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76082A1 -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76082A1
WO2024076082A1 PCT/KR2023/014824 KR2023014824W WO2024076082A1 WO 2024076082 A1 WO2024076082 A1 WO 2024076082A1 KR 2023014824 W KR2023014824 W KR 2023014824W WO 2024076082 A1 WO2024076082 A1 WO 20240760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ck
longitudinal
assembly
temporary wal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482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유준
Original Assignee
장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유준 filed Critical 장유준
Publication of WO20240760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760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20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ber for dividing a space inside a building or installing a temporary wall of a structure for placing decorations.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member for installing temporary walls such as partitions in various designs using only its own binding structure without separate fastening means such as pieces. It is about assembly blocks that enable installation.
  • Temporary walls are installed indoors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stalling a partition wall to divide the space according to use or installing a decorative stand on the wall.
  • Such temporary walls are typically constructed by constructing a wall frame using wood or lightweight studs, and installing gypsum boards, etc.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wall frame.
  •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0095 discloses a set of prefabricated bricks for construction consisting of prefabricated bricks 10, auxiliary bricks 20, and corner bricks 30 shown in Figure 1. there is.
  • the prefabricated brick 10 has a locking protrusion 14 formed at the top, a locking groove 12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protrusion 14 is formed at the bottom, and long holes 15 and 16 are formed in the center, , the auxiliary brick 20 also has a locking protrusion 24, a locking groove 22, and long holes 25 and 26 of the same shape as the prefabricated brick 10 described above, but only the size is different.
  • corner brick 30 has two locking grooves 32 and 33, one each at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ight sides, and a long hole 35 is formed vertically at the top center.
  • the vertical (c1) surface of the prefabricated brick 10 is made vertical to create an obstacle.
  • the base (14) portion is oriented in the construction direction, and the vertical (c2) surface of the auxiliary brick (20) is placed vertically so that the locking groove (22) of the auxiliary brick (20) is connect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4) of the prefabricated brick (10).
  • the corner brick (30) is seated horizontally at the point where the wall is bent in an L shape, and the prefabricated brick (10) is placed in the locking groove (32) on one side of the vertically formed corner brick (30). ) is coupled to the locking protrusion 14 of the prefabricated brick 10 with the locking groove 33 on the other side of the corner brick.
  • the prefabricated brick set of the above registration number 20-0400095 is one in which the locking grooves (12, 22, 32, 33) and the locking protrusions (14, 24) are combined while sli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in the part close to the bottom of the ceiling, Not only is construction difficult, but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create various designs, such as the formation of openings and the formation of ⁇ -shaped protruding walls.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improving the joining method, construction is possible without restrictions on location, and anyone can easily construct a false wall with a design having an opening structure of various shapes and a continuous bending structure of various planes.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ieceless assembly block assembly for temporary walls that can be constructed or dismantled, eliminating material waste and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repeated reuse.
  • a reference block is provided with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s on the upper surface and longitudinal grooves on the lower surface, and longitudinal half-projections and transverse protrusions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s provided with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s.
  • a direction change block with a longitudinal groove on the top, a top block with a flat upper surface, a top block with a longitudinal groove on the lower surface, a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or a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groove or half longitudinal groove on the lower surface.
  • An opening end block provided with a groove, an opening upper surface block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flat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a U-shaped hanging sp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a flat surface and a longitudinal end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ther side.
  • a pieceless assembly block assembly for a temporary wall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upper section block each provided with a half groove, and the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 the transverse projection, and the longitudinal half projection are horizontal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ngitudinal barrel groove or the longitudinal half groove.
  • the standard block can be composed of a standard half block and a standard barrel block
  • the top block can be composed of a top half block and a top barrel block
  • the opening upper surface block can be composed of an opening upper half block and an opening upper barrel block, respectively.
  • the top barrel block and the opening top barrel block must have twice the length of the reference half block, the top half block, and the opening top half block.
  • the opening end block is composed of an opening lower end block having a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groove on the lower surface, and an opening upper end block having a longitudinal longitudinal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half groove on the lower surface. It can be.
  • Each of the above blocks may be filled with expanded synthetic resin or glass fiber.
  • the pieceless assembly block assembly for a temporary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on the indoor floor to fix the temporary wall, and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plate provided with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s on the upper surface and adhesive filling grooves on the lower surface. , Together with or separately from this, a pillar unit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to secure the temporary wall may be further included.
  • the column un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and consists of an upper fixture consisting of a fixing plate and an upper coupling pillar, and a lower fixture consisting of a lower coupling pillar and a finishing cover having a funnel shape of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coupled to the upper fixture. And, it may be composed of a finishing pillar coupled to the lower fixture, of which the finishing cover is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upling pillar, or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coupling pillar and the finishing pillar is formed as a whole.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that fits and connects block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sembly can be easily performed even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lock is close to the ceiling, so it can be applied universally without restrictions on installation structure and location, and can be used as a temporary wall.
  • temporary walls can be constructed simply by inserting the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llowing anyone to easily form temporary walls of various designs.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nyone to easily disassemble and assemble the temporary wall in a short period of time, allowing the design of the temporary wall to be changed at any time, and is economical as there is no cost for installing or removing the temporary wall, and each disassembled block is reused as is, creating no waste. Since this does not occur, there is no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t of prefabricated bricks for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2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brick set.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reference block among the assembly block assemb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rection change block among the assembly block assemb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upper block of the assembly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open end block among the assembly block assemb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each open upper surface block of the assembly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ening upper cross-section block of the assembly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9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reference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plate of the assembly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11 and 12 are explanatory diagrams of each embodiment of the pillar unit among the assembly block assemblie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n explanatory diagram regarding the installation of the bottom plate.
  • Figure 14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the reference block.
  • Figure 1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installation of the direction change block.
  • 16 to 20 are explanatory diagrams for installing an opening in the temporary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1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installing a pillar unit on a temporary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est pieceless assembly block assembly for a temporary wall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block provided with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s on the upper surface and longitudinal grooves on the lower surface, longitudinal half protrusions and transverse protrusions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 a direction change block with a longitudinal groove on the top, a top block with a flat upper surface, a top block with a longitudinal groove on the lower surface, a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or a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groove or half longitudinal groove on the lower surface.
  • An opening end block provided with a groove, an opening upper surface block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 on the upper surface, and a flat surface on the lower surface, a U-shaped hanging space is formed on one side, and a flat surface and a longitudinal end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other side.
  • the opening upper section block each provided with a half groove, the longitudinal barrel projection, the transverse projection, and the longitudinal half projection are configured to be horizontally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ngitudinal barrel groove or the longitudinal half groove.
  • