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236B1 -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 Google Patents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236B1
KR102200236B1 KR1020190034742A KR20190034742A KR102200236B1 KR 102200236 B1 KR102200236 B1 KR 102200236B1 KR 1020190034742 A KR1020190034742 A KR 1020190034742A KR 20190034742 A KR20190034742 A KR 20190034742A KR 102200236 B1 KR102200236 B1 KR 102200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ardware
wall
module
pan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4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3892A (ko
Inventor
정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034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2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1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3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23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and at least one form leaf being monolithic
    • E04B2/8629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and at least one form leaf being monolithic with both form leaves and spacers being monolith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4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going through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002/8676Wall end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1 패널판,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판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1 트러스철물을 구비하는 제1 패널모듈; 타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2 패널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널판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2 트러스철물을 구비하는 제2 패널모듈; 및, 상기 제1 패널모듈과 상기 제2 패널모듈을 이격시켜 연결하는 패널연결철물;을 포함하는 벽체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WALL MODULE AND WALL STRUCTURE}
본 발명은 전단강성 및, 시공성을 향상시킨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건물의 코어 구조부에서는 건물이 고층화되어 감에 따라 횡방향 저항을 위해 보다 많은 벽량이 요구되고 있는 바, 건물의 사용성 및 안정성에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횡방향에 대한 휨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코어벽을 추가로 배치하거나 벽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코어벽을 추가로 배치하거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식은 내부공간의 축소를 야기하고 콘크리트 및 철근 추가에 따른 공사비의 증가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고층화 및 그에 따른 내부구조의 변경으로 인해서 코어벽이 횡력을 받는 비중이 매우 커졌고, 이에 철근콘크리트 보는 큰 전단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단면을 크게 하고 많은 양의 철근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고층 구조물에서는 건축여건상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벽체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전단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는 벽체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KR 10-2015-0028428 A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모듈화된 구성품을 활용하여 빠른 속도로 시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벽체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전단력 등의 하중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벽체의 두께를 감소시켜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내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1 패널판,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판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1 트러스철물을 구비하는 제1 패널모듈; 타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2 패널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널판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2 트러스철물을 구비하는 제2 패널모듈; 및, 상기 제1 패널모듈과 상기 제2 패널모듈을 이격시켜 연결하는 패널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러스철물의 제1 주철근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의 제2 주철근은 서로 교차되게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패널연결철물에 의해 가압되면서 연결되고, 단부연결철물은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단부영역으로 내입되면서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사이를 이격시켜 지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적어도 'ㄷ'자형의 단면을 포함하는 벽체모듈을 제공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트러스철물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은, 벽면을 기준으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트러스철물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은, 벽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단부영역을 둘러싸도록 연결하고, 인접한 상기 벽체모듈의 연결부분을 형성 가능한 단부연결철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부연결철물은,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단부영역으로 내입되게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 접합되고, 제1 패널판과 제2 패널판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부연결철물,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 및,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상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단부연결철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연결철물과 상기 제2 단부연결철물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관이 진입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부연결철물은,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측면을 둘러싸고, 제1 콘크리트홀이 형성된 제1 패널차단판; 및, 상기 제1 패널차단판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판, 상기 제2 패널판과 함께 벽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연장판;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단부연결철물은,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상면 또는 하면을 둘러싸는 제2 패널차단판; 상기 제2 패널차단판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패널판, 상기 제2 패널판과 함께 벽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연장판; 및, 상기 제2 패널차단판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부연결철물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유입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패널모듈과 상기 제2 패널모듈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벽체모듈부재로 구성되고, 제1 패널모듈과 상기 제2 패널모듈이 겹쳐지면서 상기 제1 트러스철물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은 벽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복수 개가 연결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상기 벽체모듈; 및, 복수 개의 상기 벽체모듈의 내부공간에 타설되어 상기 벽체모듈과 일체화되는 콘크리트부재;를 포함하는 벽체구조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모듈은, 상기 콘크리트부재의 주된 균열방향인 벽면의 대각선 방향과 교차되도록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보강트러스철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모듈의 