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11423A1 -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11423A1
WO2017111423A1 PCT/KR2016/014923 KR2016014923W WO2017111423A1 WO 2017111423 A1 WO2017111423 A1 WO 2017111423A1 KR 2016014923 W KR2016014923 W KR 2016014923W WO 2017111423 A1 WO2017111423 A1 WO 201711142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frame assembly
wall
prefabricat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492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동우
조경주
김길영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711142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114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unit wall for exterior insulation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exterior wall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prefabricated unit wall for exterior insulation and a prefabricated unit wall capable of acting as a formwork by simple assembly with an external insul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n exterior wall, which is formed by connecting walls with up, down, left and right to form formwork for exterior walls and placing filling materials.
  • the outer wall of the RC method mainly consist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formwork molds capable of injecting and curing cement mortar in plastered condition must be constructed in advance.
  • the process of building the formwork is made with various processes such as renting panels and accessories, woodworking of the formwork, mortar injection, dismantling the formwork, and site cleanup.
  • various processes such as renting panels and accessories, woodworking of the formwork, mortar injection, dismantling the formwork, and site cleanup.
  • the construction period is extended by these processes as necessary when forming the outer wall, such as the external surface finishing, insulation construction, internal surface finishing, wiring piping, etc.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used for the external insulation is not only subjected to a separate molding process, but also directly attached to the site, and in order to fix it stably, there is a limitation that a separate fastener must be combined.
  •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 the purpose is as follows.
  • unskilled construction can be quickly installed with a predetermined quality and excellent in thermal insulation prefabricated unit wall and external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in terms of material management and construc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in the assembled unit wall (U) to form an outer wall in the outer surface of the plate installed to contact the outside (outer) (100);
  • An outer frame assembly (200) formed as a member coupled in a long direction in a frame shape from the inside of the exterior finish plate (100);
  • An inner frame assembly 300 that forms the same shape as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Four plates are combined to form a rectangular member, one end of each plat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420 to be fitted to one end of the side of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the other end is a fitting by a protrusion or groove ( 440,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is formed; Insulation material 500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the inner surface; Both ends are formed with a connector coupling portion 620 having a protrusion shape so that one end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440 of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other end is fitted to the side end of the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00 and the inside are included.
  • Filler (M) is filled between the frame assembly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 the first frame protrusion 226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plate 224 in which the first frame plate coupling portion 222 has a protrusion or groove shape at one end of the side. Extruded two first frame 220 is coupled, the first frame protrusion 226 is coupled to each other at a right angle so that the first frame protrusion 226 facing outwards; Two second frame 260 extruded to be formed so that the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266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plate 264 where the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ortion 262 is formed, the second frame A second frame assembly 280 coup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such that the insertion grooves 266 face outwardly;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ortions 222 and 262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and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inside Frame assembly 300 is the first 'frame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r groove on one end of the side Two first 'frames
  • Convex portions 320a and 360a which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2' frame plates 324 and 364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are further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pposite ends of the mating portions 322 and 362, and the exterior finish
  • the plate 100 and the inner finish plate 700 are additionally provided with concave grooves 120 and 720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ortions 220a, 260a, 320a, and 360a to be fitted to the side surface.
  • 100 and the inner finishing plate 700 in a sliding manner to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respective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 the connector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Filler (M) is poured between the adjacent connector 600 is fill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00 and the inner finish plate 700.
  • the tie member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penetrates and fixes a pair of nut parts 820 and the pair of nut parts 820 simultaneously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finishing plate 700 and one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00. It is composed of a bolt portion 840, the end of the bolt portion 840 penetrating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00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the form of arrowhead.
  • the prefabricated unit wall (U) is installed to expose the outer wall reinforcing bars (WS) between adjacent connectors 600,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20 and 260 of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are made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walls U, respectively.
  • the support steel plate 900 is coupled to the slab bottom surface (S) side
  • the first plate portion 920 is connected to the first plate portion 920 at a right angle to the second plate portion 940 extending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plate portion 940 connected at right angles several times to form a P It is composed of a third plate portion 960 extending over the second plate portion 940, the elongated iron (A) install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slab bottom surface (S) is fixed to the first plate portion 920 by the supporting steel plate ( 900 is fixed to the slab bottom surface (S).
  • Prefabricated unit wall (U)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o that up to the support steel plate 900 from the exterior finish plate 100 to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00 in cross section.
  • the third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material (M) for each prefabricated unit wall (U) is divided and poured three times to five times.
  • the outer wall of various lengths can be formed through the connector,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greatly reduced by connecting the unit walls in the form of simple concavo-convex coupling in up, down, left and right.
