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벽체거푸집을 구성하고, 상기 벽체거푸집에 타설되는 채움재와 일체(一體)로 벽체를 구성하는 영구거푸집에서, 사각판재로서, 전면은 실내 또는 실외에 노출되고 후면에는 채움재가 타설되도록 대향 배치되는 2장의 단위패널; 상기 단위패널의 테두리를 감싸고 상하단과 양측단에 각각 연결부가 구비된 패널프레임과 상기 패널프레임의 각 꼭지점에서 상기 단위패널의 후면쪽으로 수직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된 2개의 프레임부; 및 양단에서 상기 프레임부 연결프레임과 각각 끼움결합하는 4개의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을 제공한다.
이하, 도시된 각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a 및 도1b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의 제1실시예(100a)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의 제2실시예(100b)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제1실시예(100a)는 2장의 단위패널(110), 2개의 프레임부(120) 및 4개의 커넥터(130)로 구성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으로서,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벽체(벽면)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는 기본 유닛고, 도2에 도시된 제2실시예(100b)는 상기 단위패널(110)과 프레임부(120)가 일체로 사출성형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단위패널(110)은 거푸집널로 이용되는 사각의 판재로서, 전면은 실내 또는 실외에 노출되는 면이고, 후면은 시멘트모르타르, 콘크리트 등의 채움재(200)가 타설되는 면이다. 상기 단위패널(110)은 목재, 강판, 알루미늄판, 강화 플라스틱판 등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가로 및 세로 사이즈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20)는 상기 단위패널(110)의 테두리를 감싸고 상하단과 양측단에 각각 연결부가 구비된 패널프레임(121)과 상기 패널프레임(121)의 각 꼭지점에서 상기 단위패널(110)의 후면쪽으로 수직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프레임(122)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부(120)의 패널프레임(121) 및 연결프레임(122)은 패널프레임(121)과 연결프레임(122)의 연결, 패널프레임(121)과 단위패널(110)의 연결, 패널프레임(121) 상호간의 연결 등의 연결성을 고려할 때 상기 프레임부(120)를 구성하는 부재는 직각앵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20)의 패널프레임(121)에 구비된 연결부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하여 상호 끼움결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130)는 양단에서 상기 2개의 프레임부 연결프레임(122)과 각각 끼움결합하는 부재로서, 상기 커넥터(13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4는 상기 단위패널(110)과 프레임부의 패널프레임(121)이 일체로 사출성형된 것으로서, 상기 패널프레임(121) 모서리의 연결프레임(122)과 상기 커넥터(130)의 결합 이외에도, 중앙 연결프레임(140)과 중앙 커넥터(150)을 통해 구성요소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중앙 연결프레임(140)과 중앙 커넥터(150) 및 도4에 도시된 방사형 보강리브(115)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3은 단위패널(110)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5는 상기 단위패널(110), 프레임부(120) 및 상기 커넥터(130)의 결합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단위패널과(110) 상기 프레임부(12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체화된 상태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위패널(110)과 프레임부(120)의 결합방법은 상기 패널프 레임(121)의 후면에 접착제를 발라 상기 패널프레임(121)을 마감패널(110)의 전면 테두리에 부착시키는 방법, 외주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상기 패널프레임(121)과 마감패널을 관통시킨 후 너트로 고정하는 방법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도3에서는 상기 단위패널(110)의 전면은 상기 프레임부(120)의 패널프레임(121)과 단차없이 평평하게 연속되고, 후면은 상기 패널프레임(121)과 접하는 연장부(112)가 더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와 상기 패널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예를 도시하였다. 도3에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 단위패널(110)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연장부) 간에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는 패널프레임(121)의 두께와 같게 된다. 이 때, 상기 단위패널 연장부(112)에 다수개의 체결공(113a)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부(120) 패널프레임(121)에는 상기 체결공(113a)에 끼워지는 결합돌기(125a)를 형성하여 상기 결합돌기(125a)에 의해 상기 단위패널(110)이 상기 프레임부 패널프레임(121)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거나, 상기 단위패널 연장부(112)에 일정길이의 라인홀(113b)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부 패널프레임(110에는 상기 라인홀(113b)에 끼워지는 결합턱(125b)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턱(125b)에 의해 상기 단위패널(110)이 상기 프레임부 패널프레임(121)에 결합, 고정되도록 하여 실내 또는 실외에 노출되는 단위패널 전면부가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패널(110)은 후면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를 구비하여 콘크리트 등의 채움재(200)가 타설, 양생될 때의 측압에 대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위패널의 보강리브는 상기 단위패널의 무게중심을 중심점으로 하는 방사형 보강리브(115)로 구성할 수 있다. 