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4350B1 - 건축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4350B1
KR100504350B1 KR1020050013475A KR20050013475A KR100504350B1 KR 100504350 B1 KR100504350 B1 KR 100504350B1 KR 1020050013475 A KR1020050013475 A KR 1020050013475A KR 20050013475 A KR20050013475 A KR 20050013475A KR 100504350 B1 KR100504350 B1 KR 10050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rner
walls
shaped
fl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진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013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4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3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2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 E04B2/721Non-load-bearing walls of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66T-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5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floor and the ceiling being achieved without any restraining forces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보강재를 부가하였기 때문에 건물에 적용된 경우 측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데미지(damage)를 줄일수 있도록 하고, 건물의 내외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건축 설계도에 따라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를 적절히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 사이에 상하단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공사비 저렴 및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며,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를 설치할 때 공사 현장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의 두께를 기존 조적식 벽돌보다 얇게 하여도 건물의 내외벽체용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자가 건물을 설계할 때 내부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 시멘트 벽돌에 비해 방수와 차수와 방음 및 단열등이 우수하도록 하며,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그 설치 공법이 간단하며, 기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구조로의 설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시공방법{A METHOD MANUFACTUR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보강재를 부가하였기 때문에 건물에 적용된 경우 측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데미지(damage)를 줄일수 있도록 하고, 건물의 내외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건축 설계도에 따라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를 적절히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 사이에 상하단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공사비 저렴 및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며,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를 설치할 때 공사 현장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의 두께를 기존 조적식 벽돌보다 얇게 하여도 건물의 내외벽체용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자가 건물을 설계할 때 내부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 시멘트 벽돌에 비해 방수와 차수와 방음 및 단열등이 우수하도록 하며,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그 설치 공법이 간단하며, 기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구조로의 설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의 시공방법은 제일 먼저, 땅을 파서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을 형성하고, 이 지하층의 슬라브 상면에 철근을 배치한 후에 벽체용/기둥용 거푸집을 설치한다.
이후, 이 벽체용/기둥용 거푸집의 상부에 슬라브용/보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 이들 각각의 내부에 철근을 상기 벽체용/기둥용 거푸집내에 배근된 철근과 연결되도록 배치한다.
그 다음으로, 벽체용과 기둥용과 보용 및 슬라브용 거푸집내에 레미콘에 의해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거치게 되면 벽체와 기둥과 보 및 슬라브는 이체로 성형됨과 아울러 건축물의 1층에 해당되는 기본 구조를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완성된 상기 벽체와 기둥과 보 및 슬라브로부터 거푸집들을 제거한다.
한편, 전술한 공정을 반복 수행하게 되면 건축물은 적어도 한층 이상이 되게 지어짐과 아울러 각 층은 건축물의 최 외곽을 형성하는 외벽체와, 내벽체와 기둥과 슬라브 및 보를 가지고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내벽체는 건축물을 다층으로 시공할 경우에 모든 조건에서의 보강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반듯이 방들간의 구획, 방과 거실간의 구획, 내부 공간들의 구획에 각각 적용될 필요가 없다.
즉, 상기 내벽체는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을 정도로 건축물의 내부 공간의 일부만을 구획하게 되며, 나머지 공간은 벽돌등의 적층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와 같이 벽돌등을 사용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장착 및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 및 고가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경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마무리 공정으로 외벽체의 내측면, 내벽체의 양면, 기둥의 사방면, 적층된 벽돌의 양면에 미장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시공공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건축물의 내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 설치작업, 철근배근 작업, 콘크리트 타설작업등을 현장에서 실시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내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거푸집 해체에 따른 번거로움과 안전 사고의 염려가 상존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셋째, 칸막이나 장식벽 및 건축물의 벽등과 같은 구축물을 쌓아 올릴 때 사용되는 벽돌을 적층 시공하는 경우에, 벽돌과 벽돌 사이에 시멘트 접착물을 개재시켜 가면서 적층작업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문인력(숙련된 벽돌공)이 요구되므로 시공에 따른 공사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넷째, 마무리 공정인 건축물의 외벽체, 내벽체, 기둥, 적층된 벽돌에 미장을 실시하는 경우에 전문인력이 요구됨으로 이에 따른 공사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있었다.
