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14490A1 -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 Google Patents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14490A1
WO2017014490A1 PCT/KR2016/007636 KR2016007636W WO2017014490A1 WO 2017014490 A1 WO2017014490 A1 WO 2017014490A1 KR 2016007636 W KR2016007636 W KR 2016007636W WO 2017014490 A1 WO2017014490 A1 WO 20170144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rner
gypsum board
vertical plates
concrete building
b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0763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범진
Original Assignee
김범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진 filed Critical 김범진
Publication of WO20170144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144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panels or masking the edges of wall- or floor-covering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rner bead for gypsum board for improving the workability for installing gypsum board in a concrete building, the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lates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x-axis surface of the body, the y-axis surface of the body Gypsum board having a third, fourth vertical plate protruding to both sides, the inner side of the first, second vertical plate and the inner side of the third, fourth vertical plate includes a corner column formed with a pair of fixing projections facing each other Is a technical field of corner beads.
  • the corner portion is to cross the ends of the gypsum board to form an inconor or an outconor.
  • the molding process is a joint tape 80 is attached to the corner of the gypsum board, the compound paint ( After the 81 is applied, the molding 82 is finally covered.
  • a technique related to a corner bead for closing the corner of the building for example, a flange and a cross-sectional support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ners of the wall and the two plate angles bent at the right angle 'b'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82663 has been presented.
  • the Utility Model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182663 is easily located at the corner of the poultry building through the flange of the poultry, so that the end of the gypsum board is in contact with the cross-sectional support plate included in the poultry. We can finish corner of building.
  • the stalk is placed in place of the intersection of the gypsum board, thereby preventing the gypsum board from being damaged or dropped from the corners, and has an advantage of easily finishing the corners than the molding process.
  •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8663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nailing portion when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of the pill, and also includes a portion that can pu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ll surface
  • the fixing is unstable after installation of the sack, and has a problem that the wall is rough and uneven, so it is not suitable for finishing a concrete building that requires space for leveling.
  • a corner bead that can be used in concrete buildings, in another form, includes a first vertical plate, a second vertical plate, and a horizontal plate extending to one side spaced at regular intervals to which the gypsum board can be fitted.
  • the technique relating to the corner finishing portion is configured by the Patent Publication No. 10-1136574 has been presented.
  • Patent Publication No. 10-1136574 proposes a technique for finishing the stud-shaped finish on the corner of the concrete building, by fixing the corner finishing portion to a separate fixing plate in the corner finishing of the concrete building. It was.
  • Patent Publication No. 10-1136574 has a problem in that the installation method is limited in the installation of the corner finishing portion, can be performed only in the installation method of the stud type.
  • the fixing plate must be provided separately in the installation, and since the corner finishing part can be installed after the fixing plate is fixed to the fixing plate through the fixing nai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corner finishing portion Since the gypsum board is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lates,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fixed plate, the gypsum board is not inserted or the gypsum board is present when a slight error exists in the corner finish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a gap may occur after the insertion of the structure to finish with an unstable structure.
  • corner beads there are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various types of corner beads, other tha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No. 10-1136574, but since the utilization of them is poor in the actual construction site, the finishing of the corners of the building by the molding process rather than the corner beads is being constructed. For this reason, in order to finish the corners of buildings, regardless of the shape of the building, such as concrete, assembling, high utilization,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forms, such as studs, such as the house bond type, and after the installation is stable in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use corner beads for gypsum board that can easily finish the corners of buildings by taking a simple method for construction.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an be constructed regardless of the manner and form of the building to finish the corner portion of the concrete building, structurally simpl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rner bead for gypsum board with improved workability, which is stable and reduces processing time.
  • the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lates protruding to both sides of the x-axis surface of the body, the body A third and fourth vertical plates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y-axis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lates, and a corner column having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formed on the inner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lates and facing each other. It provides a gypsum board-shaped corner bead.
  • the other end is fitted into the corner pillar in the x-axis direction, one end is fitted into the first bonding member and the y-axis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first gypsum board of the gypsum board, one end of the gypsum boar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bond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gypsum board, in installing the gypsum board in the concrete building, as long as the gypsum board can be installed without limitation in the stud type and the house bond type, and can reduce the process time and manpower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dimensional precision of the piece and corner.
  • corner beads for gypsum board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gardless of the method and process type of the structure during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finish the corner of the building with precise dimensions, and also to be installed quickly in a stable form, construction This can significantly reduce process time and manpower.
  • 1 is a top view showing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building is finished by a conventional molding operation.
  • Figure 2 is a top view showing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concrete building through the corner beads for gypsum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top view showing a corner bead for stud type gypsum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top view showing that the out corner is finished through the corner bead for stud-type gypsum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top view showing that the interior corner of the concrete building through the bead for stud-type gypsum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out corner of the concrete building through the corner beads for stud-type gypsum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interior corner of the concrete building through the bead stud-shaped gypsum board cor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a is a top view showing a corner bead for an outer corner zip-bonding gypsum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8B is a top view illustrating a corner bead for an inconner zip-bonded gypsum 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top view showing that the out corner of the concrete building through the corner bead for the house-bonded gypsum board for out-con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top view showing the finish of the inconor of the concrete building through the corner bead for house-bonded gypsum board for the cor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outer corner of the concrete building through the corner bead for home-bonded gypsum board for out-con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interior corner of the concrete building through the corner beads for the house-bonded gypsum board for the cor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fitting three corner pillars through a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for finishing the corner portion 41 of the concrete building 40 (hereinafter including the out corner 41a and the inner corner 41b), gypsum board 31, 32 for gypsum board to be effectively installed Describes the technology of the corner bead, and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n finishing the corner of the concrete build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corn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and manpower.
  • Figure 2 is a top view showing the finishing of the corner portion 41 of the concrete building 40 through the corner beads for gypsum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trude to both sides of the body 10a having the hollow part 10b and the x-axis surfaces of the body 10a.
  • First and second vertical plates 11 and 12 and third and fourth vertical plates 13 and 14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y-axis surface of the body.
  • the vertical plates may be made of aluminum. Specifically, aluminum 1000, 2000, 5000, 6000, and 7000 series such as A1050, A2011, A2024, A5052, A6061, A6063, and A7075 may be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properties, it is preferable to use aluminum 6000 series materials.
  • a lightweight plastic material may be used in addition to the aluminum, and the plastic may be easily manufactured in a desired form by injection molding, and is suitable for use in place of aluminum.
  • the plastic material polycarbonate, polypropylene, polyvinyl chloride, fiber-reinforced plastic, or the like may be used, and in order to impart flame retardancy, the plastic material may be processed into a plastic material mixed with a flame retardant.
  • the outer wid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lates 11 and 12 and the outer width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plates 13 and 14 are referred to as W1, and the ends of the gypsum boards 31 and 32
  • W1 and W2 are coincident or slightly different, and as shown in FIG. 2, the corner pillar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econd and third vertical plates 12 and 13.
  •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1 and 32 closing the corners 41 are directly and closely contacted with the corners 41 of the concrete building 40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plates.
  • (11) (12) and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plates (13) and (14)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simplifying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corner portion 41 than the conventional molding work or the corner bead formed the fitting por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s that the corner pillar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orner 41a of the corner portion 41 of the concrete building 40, in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second, third vertical plate In addition to (12) and (13), the first and fourth vertical plates 11 and 14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ner 41b of the corner portion 41 of the concrete building 40.
  • the wall is not horizontal, uneven surface is used stud type and zip bond type,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is purpose, a separate joining member to the corner pillar (10) (21) (22) are included.
  • the joining members 21 and 22 are divided into a first joining member 21 and a second joining member 2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joining member 31 is fitted to the x-axis surface of the corner pillar 10. Combine, but are fitted between the first, second vertical plate (11) (12).
  • the second and second joining members 22 also include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plates 13 through at least one pair of fixing protrusions 15 facing each other inward of the third and fourth vertical plates 13 and 14. It is firmly fixed to 14.
  • the materials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members 21 and 22 may be selected from various materials such as wood and resin, but are preferably inexpensive, medium density fiberboard (MDF) that does not easily deform, and among the MDF. Most preferably, the density is 650-750 kg / m 3.
  • MDF medium density fiberboard
  • the flexible resin may be a polyethylene resin, an epoxy resin, an acrylic resin, or a copolymer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ny density, peel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as the MDF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 flame retardancy may be imparted by adding an additive such as a flame retardant when forming the flexible resin.
  • the following table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density (kg / m 3) of MDF.
  • the peel strength and the bending strength are significantly reduced at the density of less than 650kg / m3, after all, the most suitable MDF material for the finishing process is the density of 650 ⁇ 750kg / m3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mensional precision and strength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preferable.
  • the interval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s 15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members 21 and 22 is fixed bonding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members 21 and 22 and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 the bending strength of the narrowing neck portion (W3 portion in Fig. 3) of the members 21 and 22 is determined.
  • W4 is fixed to the density of the bonding member 21, 22 is fitted to 695 ⁇ 705kg / m3, and the cross-sectional area (W4 ⁇ L) to 75.5 mm (W4: 7.55mm, L: 10mm)
  • the fixed force and bending strength were measured by varying the force of MPa relative to the cross-sectional area.
  • L is the length of the joining member 21 or 22).
  • the fixed coupling force was measured by pulling the fixed bonding members 21 and 2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bending strength was measured by press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fitted first and second joint members 21 and 22 may be most preferably fitted within the gap between the pair of fixing protrusions 15 having W3 / W4 of 0.70 to 0.75.
  • corner beads for gypsum board when installed in the corner portion 41 of the concrete structure 40 in the form of a stud, the corner pillars 10 through the second, third vertical plates 12, 13, Alternatively, the first and fourth vertical plates 11 and 14 are in contact with the stud 50.
  • the corner pilla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ed in the out-corner (41a) of the concrete building 40, one stud present in the corner of the out-corner (41a) of the concrete building (40)
  • the second and third vertical plates 12 and 13 ar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50, and the corner pillars 10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to which they are fitted.
  • the corner pillars 10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to which they are fitted.
  • indirect coupling to the stud 50 is achieved.
  • the corner pilla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stalled in the corner 41b of the concrete building 40, two studs adjacent to the corner of the corner (41b) of the concrete building 40 First and fourth vertical plates 11 and 14 are respectively abutted on the 50 and the abutted corner pillars 10 are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to which they are fitted. Nail 51 is embedded, the indirect coupling is made to the stud (50).
  • the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bonding members 21 and 22 is made of a MDF material of 650 ⁇ 750kg / m3, through the Taka gun of F30, 630, which is commonly used in stud type finishing process, Fixing nail 51 penetrates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and the stud 50 are driven in the form shown in FIGS. 3 and 4. Can be combined. That is, the time of the finishing process at the outer corner 41a and the corner 41b is shorten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fitted to the fixing column 10, and at the same time, finishing The advantage is that the structure can be stable after processing.
  • the fixing nail 51 is embedded in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shrink. Therefore, referring to W2 and W5 shown in Figs. 2 and 3, the widths of the end 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1 and 32 are referred to as W2, and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are referred to.
  • W5 / W2 is 1.05 to 1.1 so that the fixing nail 51 is stuck in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plasters
  • the widths W2 and W5 of each other do not occur.
  • the corner pilla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in which a plurality of fixing nails 51 are fitted to the corner pillar 10 after contacting the stud 50 ( 21 and 22, and en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1 and 32 are in contact with one end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2, and thus the out corner 41a. , It can be seen that the corner 41b is close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rner bead for gypsum board for finishing the out-corner 41a, the in-conner 41b of the concrete building 40 in the form of a house bond in the form of another embodiment.
  • One side is integrally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and third vertical plates 12 and 13, and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member 16 in which a plurality of spacers 17 are formed in an outer direction.
  • the corner pillar 10 when the corner pillar 10 is installed in the out-corner (41a) of the concrete building 40, the plurality of spacer projections instead of the second, third vertical plate (12) (13). Through 1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orner 41a of the concrete building 40 abut.
  • the house bond 60 is positioned in the spaced space through the spacer protrusion 17, and the fixing pillar 10 may be joined to the out corner 41a.
  • the corner pillars 10 have surface projections 18 between the spacer projections 17 so that the corner pillars 10 can be more easily bonded by the zip bond 60. Do.
  •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1 and 32 have an inner side of the extension member 16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and third vertical plates 12 and 13. Guided through and in contact with one end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joining members 21 and 21, since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member 16 is spaced apart from the concrete building 40 through the spacer 17,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1 and 32 are also spaced apart, and the house bond 60 is located in the spaced apart spac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1 and 32 are spaced apart from the concrete building 40. Can be joined.
  •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1 and 32 are guided to the extension member 16 when the inner side of the extension member 16 is level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1 are easily adjusted horizontally. 41a can be closed.
  • One side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fourth vertical plates 11 and 14, and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member 16 having a plurality of spacer protrusions 17 formed in the outer direction.
  • the plurality of spacer projections instead of the first, fourth vertical plate (11) (14) ( 17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orner (41b) of the concrete building 40 through the contact.
  • the house bond 60 is positioned in the spaced space through the spacer protrusion 17, and the fixing pillar 10 may be joined to the corner 41b.
  • the corner pillars 10 same as the finish of the out corner 41a, the corner pillars 10, so that the corner pillars 10 can be better bonded by the zip bond 60, the spacing projections (17) It is preferable to provide the surface protrusion 18 between them.
  •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s 31 and 32 are guided to the inside of the extension member 16 extending outward of the first and fourth vertical plates 11 and 14. And one end face of the two joining members 21 and 22.
  • the corner pillars 10 abut the concrete building 40 through the spacer 17 and the house bond 60.
  • the first and second gypsum board 31, 32 to be installed to guide.
  • the connecting member having two or three protrusions 71 so that a plurality of corner pillars 10 can be easily installed at the vertices where the corner portions 41 of the concrete building 40 are gathered ( 70) further comprises.
  • connection member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ree or less protrusions 71, wherein each of the protrusions 71 i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the size of the protrusions 71 is the corner pillar 10. Corresponding to the hollow portion 10b of the), through the hollow portion 10b and the protrusion 71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70 and the plurality of corner pillars 10 can be easily fitted.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corner pillars 10 should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referable to cut the ends obliquely at an angle of 45 ° so that the cutting process may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being spaced apart.
  • connection member 70 since the connection member 70 must simultaneously receive the loads of the plurality of corner pillars 10 at the vertices of the concrete building 70, it must meet a certain strength or more, and is fitted to the hollow portion 10b. In order to have elasticity, it is preferable to use flexibl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imide, PET, polycarbonate resin or polymer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의 코너부에서 석고보드가 효과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석고보드용 코너비드의 기술을 기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는 건축물의 방식 및 공정형식에 상관없이 정밀한 치수로 마감공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또한, 안정된 형태로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공정시간 및 인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x축면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 1, 2수직판 및 y축면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 3, 4수직판을 구비하되, 상기 양측으로 돌출되는 수직판에는 한 쌍 이상의 대향하는 고정돌기를 형성하는 코너기둥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에 석고보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중공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x축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2수직판, 상기 몸체의 y축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3, 4수직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2수직판의 내측 및 상기 제3, 4수직판의 내측에는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코너기둥을 포함하는 석고보드용 코너비드의 기술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부 인테리어를 마감하는데 있어, 코너부위는 석고보드의 단부를 서로 교차하여 인코너 또는 아웃코너를 형성토록 한다.
이러한 마감과정에 있어, 별도의 코너마감의 과정 없이 상기 석고보드가 노출된 경우에는 석고보드의 낮은 내구성 및 접착력으로 인해 쉽게 코너마감부위가 손상되거나, 접착부위가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딩공정을 하게 되는데, 상기 몰딩공정은 조인트테이프(80)가 석고보드의 코너부위에 부착되고, 상기 부착된 표면에 컴파운드 도료(81)가 도포된 후, 최종적으로 몰딩(82)을 씌우는 공정을 거친다.
이러한 몰딩공정을 통해서, 코너마감부위의 손상 및 탈락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기 몰딩공정은 습식적 공법으로 도포되는 컴파운드 도료(81)가 건조되는 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고, 건조된 컴파운드 도료(81)는 상기 몰딩이 씌워지기 위해, 2차적으로 연마되어야 하는 등 공정적으로 많은 작업시간 및 인력이 들어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물의 코너를 마감하기 위한 코너비드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고 있으며, 일 예로 'ㄱ'형으로 직각절곡된 두 판면과 벽 코너부위에 밀착할 수 있는 플랜지 및 단면지지부를 포함하는 벽판이음용 덧기둥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82663호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2663호는 상기 덧기둥의 플랜지를 통해, 상기 덧기둥이 건축물의 코너부위에 용이하게 위치하고, 석고보드의 단부가 상기 덧기둥에 포함되어 있는 단면지지판에 접하도록 하여, 건축물의 코너를 마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덧기둥이 상기 석고보드의 교차부위 대신에 위치함으로써, 석고보드가 코너부에서 손상되거나 탈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몰딩과정보다 용이하게 코너부를 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63호는 상기 덧기둥이 코너부에 설치될 때, 별도의 고정못 박음부위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상기 벽면과 일정의 이격거리를 둘 수 있는 부위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상기 덧기둥의 설치 후 고정이 불안정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벽면이 거칠고 울퉁불퉁하여 수평을 맞추기 위한 공간을 필요로 하는 콘크리트 건축물을 마감하는데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 편, 이와는 다른 형태로, 콘크리트 건축물에도 사용될 수 있는 코너비드로써, 석고보드가 끼워질 수 있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제1수직판, 제2수직판 및 또 일측면으로 연장되는 수평판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코너 마무리부에 관한 기술이 등록특허공보 제10-1136574호로 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136574호는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코너마감에 있어, 상기 코너 마무리부가 별도의 고정판에 고정못으로 고정됨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의 코너부에 스터드형태의 마감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136574호는 코너 마무리부의 설치에 있어, 스터드형태의 설치방법에서만 수행될 수 있어 설치방법이 한정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설치에 있어 고정판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코너 마무리부가 상기 고정판에 고정못을 통해 고정된 후에 상기 석고보드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코너 마무리부에 포함되어 있는 제1, 2 수직판 및 수평판, 고정판에 상기 석고보드가 삽입이 되어야 하는 형태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상기 코너 마무리부에 미세한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 석고보드가 삽입되지 않거나, 상기 석고보드의 삽입 후 틈이 생겨 안정적이지 않은 구조로 마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136574호 외, 다양한 형태의 코너비드에 관한 기술들이 공지되고 있으나, 실재 시공현장에서 활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코너비드보다는 몰딩공정으로 건축물 코너부 마감이 시공되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건축물의 코너부를 마감하는데 있어 콘크리트, 조립용 등 건축물의 형태와 상관없이 활용도가 높고, 스터드 형태를 포함한, 집본드 형식 등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 후 구조상으로 안정적인 한편, 시공상에도 간편한 방법을 취하여 매우 용이하게 건축물의 코너부를 마감할 수 있는 석고보드용 코너비드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콘크리트 건축물의 코너부를 마감하는데 있어 건축물의 방식 및 마감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시공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도 간단하고, 안정적이며 공정시간을 줄여주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건축물에 석고보드를 설치하기 위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중공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x축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2수직판, 상기 몸체의 y축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3, 4수직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2수직판의 내측 및 상기 제3, 4수직판의 내측에는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코너기둥을 포함하는 석고보드형 코너비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코너기둥에는 x축방향에 타단이 끼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석고보드의 제1석고보드와 접하는 제1접합부재 및 y축방향에 타단이 끼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석고보드의 제2석고보드 접하는 제2접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에 석고보드를 설치함에 있어서, 스터드 형식 및 집본드형식에 제한없이 상기 석고보드를 설치할 수 있고, 공정시간 및 인력을 줄일 수 있는 한 편, 코너부의 구조적 안정성 및 치수정밀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시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사용하면, 시공 시 구조물의 방식 및 공정형식에 상관없이 정밀한 치수로 건축물의 코너부를 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정된 형태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 시 공정시간 및 인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몰딩작업으로 건축물의 코너부가 마감되는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코너부가 마감되는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아웃코너가 마감된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인코너가 마감된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아웃코너가 마감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인코너가 마감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코너용 집본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코너용 집본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코너용 집본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아웃코너가 마감된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코너용 집본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인코너가 마감된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웃코너용 집본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아웃코너가 마감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코너용 집본드형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의 인코너가 마감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를 통해, 3개의 코너기둥이 끼움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코너부(41)(이하 아웃코너(41a) 및 인코너(41b)를 포함)를 마감하는데 있어, 석고보드(31)(32)가 효과적으로 설치되도록 하는 석고보드용 코너비드의 기술을 기재하며, 본 발명을 통해 코너마감의 시공 시 콘크리트 건축물의 코너부를 마감하는데 있어, 시공시간과 인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코너부(41)를 마감하는 것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콘크리트 건축물에 석고보드를 설치하기 위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중공부(10b)를 구비한 몸체(10a)와 상기 몸체(10a)의 x축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2수직판(11)(12), 상기 몸체의 y축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3, 4수직판(13)(14)을 구비한다.
상기 수직판들의 재질은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A1050, A2011, A2024, A5052, A6061, A6063, A7075 등의 알루미늄 1000, 2000, 5000, 6000, 7000 계열을 사용할 수 있는데, MDF 등과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알루미늄 6000 계열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이외에도 경량의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플라스틱은 사출성형 등으로 원하는 형태를 쉽게 제조할 수 있어, 알루미늄을 대신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섬유강화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난연재를 혼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가공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2수직판(11)(12) 간의 외측폭 및 상기 제3, 4수직판(13)(14) 간의 외측폭을 W1이라하고, 상기 석고보드(31)(32)의 단부의 폭을 W2이라 하면, 상기 W1 과 W2가 일치하거나 또는 약간 차이가 나도록하여,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너기둥(10)이 상기 제2, 3수직판(12)(13)의 외측면을 통해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코너부(41)에 직접 밀착되었을때, 상기 코너부(41)를 마감하는 제1, 2석고보드(31)(32)가 제1, 2수직판(11)(12), 제3, 4수직판(13)(14)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몰딩작업이나 끼움부를 형성한 코너비드보다 상기 코너부(41)의 마감과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코너부(41) 중 아웃코너(41a)에 코너기둥(10)이 밀착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또한 상기 제2, 3수직판(12)(13)외에 제1, 4수직판(11)(14)을 통해서,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코너부(41)중 인코너(41b)에 밀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따로 설명하지 않아도, 이하 설명되는 스터드형식 마감과정을 통해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벽체의 수평이 맞지 않고, 표면이 울퉁불퉁한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실제적인 마감공정에서는 스터드형식과 집본드형식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해, 코너기둥(10)에 별도의 접합부재(21)(22)가 포함된다.
상기 접합부재(21)(22)는 제1접합부재(21), 제2접합부재(22)로 나뉘고, 상기 제1접합부재(31)의 타단은 상기 코너기둥(10)의 x축면에 끼움결합하되, 상기 제1, 2수직판(11)(12)의 사이로 끼움결합한다.
이때, 제1, 2수직판(11)(12)의 내측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고정돌기(15)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결합되어 있는 제1 접합부재(21)가 상기 코너기둥(1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접합부재(22) 또한, 상기 제3, 4수직판(13)(14)의 내측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고정돌기(15)를 통해, 상기 제3, 4수직판(13)(14)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 2접합부재(21)(22)의 재질은 목재, 수지 등 다양한 재질을 선택할 수 있으나, 저렴하면서도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MDF 중 밀도가 650~750k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MDF와 동일한 정도의 물성을 가진 목재, 수지, 특히, 연성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연성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및 이들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MDF와 동일한 정도의 밀도, 박리강도, 휨강도를 가진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성수지를 성형가공할 때 난연재 등의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난연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다음 도표는, MDF의 밀도(kg/㎥)에 따른 물리적 특성표이다.
특성 단위 수치
밀도 kg/㎥ 600 650 700 750 800 850
함수율 % 7±2 7±2 7±2 7±2 7±2 7±2
팽창률 % 9 10 10 13 19 25
폭 허용차 mm/m ±0.5 ±0.4 ±0.4 ±0.4 ±0.2 ±0.2
박리강도 N/㎟ 0.4 0.7 0.7 0.7 0.8 0.8
휨강도 N/㎟ 2000 3000 3000 3000 3000 3000
표 1을 참조하면, MDF의 밀도는 750kg/㎥을 초과함에 따라 때 박리강도 및 휨강도가 크게 증가하지 않는데 반해, 밀도의 증가로 인해, 점점 팽창율이 높아져, 폭 허용차가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750kg/㎥을 초과하면 시공의 치수정밀도가 감소한다는 문제점이 생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650kg/㎥ 미만의 밀도에서는 박리강도 및 휨강도가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어, 결국 치수정밀도 및 강도의 특성상 마감공정 시 적합한 MDF의 재질로는 밀도를 650~750kg/㎥인 것이 가장 바람직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 편, 상기 제1, 2접합부재(21)(22)를 고정하는 고정돌기(15)의 간격은 상기 제1, 2 접합부재(21)(22)의 고정결합력 및 상기 제1, 2접합부재(21)(22)의 좁아지는 목 부분(도 3상의 W3부분)의 굽힘강도를 결정한다.
다음 표 2는 상기 고정돌기(15) 간의 간격을 W3라 하고, 상기 제1, 2수직판 (11)(12)및 제 3, 4수직판(13)(14)의 내측폭을 W4라고 하였을때, W3/W4의 값에 따른 상기 제1, 2접합부재(21)(22)의 고정결합력 및 굽힘강도을 평가한 결과이다.
