 구조체는, 양측을 감싸는 외체(20, 30)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내장재(10)의 통공(11)으로 유동성 모르타르가 주입 양생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상기 내장재(10)와 한 쌍의 외체(20, 30)를 상호 결속시키는 구성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블록벽돌은 최종적으로 내장재(10)의 통공(11)에 유동성 모르타르가 주입되어 굳어지면서 내장재(10)와 외체(20, 30)가 상호 결속되어 하나의 단위 구조체로서 완성되어지는 것이다.경우에 따라서는 유동성 모르타르가 외부로 노출된 내장재의 일면까지 덮은 상태로 굳어져 내장재가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도 3은 코너용 블록벽돌을 나타낸 사시도이다.다음으로, 단위 구조체인 블록벽돌이 벽체를 이루게 될 경우 코너 부근을 이루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코너용 블록벽돌(40)을 설명한다.도 3은 벽체를 구성할 경우 예상되는 코너 부근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내장재(41)와 외체(43, 44)의 형상에 변화를 준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블록벽돌의 변형예로도 이해될 수 있다.그러나,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코너용 블록벽돌(40)은 도 1에 도시된 블록벽돌과 비교하여 외관상 형상이 다를 뿐 통공(42)이 형성된 내장재(41), 볼록돌기가 형성된 벽판부(43, 44)와 벽판부(43, 44) 중앙으로 오목하게 함입된 측판부(43a, 43b, 44a, 44b)로 이루어진 한 쌍의 외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블록벽돌을 만족시키기 위한 기본 구성은 상호 동일하게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하 이와 관련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물론, 도 3 역시 인접한 구성들과의 도면상 구분을 위하여 격자형 구조체는 도시되지 않았다.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을 구비한 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벽체 내부에 형성된 격자형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이어, 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을 구비한 벽체를 설명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장재와 외체가 격자형 구조체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이루어진 블록벽돌은 다수개가 사방으로 상호 적층되어 건축물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하나의 벽체를 이루게 되며, 특히 벽체는 블록벽돌의 측벽부 간에 형성된 이격공간을 통해 2차적으로 주입된 유동성 모르타르가 각각의 블록벽돌 간에 형성된 격자형 구조체를 재차 결속시켜 다수개의 블록벽돌이 상호 결속된 것이 특징이다.이하에서는, 설명편의상 본 고안에 따른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을 구비한 벽체를 제작단계에 입각한 시계열적인 관점에서 설명하기로 한다.블록벽돌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상하좌우 사방으로 다수개가 적층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블록벽돌 간에 실리콘 등과 같은 다양한 접착제가 도포되어 보다 용이하고도 정밀하게 조적될 수 있다.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상호 인접한 블록벽돌 간에는 오목한 측벽부와 측벽부 사이에 빈 공간, 즉 이격공간(1)이 형성될 것이며 이 이격공간(1)에는 이들을 상호 결속시키기 위한 유동성이 강화된 조강성 모르타르가 주입된다. 그러면 적층된 블록 벽돌 간에는 이격공간(1) 뿐만 아니라 내장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11)에도 유동성 모르타르가 흘러들어간 상태인 바, 유동성 모르타르의 주입이 마무리된 후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격자형 구조체(50)가 벽체 내부에서 소위 뼈대를 구성하고 있는 구조로 나타나게 된다.즉, 본 고안에 따른 블록벽돌에 있어서 격자형 구조체는 내장재와 한 쌍의 외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구성이 되는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벽체에 있어서 격자형 구조체(50)는 외체의 벽판부(21, 31) 일면에 다수개 형성된 볼록돌기와 측벽부(24, 34), 그리고 내장재(10)에 형성된 통공(11)과 이격공간(1)에 주입되어 양생된 유동성 모르타르의 결정체로서 최종적으로 벽체 전체의 뼈대를 이루게 되는 구성이 되기도 한다.결국, 볼록돌기는 주입된 유동성 모르타르를 통해 한 쌍의 외체 상호간을 결속시키는 연결고리 기능과 조적된 블록벽돌 간에 발생되는 부하에 견디도록 하는 받침기둥 기능도 하게 된다고 판단해 볼 수 있으며, 인접한 측벽부와 측벽부가 형성시킨 이격공간(1)은 벽체 내부로의 전선 인입시 전선 인입관의 매설 공간으로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해볼 수 있다.그리고, 이때 격자형 구조체(50)를 균형감 있게 형성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내장재의 일면, 즉 외체의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은 노출된 일면은 측벽부의 함입된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입된 형태를 이루는 것도 바람직하며, 또한 내장재 자체가 일정한 대칭구조를 갖도록 하는 차원에서는 상기한 노출된 일면을 포함한 사방 테두리를 이루는 면들이 모두 측벽부의 형상과 동일한 함입된 형태를 이루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한편, 격자형 구조체(50)는 벽체의 구조강도와도 직결되는 구성이므로 벽체의 구조 강도 보강이 보다 더 추가적으로 요구될 경우가 예상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강도 보강용으로 적정 굵기의 철근을 이격공간 내지는 통공에 적절히 엮어 삽입하고 이에 유동성 모르타르를 주입하면 벽체의 강도 보강을 보다 손쉽게 이루어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첫째, 품질이 균일하고 매끈하며 규격화된 단위 구조체의 특성상 벽체 종횡방향의 수평 및 수직상태를 우수하게 보장해 주는 효과가 있어, 벽체 시공에 수반되는 미장마감이나 마감재 처리단계를 간편하게 시행하거나 혹은 생략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블록벽돌의 내부에 내장되는 내장재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은 유동성 모르타르의 주입으로 견고한 격자형 구조체가 형성되도록 하므로, 기존의 시멘트 벽돌로 이루어진 벽체가 가지는 장점인 견고성과 유연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한편, 벽체 내부에 설치되는 배관, 전선관, 스위치 함 등과 같은 기능적인 장치를 매설하는 데에도 하등의 문제가 없다.셋째, 전체 체적의 대략 70%에 해당되는 내장재는 상기와 같은 구조적 견고성을 유지하면서도 제품의 경량화에 기여하는 바, 작업자가 이를 운반하여 설치하기에 매우 편리하고, 역학적(力學的)인 관점에서 판단하여 보더라도 부하하중의 경감으로 인하여 시공된 건축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특히 건축된 지 20년 이상 된 중대형 고층아파트가 재건축(remodeling) 형태로 개조될 경우에 본 고안이 적용된다면 노후된 건축물의 안정성과 내구성 향상을 보장할 수 있는 획기적인 고안품이 될 수 있다.넷째, 본 고안에 있어서의 내장재는 예컨대 내장재로 스티로폼이 채택될 경우 차음, 흡음 등의 방음효과와 보온 등의 단열효과를 발휘하여, 방음 및 단열을 위하여 부차적으로 수반되는 시공단계를 요하지 않으며 벽체 구축을 통한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다섯째, 단일화된 구조체인 블록벽돌은 단 한번의 정밀 시공으로 벽체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하여 주므로, 공정시간을 단축시키고 건축폐기물 발생을 대폭 감소시키며 현장의 작업환경도 크게 개선시켜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3)