그런데, 전술한 건축물의 내벽체용으로 사용되는 벽돌은 모래, 시멘트, 첨가제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후 일정한 틀에 넣었다가 빼내어 경화시킴으로 제조하는데, 이는 중량이 무겁고 쉽게 깨지거나 부스러짐으로 시공 인부가 작업할 때 불편함이 많았고,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불특정 다수인이 보기에 외형이 좋지 않음으로써 실내 벽면등의 인테리어에 사용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동절기 난방용 내벽으로는 단열 효과가 떨어져 에너지 손실이 많았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하여 종래 기술로 개발된 기술로 1998년2월24일자로 출원하여 2000년 05월09일자로 실용신안등록을 받은 실용신안등록번호20-189796호인 폴리우레탄블록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모래, 시멘트 및 첨가제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후 일정한 틀에 넣었다가 빼내어 경화시킨 제1 블록과; 모래, 시멘트 및 첨가제를 일정한 비율로 배합한 후 일정한 틀에 넣었다가 빼내어 경화시킨 제2 블록과; 상기 제1 블록 및 제2 블록 사이에 혼합 발포되어, 상측 및 좌측면에 일정 모양의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고, 하측 및 우측면에 돌출부가 돌출되어 있고, 하측 및 우측면에 돌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 모양의 홈이 형성된 폴리우레탄 폼과; 상기 돌출부 및 홈의 결합에 의해 결합된 상기 폴리우레탄 폼과 폴리우레탄 폼을 서로 접착시키는 우레탄 접착제;로 이루어져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은 제1 블록과, 제2 블록과, 이들 사이에 폴리우레탄 폼 및 이들을 상호 결합시키는 우레탄 접착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실내외벽으로 적용하여 사용할 경우에 수직 방향으로의 하중은 어느 정도 견딜수 있으나, 수평 방향으로의 하중에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별도의 보강재를 부가하였기 때문에 건물에 적용된 경우 측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데미지(damage)를 줄일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내외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건축 설계도에 따라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를 적절히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 사이에 상하단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공사비 저렴 및 공사 기간이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를 설치할 때 공사 현장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의 두께를 기존 조적식 벽돌보다 얇게 하여도 건물의 내외벽체용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자가 건물을 설계할 때 내부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여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 시멘트 벽돌에 비해 방수와 차수와 방음 및 단열등이 우수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그 설치 공법이 간단하며, 기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구조로의 설치 변경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초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층 및 지하층을 형성하고, 바닥 슬라브와 기둥과 천장 슬라브를 순서적으로 형성하여 적어도 한층 이상이 되도록 시공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 하면중의 어느 한면에 한쌍의 제1 코너용 가이드 앵글을 코너용 벽체의 폭만큼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코너용 가이드 앵글에 상기 코너용 벽체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세우는 단계와;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 하면의 나머지 한면에 한쌍의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을 설치하여 상기 코너용 벽체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과 일직선이 되는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 하면의 적정 위치에 평판용 가이드 앵글을 각각 상하로 마주보도록 다수개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평판용 가이드 앵글에 평판용 벽체를 다수개 슬라이드 삽입시켜 이들의 일측단부가 서로 접촉되게 함과 아울러 최초로 삽입된 평판용 벽체의 일측단부가 상기 코너용 벽체의 일측부에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평판용 가이드 앵글 및 상기 제1, 제2 코너용 앵글에 일직선이 되는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 하면중의 어느 한면에 한쌍의 제1 T형 가이드 앵글을 적정폭 만큼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T자형 가이드 앵글에 T자형 벽체의 일단부를 삽입하되, 일측단부가 상기 평판용 벽체와 코너용 벽체중의 어느 하나의 일측단부에 접촉되도록 세우는 단계와; 상기 바닥 슬라브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 하면의 나머지 한면에 한쌍의 한쌍의 제2 T자형 가이드 앵글을 설치하여 상기 T자형 벽체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용 벽체와 평판용 벽체와 T자형 벽체를 각각 제1,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과 평판용 가이드 앵글과 T자형 가이드 앵글에 결합하기 전에 상기 벽체들의 상하단부와 상기 앵글들의 내측면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앵글들에 상기 벽체들을 각각 결합한 후에 적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들을 체결 부재로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평판용 벽체에 관련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시선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평판용 벽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코너용 벽체에 관련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지시선 B-B선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코너용 벽체의 외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T자형 벽체의 외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지시선 C-C선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T자형 벽체의 외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용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T자형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코너용 벽체와 평판형 벽체와 T자형 벽체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에서 스페이서 및 보강용 봉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7은 코너용 벽체와 평판형 벽체와 T자형 벽체들이 서로 연결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소음감소부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의 벽체의 기본 구성은 상하단이 건물의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지지되는 제1 벽(3)과, 상하단이 건물의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지지되며 상기 제1 벽(3)으로 일정한 폭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제2 벽(4)과, 상기 제1 벽(3)과 제2 벽(4)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재(5)와, 상기 제1 벽(3)과 제2 벽(4) 사이에 충진되어 상기 보강재(5)와 함께 이들을 상호 고정시키는 중간벽(6)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벽(3)으로는 천연 대리석, 천연 화강석, 인조 대리석, 천연옥, 세라믹 타일, 특수 코팅강판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제2 벽(4)으로는 방수 및 방화용에 사용되는 석고보드, 세라믹타일, 무늬목, 천연석, 매직스톤, 합판등이 사용된다.