이때, W4는 상기 끼움결합되어 있는 접합부재(21)(22)의 밀도는 695~705kg/㎥으로 고정하고, 단면적(W4×L)을 75.5㎟로 (W4: 7.55mm, L: 10mm)로 고정하였으며, 상기 단면적에 대비되는 MPa의 힘을 변화시켜,고정결합력 및 굽힘강도를 측정하였다.(이 때 L은 상기 접합부재(21) 또는 (22)의 길이임)
이때, 상기 고정결합력은 상기 고정되어 있는 접합부재(21)(22)를 수직방향으로 당겨 측정하고, 상기 굽힘강도는 수평방향으로 눌러 측정하였다.
수치
W3/W4 0.60 0.65 0.70 0.75 0.80 0.85
고정결합력(MPa) 1.2 1.1 1 0.9 0.6 0.4
굽힘강도(MPa) 15 20 30 30 32 3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W3/W4의 값이 0.65 이하인 경우 고정결합력이 증가하나 굽힘강도가 30% 이상 감소하여, 쉽게 부서질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W3/W4의 값이 0.80 이상인 경우에는 굽힘강도가 증가하나, 고정결합력이 30% 이상 감소하여, 당김에 따라 상기 접합부재(21)(22)가 쉽게 빠져나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끼움결합된 제1, 2접합부재(21)(22)는 W3/W4가 0.70~0.75인 상기 한 쌍 이상의 고정돌기(15)의 간격 안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끼움결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는 스터드형태로 콘크리트구조물(40)의 코너부(41)에 설치될 때, 상기 코너기둥(10)이 제2, 3 수직판(12)(13)을 통해, 또는 제1, 4수직판(11)(14)을 통해 스터드(50)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너기둥(10)은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아웃코너(41a)에 설치될 시,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아웃코너(41a) 모서리에 존재하는 하나의 스터드(50)에 제2, 3수직판(12)(13)이 당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당접한 코너기둥(10)은 끼움결합되어 있는 제1, 2접합부재(21)(22)에 고정못(51)이 박혀짐으로써, 상기 스터드(50)에 간접적으로 박음결합이 이뤄진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너기둥(10)은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인코너(41b)에 설치될 시,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인코너(41b)의 모서리와 인접하는 두 개의 스터드(50)에 제1, 4수직판(11)(14)이 각각 당접하여 설치되며, 상기 당접한 코너기둥(10)은 끼움결합되어 있는 제1, 2접합부재(21)(22)에 고정못(51)이 박혀짐으로써, 상기 스터드(50)에 간접적으로 박음결합이 이뤄진다.
이때, 상기 제1, 2접합부재(21)(22)의 재질은 650~750kg/㎥인 MDF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스터드형 마감공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F30, 630의 타카총을 통해, 고정못(51)이 상기 제1, 2접합부재(21)(22)를 관통하여 제1, 2접합부재(21)(22)와 스터드(50)가 도 3, 4에 도시된 형태로 박음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기둥(10)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제1, 2접합부재(21)(22)를 통해 상기 아웃코너(41a), 인코너(41b)에서의 마감공정의 시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마감공정 후 구조가 안정적일 수 있다는 장점이 생긴다.
한편, 상기 스터드형 마감공정에 있어서, 상기 고정못(51)이 상기 제1, 2의 접합부재(21)(22)에 박힘으로써, 상기 제1, 2접합부재(21)(22)가 수축할 수 있으므로, 도 2, 3에 도시된 W2, W5를 참조하여, 제1, 2석고보드(31)(32)의 단부면 폭을 W2라고 하고 제1, 2접합부재(21)(22)의 일단면 폭을 W5라 할때, W5/W2가 1.05~1.1이도록 하여, 상기 고정못(51)이 상기 제1, 2접합부재(21)(22)에 박힌 후, 상기 제1, 2석고보드(31)(32) 단부면이 제1, 2접합부재의 일단면에 접하였을때, 서로의 폭 W2, W5가 이격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스터드형으로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아웃코너(41a), 인코너(41b)가 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코너기둥(10)은 스터드(50)에 접한 후 다수의 고정못(51)이 상기 코너기둥(10)에 끼움결합되어 있는 제1, 2접합부재(21)(22)에 박아지며, 이후 제1, 2석고보드(31)(32)의 단부면이 상기 제1, 2접합부재(21)(22)의 일단면에 접하여 상기 아웃코너(41a), 인코너(41b)가 마감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또 다른 일 실시예의 형태로 집본드형으로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아웃코너(41a), 인코너(41b)를 마감하기 위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를 제공한다.
이때, 아웃코너(41a)의 마감에서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3수직판(12)(13)의 외측면에 일측이 일체로 결합되고, 외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이격돌기(17)가 형성된 연장부재(16)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코너기둥(10)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아웃코너(41a)에 설치될 때, 상기 제2, 3수직판(12)(13) 대신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기(17)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아웃코너(41a)에 이격되어 당접할 수 있다.
이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격돌기(17)를 통한 이격된 공간안에 집본드(60)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기둥(10)은 아웃코너(41a)에 접합할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코너기둥(10)에는 상기 코너기둥(10)이 상기 집본드(60)에 의해 더욱 잘 접합할 수 있도록, 상기 이격돌기(17)의 사이에 표면돌기(18)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석고보드(31)(32)는 상기 제2, 3수직판(12)(13)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연장부재(16)의 내측을 통해 가이드 되어 제1, 2접합부재(21)(21)의 일단면과 접하며, 상기 연장부재(16)의 내측이 상기 이격돌기(17)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에서 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2석고보드(31)(32) 또한 이격되고, 이격공간 안에는 집본드(60)가 위치하여 상기 제1, 2석고보드(31)(32)가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에 이격되어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석고보드(31)(32)는, 상기 상기 연장부재(16)의 내측이 수평이 잡혀 있을시, 상기 연장부재(16)에 가이드되므로 간편하게 수평조절이 되어 상기 아웃코너(41a)를 마감할 수 있게 된다.