  1. 가로와 세로와 폭을 갖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내장재;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볼록돌기가 일면에 다수개 형성된 벽판부와, 상기 내장재의 세 측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벽판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벽판부의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함입된 측벽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장재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 외체; 및
    양측을 감싸는 상기 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내장재의 통공으로 유동성 모르타르가 주입 양생되어 상기 내장재와 한 쌍의 외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격자형 구조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장재는, 단열성과 흡음성을 부여하고 하중을 경량화할 수 있는 스티로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3. 가로와 세로와 폭을 갖는 육면체로 이루어지되 일면과 그 대향된 면을 관통하는 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내장재와, 상기 통공에 삽입되는 볼록돌기가 일면에 다수개 형성된 벽판부와 상기 내장재의 세 측면이 외부로부터 차단되도록 상기 벽판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벽판부의 중앙을 향해 오목하게 함입된 측벽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장재의 양측에 각각 한 쌍이 구비되는 외체와, 양측을 감싸는 상기 외체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상기 내장재의 통공으로 유동성 모르타르가 주입 양생되어 상기 내장재와 한 쌍의 외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격자형 구조체를 포함하는 블록벽돌 다수개가 사방으로 적층되되,
    하나의 상기 블록벽돌의 측벽부와 그 인접한 다른 하나의 상기 블록벽돌의 측벽부 사이에 형성된 빈 공간에는 유동성 모르타르가 주입되어 다수개 적층된 상기 블록 벽돌들이 상호 결속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을 구비한 벽체.
KR2020010026783U 2001-09-01 2001-09-01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 KR200262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783U KR200262467Y1 (ko) 2001-09-01 2001-09-01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783U KR200262467Y1 (ko) 2001-09-01 2001-09-01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2467Y1 true KR200262467Y1 (ko) 2002-03-18

Family

ID=7310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783U KR200262467Y1 (ko) 2001-09-01 2001-09-01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24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900A (ko) * 2001-11-12 2001-12-07 양효근 건축용 자재 보온 방음 골판넬과 원형 블록의 단열재형성방법
KR20020075832A (ko) * 2002-08-16 2002-10-07 양효근 종이 벽돌과 방음 단열판 판넬 형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7900A (ko) * 2001-11-12 2001-12-07 양효근 건축용 자재 보온 방음 골판넬과 원형 블록의 단열재형성방법
KR20020075832A (ko) * 2002-08-16 2002-10-07 양효근 종이 벽돌과 방음 단열판 판넬 형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368B1 (ko)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CN111801472A (zh) 模块以及用于制造模块、建筑物墙壁和建筑物的方法
RU2459913C2 (ru) Комплект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одсевалова в.в.
KR101370163B1 (ko)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KR200262467Y1 (ko) 방음 단열 경량 블록벽돌 및 이를 구비한 벽체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RU16544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950001912B1 (ko) 단열방음 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16713487U (zh) 一种内模板墙体系统
RU2305158C2 (ru)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CN114319655A (zh) 一种内模板墙体系统
RU2732741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ногоэтажного здания с энергосберегающими многослойными стенами
EP1669503A1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modular shuttering method
RU62949U1 (ru) Комплект опалубки
Kozlovská Modern methods of construction vs. construction waste
KR20100018923A (ko) 건축용 조립식 보온 벽돌 세트의 형성방법
ITVE20090027A1 (it) Pannello in materiale polimerico a bassa densità autoportante per la realizzazione di pareti e relativo procedimento.
RU78834U1 (ru) Модуль строительный
CN213710347U (zh) 一种预制墙体模板节点结构
RU2792725C1 (ru)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ая фасадная
WO2009147509A2 (en) Method for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of walls and panel walls, in particular made of simple- or reinforced-concrete conglomerate
KR20120006263A (ko) 벽체 시공방법
RU2334064C1 (ru) Комплект опалубки
CN107152114B (zh) 一种装配式免降板同层排水楼盖体系及其施工方法
US20240060294A1 (en) Masonr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