상기 보강재(5)의 재질로는 구조용 탄소강판, 각형형강, 격자용 탄소섬유, NEFMAC, 철망 PVC관 등이 사용되며, 이 보강재(5)의 기능은 수평 방향, 즉 측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충분히 보강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중간벽(6)으로는 폴리우레탄폼(MDI와 폴리올의 혼합 발포재)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벽체는 평판형 벽체(10)와, 코너용 벽체(20)와, T자형 벽체(30)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평판형 벽체(10)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평판형 벽체(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3)과 제2 벽(4)이 모두 사각 형상을 갖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레이트를 직사각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재(5)는 단일 부재가 다수개 그물망으로 짜여져 형성된 것으로, 가로 부재(5a)와 세로 부재(5b)를 격자 또는 그물망으로 교차시킨 다음, 이들의 교차된 부분에 와이어(5c)로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5c)로는 도금용 철사, 파이프 밴드, U자형 밴드볼트등이 사용된다.
상기 평판형 벽체(10)의 중간벽(6)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지지되는 제1 벽(3)과 제2 벽(4)의 상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단부 사이에 일정한 깊이의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제1 벽(3)과 제2 벽(4)의 측단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벽(3)과 제2 벽(4)의 단변 길이를 L1이라고 가정하면, 중간벽(6)의 단변 길이를 L1보다 소정치 작은 L2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L1보다 L2의 길이를 작게하면 제1 벽(3)과 제2 벽(4)의 측단부 사이에 일정한 깊이의 공간부(S)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벽(6)의 외측면중에서 제1 벽(3)과 제2 벽(4)에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외측면에는 제1 벽(3)과 제2 벽(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의 홈(8)이 형성된다.
상기 홈(8)은 중간벽(6)의 양측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평판형 벽체(10)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작업장의 지면에 베이스(11)를 설치한다.
이후, 이 베이스(11)의 상면에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인 제2 벽(4)을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2 벽(4)은 사각 형상중 직사각형상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제2 벽(4)을 베이스(11)에 안착시키면, 제2 벽(4)의 두께로 인해 베이스(11)와 계단 형상으로 단턱(11a)을 가지게 된다.
다음, 제2 벽(4)의 양장변부에 각각 공간부(S) 및 홈(8)을 형성하기 위한 형틀(12)(13)을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형틀(12)(13)은 베이스(1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태로 설치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이진 공간부 형성용 돌출부(12a)(13a)가 상하 단턱(12c)(13c)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공간부 형성용 돌출부(12a)(13a)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반원형상의 홈 형성용 돌출부(12b)(13b)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형틀(12)을 하단턱(12c)이 베이스(11)와 제2 벽(4) 사이에 형성된 단턱(11a)에 접촉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형틀(13)을 하단턱(13c)이 베이스(11)와 제2 벽(4) 사이에 형성된 단턱(11a)에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이후, 제1 벽(2)을 형틀(12)(13)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단턱(12c)(13c)에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제1 벽(3)과 제2 벽(4)과 형틀(12)(13)의 결합에 의해 사각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후, 보강재(5)를 상기 사각 공간내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보강재(5)를 상기 사각 공간내에 삽입한 후에 이 공간의 중간에 떠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받침대(미도시)를 보강재(5)에 설치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보강재(5)를 설치하는 작업을 완료하고 나서, 마감형틀(14)(15)를 설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 공간이 폐쇄되도록 한다.
이후, 외부에서 마감형틀(14)(15) 및 형틀(12)(13)에 형성된 주입공(미도시)을 통해 폐쇄 공간으로 된 사각 공간내에 발포재를 주입한다.
상기와 같이 발포재를 주입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주입된 발포재는 경화되며, 이에 따라 중간벽(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포재를 상기 사각 공간내에 주입하게 되면 주입된 발포재는 소정 압력 이상으로 팽창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립된 마감형틀(14)(15) 및 형틀(12)(13) 및 제1 벽(3)과 제2 벽(4)들이 와해될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에서 별도의 고정 지그수단으로 조립된 마감형틀(14)(15) 및 형틀(12)(13) 및 제1 벽(3)을 지지하여 주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발포재를 발포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중간벽(6)의 형성이 완료되면, 마감형틀(14)(15) 및 형틀(12)(13)의 제거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마감형틀(14)(15) 및 형틀(12)(13)을 발포재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앞단계의 공정에서 이형재를 바른후 마감형틀(14)(15) 및 형틀(12)(13)을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완료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평판형 벽체(10)가 완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코너용 벽체(20)를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코너용 벽체(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3)과 제2 벽(4)과 보강재(5) 및 중간벽(6)은 모두 기역자 형상으로 굴곡(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재(5)는 기역자 형상으로 굴곡(절곡)된 단이 부재가 다수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단일 부재를 연결봉으로 교차시킨 다음, 이들의 교차된 부분에 와이어로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상기 코너용 벽체(20)의 중간벽(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지지되는 제1 벽(3)과 제2 벽(4)의 상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단부 사이에 일정한 깊이의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제1 벽(3)과 제2 벽(4)의 측단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벽(3)과 제2 벽(4)의 단변 길이를 L3라고 가정하면, 중간벽(6)의 단변 길이를 L3보다 소정치 작은 L4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L3보다 L4의 길이를 작게하면 제1 벽(3)과 제2 벽(4)의 측단부사이에 일정한 깊이의 공간부(S)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벽(6)의 외측면중에서 제1 벽(3)과 제2 벽(4)에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외측면에는 제1 벽(3)가 제2 벽(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의 홈(8)이 형성된다.
상기 홈(8)은 중간벽(6)의 양측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코너용 벽체(20)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작업장의 지면에 소정 높이의 지지대(21a)을 매개로 기역자 형상으로 된 하부 지지틀(21)을 설치한다.
이후, 이 하부 지지틀(21)의 내부에 기역자 형상으로 된 제1 벽(3)을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 벽(3)을 하부 지지틀(21)에 안착시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3)의 두께로 인해 하부 지지틀(21)과 계단 형상으로 단턱(21b)을 가지게 된다.
다음, 제1 벽(3)의 양장변부에 각각 공간부(S) 및 홈(8)을 형성하기 위한 측부 형틀(22)(23)을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측부 형틀(22)(23)은 하부 지지틀(21)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태로 설치되는데,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이진 공간부 형성용 돌출부(22a)(23a)가 상하 단턱(22b)(23b)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공간부 형성용 돌출부(22a)(23a)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반원형상의 홈 형성용 돌출부(22c)(23c)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측부 형틀(22)을 하단턱(22b)이 하부 지지틀(21)과 제1 벽(3) 사이에 형성된 단턱(21b)에 접촉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측부 형틀(23)을 하단턱(23b)이 하부 지지틀(21)과 제1 벽(3) 사이에 형성된 단턱(21b)에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이후, 제2 벽(4)을 측부 형틀(22)(23)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된 상단턱(22b)(23b)에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제1 벽(3)과 제2 벽(4)과 측부 형틀(22)(23)의 결합에 의해 단면이 "∧"자 형상의 공간부 형성되는 것이다.
이후, 보강재(5)를 상기 ∧자형 공간부내에 삽입시킨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보강재(5)를 상기 ∧자형 공간부내에 삽입한 후에 이 공간의 중간에 떠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받침대(미도시)를 보강재(5)에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보강재(5)를 설치하는 작업을 완료하고 나서, 제2 벽(4)의 내부에 상부 지지틀(24)를 안착시킨다.
이후, 마감형틀(25)(26)을 설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형 공간부가 폐쇄되도록 한다.
이후, 외부에서 마감형틀(25)(26)과 하부 형틀(21)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된 주입공(미도시)을 통해 폐쇄된 ∧자형 공간부으로 발포재를 주입한다.
상기와 같이 발포재를 주입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주입된 발포재는 경화되며, 이에 따라 중간벽(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포재를 상기 ∧자형 공간부내에 주입하게 되면 주입된 발포재는 소정 압력 이상으로 팽창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립된 마감형틀(25)(26) 및 측부 형틀(22)(23) 및 상하부 형틀(21)(24)들이 와해될 우력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에서 별도의 고정 지그수단으로 조립된 마감형틀(25)(26) 및 측부 형틀(22)(23) 및 상하부 형틀(21)(24)을 지지하여 주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발포재를 발포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중간벽(6)의 형성이 완료되면, 마감형틀(25)(26) 및 측부 형틀(22)(23) 및 상하부 형틀(21)(24)의 제거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마감형틀(25)(26) 및 측부 형틀(22)(23)을 발포재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앞단계의 공정에서 이형재를 바른 후에 마감형틀(25)(26) 및 측부 형틀(22)(23)을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완료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코너용 벽체(20)가 완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T자형 벽체(30)를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T자형 벽체(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벽(3)과 제2 벽(4)중의 어느 하나는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이고, 나머지는 기역자 형상으로 굴곡된 두 개의 분리벽(4a)(4b)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벽(3)과 제2 벽(4)의 전체 형상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재(5)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간벽(6)은 T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벽(3)을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하고, 제2 벽(4)을 기역자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면상에 도시하였다.