단부영역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연결보강판; 및, 상기 연결보강판과, 상기 벽체모듈의 단부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타설관이 진입 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모듈과 연결되면서 타설홀을 통해 상기 벽체모듈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타설용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벽체모듈의 단부영역의 전면과 후면을 일체로 덮도록 설치되는 연결보강재; 및, 상기 연결보강재와, 상기 벽체모듈의 단부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모듈화된 구성품을 활용하여 빠른 속도로 시공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벽체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도 전단력 등의 하중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벽체의 두께를 감소시켜 시공비용을 절감하고 내부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모듈의 제1 패널모듈과 제2 패널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모듈의 패널연결철물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벽체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벽체모듈의 제1 패널모듈과 제2 패널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벽체구조물의 인접한 벽체모듈의 연결방식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벽체구조물의 인접한 벽체모듈의 연결방식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모듈(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모듈(10)은 제1 패널모듈(100), 제2 패널모듈(200), 패널연결철물(300)을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단부연결철물(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벽체모듈(10)은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1 패널판(110),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판(110)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1 트러스철물(130)을 구비하는 제1 패널모듈(100)과, 타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2 패널판(210),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널판(210)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2 트러스철물(230)을 구비하는 제2 패널모듈(200) 및, 상기 제1 패널모듈(100)과 상기 제2 패널모듈(200)을 이격시켜 연결하는 패널연결철물(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패널모듈(100)과 상기 제2 패널모듈(200)은 대향되게 설치되고, 콘크리트의 충전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널모듈(100), 제2 패널모듈(200)은 강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패널연결철물(300)도 강재 등의 금속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패널모듈(100)의 제1 트러스철물(130)은 제1 방향(D1)으로 설치되고, 제2 패널모듈(200)의 제2 트러스철물(230)은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제2 방향(D2)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콘크리트의 균열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벽체모듈(10)은 제1 패널모듈(100)의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패널모듈(200)의 제2 트러스철물(230)이 교차되면서 전단하중에 저항할 수 있어 벽체모듈(10)과 일체화되는 콘크리트부재(20)와의 균열제어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벽체모듈(10)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모듈화된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현장에서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패널모듈(100)은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1 패널판(110),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판(110)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1 트러스철물(1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패널판(110)은 강판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제1 연결홀(111)이 이격하여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러스철물(13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주철근(131)과, 제1 주철근(131)을 지지하여 제1 패널판(110)에 고정하는 제1 레티스철근(1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레티스철근(133)은 제1 주철근(131)의 길이방향인 제1 방향(D1)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고, 제1 주철근(131)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제1 패널판(1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2 패널모듈(200)은 타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2 패널판(210),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널판(210)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2 트러스철물(2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2 패널판(210)은 벽체의 두께 상당의 이격거리를 두고 제1 패널판(110)과 대향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패널판(210)은 강판 등의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제1 연결홀(111)과 대향되는 제2 연결홀(211)이 이격하여 복수 개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러스철물(230)은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주철근(231)과, 제2 주철근(231)을 지지하여 제2 패널판(210)에 고정하는 제2 레티스철근(2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레티스철근(233)은 제2 주철근(231)의 길이방향인 제2 방향(D2)을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설치되고, 제2 주철근(231)의 양측면을 지지하여 제2 패널판(210)에 고정할 수 있다.
제1 트러스철물(130)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은 벽면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트러스철물(130)은 종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 트러스철물(230)은 횡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트러스철물(130)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은 패널연결철물(30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접하도록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1 트러스철물(130)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은 패널연결철물(30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벽체의 두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패널연결철물(300)은 제1 패널모듈(100)과 상기 제2 패널모듈(200)을 벽체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이격시켜 연결할 수 있다.
패널연결철물(300)은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 사이를 연결하도록 복수 개가 이격하여 배치되면서 벽체모듈(10)의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측압에 의한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의 배불림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패널연결철물(300)은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관을 연결하면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전단하중에 저항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패널연결철물(300)은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의 사이의 이격시켜 연결하는 체결부재(310)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310)는 볼트부재(311)와 너트부재(313)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패널연결철물(300)은,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관(330) 및, 상기 간격유지관(330)에 와샤(350)를 매개로 체결되는 체결부재(310)를 구비할 수 있다.
볼트부재(311)는 간격유지관(330)을 관통하여 너트부재(313)와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310)는 볼트부재(311)와 너트부재(313)로 구성되고, 볼트부재(311)의 볼트헤드와 제1 패널판(110)의 사이 및, 너트부재(313)와 제2 패널판(210)의 사이에 각각 와샤(350)가 설치될 수 있다.