인코너(41b)의 마감에서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4수직판(11)(14)의 외측면에 일측이 일체로 결합되고, 외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이격돌기(17)가 형성된 연장부재(16)를 더 포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상기 코너기둥(10)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인코너(41b)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4수직판(11)(14) 대신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기(17)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인코너(41b)에 이격되어 당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이격돌기(17)를 통한 이격된 공간안에 집본드(60)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기둥(10)은 인코너(41b)에 접합할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아웃코너(41a)의 마감과 동일하게, 상기 코너기둥(10)에는 상기 코너기둥(10)이 상기 집본드(60)에 의해 더욱 잘 접합할 수 있도록, 상기 이격돌기(17)의 사이에 표면돌기(18)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2석고보드(31)(32)는 제1, 4수직판(11)(14)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재(16)의 내측으로 가이드되어 제1, 2접합부재(21)(22)의 일단면에 접한다.
이때, 아웃코너(41b)의 마감과정에서도, 상기 제1, 2석고보드(31)(32)는 상기 이격돌기(17)에 의해 이격공간을 가지며, 상기 연장부재(16)에 의해 가이드되기 때문에, 간편하게 이격공간을 확보하면서 수평이 잡힌 상태에서 아웃코너(41b)를 마감할 수 있게된다.
도 11, 12를 참조하면 상기 아웃코너(41a), 인코너(41b)에서, 상기 코너기둥(10)이 이격돌기(17)와 집본드(60)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에 당접하고, 상기 연장부재(16)의 내측을 통해, 간편하게 상기 제1, 2석고보드(31)(32)를 가이드하여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40)의 코너부(41)가 모이는 꼭지점에 다수의 코너기둥(10)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2 또는 3개의 돌출부(71)를 구비하는 연결부재(70)을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결부재(70)은 3개 이하의 돌출부(71)을 구비하되, 상기 각각의 돌출부(71)가 직교하며, 돌출부(71)의 크기가 상기 코너기둥(10)의 중공부(10b)와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중공부(10b)와 상기 돌출부(71)를 통해 상기 연결부재(70)과 다수의 코너기둥(10)이 용이하게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코너기둥(10)이 서로 맞닿아 밀착해야 하므로 말단을 45°의 각도로 비스듬히 절단하여 이격 없이 서로 맞닿도록 절삭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0)은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70)의 꼭지점에서 다수의 코너기둥(10)의 하중을 동시에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일정이상 강도를 만족해야하며, 상기 중공부(10b)에 끼움결합되기 위해, 탄성을 가져야 하므로, 연성이 있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이미드, PET,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콘크리트 건축물에 석고보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로서 시공 시 구조물의 방식 및 공정형식에 상관없이 정밀한 치수로 건축물의 코너부를 마감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정된 형태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 시 공정시간 및 인력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으므로, 콘크리트 건축물에 적용되는 석고보드 설치를 위한 건축자재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콘크리트 건축물에 석고보드를 설치하기 위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에 있어서
    중공부를 구비한 몸체;
    상기 몸체의 x축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1, 2 수직판;
    상기 몸체의 y축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3, 4 수직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1, 2 수직판의 내측에는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3, 4 수직판의 내측에는 대향하는 한 쌍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코너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고정돌기 간의 내측폭을 W3라 하고, 상기 제1, 2 수직판 내측폭 및 제3, 4 수직판 간의 내측폭을 W4라고 할때, W3/W4가 0.70~0.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기둥은 제2, 3 수직판을 통해, 또는 제1, 4수직판을 통해 스터드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기둥은 제2, 3 수직판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아웃코너에 당접하고, 제1, 4 수직판을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인코너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기둥의 x축방향에 타단이 끼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석고보드의 제1석고보드와 접하는 제1접합부재; 및
    상기 코너기둥의 y축방향에 타단이 끼움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석고보드의 제2석고보드 접하는 제2접합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접합부재는 MDF 또는 연성수지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밀도가 650~750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보드 단부면의 폭을 W2라 하고,
    상기 제1, 2접합부재의 일단면 폭을 W5라 할때,
    W5/W2가 1.05~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접합부재는 복수 개의 고정못으로 스터드에 박음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3수직판에는 외측면에 일측이 일체로 결합되고, 외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이격돌기가 형성된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너기둥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아웃코너에 설치될 때, 상기 제2, 3수직판 대신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기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아웃코너에 이격되어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4수직판에는 외측면에 일측이 일체로 결합되고, 외측방향으로 복수 개의 이격돌기가 형성된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코너기둥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인코너에 설치될 때, 상기 제1, 4수직판 대신 상기 복수개의 이격돌기를 통해 상기 콘크리트 건축물의 아웃코너에 이격되어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11.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의 크기와 대응하여 끼움결합할 수 있는 2 또는 3개의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2 또는 3개의 각각의 돌출부는 직교하는 연결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PCT/KR2016/007636 2015-07-17 2016-07-14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WO201701449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39 2015-07-17
KR1020150101439A KR101579726B1 (ko) 2015-07-17 2015-07-17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14490A1 true WO2017014490A1 (ko) 2017-01-26

Family

ID=5508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07636 WO2017014490A1 (ko) 2015-07-17 2016-07-14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9726B1 (ko)
WO (1) WO201701449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15946D0 (en) 2019-11-01 2019-12-18 Binding Site Group Ltd Quantitation of immunoglobulins i n mass spectrometry
GB202016822D0 (en) 2020-10-23 2020-12-09 Binding Site Group Ltd Quantitation of immunoglobulins in mass spectrometry
WO2021234396A1 (en) 2020-05-22 2021-11-25 The Binding Site Group Limited Method of identifying or characteri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776B1 (ko) * 2016-06-03 2018-06-20 고진권 타일용 마감부재
KR102113498B1 (ko) * 2019-08-19 2020-05-21 주식회사 락소 간접조명이 내장된 마감용 히든몰딩
KR102113490B1 (ko) * 2019-08-19 2020-06-02 주식회사 락소 천장 히든점검구
KR102113473B1 (ko) * 2019-08-19 2020-05-21 주식회사 락소 조명장치가 구비된 천장용 히든몰딩마감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043U (ko) * 1996-12-13 1998-09-15 임영호 건축용 단열재 및 석고보드 고정장치
JP2003056152A (ja) * 2001-08-08 2003-02-26 Kido Toshihiro 内装壁形成方法
KR200366190Y1 (ko) * 2004-08-02 2004-11-10 주식회사 카노 인터내셔날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KR20110039933A (ko) * 2009-10-13 2011-04-20 김성원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KR20140003178U (ko) * 2012-11-21 2014-05-29 김종철 착탈 분리식의 사각형 파이프를 이용한 상품 진열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121A (ko) 1999-12-18 2001-07-04 조용군 조립식건물 벽코너부의 벽판이음용 덧기둥
KR200399628Y1 (ko) 2005-07-28 2005-10-27 주식회사 점보에이에이치씨복합창 건축물 내,외장용 패널의 코너 연결구
JP2010265673A (ja) 2009-05-14 2010-11-25 Takenaka Komuten Co Ltd コーナーガード
KR101136574B1 (ko) 2009-09-23 2012-04-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신축 및 리모델링이 용이한 코너비드형 표준 마무리재 및 그를 이용한 벽체 코너부 마무리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043U (ko) * 1996-12-13 1998-09-15 임영호 건축용 단열재 및 석고보드 고정장치
JP2003056152A (ja) * 2001-08-08 2003-02-26 Kido Toshihiro 内装壁形成方法
KR200366190Y1 (ko) * 2004-08-02 2004-11-10 주식회사 카노 인터내셔날 조립식 프레임 체결장치
KR20110039933A (ko) * 2009-10-13 2011-04-20 김성원 실내 벽체마감용 수평몰딩 및 상기 수평몰딩을 이용하여 벽체를 마감하는 시공방법
KR20140003178U (ko) * 2012-11-21 2014-05-29 김종철 착탈 분리식의 사각형 파이프를 이용한 상품 진열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915946D0 (en) 2019-11-01 2019-12-18 Binding Site Group Ltd Quantitation of immunoglobulins i n mass spectrometry
WO2021234396A1 (en) 2020-05-22 2021-11-25 The Binding Site Group Limited Method of identifying or characterising an immune response in a subject
GB202016822D0 (en) 2020-10-23 2020-12-09 Binding Site Group Ltd Quantitation of immunoglobulins in mass spectromet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726B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14490A1 (ko) 시공성이 향상된 석고보드용 코너비드
WO2014025165A1 (ko) 외단열 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외단열 시공방법
WO2014168353A1 (ko) 목재벽돌조립체
US2007013130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timber frame structural panel assembly, and timber frame structural panel assembly
JP6628875B2 (ja) 真空断熱材設置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用いた真空断熱材設置方法
WO2017222197A1 (ko) 줄눈환기형 외벽체 및 이 줄눈환기형 외벽체의 시공방법
WO2016200131A1 (ko) 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3066104A1 (ko) 신축변형 흡수 마루판
WO2014046496A2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TW201742975A (zh) 組合式可重複使用的暫時性施工牆
WO2014030795A1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15133768A1 (ko) 끼움결합부재를 이용한 바닥재
WO2022182052A1 (ko) 다면 결합 조적 블록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WO2024076082A1 (ko)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KR20170004836A (ko) 진공 단열재 설치 어셈블리
WO2018084390A1 (ko) 건축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WO2019164046A1 (ko) 내진 다면 블록 및 그를 이용한 내진 다면 블록 시스템
WO2017171111A1 (ko) 건식마감이 용이한 외단열 일체형 단열블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18124573A1 (ko) 단열구조를 갖는 건축용 벽체 블록
WO2020233239A1 (zh) 一种模块化墙体移位固定方式
WO2016108475A1 (ko) 패널을 이용한 발판
WO2017111423A1 (ko) 외단열용 조립식 단위벽체 및 이를 이용한 외벽 시공방법
WO2021261717A1 (ko) 조립식 마감 패널
WO2019189996A1 (ko) 콘크리트 벽체 제조용 단열패널 및 이 단열패널의 제작방법
KR101628300B1 (ko) 조립형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벽면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279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279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