상기 보강재(5)는 기역자 형상으로 굴곡된 단일 부재가 다수개 일정한 간격으로 T자 형상이 되게 배치하며, 이들의 적정 지점에 가로봉으로 교차하며, 이들의 교차된 부분을 와이어로 고정시켜서 된 것이다.
상기 T자형 벽체(30)의 중간벽(6)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에 지지되는 제1 벽(3)과 제2 벽(4)의 상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측단부 사이에 일정한 깊이의 공간부(S)가 형성되도록 제1 벽(3)과 제2 벽(4)의 측단부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1 벽(3)과 제2 벽(4)의 단변 길이를 L5이라고 가정하면, 중간벽(6)의 단변 길이를 L5보다 소정치 작은 L6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L5보다 L6의 길이를 작게하면 제1 벽(3)과 제2 벽(4)의 측단부 사이에 일정한 깊이의 공간부(S)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벽(6)의 외측면중에서 제1 벽(3)과 제2 벽(4)에 접촉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외측면에서 제1 벽(3)과 제2 벽(4)의 상하 방향을 따라 오목한 형상의 홈(8)이 형성된다.
상기 홈(8)은 중간벽(6)의 양측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T자형 벽체(30)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작업장의 지면에 베이스(31)를 설치한다.
이후, 이 베이스(31)의 상면에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인 제1 벽(3)을 안착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벽(3)은 사각 형상중 직사각형상으로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제1 벽(3)을 베이스(31)에 안착시키게 되면, 제1 벽(3)의 두께로 인해 베이스(31)와 계단 형상으로 단턱(31a)을 가지게 된다.
다음, 제1 벽(3)의 앙장변부에 각각 공간부(S) 및 홈(8)을 형성하기 위한 형틀(32)(33)을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형틀(32)(33)은 베이스(31)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상태로 설치되는 데,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이진 공간부 형성용 돌출부(32a)(32a)가 상하 단턱(32b)(33b)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공간부 형성용 돌출부(32a)(33a)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원형상의 홈 형성용 돌출부(32c)(33c)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형틀(32)을 하단턱(32b)이 베이스(31)와 제1 벽(3) 사이에 형성된 단턱(31a)에 접촉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나머지 형틀(33)을 하단턱(33b)이 베이스(31)와 제2 벽(4) 사이에 형성된 단턱(31a)에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순서로 조립을 실시하게 되면, 제1 벽(3)과 형틀(32)(33)에 의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후, 보강재(5)를 상기 공간에 삽입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서, 도면상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보강재(5)를 상기 공간내에 삽입한 후에 이 공간의 중간에 떠 있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하부 받침대(미도시)를 보강재(5)에 설치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두 개로 분리된 구조로 된 제2 벽(4)이 떠 있는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보강재(5)에 상방향으로 향하는 상부 받침대(미도시)를 다수개 설치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기역자 형상으로 분리된 두 개의 분리벽(4a)(4b)으로 된 제2 벽(4)을 형틀(32)(33)에 각각 형성된 상단턱(32b)(33b)에 안착시켜 T자 형상이 되게 한다.
이때, 제2 벽(4)이 두 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상단턱(32b)(33b)에 일단이 지지되더라도 와해될 우려가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보강재(5)에 형성된 상부 받침대(미도시)의 지지에 의해 방지 가능하다.
다음 순서로, 제2 벽(5)을 구성하는 두 개의 분리벽(4a)(4b)의 외측면에 기역자 형상으로 굴곡(절곡)된 두 개의 분리 지지틀(34)(35)을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지지틀(34)(35)의 양단 길이는 분리벽(4a)(4b)의 양단 길이보다 소정치 길게 하여 지지틀(34)(35)과 분리벽(4a)(4b)의 단부 사이에 단턱(34a)(35a)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지지틀(34)(35)을 위치시키면, 일단은 상기 형틀(32)(33)의 외측면을 커버링하게 된다.
이후, 마감형틀(36)을 상기 지지틀(34)(35)과 분리벽(4a)(4b) 사이에 형성된 단턱(34a)(35a)에 위치시켜 공간부(S) 및 홈(8)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마감형틀(36)은 베이스(31)와 평행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데, 상기 베이스(31)에 대응되는 면에는 각이진 공간부 형성용 돌출부(36a)가 좌우 단턱(36b')(36b)을 가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공간부 형성용 돌출부(36a)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반원형상의 홈 형성용 돌출부(36c)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마감형틀(36)을 좌단턱(36b')이 지지틀(34)과 분리벽(4a)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단턱(34a)에 접촉되도록 하여 설치하고, 마감형틀(36)을 우단턱(36b)이 지지틀(34)과 분리벽(4b)의 단부 사이에 형성된 단턱(34a)에 접촉되도록 하여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진행하게 되면, 제1 벽(3)과, 제2 벽(4)과, 형틀(32)(34) 및 마감형틀(36)의 결합에 의해 T자형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마지막 공정으로, 마감 지지틀(37)(38)을 설치하여 T자형 공간의 전후측의 개구부를 폐쇄시킨다.