와샤(350)는 제1 패널판(110)의 제1 연결홀(111)과, 제2 패널판(210)의 제2 연결홀(211) 보다 상대적으로 확경된 형상의 판으로 구성되어 체결부재(310)에 의한 가압력을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샤(350)가 체결부재(310)에 의한 가압력을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으로 분산시키면서 콘크리트의 타설압력에 따라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에 발생할 수 있는 배부름 현상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패널연결철물(300)은 간격유지관(330)의 일측은 제1 패널판(110)은 제1 연결홀(111)에 삽입되고, 간격유지관(330)의 타측은 제2 패널판(210)의 제2 연결홀(211)의 주변에 접촉된 상태에서 체결부재(310)에 의해 체결되면서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을 연결할 수 있다.
간격유지관(330)의 일측이 제1 연결홀(111)에 삽입되고 간격유지관(330)이 타측이 제2 연결홀(211)의 주변에 접촉된 상태여서 설치시에 간격유지관(330)의 위치가 가고정된 상태에서 체결부재(31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310)를 고정시 간격유지관(330)의 타측이 제2 연결홀(211)의 주변과 접촉되면서 제2 패널판(210)을 가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트러스철물(130)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은 서로 교차되게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패널연결철물(3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제1 트러스철물(130)의 제1 주철근(131)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의 제2 주철근(231)은 서로 교차되게 겹쳐진 상태에서 패널연결철물(300)에 의해 가압되면서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트러스철물(130)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은, 벽면을 기준으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트러스철물(130)은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패널판(110)에 종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제2 트러스철물(230)은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2 패널판(210)에 횡방향으로 복수 개가 이격하여 설치되면서 제1 트러스철물(130)과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트러스철물(130)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은, 벽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벽면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트러스철물(130)은 좌측 하부에서 우측 상부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2 트러스철물(230)은 우측 하부에서 좌측 상부로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은 서로 교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벽체모듈(10)은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단부영역을 둘러싸도록 연결하고, 인접한 상기 벽체모듈(10)의 연결부분을 형성 가능한 단부연결철물(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부연결철물(400)은 상기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단부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단부연결철물(400)은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단부영역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패널판(110) 상기 제2 패널판(210)과 함께 콘크리트의 충전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 및, 복수 개의 단부연결철물(400)이 연결되면서 내부에 콘크리트의 충전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 및, 복수 개의 단부연결철물(400)에 의해 둘러싸이는 충전공간은 단부연결철물(400)에 형성될 수 있는 콘크리트홀을 제외한 부분이 막힌 폐단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충전공간에는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부연결철물(400)은 일부가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의 사이에 내입된 상태에서 벽체모듈(10)의 외곽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벽체모듈(10)의 연결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벽체모듈(10)이 연결되면서 벽체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교차되게 배치되는 충전공간으로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할 경우에는 복잡하게 교차된 제1 트러스철물(130), 제2 트러스철물(230) 등과 충돌되면서 콘크리트에서 골재가 분리되는 재료분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벽체모듈(10)은 철근의 배치가 복잡하지 않은 단부연결철물(400) 부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관의 배치가 가능함으로써, 단부연결철물(400) 부분을 통해 콘크리트가 재료분리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타설되고, 콘크리트홀을 통해 충전공간으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은 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재로 구성되고, 단부연결철물(400)은, 제1 패널판(110) 상기 제2 패널판(210)의 4개의 단부영역을 둘러싸도록 4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부연결철물(400)은, 상기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단부영역으로 내입되게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 접합되고,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단부연결철물(400)은, 상기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단부영역으로 내입되고, 제1 패널판(110), 상기 제2 패널판(210)과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단부연결철물(400)은, 벽체모듈(10)의 두께방향으로 제1 패널판(110), 단부연결철물(400), 제2 패널판(210) 순으로 순차적으로 겹쳐지고, 겹쳐진 인접한 부재가 서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즉, 단부연결철물(400)은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단부영역에서 내입되면서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의 사이를 이격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부연결철물(400)은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의 단부영역에서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벽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단부연결철물(4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적어도 'ㄷ'자형의 단면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단부연결철물(400)은 'ㄷ'자형의 단면을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부연결철물(400)은 'ㄷ'자형의 단면의 양측 선단부가 벽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휨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벽체모듈(10)의 단부연결철물(400)이 서로 용접 방식에 의해 연결시, 'ㄷ'자형의 단면의 양측 선단부가 벽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이 용접시의 뒷댐재의 역할을 함으로써, 용접 작업이 보다 용이해지고 용접부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부연결철물(400), 상기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 및, 상기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상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단부연결철물(430)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연결철물(410)과 상기 제2 단부연결철물(430)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관이 진입 가능할 수 있다.
제1 단부연결철물(410)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 단부연결철물(430)은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높이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 한 쌍의 제2 단부연결철물(430),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이 충전공간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부연결철물(410)은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단부연결철물(410)은 타설관이 내부로 진입 가능하도록 적어도 상면과 하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일례로, 인접한 2개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이 접합되면서 확보된 내부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관이 진입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제2 단부연결철물(430)은,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상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부연결철물(430)은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을 연결하되,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상면과 하면에 대응되는 부분은 개방되어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내부공간으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타설관이 진입될 수 있다.
일례로,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부연결철물(410)은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까지만 형성되고, 한 쌍의 제2 단부연결철물(430)은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단부연결철물(430)이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길이만큼 폭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단부연결철물(430)은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까지만 형성되고,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이 제2 단부연결철물(430)까지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제2 단부연결철물(43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제1 단부연결철물(410)이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 제2 단부연결철물(430)의 길이만큼 높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부연결철물(410)은, 상기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측면을 둘러싸고, 제1 콘크리트홀(412)이 형성된 제1 패널차단판(411) 및, 상기 제1 패널차단판(411)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판(110), 상기 제2 패널판(210)과 함께 벽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연장판(415)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패널차단판(411)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1 콘크리트홀(412)이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트러스철물(230)의 제2 주철근(231)은 선단부가 제1 패널차단판(411)에 형성된 제1 콘크리트홀(412)을 통해서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내부공간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트러스철물(230)의 제2 주철근(231)은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는 타설관과 간섭되지 않도록 돌출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제2 트러스철물(230)의 제2 주철근(231)은 선단부가 제1 패널차단판(411)에 형성된 제1 콘크리트홀(412)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 트러스철물(230)의 제2 주철근(231)이 타설관과 간섭되지 않도록, 제1 패널차단판(411)의 제1 콘크리트홀(412)까지만 설치되고,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내부공간으로는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연장판(415)은 인접한 상기 벽체모듈(10)의 연결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패널판(110), 상기 제2 패널판(210)과 함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단부연결철물(410)은 제1 패널차단판(411)과 한 쌍의 제1 연장판(41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패널차단판(411)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연장판(415)은 제1 패널차단판(41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절곡 형성되는 'ㅡ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판(415)은 제1 패널차단판(411)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제1 패널판(110)과 평행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패널차단판(411)과 한 쌍의 제1 연장판(415)이 함께 'ㄷ'자형의 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연장판(415)은 제1 패널차단판(41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절곡되고, 벽체모듈(10)의 두께방향 내측으로 다시 절곡 형성되는 'ㄴ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단부연결철물(410)은 제1 패널차단판(411)과 한 쌍의 제1 연장판(415)이 함께 'ㄷ'자형의 단면의 양측 선단부에서 벽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의 단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판(415)이 'ㄴ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경우, 연결되는 2개의 벽체모듈(10)의 제1 연장판(415)이 벽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이 벽체모듈(10)의 두께방향으로 맞대진 상태에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판(415)이 벽체의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은 용접 접합시의 뒷댐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단부연결철물(430)은, 상기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의 상면 또는 하면을 둘러싸는 제2 패널차단판(431)과, 상기 제2 패널차단판(431)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판(415)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패널판(110), 상기 제2 패널판(210)과 함께 벽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연장판(435) 및, 상기 제2 패널차단판(43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유입공간(437)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패널차단판(431)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제2 콘크리트홀(432)이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장판(435)은 인접한 상기 벽체모듈(10)의 연결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패널판(110), 상기 제2 패널판(210)과 함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벽면의 전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연장판(415)과 2개의 제2 연장판(435)은 서로 연결되면서 제1 패널판(110)을 둘러싸는 사각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벽면의 후면에 배치된 2개의 제1 연장판(415)과 2개의 제2 연장판(435)은 서로 연결되면서 제2 패널판(210)을 둘러싸는 사각링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체모듈(10)은 폭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되어 벽체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벽체구조물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타설된 콘크리트는 제1 콘크리트홀(412)과 제2 콘크리트홀(432)을 통해 벽체모듈(10)의 충전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단부연결철물(430)의 제2 패널차단판(431)과 제2 연장판(435)도 앞서 설명한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제1 패널차단판(411)과 제1 연장판(415)과 대등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2 단부연결철물(430)은 제2 패널차단판(43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유입공간(437)이 형성되는 점에서 제1 단부연결철물(410)과 차이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부연결철물(410)은 제1 패널차단판(411), 제1 패널차단판(41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연장판(41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제1 패널차단판(411) 및, 제1 연장판(415)은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부연결철물(430)은 제2 패널차단판(431), 제2 패널차단판(43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연장판(435)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부연결철물(430)의 제2 패널차단판(431)은 제2 연장판(435)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패널차단판(431)은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형성되어,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상면과 하면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패널차단판(431)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벗어난 부분에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트레미관 등의 타설관이 진입될 수 있는 관유입공간(437)이 확보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연장판(435)은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 양측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의 제1 연장판(415)에 대응되는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면서, 제2 연장판(435)과 제1 연장판(415)이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패널모듈(100)과 상기 제2 패널모듈(20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벽체모듈(10)부재로 구성되고, 제1 패널모듈(100)과 상기 제2 패널모듈(200)이 겹쳐지면서 상기 제1 트러스철물(130)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은 벽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벽체모듈(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경우에는 제1 패널모듈(100)과 제2 패널모듈(200)이 동일한 형상으로 가지는 벽체모듈(10)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제1 패널모듈(100)과 제2 패널모듈(200)은 패널연결철물(30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트러스철물(130)은 좌측 하부에서 우측 상부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제2 트러스철물(230)은 우측 하부에서 좌측 상부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벽체모듈(10)은 제1 패널판(110)을 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트러스철물(130)은 우측하단에서 좌측상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 벽체모듈(10)은 제2 패널판(210)을 후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트러스철물(230)은 우측하단에서 좌측상단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은 직사각형 형상의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제1 트러스철물(130)이 제1 패널판(110)에 배치된 방향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제2 패널판(210)에 배치된 방향이 동일하다.
즉, 제1 벽체모듈(10)과 제2 벽체모듈(10)은 동일한 벽체모듈(10)부재로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벽체모듈(10)과 제2 벽체모듈(10)을 동일한 벽체모듈(10)부재로 구성할 경우, 벽체모듈(1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수가 줄어들면서 설치상의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벽체모듈(10)이 설치된 상태에서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경우는,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경우와는 달리, 제1 패널모듈(100)의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모듈(200)의 제2 패널판(210)이 정사각형의 형상이 아닌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도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벽면을 기준으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교차되는 경우에는 제1 패널판(110)과 상기 제2 패널판(210)은 정사각형 형상의 금속판으로 구성될 경우에 제1 패널모듈(100)과 제2 패널모듈(200)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패널모듈(200)은 벽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제1 패널모듈(10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패널모듈(100)과 상기 제2 패널모듈(200) 중 어느 하나가 회전된 상태로 겹쳐지면서 상기 제1 트러스철물(130)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이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트러스철물(130)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230)이 서로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교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패널모듈(100)과 제2 패널모듈(200)은 패널연결철물(30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트러스철물(130)은 수평하게 설치되고, 제2 트러스철물(230)은 수직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벽체구조물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체구조물은 벽체모듈(10) 및, 콘크리트부재(2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보강트러스철물(500), 연결보강판(600), 연결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벽체구조물은 복수 개가 연결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상기 벽체모듈(10) 및, 복수 개의 상기 벽체모듈(10)의 내부공간에 타설되어 상기 벽체모듈(10)과 일체화되는 콘크리트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벽체구조물은 복수 개의 벽체모듈(10)이 폭방향 및/또는 높이방향으로 연결되면서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벽체모듈(10)의 단부영역은 서로 용접 접합방식 또는 볼트체결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벽체모듈(10)이 서로 연결된 벽체구조물은 기초부재, 기둥부재, 보부재 등의 다른 구조물과 연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초부재와 벽체구조물은 기초부재와 벽체구조물에 걸쳐서 설치되는 'U'자형 철물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U'자형 철물은 기초부재에 매립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벽체모듈(10)의 제2 단부연결철물(430)에 형성된 제2 콘크리트홀(432)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기둥부재와 벽체구조물은 기둥부재와 벽체구조물에 걸쳐서 설치되는 'U'자형 철물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U'자형 철물은 기둥부재에 매립된 상태에서 개방된 양단부가 벽체모듈(10)의 제1 단부연결철물(410)에 형성된 제1 콘크리트홀(412)을 통해 연통될 수 있다.
콘크리트부재(20)는 강재 등의 구성되는 벽체모듈(10)과 강합성될 수 있다.
이때, 벽체모듈(10)의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교차되게 설치되면서 콘크리트부재(20)와의 결합력이 현저히 증대될 수 있다.
콘크리트부재(20)는 벽체모듈(10)의 단부연결철물(400)의 내부공간으로 타설관을 진입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콘크리트부재(20)는 타설관을 통해 단부연결철물(400)의 내부에 타설되고, 단부연결철물(400)에 형성된 콘크리트홀을 통해 제1 패널판(110)과 제2 패널판(210) 사이의 충전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충전공간 및, 단부연결철물(400)의 내부공간에 타설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벽체모듈(10)은 제1 패널모듈(100)의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패널모듈(200)의 제2 트러스철물(230)이 벽면을 기준으로 교차되게 설치됨으로써,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트러스철물(230)이 콘크리트부재(20)의 주된 균열방향(F)과 상이한 방향을 형성하면서 각각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어 콘크리트의 균열에 대해 보다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벽체구조물은 벽체모듈(10)의 단부영역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연결보강판(600) 및, 상기 연결보강판(600)과, 상기 벽체모듈(10)의 단부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보강판(600)은 연결되는 인접한 벽체모듈(10)의 단부연결철물(400)에 걸쳐서 설치되고, 연결부재(700)가 연결보강판(600) 및 단부연결철물(400)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연결보강판(600)은 연결되는 2개의 벽체모듈(10)의 단부영역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재(7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보강판(600)은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과 동일한 두께의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인접한 2 개의 제1 패널판(110)을 단차없이 연결하거나, 인접한 2개의 제2 패널판(210)을 단차없이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벽체구조물은 상기 콘크리트부재(20)의 주된 균열방향(F)인 벽면의 대각선 방향과 교차되도록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보강트러스철물(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벽체구조물은 복수 개의 벽체모듈(10)이 폭방향 및/또는 높이방향으로 연결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보강트러스철물(500)은 제1 트러스철물(130) 및 제2 트러스철물(230)과 구성이 거의 유사하다.
보강트러스철물(50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주철근(미도시)과 보강주철근(미도시)은 지지하여 제1 패널판(110) 또는 제2 패널판(210)에 고정하는 보강레티스철근(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트러스철물(500)은 콘크리트부재(20)의 주된 균열방향(F)과 교차되도록 배치되어 콘크리트부재(20)의 균열에 안정적으로 저항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강트러스철물(500)이 제1 패널모듈(100)의 제1 트러스철물(130)과 제2 패널모듈(200)의 제2 트러스철물(230)과 함께 전단하중에 저항하면서 콘크리트의 균열제어성능이 강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도 10을 참조하면, 벽체모듈(10)은 건물의 한층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고, 폭방향으로 복수 개가 연결되면서 건물의 벽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벽체구조물은 벽체모듈(10)의 설치위치에 따라 보강트러스철물(500)의 설치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벽체구조물을 구성하는 콘크리트부재(20)의 주된 균열방향(F)은 대각선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벽체구조물의 단부영역에 배치되는 벽체모듈(10)은 콘크리트부재(20)의 주된 균열방향(F)과 교차되도록 벽체모듈(10)의 높이방향 상측영역과 하측영역에 보강트러스철물(500)이 배치될 수 있다.
벽체구조물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벽체모듈(10)은 콘크리트부재(20)의 주된 균열방향(F)과 교차되도록 벽체모듈(10)의 높이방향 중앙영역에 걸쳐서 보강트러스철물(500)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보강트러스철물(500)은 2개 이상의 벽체모듈(10)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벽체구조물은 타설관이 진입 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모듈(10)과 연결되면서 타설홀을 통해 상기 벽체모듈(10)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타설용관체(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설용관체(30)는 벽면의 모서리부분에 배치되어 벽체모듈(10)의 단부연결철물(400)과 연결될 수 있다.
인접한 2개의 벽체모듈(10)이 연결되는 경우에는 연결된 2개의 단부연결철물(400)의 내부공간에 타설관이 충분히 진입될 수 있다.
다만, 벽면의 모서리부분에서는 하나의 벽체모듈(10)이 배치되고 다른 구조물과 연결되는바, 1개의 벽체모듈(10)의 단부연결철물(400)의 내부공간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관의 진입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벽체모듈(10)의 단부연결철물(400)과 연통되는 별도의 타설용관체(30)를 배치하여 타설관의 진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한다.
타설용관체(30)의 내부공간으로 타설된 콘크리트는 타설용관체(30)에 형성된 타설홀 및, 단부연결철물(400)의 콘크리트홀을 거쳐 충전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벽체구조물은 벽체모듈(10)의 단부영역의 전면과 후면을 일체로 덮도록 설치되는 연결보강재(800) 및, 상기 연결보강재(800)와, 상기 벽체모듈(10)의 단부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보강재(800)는 연결되는 인접한 벽체모듈(10)의 단부연결철물(400)에 걸쳐서 설치되고, 연결부재(700)가 연결보강재(800) 및 단부연결철물(400)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연결보강재(800)은 연결되는 2개의 벽체모듈(10)의 단부영역의 전면과 후면에 일체로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재(700)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연결보강재(8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H'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연결보강재(800)는 연결되는 2개의 인접한 벽체모듈(1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인접한 벽체모듈(10)을 연결한 상태에서 기둥부재, 보부재, 앞서 설명한 타설용관체(30) 등의 다른 구조물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보강재(800)는 연결되는 인접한 벽체모듈(10)의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플랜지와, 연결되는 인접한 벽체모듈(10)의 후면에 배치되는 후면플랜지 및, 전면플랜지와 후면플랜지의 사이를 연결하고 콘크리트가 유동하는 유동홀(810)이 형성된 연결웨브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웨브부재에 형성된 유동홀(810)을 통해 연결되는 2개의 벽체모듈(10) 간에 콘크리트가 유동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보강재(800)의 전면플랜지와 후면플랜지는 제1 패널판(110), 제2 패널판(210)과 동일한 두께의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인접한 2 개의 제1 패널판(110)을 단차없이 연결하거나, 인접한 2개의 제2 패널판(210)을 단차없이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벽체구조물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벽체모듈(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벽체구조물에서 활용되는벽체모듈(10)의 제1 패널모듈(100), 제2 패널모듈(200), 패널연결철물(300) 등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벽체모듈(10)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벽체모듈 20: 콘크리트부재
30: 타설용관체 100: 제1 패널모듈
110: 제1 패널판 111: 제1 연결홀
130: 제1 트러스철물 131: 제1 주철근
133: 제1 레티스철근 200: 제2 패널모듈
210: 제2 패널판 211: 제2 연결홀
230: 제2 트러스철물 231: 제2 주철근
233: 제2 레티스철근 300: 패널연결철물
310: 체결부재 311: 볼트부재
313: 너트부재 330: 간격유지관
350: 와샤 400: 단부연결철물
410: 제1 단부연결철물 411: 제1 패널차단판
412: 제1 콘크리트홀 415: 제1 연장판
430: 제2 단부연결철물 431: 제2 패널차단판
432: 제2 콘크리트홀 435: 제2 연장판
437: 관유입공간 500: 보강트러스철물
600: 연결보강판 700: 연결부재
800: 연결보강재 810: 유동홀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F: 주된 균열방향

Claims (15)

  1. 일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1 패널판,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판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1 트러스철물을 구비하는 제1 패널모듈;
    타측 벽면을 형성하는 제2 패널판, 상기 제1 방향과 교차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패널판에 이격하여 복수 개가 배치되는 제2 트러스철물을 구비하는 제2 패널모듈; 및,
    상기 제1 패널모듈과 상기 제2 패널모듈을 이격시켜 연결하는 패널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러스철물의 제1 주철근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의 제2 주철근은 서로 교차되게 겹쳐진 상태에서 상기 패널연결철물에 의해 가압되면서 연결되고,
    단부연결철물은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단부영역으로 내입되면서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사이를 이격시켜 지지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적어도 'ㄷ'자형의 단면을 포함하는 벽체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러스철물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은,
    벽면을 기준으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러스철물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은,
    벽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단부영역을 둘러싸도록 연결하고, 인접한 상기 벽체모듈의 연결부분을 형성 가능한 단부연결철물;을 더 포함하는 벽체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연결철물은,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단부영역으로 내입되게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 접합되고, 제1 패널판과 제2 패널판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연결철물,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양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 및,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상면과 하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단부연결철물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단부연결철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연결철물과 상기 제2 단부연결철물은 높이방향으로 연통되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타설관이 진입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부연결철물은,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측면을 둘러싸고, 제1 콘크리트홀이 형성된 제1 패널차단판; 및,
    상기 제1 패널차단판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패널판, 상기 제2 패널판과 함께 벽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연장판;을 구비하는 벽체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연결철물은,
    상기 제1 패널판과 상기 제2 패널판의 상면 또는 하면을 둘러싸는 제2 패널차단판;
    상기 제2 패널차단판의 폭방향 양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연장판과 연결되며, 상기 제1 패널판, 상기 제2 패널판과 함께 벽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2 연장판; 및,
    상기 제2 패널차단판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를 벗어난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부연결철물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한 쌍의 관유입공간;을 구비하는 벽체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모듈과 상기 제2 패널모듈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벽체모듈부재로 구성되고,
    제1 패널모듈과 상기 제2 패널모듈이 겹쳐지면서 상기 제1 트러스철물과 상기 제2 트러스철물은 벽면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모듈.