  • the external wall is formed in a prefabricated manner, unskilled workers can be quickly constructed with a predetermined quality, and can be applied to remodeling of existing buildings as well as new building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unit wall for external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or external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unit wall for external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installation of the supporting steel plate in the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or outer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fabricated unit wall for outer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unit wall U for external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abricated unit wall U for external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for a thermal ins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nit wall U.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finishing plate 100 on a plat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in the assembled unit wall U connected to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to form an outer wall;
  • An outer frame assembly (200) formed as a member coupled in a long direction in a frame shape from the inside of the exterior finish plate (100);
  • An inner frame assembly 300 that forms the same shape as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Four plates are combined to form a rectangular member, one end of each plat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420 to be fitted to one end of the side of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the other end is a fitting by a protrusion or groove ( 440,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is formed; Insulation material 500 is inserted into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the inner surface;
  • Both ends are formed with a connector coupling portion 620 having a protrusion shape so that one end is fitted to the fitting portion 440 of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other end is fitted to the side end of the inner frame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00 and the inside are included.
  • Filler (M) is filled between the frame assembly 300 is characterized in that.
  • Exterior finish plate 100 is a finishing material installed on the outermost of the building,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the exterior finish plate 100 may be provided in a variety of materials and textures, such as marble panels, wood panels, such that the outer surface is the finishing surface of the outer wall, it is cut and used to a predetermined standard or extruded to a long length required in the field It may be used by cutting to length.
  •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is a member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exterior finish plate 100, and one end of the side is formed with a groove or a protrusion, and is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in a prefabricated manner.
  •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has a first frame plate 224 having a first frame plate coupling portion 222 having a protrusion or groove shape at one end of the side as shown in FIGS. 2 and 3.
  • Two first frames 220 extruded to be formed so that the frame protrusions 226 are formed to protrude, the first frame assembly 240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so that the first frame protrusions 226 face outwards; and
  • the second frame 260 is extruded to be recessed to form a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266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plate 264, the second frame plate engaging portion 262 is formed in a protrusion or groove on one side portion
  • a second frame assembly 280 coupled to each other at right angles so that the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266 faces the outside;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ortions 222 and 262 face the same direction. It can be configured to combine to form a long direction.
  • the first frame assembly 240 is composed of two first frames 220. As shown in FIG. 3, the first frame 220 is extruded so that the first frame protrusion 226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plate 224.
  • the plate coupling portion 222 may be manufactured to be further formed.
  • the first frame plate 224 may be formed in a 'date' or 'a', and also one or more first frame protrusions 226 may be formed.
  • the first frame assembly 240 is formed by coupling two first frames 220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with the first frame protrusion 226 facing outward.
  • the two first frames 220 for the first frame assembly 240 are used by cutting the length of the extruded to a required length, while adopting synthetic resins such as aluminum or ABS, which is easy for extrusion production. It is preferable when considering.
  • the second frame assembly 280 is composed of two second frames 260 are coupled.
  • the second frame 26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frame 220, that is, the extrusion is produced so that the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266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plate 264 is recessed,
  • the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ortion 262 in the form of a protrusion or a groove may be manufactured to be further formed.
  • the second frame assembly 280 is formed by coupling two second frames 260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with the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266 facing outward.
  • the two second frames 260 for the second frame assembly 280 are also preferably extruded and made into synthetic resins such as aluminum or ABS, and then cut into the required lengths. .
  • the outer frame combiner 200 is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combiners 240 and 280 as described above.
  •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 combiners 222 and 262 are further provided. 222, 262 are combin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a spaced interval from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is a member manufactured in the same form as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rame plate 324 in which the first' frame plate coupling portion 32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ide as shown in FIGS. 2 and 3.
  • Two first 'frames 320 which are extruded to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frame protrusions 326,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frames that are coupled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frame protrusions 326 face outwards.
  • the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366 is reces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rame plate 364 on which the coupling body 340 and the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art 362 are formed at the one end of the side.
  • first 'frame plate coupling portion 322, the first' frame plate 324, the first 'frame projection 326, the first' frame assembly 340, the second 'frame judgment of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The joining part 362, the second 'frame plate 364, the second' frame inserting groove 366, and the second 'frame joining body 380 are formed of the first frame plate engaging part 222 of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1 frame plate 224, the first frame protrusion 226, the first frame assembly 240, the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ortion 262, the second frame plate 264, the second frame insertion groove 266,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o frame assembly 280 and configured the sam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 (224, 264) locat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opposite surface ends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arts (222, 262) perpendicular to the inside
  • the inner frame In the assembly 300,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s 324 and 364 position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opposite surface ends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ortions 322 and 362 are formed are perpendicular to the inside.
  • the exterior finish plate 100 and the interior finish plate 7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s 224 and 264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s 324 and 364, respectively.
  • first and second frame plates 224 and 264 of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re configured to be bent at right angles at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parts to more firmly bond the exterior finish plate 100. Can be. And such a configuration forms a so-called 'Mumeji' where the joint is invisible when viewed from the outside.
  •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may also be combined with the inner finishing plate 700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 first and second frames 220 and 260 of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re positioned inside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s 224 and 264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pposite ends of the opposite surfaces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arts 222 and 262 are formed. Convex portions 220a and 260a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are further provided, and the first and second frame frames 320 and 360 of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are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ortions 322 and 362.
  • Convex portions 320a and 360a which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first 'and 2' frame plates 324 and 364 by a predetermined thickness are further provid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opposite ends of the formed opposite surfaces, and the exterior finish plate 100
  • the inner finish plate 700 is provided with concave grooves 120 and 720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 to correspond to the convex portions 220a, 260a, 320a, and 360a to be fitted to the side, thereby providing an exterior finish plate 100 and an inner finish plate ( 700 may be fitted to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in a sliding manner.
  • concave grooves 120 having a predetermined cross-sectional groove are formed on four sides of the external finishing plate 100 or the internal finishing plate 700, and the convex portions 220a of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are formed.
  • 260a, 320a, and 360a may be coupled in such a manner as to be pushed into the recesses 120 and 720. This prevents the exterior finish plate 100 and the interior finish plate 700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while providing a more convenient assembly. This is made up so that the outer joint (aka 'meji) is visible.
  •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is a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serves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0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talled.
  •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four plates are coupled to form a frame shape, and as shown in FIG. 3, each plate includes protrusions 420 and fitting portions 440 on both sides of a central plate.
  • the protruding portion 420 is a portion fitted to the first and second frame plate coupling portions 222 and 262 of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protrudes a predetermined portion while being bent at one end of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s shown in FIG. 2. It is configured to be.
  • the fitting portion 440 serves to accommodate the connector 600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to be described later, as shown in Figure 2 to provide a groove that is coupled to form the 'C' cross-s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do.
  •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00 is a membe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described above, and serves to block heat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the outside.
  • on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and the other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end of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bent cross section of the outer frame assembly 200 is shown.
  • a urethane foam having good mold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types of heat insulating materials 500 may be us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 the connector 600 is a member that connects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connector coupling portion 620 having a concave-convex surface is formed at both ends.
  • the connector 600 is installed to surround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in a state where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are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and adjacent connectors Filler (M) is poured between the 600 may be filled between the heat insulating material 500 and the inner finish plate 700.
  • the connector 600 should be installed to partially connect between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which is the filling material (M) between the intermediate frame assembly 400 and the inner frame assembly (300) To provide an opening space to be poured.
  • the connector 600 may be extruded to a long length and then used by cutting to a required width. As shown in FIG. 3, the connector 600 may be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be used for joining corner portions. It may be.
  • Figure 4 is an installation of the supporting steel plate 900 in the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prefabricated unit wall (U) for external insu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5 is a prefabricated unit wall (U) for external ins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One embodiment of the outer wall construction method is sh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회석 원재료를 마련하는 수처리용 원재료 마련 단계; 상기 마련된 석회석 원재료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소성하여 일부가 생석회 성분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소성 단계; 및 상기 소성 단계에서 소성된 소성품을 냉각시키는 냉각 단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에서, 외기(外氣)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 상의 외장마감판; 상기 외장마감판 내측에서 액자형태로 장방향을 이루며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프레임결합체;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일정 간격 마주보며 이격된 채 설치되는 내부프레임결합체; 4개의 판이 결합되어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로, 각각의 판의 일단은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의 측부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끼움부가 형성된 중간프레임결합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재; 양단부가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의 측부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 외면에 결합되는 판 상의 내부마감판; 및,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의 일면을 관통한 채 고정되고, 단부가 상기 단열재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타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 사이에 채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본 발명은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단열이 구비된 채 단순 조립으로 거푸집 형틀 기능을 대행할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와 이러한 조립식 단위벽체를 상하좌우로 연결하여 외벽용 거푸집을 형성하고 채움재를 타설하여 완성되는 외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C공법의 외벽은 주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를 시공하려면 회반죽상태의 시멘트모르타르를 주입 양생할 수 있는 거푸집 형틀이 사전에 구축되어야 한다.
이러한 거푸집 형틀의 구축공정은 패널과 부속자재 임대, 형틀 목공, 모르타르 주입, 형틀 해체, 현장 정리 등의 여러 공정이 함께 이루어진다. 더불어 외부면 치장마감, 단열재시공, 내부면 미장마감, 배선 배관 등의 공정도 외벽 형성 시에 필요한대 이러한 공정들에 의해 공사기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외단열용으로 이용되는 단열재는 별도의 성형화 과정을 거치는 것은 물론, 현장에서 직접 부착해야 하고, 이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파스너(Fastner)를 결합시켜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외단열로 외벽을 형성할 때에는 바닥 슬래브 위로 외장마감판은 물론 단열재가 위치됨으로써 실 활용되는 내부 공간이 줄어든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비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고 자재관리 및 시공면에서 기존의 건식·습식공법에 비해 우수한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단위벽체간 연결부에서 채움재가 새는 현상이 방지되고, 채움재 타설시 배불림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다수 개의 조립식 단위벽체를 조립하여 다양한 길이 및 높이를 갖는 외벽을 축조할 수 있고, 단열재를 별도로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공간활용 및 쾌적성 확보에 필요한 각종 기기, 설비 등을 정밀하고 일괄적으로 내장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별도로 마련된 받침강판을 이용하여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섯째, 외벽 시공 과정에서 폐기물 발생량이 종래에 비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에서 외기(外氣)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 상의 외장마감판(100); 상기 외장마감판(100) 내측에서 액자형태로 장방향을 이루며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일정 간격 마주보며 이격된 채 설치되는 내부프레임결합체(300); 4개의 판이 결합되어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로, 각각의 판의 일단은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측부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부(420)가 형성되고, 타단은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끼움부(440)가 형성된 중간프레임결합체(400);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재(500); 양단부가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620)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끼움부(440)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측부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600);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외면에 결합되는 판 상의 내부마감판(700); 및,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일면을 관통한 채 고정되고, 단부가 상기 단열재(50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타이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500)와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에 채움재(M)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2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2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2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2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2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2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2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2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2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2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으로 이루고,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3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3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3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3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3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3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3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3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3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3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224,2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324,3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2프레임판(224,264)과 제1´,2´프레임판(324,364)의 단부에서 직각된 면 외면에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2프레임(220,260)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224,2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220a,260a)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320,360)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324,3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320a,360a)가 추가로 구비되며,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은 측면에 상기 볼록부(220a,260a,320a,360a)가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일정 단면 파인 오목홈(120,720)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600)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가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에 채움재(M)가 타설되어 단열재(500)와 내부마감판(700) 사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이부재(800)는 내부마감판(700)의 외면과 단열재(500)의 일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너트부(820)와 상기 한 쌍의 너트부(820)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볼트부(840)로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500)를 관통하는 볼트부(840)의 단부는 화살촉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단위벽체(U)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서, 슬래브 바닥면(S) 위로 계획된 위치에 외벽용 철근(WS)을 배근하는 제1단계;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로 노출되도록 조립식 단위벽체(U)를 설치하되,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220,260)과 제1´,2´프레임(320,360)에 구비된 제1,1´프레임돌기(226,326) 및 제2,2´프레임삽입홈(266,366)을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시켜 인접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끼리 상호 끼움결합으로 상하좌우 연결하면서 적층하는 제2단계; 상기 조립식 단위벽체(U) 내측의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배근된 위치에 채움재(M)를 타설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단계 전에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으로 연장되는 받침강판(900)을 추가로 설치하는 과정이 포함되되, 상기 받침강판(900)은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에 결합되는 제1판부(920)와 상기 제1판부(920)로부터 직각으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판부(940)와 상기 제2판부(940)로부터 여러 번 직각되게 연결되어 P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판부(940) 위로 연장되는 제3판부(960)로 구성되고, 상기 슬래브 바닥면(S)의 측면에 설치되는 긴결철물(A)이 제1판부(92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받침강판(900)이 슬래브 바닥면(S)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단위벽체(U)는 단면상 외장마감판(100)부터 단열재(500)까지가 상기 받침강판(900) 위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단계는 조립식 단위벽체(U)마다 채움재(M)가 3회 ~ 5회에 걸쳐 분할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벽 시공에 소요되는 거푸집, 패널, 단열재, 마감재 등의 자재를 일원화하여 자재관리, 시공성, 경제성 등에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둘째, 커넥터를 통해 다양한 길이의 외벽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상하좌우로 간단한 요철결합 형태로 단위벽체 간에 연결이 이루어짐으로써 공사기간을 대폭 감축시킬 수 있다.
셋째, 외벽 형성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비숙련공도 소정의 품질로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신축건물뿐만 아니라 기존 건물의 리모델링 공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넷째, 외벽 시공 시 단열재와 외장마감판이 슬래브 바닥면 측면에 결합된 받침강판 위에 거치됨으로써 실제 내부의 공간활용성이 좋아지고, 각종 기기 및 설비 등을 정밀하고 일괄적으로 내장 설치할 수 있다.
다섯째, 외벽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양이 현저히 감소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처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서 받침강판의 설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에서, 외기(外氣)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 상의 외장마감판; 상기 외장마감판 내측에서 액자형태로 장방향을 이루며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프레임결합체;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일정 간격 마주보며 이격된 채 설치되는 내부프레임결합체; 4개의 판이 결합되어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로, 각각의 판의 일단은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의 측부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단은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끼움부가 형성된 중간프레임결합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재; 양단부가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의 끼움부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의 측부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 외면에 결합되는 판 상의 내부마감판; 및,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의 일면을 관통한 채 고정되고, 단부가 상기 단열재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타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와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 사이에 채움재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에서, 외기(外氣)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 상의 외장마감판(100); 상기 외장마감판(100) 내측에서 액자형태로 장방향을 이루며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일정 간격 마주보며 이격된 채 설치되는 내부프레임결합체(300); 4개의 판이 결합되어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로, 각각의 판의 일단은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측부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부(420)가 형성되고, 타단은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끼움부(440)가 형성된 중간프레임결합체(400);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재(500); 양단부가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620)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끼움부(440)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측부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600);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외면에 결합되는 판 상의 내부마감판(700); 및,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일면을 관통한 채 고정되고, 단부가 상기 단열재(50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타이부재(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500)와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에 채움재(M)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장마감판(100)은 건물의 가장 외측에 설치되는 마감재로, 소정 두께를 갖는 판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외장마감판(100)은 외면이 외벽의 마감면이 되도록 대리석 패널, 목재 패널 등의 다양한 재질 및 질감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용되거나 긴 길이로 압출 제작되어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 맞춰 절단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외장마감판(100) 내면에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후술할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조립식으로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2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2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2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2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2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2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2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2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2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2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결합체(240)는 2개의 제1프레임(220)으로 결합 구성된다. 제1프레임(220)은 도 3에서와 같이 제1프레임판(2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226)가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것이며, 측부 일단에는 돌기 또는 홈 형태의 제1프레임판결합부(222)가 더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프레임판(224)은 '일자형' 또는 'ㄱ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제1프레임돌기(226)는 1개는 물론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결합체(240)는 제1프레임돌기(226)가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2개의 제1프레임(220)을 서로 직각으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제1프레임결합체(240)를 위한 2개의 제1프레임(220)은 긴 길이로 압출 제작한 것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용하는 한편, 압출 제작에 용이한 알루미늄이나 ABS 등의 합성수지류를 채택함이 경제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제2프레임결합체(280)는 2개의 제2프레임(260)으로 결합 구성된다. 제2프레임(260)은 제1프레임(220)에 대응하게 마련되는데, 즉 제2프레임판(2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함몰되어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되고, 측부 일단에는 돌기 또는 홈 형태의 제2프레임판결합부(262)가 더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2프레임결합체(280)는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외측으로 향하게 하여 2개의 제2프레임(260)을 서로 직각으로 결합하여 형성된다. 제2프레임결합체(280)를 위한 2개의 제2프레임(260)도 제1프레임(220)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이나 ABS 등의 합성수지류로 긴 길이로 압출 제작한 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상기와 같은 제1,2프레임결합체(240,280)의 결합으로 구성되며, 특히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더 구비된 경우에는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된다.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일정 간격 이격된 채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동일한 형태로 제작되는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3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3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3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3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3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3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3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3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3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3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프레임판결합부(322), 제1´프레임판(324), 제1´프레임돌기(326), 제1´프레임결합체(340), 제2´프레임판결합부(362), 제2´프레임판(364), 제2´프레임삽입홈(366), 제2´프레임결합체(380)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프레임판결합부(222), 제1프레임판(224), 제1프레임돌기(226), 제1프레임결합체(240), 제2프레임판결합부(262), 제2프레임판(264), 제2프레임삽입홈(266), 제2프레임결합체(280)와 각각 대응하며 동일하게 구성되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한편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224,2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고,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324,3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며, 제1,2프레임판(224,264)과 제1´,2´프레임판(324,364)의 단부에서 직각된 면 외면에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2프레임판(224,264)은 상·하부의 일면이 직각으로 절곡되게 구성됨으로써 외장마감판(100)을 좀 더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은 외부에서 보았을 때 줄눈이 보이지 않는 일명 '무메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프레임결합체(300)도 상기와 같은 형태로 내부마감판(7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2프레임(220,260)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224,2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220a,260a)가 추가로 구비되고,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320,360)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324,3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320a,360a)가 추가로 구비되며,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은 측면에 볼록부(220a,260a,320a,360a)가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일정 단면 파인 오목홈(120,720)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외장마감판(100) 또는 내부마감판(700)의 4개 측면에 일정 단면 파인 오목홈(120)이 가공 성형되고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볼록부(220a,260a,320a,360a)가 이러한 오목홈(120,720)에 밀어 넣어지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동시에, 좀 더 간편한 조립을 제공한다. 이는 외면상 줄눈(일명 '메지)이 보이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중간프레임결합체(400)는 일단이 외부프레임결합체(200)에 연결 고정되는 부재로, 후술할 단열재(5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간프레임결합체(400)는 4개의 판이 액자 형태를 이루며 결합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판은 중앙의 판재 양 옆으로 돌출부(420)와 끼움부(440)가 각각 구성된다.
돌출부(420)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에 끼워지는 부분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일단에서 절곡된 채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끼움부(440)는 후술할 커넥터(600)가 끼워지도록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타단에서 'ㄷ'자 단면을 이루며 결합되는 홈을 제공하게 된다.
단열재(500)는 상술한 중간프레임결합체(400) 내면에 설치되는 부재로, 내·외부로 통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단열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이 외부프레임결합체(200)에 밀착되고 타면은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단부 상에 위치하게 되는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절곡된 단면 내부까지 충분히 충진되려면 성형성이 좋은 우레탄폼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상황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단열재(500)가 이용될 수도 있다.
커넥터(600)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를 일정 간격 유지한 채 연결시켜 주는 부재로, 양단부에는 요철처리면이 형성된 커넥터결합부(620)가 구성된다.
커넥터(600)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가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에 채움재(M)가 타설되어 단열재(500)와 내부마감판(700) 사이가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600)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를 부분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에 채움재(M)가 타설되는 개구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이다. 아울러 커넥터(600)는 긴 길이로 압출 제작된 후 필요 너비로 절단하여 이용될 수도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2 개의 커넥터(600)를 직각으로 연결시켜 모서리 부분의 결합에 활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커넥터(600)는 양단부가 홈 또는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620)로 형성되어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끼움부(440)와 홈-돌기 맞춤에 의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에도 홈-돌기 맞춤에 의한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내부마감판(700)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일면에 결합되는 부재로, 건물 내부의 벽면을 형성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내부마감판(700)은 수요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타이부재(800)는 일단이 내부프레임결합체(300)에 고정되고, 타단이 단열재(500) 내부에 고정됨으로써 타설되는 채움재(M)의 측압을 저항하기 위해 설치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타이부재(8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마감판(700)의 외면과 단열재(500)의 일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너트부(820)와 상기 한 쌍의 너트부(820)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볼트부(840)로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500)를 관통하는 볼트부(840)의 단부는 화살촉 형태로 구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서 받침강판(900)의 설치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U)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단위벽체(U)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서, 슬래브 바닥면(S) 위로 계획된 위치에 외벽용 철근(WS)을 배근하는 제1단계;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로 노출되도록 조립식 단위벽체(U)를 설치하되,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220,260)과 제1´,2´프레임(320,360)에 구비된 제1,1´프레임돌기(226,326) 및 제2,2´프레임삽입홈(266,366)을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시켜 인접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끼리 상호 끼움결합으로 상하좌우 연결하면서 적층하는 제2단계; 상기 조립식 단위벽체(U) 내측의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배근된 위치에 채움재(M)를 타설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U)를 설치하기 전에 미리 계획된 위치에 따라 외벽용 철근(WS)을 배근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2단계는 조립식 단위벽체(U)를 상하좌우로 연결 및 적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접한 조립식 단위벽체(U)는 암수 대응하는 부분이 서로 끼워짐으로써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식 벽체를 슬라브 바닥면 위로 설치할 때, 외벽용 철근(WS)이 조립식 단위벽체(U)의 커넥터(600)가 설치된 부분의 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단계 전에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으로 연장되는 받침강판(900)을 추가로 설치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받침강판(900)은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에 결합되는 제1판부(920)와 상기 제1판부(920)로부터 직각으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판부(940)와 상기 제2판부(940)로부터 여러 번 직각되게 연결되어 P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판부(940) 위로 연장되는 제3판부(960)로 구성되고, 상기 슬래브 바닥면(S)의 측면에 설치되는 긴결철물(A)이 제1판부(92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받침강판(900)이 슬래브 바닥면(S)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받침강판(900)을 슬래브 바닥면(S) 측면에 설치하고, 이를 조립식 단위벽체(U)를 지지하는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건물 내부의 공간을 좀 더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받침강판(900)은 슬래브 바닥면(S)에 결합되는 긴결철물(A)에 의해 고정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결철물(A)은 파스너와 앵커볼트로 이루어져 받침강판(900)의 제1판부(920)를 슬래브 바닥면(S)에 밀착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조립식 단위벽체(U)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 외장마감판(100)부터 단열재(500)까지가 상기 받침강판(900) 위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조립식 단위벽체(U)의 단열재(500) 뒷부분부터 채움재(M)가 타설되는데, 그 무게를 고려하여 채움재(M)가 타설되는 부분부터는 견고한 슬래브 바닥면(S)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제3단계는 채움재(M)를 채워 조립식 단위벽체(U)들을 일체화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채움재(M)는 경량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방음 및 방화성능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로 경량기포콘크리트, 시멘트모르타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채움재(M) 타설에 의한 측압으로 인한 안정성을 고려하여 조립식 단위벽체(U)마다 채움재(M)가 3회 내지 5회에 걸쳐 분할 타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립식 단위벽체(U)의 크기에 따라 채움재(M)가 타설되는 회수를 최소 3회에서 최대 5회로 분할해줌으로써 측압으로 인한 조립식 단위벽체(U)의 파손 및 분리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0)

  1. 상하좌우로 연결되어 외벽을 형성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에서,
    외기(外氣)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판 상의 외장마감판(100);
    상기 외장마감판(100) 내측에서 액자형태로 장방향을 이루며 결합되는 부재로, 측부 일단이 돌기 또는 홈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프레임결합체(200);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일정 간격 마주보며 이격된 채 설치되는 내부프레임결합체(300);
    4개의 판이 결합되어 장방형을 이루는 부재로, 각각의 판의 일단은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측부 일단에 끼움결합되도록 돌출부(420)가 형성되고, 타단은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끼움부(440)가 형성된 중간프레임결합체(400);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 내면에 삽입 설치되는 단열재(500);
    양단부가 돌기 형태에 의한 커넥터결합부(620)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의 끼움부(440)에 끼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측부 일단에 끼움 결합되는 다수 개의 커넥터(600);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외면에 결합되는 판 상의 내부마감판(700); 및,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일면을 관통한 채 고정되고, 단부가 상기 단열재(500) 내부에 삽입 고정되는 타이부재(8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500)와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에 채움재(M)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2. 제1항에서,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2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2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2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2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2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2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2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2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2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2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2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으로 이루고,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1´프레임판결합부(322)가 형성된 제1´프레임판(324)의 상부에 제1´프레임돌기(326)가 돌출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1´프레임(32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1´프레임돌기(326)가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1´프레임결합체(340);와 측부 일단에 돌기 또는 홈 형태에 의한 제2´프레임판결합부(362)가 형성된 제2´프레임판(364)의 상부에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함몰 형성되도록 압출 제작된 제2´프레임(360) 2개가 결합된 것으로, 제2´프레임삽입홈(366)이 외측을 향하도록 서로 직각으로 결합된 제2´프레임결합체(380);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결합하여 장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3. 제2항에서,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224,2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는,
    상·하부에 위치된 제1´,2´프레임판(324,364)은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 면 단부가 내측으로 직각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2프레임판(224,264)과 제1´,2´프레임판(324,364)의 단부에서 직각된 면 외면에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4. 제2항에서,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의 제1,2프레임(220,260)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222,2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224,2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220a,260a)가 추가로 구비되고,
    상기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320,360)은 상기 제1´,2´프레임판결합부(322,362)가 형성된 반대면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제1´,2´프레임판(324,364)의 내측으로 소정 두께만큼 돌출된 볼록부(320a,360a)가 추가로 구비되며,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은 측면에 상기 볼록부(220a,260a,320a,360a)가 끼움 결합되도록 대응되게 일정 단면 파인 오목홈(120,720)이 추가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외장마감판(100)과 내부마감판(700)이 각각 상기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커넥터(600)는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가 서로 마주보게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프레임결합체(4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 사이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며,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에 채움재(M)가 타설되어 단열재(500)와 내부마감판(700) 사이가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타이부재(800)는,
    내부마감판(700)의 외면과 단열재(500)의 일면에 부착되는 한 쌍의 너트부(820)와 상기 한 쌍의 너트부(820)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되는 볼트부(840)로 구성되되,