이후, 외부에서 형틀(32)(33) 또는 마감 지지틀(37)(38)에 형성된 주입공(미도시)을 통해 T자형 폐쇄 공간에 발포재를 주입한다.
상기와 같이 발포재를 주입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주입된 발포재는 경화되며, 이에 따라 T자형 중간벽(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포재를 상기 T자형 공간내에 주입하게 되면 주입된 발포재는소정 압력 이상으로 팽창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립된 형틀(32)(33)과 제2 벽(4)과 지지틀(34)(35)과 마감 형틀(36)과 마감 지지틀(37)(38)들이 와해될 우려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외부에서 별도의 고정 지그수단으로 조립된 조립된 형틀(32)(33)과 제2 벽(4)과 지지틀(34)(35)과 마감 형틀(36)과 마감 지지틀(37)(38)을 지지하여 주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발포재를 발포한 시간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여 중간벽(6)의 형성이 완료되면, 마감 지지틀(37)(38)과 지지틀(34)(35)과 형틀(32)(33)과 마감 형틀(36)의 제거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마감 지지틀(37)(38)과 지지틀(34)(35)과 형틀(32)(33)과 마감 형틀(36)을 발포재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술한 앞단계의 공정에서 이형재를 바른후 마감 지지틀(37)(38)과 지지틀(34)(35)과 형틀(32)(33)과 마감 형틀(36)을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완료하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T자형 벽체(30)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제까지의 설명은 본 발명의 벽체들인 평판형 벽체(10)와, 코너용 벽체(20)와, T자형 벽체(30)의 구조 및 이들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부터의 설명은 상기 세가지 타입의 벽체를 이용하여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용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T자형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6은 코너용 벽체와 평판형 벽체와 T자형 벽체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에서 스페이서 및 보강용 봉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 17은 코너용 벽체와 평판형 벽체와 T자형 벽체들이 서로 연결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층 및 지하층을 형성하고, 바닥 슬라브(1)와 기둥(미도시)과 천장 슬라브(2)를 순서적으로 형성하여 적어도 한층 이상이 되도록 시공하는 통상적인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것이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중의 어느 한면에 한쌍의 제1 코너용 가이드 앵글(40)을 코너용 벽체(20)의 폭만큼 이격되게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코너용 가이드 앵글(40)의 형상은 기역자 형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후, 상기 제1 코너용 가이드 앵글(40)에 상기 코너용 벽체(20)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세운다.
다음으로, 상기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의 나머지 한면에 한쌍의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40)을 설치하여 상기 코너용 벽체(20)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순서에 따르면, 천장 슬라브(2)와 바닥 슬라브(1)에 코너용벽체(20)가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40)과 일직선이 되는 상기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의 적정 위치에 평판용 가이드 앵글(50)을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하로 마주보도록 다수개 고정 설치한다.
이후, 상기 평판용 가이드 앵글(50)에 평판용 벽체(10)를 다수개 슬라이드 삽입시켜 이들의 일측단부가 서로 접촉되게 함과 아울러 최초로 삽입된 평판용 벽체(10)의 일측단부가 상기 코너용 벽체(20)의 일측부에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순서에 따르면, 천장 슬라브(2)와 바닥 슬라브(1)에 평판용 벽체(10)가 설치되는 것이다.
다음 시공순서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판용 가이드 앵글(50) 및 상기 제1, 제2 코너용 앵글(40)에 일직선이 되는 상기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중의 어느 한면에 한쌍의 제1 T형 가이드 앵글(60)을 적정폭 만큼 이격되게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제1 T자형 가이드 앵글(60)에 T자형 벽체(30)의 일단부를 삽입하되, 일측단부가 상기 평판용 벽체(10)와 코너용 벽체(20)중의 어느 하나의 일측단부에 접촉되도록 세운다.
이후, 상기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의 나머지 한면에 한쌍의 제2 T자형 가이드 앵글(30)을 설치하여 상기 T자형 벽체(30)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상기와 같이 시공순서에 따르면, 천장 슬라브(2)와 바닥 슬라브(1)에 T자형 벽체(3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코너용 벽체(20)와 평판형 벽체(10)와 T자형 벽체(30)를 시공 완료하게 되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코너용 벽체(20)와 평판용 벽체(10)와 T자형 벽체(30)를 각각 제1,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40)과 평판용 가이드 앵글(50)과 T자형 가이드 앵글(60)에 결합하기 전에 상기 벽체(10)(20)(30)들의 상하단부와 상기 앵글(40)(50)(60)들의 내측면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게 되면, 소정 시간 경과한 후에 발포되어 주위 부품들의 결합력을 더욱 공고히 할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벽체(10)(20)(30)들과 상기 앵글(40)(50)(60)들을 각각 결합한 후에 적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들을 체결 부재(70)로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코너용 벽체(20)와 평판용 벽체(10)와 T자형 벽체(30)들의 일측단부를 상호 접촉시키기 전에 상기 벽체(10)(20)(30)들의 측단부에 형성된 홈(8)에 우레탄 접착제가 도포된 보강용 봉(80)을 각각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홈(8)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S)에 우레탄 접착제가 도포된 스페이서(81)를 삽입하는 단계를 더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벽체(10)(20)(30)들간의 연결 부분에 형성된 빈 공간을 체움으로써방음, 단열, 방수등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벽체(10)(20)(30)들이 서로 연결 부분을 따라 외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접착 테이프(90)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실시하여 방음, 방수등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이제까지의 설명에 있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벽(3)과 제2 벽(4)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 설치되되, 상단이 상기 제1 벽(3)과 제2 벽(4)의 내측면에 접착수단을 매개로 고정되어 측면 충격시 발생되는 공명에 의한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소음감소부재(7)를 더 구비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소음감소부재(7)는 양단이 상기 제1 벽(3)과 제2 벽(4)의 내측면에 연결되며, 상기 단일부재(5a,5b) 사이를 지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도 18의 도면상에는 보강재 및 중간벽의 도시는 생략하였음을 명시한다.
상기 소음감소부재(7)의 재질로는 금속 및 비금속을 사용하되, 그 중에서도 열전도도가 극히 낮은 재질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열전도도가 극히 낮은 재질을 사용하는 이유는 단열을 위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 소음감소부재(7)를 사용함에 따라 제1 벽(3) 또는 제2 벽(4)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 이 충격력에 의해 서로 이격된 제1 벽(3)과 제2 벽(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공명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공명 현상은 상기 소음감소부재(7)가 브리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공명에 의한 소음을 흡수하여 울림 현상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첫째, 기존 폴리우레탄벽돌에 비해 별도의 보강재를 부가하였기 때문에 건물에 적용된 경우 측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데미지(damage)를 줄일수 있게 된다.
둘째, 기존 시멘트 벽돌을 조적식으로 하여 건물의 내외벽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건축 설계도에 따라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를 적절히 천장 슬라브와 바닥 슬라브 사이에 상하단을 설치하면 되기 때문에 공사비 저렴 및 공사 기간이 단축된다.
셋째, 기존 시멘트 벽돌을 조적식으로 설치할 경우 벽돌간을 상호 접착시키기 위한 시멘트를 공사 현장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를 설치할 때 공사 현장 주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평판형 벽체와 코너용 벽체 및 T자형 벽체의 두께를 기존 조적식 벽돌보다 얇게 하여도 건물의 내외벽체용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자가 건물을 설계할 때 내부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여 설계할수도 있다.
다섯째, 기존 시멘트 벽돌에 비해 방수와 차수와 방음 및 단열등이 우수하다.
여섯째, 기존 시멘트 벽돌에 비해 중량이 가벼워 취급이 용이함과 아울러 그설치 공법이 간단하며, 기 설치된 상태에서 다른 구조로의 설치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평판용 벽체에 관련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지시선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평판용 벽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코너용 벽체에 관련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지시선 B-B선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코너용 벽체의 외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T자형 벽체의 외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지시선 C-C선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의 종류중 T자형 벽체의 외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너용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T자형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6은 코너용 벽체와 평판형 벽체와 T자형 벽체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에서 스페이서 및 보강용 봉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17은 코너용 벽체와 평판형 벽체와 T자형 벽체들이 서로 연결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소음감소부재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천장 슬라브 1 : 바닥 슬라브
3 : 제1 벽 4 : 제2 벽
5 : 보강재 6 : 중간벽
S : 공간부 8 : 홈
10 : 평판형 벽체 20 : 코너용 벽체
30 : T자형 벽체 40 : 제1,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
50 : 평판용 가이드 앵글 60 : 제1, 제2 T자형 가이드 앵글
80 : 보강용 봉
81 : 스페이서