도2 및 도4에서는 방사형 보강리브(115)가 형성된 단위패널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밖에도,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은 상기 단위패널(110)에는 상기 방사형 보강리브(115)의 중심점에서 상기 단위패널(110)의 후면쪽으로 수직 연장된 중앙 연결프레임(140) 및 양단에서 상기 중앙 연결프레임(140)과 각각 끼움결합하는 중앙 커넥터(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앙 연결프레임(140)과 중앙 커넥터(150)간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의 전체적인 결속력은 더욱 견고질 것은 자명하고, 아울러 콘크리트 등의 채움재(200)를 타설, 양생 과정에서는 채움재의 측압으로부터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이 전후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채움재(200)가 굳은 후에는 철근과 같이 벽체의 구조물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6은 통공부(116)가 형성된 단위패널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위패널(110)에는 배선 또는 배관을 위한 통공부(116)를 형성시켜 전선 배치, 조명기구 스위치 단자함 설치, 가스설비, 수도설비, 인터넷 설비 등을 미리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벽체를 구성하는 채움재(200)가 주입되기 전에 위와 같은 각종 설비를 미리 설치할 때는 설계도면을 정확히 반영할 수 있고, 작업난이도를 낮추고 작업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 연결프레임(122)과 커넥터(13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122)의 단부에는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130)에는 상기 연결프레임 단부에 대응하는 삽입공(131)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프레임(122)과 상기 커넥터(130)가 단차없이 끼움결합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은 다수개를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벽체거푸집으로 조립하는 것이므로 상기 연결프레임(122)과 상기 커넥터(130)를 연결한 상태에서 단차가 발생하거나 기타 결합수단에 의한 돌출물이 있다면 상기 조립식 영구거푸집을 밀착연결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에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프레임(122)과 상기 커넥터(130)를 연결한 상태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수단은 도8에 도시되어 있다. 도8은 걸림돌기(127) 걸림홈(132)에 의해 연결프레임(122)과 커넥터(130)가 결합, 고정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8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연결프레임(122)의 단부에는 걸림돌기(12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130)의 외면에는 상기 삽입공(131)과 연속된 걸림홈(132)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연결프레임(122)과 상기 커넥터(130)가 끼움결합할 때 상기 걸림돌기(127)가 상기 걸림홈(132)에 채워지며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 벽체 설치 장소에 필요한 성능을 고려하여 상기 단위패널(110) 전면에는 단열재, 방음재, 방수재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중간층을 구비하고, 상기 중간층을 덮는 마감층을 더 구비하여 한 번의 시공으로 단열재 설치 등과 마감작업 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하로 연결하여 벽체모서리 부위의 거푸집을 구성하고, 상기 벽체모서리 부위의 거푸집에 타설되는 채움재와 일체(一體)로 벽체를 구성하는 영구거푸집에서, 사각판재로서, 전면은 실내 또는 실외에 노출되고 후면에는 채움재가 타설되도록 벽체의 외측모서리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2장의 외측면 단위패널; 벽체의 외측모서리에 접하고 상기 2장의 외벽 단위패널의 테두리를 감싸며, 상하단과 양측단에 각각 연결부가 구비된 패널프레임과 상기 패널프레임의 양측단 꼭지점에서 상기 외벽 단위패널의 후면쪽으로 수직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된 외측 프레임부; 사각판재로서, 전면은 실내 또는 실외에 노출되고 후면에는 채움재가 타설되도록 벽체의 내측코너를 기준으로 직각으로 배치되는 2장의 내측면 단위패널; 벽체의 내측코너에 접하고 상기 2장의 내벽 단위패널의 테두리를 감싸며, 상하단과 양측단에 각각 연결부가 구비된 패널프레임과 상기 패널프레임의 양측단 꼭지점에서 상기 내벽 단위패널의 후면쪽으로 수직 연장되어 일정 길이를 갖는 연결프레임으로 구성된 내측 프레임부; 및 일단은 상기 외측 프레임부 연결프레임과 끼움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내측 프레임부 연결프레임과 끼움결합하는 4개의 커넥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을 제공한다.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모서리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의 제1 실시예(100c)를 도시한 것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모서리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의 제2실시예(100d)를 도시한 것이다. 도9a 및 도9b에 도시된 실시예는 2장의 외측면 단위패널(110a), 외측 프레임부(120a), 2장의 내측면 단위패널(110b), 내측 프레임부(120b) 및 4개의 커넥터(130)로 구성된 유닛으로서, 상하로 연결하여 벽체모서리 부위의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고, 도10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외측면 단위패널(110a) 및 상기 외측 프레임부(120a), 상기 내측면 단위패널(110b) 및 상기 내측 프레임부(120b)가 각각 일체로 사출성형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벽체모서리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c, 100d)의 각 구성요소는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에 대응하여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벽체모서리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c, 100d)은 전체적인 형상면에서는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과 차이가 있으나, 상기 외측면 단위패널(110a)과 상기 내측면 단위패널(110b)은 상기 단위패널(110)에 대응하고, 상기 외측 프레임부(120a)와 내측 프레임부(120b)는 상기 프레임부(120)에 대응시켜 이해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130)는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과 상기 벽체모서리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c, 100d)간에 차이가 없다.