    상기 단열재(500)를 관통하는 볼트부(840)의 단부는 화살촉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식 단위벽체(U)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에서,
    슬래브 바닥면(S) 위로 계획된 위치에 외벽용 철근(WS)을 배근하는 제1단계;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인접한 커넥터(600) 사이로 노출되도록 조립식 단위벽체(U)를 설치하되, 외부프레임결합체(200)와 내부프레임결합체(300)의 제1,2프레임(220,260)과 제1´,2´프레임(320,360)에 구비된 제1,1´프레임돌기(226,326) 및 제2,2´프레임삽입홈(266,366)을 상하단 및 양측단에서 각각 암수대응시켜 인접하는 조립식 단위벽체(U)끼리 상호 끼움결합으로 상하좌우 연결하면서 적층하는 제2단계;
    상기 조립식 단위벽체(U) 내측의 상기 외벽용 철근(WS)이 배근된 위치에 채움재(M)를 타설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제1단계 전에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으로 연장되는 받침강판(900)을 추가로 설치하는 과정이 포함되되,
    상기 받침강판(900)은 상기 슬래브 바닥면(S) 측면에 결합되는 제1판부(920)와 상기 제1판부(920)로부터 직각으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판부(940)와 상기 제2판부(940)로부터 여러 번 직각되게 연결되어 P형태를 이루며 상기 제2판부(940) 위로 연장되는 제3판부(960)로 구성되고,
    상기 슬래브 바닥면(S)의 측면에 설치되는 긴결철물(A)이 제1판부(920)를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받침강판(900)이 슬래브 바닥면(S)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9. 제8항에서,
    조립식 단위벽체(U)는 단면상 외장마감판(100)부터 단열재(500)까지가 상기 받침강판(900) 위로 위치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10. 제7항에서,
    상기 제3단계는 조립식 단위벽체(U)마다 채움재(M)가 3회 ~ 5회에 걸쳐 분할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PCT/KR2016/014923 2015-12-22 2016-12-20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WO201711142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3825 2015-12-22
KR1020150183825A KR101791545B1 (ko) 2015-12-22 2015-12-22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11423A1 true WO2017111423A1 (ko) 2017-06-29

Family

ID=5909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4923 WO2017111423A1 (ko) 2015-12-22 2016-12-20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1545B1 (ko)
WO (1) WO2017111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4571B1 (ko) * 2017-09-07 2018-08-01 김둘례 조립식 건축물의 외벽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368B1 (ko) * 2006-11-01 2007-09-19 김길영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20000702A (ko) * 2010-06-28 2012-01-04 김길영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30051403A (ko) * 2011-11-09 2013-05-20 김보현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311880B1 (ko) * 2011-08-02 2013-09-26 김동호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40104776A (ko) * 2013-02-21 2014-08-29 김길영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368B1 (ko) * 2006-11-01 2007-09-19 김길영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20000702A (ko) * 2010-06-28 2012-01-04 김길영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311880B1 (ko) * 2011-08-02 2013-09-26 김동호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제작방법
KR20130051403A (ko) * 2011-11-09 2013-05-20 김보현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140104776A (ko) * 2013-02-21 2014-08-29 김길영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4488A (ko) 2017-06-30
KR101791545B1 (ko) 2017-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8446B1 (en) Shuttering system
WO2014123286A1 (ko) 거푸집틀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KR20010023206A (ko) 건물의 벽체 축조용 거푸집 및 그 시공 방법
WO2014168353A1 (ko) 목재벽돌조립체
WO2014046496A2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WO2016200131A1 (ko) 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7014490A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WO2018143534A1 (ko) 거푸집 조립체
WO2016084996A1 (ko) 거푸집 결속구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콘크리트 벽체 시공방법
WO2012053770A2 (ko) 조립식 욕실방수판용 가변형 몰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욕실방수판
WO2017111423A1 (ko)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WO2015026028A1 (ko) 주택시공용 콘크리트 구조체
KR101339030B1 (ko) 지관을 이용한 중공 경량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026027A1 (ko) 콘크리트주택 시공방법
WO2014098457A1 (ko) 패널 고정수단을 구비한 거푸집
WO2018212391A1 (ko) 에어 단열 건축자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WO2018124573A1 (ko) 단열구조를 갖는 건축용 벽체 블록
WO2017171111A1 (ko) 건식마감이 용이한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7061661A1 (ko) 일체형 난연 단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0702A (ko) 경량 성형재를 구비한 조립식 영구거푸집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101477214B1 (ko) 수평조절받침대를 이용한 조립식 단위벽체틀 및 이의 시공방법
CZ2011646A3 (cs) Stavebnicový systém pro presnou výstavbu
CN213597225U (zh) 一种预制式保温复合墙体
WO2011096679A2 (ko) 난방 구조
WO2014115956A1 (ko) 코너바 및 이 코너바와 비금속제 거푸집틀을 이용한 거푸집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792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08.11.2018)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792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