Claims (2)

  1. 기초 콘트리트를 타설하여 지반층 및 지하층을 형성하고, 바닥 슬라브(1)와 기둥과 천장 슬라브(2)를 순서적으로 형성하여 적어도 한층 이상이 되도록 시공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중의 어느 한면에 한쌍의 제1 코너용 가이드 앵글(40)을 코너용 벽체(20)의 폭만큼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코너용 가이드 앵글(40)에 상기 코너용 벽체(20)의 일단부를 삽입하여 세우는 단계와;
    상기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의 나머지 한면에 한쌍의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40)을 설치하여 상기 코너용 벽체(2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40)과 일직선이 되는 상기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의 적정 위치에 평판용 가이드 앵글(50)을 각각 상하로 마주보도록 다수개 고정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평판용 가이드 앵글(40)에 평판용 벽체(10)를 다수개 슬라이드 삽입시켜 이들의 일측단부가 서로 접촉되게 함과 아울러 최초로 삽입된 평판용 벽체(10)의 일측단부가 상기 코너용 벽체(20)의 일측부에 접촉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평판용 가이드 앵글(50) 및 상기 제1, 제2 코너용 앵글(40)에 일직선이되는 상기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중의 어느 한면에 한쌍의 제1 T형 가이드 앵글(60)을 적정폭 만큼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 T자형 가이드 앵글(60)에 T자형 벽체(30)의 일단부를 삽입하되, 일측단부가 상기 평판용 벽체(10)와 코너용 벽체(20)중의 어느 하나의 일측단부에 접촉되도록 세우는 단계와;
    상기 바닥 슬라브(1)의 상면과 천장 슬라브(2) 하면의 나머지 한면에 한쌍의 한쌍의 제2 T자형 가이드 앵글(60)을 설치하여 상기 T자형 벽체(30)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코너용 벽체(20)와 평판용 벽체(10)와 T자형 벽체(30)를 각각 제1, 제2 코너용 가이드 앵글(40)과 평판용 가이드 앵글(50)과 T자형 가이드 앵글(60)에 결합하기 전에 상기 벽체(10)(20)(30)들의 상하단부와 상기 앵글(40)(50)(60)들의 내측면에 우레탄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를 진행하며,
    상기 앵글(40)(50)(60)들에 상기 벽체(10)(20)(30)들을 각각 결합한 후에 적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이들을 체결 부재(70)로 체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용 벽체(20)와 평판용 벽체(10)와 T자형 벽체(30)들의 일측단부를 상호 접촉시키기 전에 상기 벽체(10)(20)(30)들의 측단부에 형성된 홈(8)에 우레탄 접착제가 도포된 보강용 봉(80)을 각각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홈(8)을 제외한 나머지 공간부(S)에 우레탄 접착제가 도포된 스페이서(81)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벽체(10)(20)(30)들이 서로 연결 부분을 따라 외측면에서 상하 방향으로 접착 테이프(90)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20050013475A 2005-02-18 2005-02-18 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050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75A KR100504350B1 (ko) 2005-02-18 2005-02-18 건축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475A KR100504350B1 (ko) 2005-02-18 2005-02-18 건축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4350B1 true KR100504350B1 (ko) 2005-08-05

Family

ID=3730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475A KR100504350B1 (ko) 2005-02-18 2005-02-18 건축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43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49B1 (ko) * 2006-12-12 2007-03-02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조립식 내부 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449B1 (ko) * 2006-12-12 2007-03-02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조립식 내부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36821C1 (ru) Стеновая структура из вспен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бетона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759368B1 (ko)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0771248B1 (ko) 건물용 조립 유닛과, 이의 제조 및 사용 방법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KR100694587B1 (ko) 멀티리브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구조체
US11077583B2 (en) Precast concrete wall and method
KR100521647B1 (ko) 거푸집 겸용 건축용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KR100681308B1 (ko) 압축 시멘트판과 강재 샛기둥을 사용한 고정식 거푸집패널 시스템
KR101027973B1 (ko) 벽면 타설용 폼 블록 구조물
JP200222732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外断熱建築物
KR100828432B1 (ko) 초경량 단열블록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주택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110042160A (ko) 건축용 석재블록 및 그 조적방법
KR100540643B1 (ko) 건축물의 벽체
WO2023099942A1 (en) Walls, blocks and prefabricated double-sided slabs for use in vandad landscape
KR100693244B1 (ko) 천장의 슬라브 시공에 이용되는 거푸집 대체용마감단열보드 및 이를 이용한 천장의 슬라브 구조 및 그시공 방법
RU47924U1 (ru) Армоопалубочный блок
RU94601U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JP3965644B2 (ja) 造成コンクリート壁及びその製造方法
RU2422603C1 (ru) Блок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перекрытия
WO2011078734A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монолитно-каркасного здания с декоративной наружной отделкой
KR101776783B1 (ko) 건축 시공용 일체형 모듈블록
RU232330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двусторонней взаимонапряженной железобетонной стеновой конструкции с пустотами для утепления
JPH10317503A (ja) 壁式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