  11. 복수 개가 연결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벽체모듈; 및,
    복수 개의 상기 벽체모듈의 내부공간에 타설되어 상기 벽체모듈과 일체화되는 콘크리트부재;를 포함하는 벽체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모듈은,
    상기 콘크리트부재의 주된 균열방향인 벽면의 대각선 방향과 교차되도록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보강트러스철물;을 더 포함하는 벽체구조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모듈의 단부영역의 전면과 후면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연결보강판; 및,
    상기 연결보강판과, 상기 벽체모듈의 단부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체구조물.
  14. 제11항에 있어서,
    타설관이 진입 가능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벽체모듈과 연결되면서 타설홀을 통해 상기 벽체모듈로 콘크리트를 유입시키는 타설용관체;를 더 포함하는 벽체구조물.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모듈의 단부영역의 전면과 후면을 일체로 덮도록 설치되는 연결보강재; 및,
    상기 연결보강재와, 상기 벽체모듈의 단부영역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벽체구조물.
KR1020190034742A 2019-03-27 2019-03-27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KR102200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42A KR102200236B1 (ko) 2019-03-27 2019-03-27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4742A KR102200236B1 (ko) 2019-03-27 2019-03-27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92A KR20200113892A (ko) 2020-10-07
KR102200236B1 true KR102200236B1 (ko) 2021-01-07

Family

ID=72884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742A KR102200236B1 (ko) 2019-03-27 2019-03-27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2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380A (ko) 2021-03-09 2022-09-16 정재경 다용도 경량형 플라스틱 벽체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05578B (zh) * 2023-10-07 2023-12-19 中交第四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钢筋网架钢板组合剪力墙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409A (ja) * 2001-01-31 2002-08-14 Ohbayashi Corp 型枠組立用治具および型枠の組立方法
KR100759368B1 (ko) * 2006-11-01 2007-09-19 김길영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0875488B1 (ko) * 2007-07-13 2008-12-22 김범준 무지주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공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8428A (ko) 2013-09-06 2015-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블라스트 릴리프 월
KR101630931B1 (ko) * 2014-08-21 2016-06-24 (주)월드피씨 콘크리트의 전단 균열 방지근 및 제작 편의성을 갖는 복공판
KR20170113783A (ko) * 2016-03-25 2017-10-13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철근이 부착된 거푸집 일체형 벽체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409A (ja) * 2001-01-31 2002-08-14 Ohbayashi Corp 型枠組立用治具および型枠の組立方法
KR100759368B1 (ko) * 2006-11-01 2007-09-19 김길영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0875488B1 (ko) * 2007-07-13 2008-12-22 김범준 무지주 거푸집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공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380A (ko) 2021-03-09 2022-09-16 정재경 다용도 경량형 플라스틱 벽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3892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JP4823790B2 (ja)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KR101082575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장지간 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00236B1 (ko)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KR100646661B1 (ko) 슬림플로어를 위한 변형단면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슬림플로어 구조
KR100722809B1 (ko)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 단면강성이 보강된 빔을 이용한교량 설치구조 및 교량시공방법
KR200455723Y1 (ko) 하이브리드 철골보
KR102374295B1 (ko) 합성보 및, 바닥구조체
KR102142304B1 (ko) 기둥부재와 와이드보의 접합구조 및, 바닥구조체
KR102118884B1 (ko) 하이브리드 pc 지하주차장
KR102321259B1 (ko) 합성기둥 및, 합성기둥과 보부재의 접합구조
JP2009030321A (ja) 複合梁と木製柱の接続による門型フレーム
JP2000213177A (ja) 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KR101984211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JP3828641B2 (ja) 柱と梁の結合構造
JPH04368528A (ja) ボイド梁を用いた架構工法
KR102277420B1 (ko) 강관을 활용한 교량 거더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679535B1 (ko) 주차타워 골조시스템 시공 구조
JP4072274B2 (ja) 建物ユニット
KR101165443B1 (ko) 층고저감형 바닥구조
KR102003286B1 (ko) 보와 기둥이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할 수 있는 와이드 합성 구조
JP7009731B2 (ja) 床構造
KR102582723B1 (ko) 피씨 더블 월을 이용한 벽체 구조물
JP7263677B2 (ja) 構造物
KR102154647B1 (ko) 철골구조물 다이어 프레임과 거더가 일체화되어 기둥과 거더의 단면강성이 강화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