본 발명은 또한 위와 같은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을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을 함께 제공한다.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을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은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 다수개를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벽체거푸집을 조립하는 제1공정; 및 상기 벽체거푸집에 채움재(200)를 타설, 양생하는 제2공정; 을 포함한다.(도11 참조)
상기 벽체는 상하 또는 좌우의 가장자리 면이 건축물의 구조물(슬래브, 기둥 또는 벽면)과 접하여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타 구조물과의 연결 없는 벽체를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채움재(200)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 시멘트모르타르, 황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정에서 벽체모서리 부위에 상기 모서리용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c, 100d) 다수개를 상하로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써 벽체를 직각으로 연결시킬 수도 있다.
건축물의 벽체, 슬래브 등의 건축물 구조체와 연속되는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상기 제1공정에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집(100a, 100b)이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접하는 부위에 방음소재를 부착, 고정시키는 작업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상하층간의 음교현상 및 울림현상을 개선할 수 있고 좌우실간의 방음(흡음 및 차음)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공정에서 상기 벽면용 조립식 영구거푸 집(100a, 100b) 내부에 보강철근을 배근하는 작업을 더 포함하여 골조 구조용 내력벽을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건축물 구조체와 상기 조립식 영구거푸집(100a, 100b, 100c, 100d)을 이용하여 제작한 벽체를 연결시키는 경우, 사전에 철저히 설계하여 건축물 구조체와 상기 조립식 영구거푸집(100a, 100b, 100c, 100d)을 이용하여 제작한 벽체가 정확히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건축물 구조체에 대한 설계(시공)도면과 실제상황이 오차없이 일치하는 경우는 흔치 아니하므로 건축물의 벽체나 슬래브 등과 상기 조립식 영구거푸집(100a, 100b, 100c, 100d)을 이용하여 제작한 벽체의 이음부 처리가 문제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문제는 상기 조립식 영구거푸집(100a, 100b, 100c, 100d)을 조립하여 제작한 벽체거푸집에 채움재(200)를 타설하기 전에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상기 벽체거푸집의 연결상태를 살피고, 상기 건축물 구조체와 벽체거푸집이 연속적으로 맞닿지 않은 부분에는 판상의 길이부재가 직각으로 연결된 직각앵글 마감재(300)를 설치하되, 상기 직각앵글 마감재(300)는 일면이 상기 구조체와 접하고, 타면이 상기 벽체거푸집의 양측단 또는 상하단에 접하도록 설치하는 방식으로 상기 이음부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직각앵글 마감재(300)의 설치방법은 건식공법과 습식공법상의 다양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상기 직각앵글 마감재(300)가 건축물 구조체 및 상기 벽체거푸집에 접하는 부위에 양면접착제를 사 용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벽체 시공방법은, 벽체시공에 필요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100a, 100b, 100c, 100d)의 소요량을 사전에 산출하고, 이를 단순 조립하여 해당 벽체의 거푸집을 단계별로 완성하면서, 상기 벽체 거푸집 내부에 회반죽 상태의 채움재(기포콘크리트, 시멘트모르타르, 플러스터, 황토 등)를 펌핑 등의 방식으로 주입함으로써 완성되는 간단한 공법이므로 아래 사항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 벽체 시공 위치의 바닥면 고름상태가 평활하지 못한 경우가 많을 것이므로 상기 제1공정에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을 바닥면 위에 수평방향으로 연결 조립할 때, 좌우수평성과 상하수직성이 정밀하고 안정되게 시공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시멘트모르타르, 플러스터 등 기타 회반죽 소재를 이용하여 사전에 평탄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부를 양면접착제가 가공된 직각앵글 마감재를 하부 슬래브 바닥면 및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에 고착시키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2) 회반죽 소재의 채움재 주입 단계인 상기 제2공정은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의 하부면과 바닥면의 고착 상태가 어느 정도 안정된 이후에 시행하여야 할 것이며, 시공 현장의 여건에 따라 상기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을 횡으로 연결하여 1층을 쌓은 후 상기 제2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고, 상기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을 종 횡으로 연결하여 다수층을 쌓은 후 상기 제2공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3) 상기 단위패널의 전면에는 중간층 및 마감층이 더 부착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배선 또는 배관을 위한 통공부가 형성된 단위패널을 사용할 때는 전기통신, 온냉수 시설 등을 설치한 후 현장에서 해당 단위패널의 누락된 중간층 및 마감층을 부착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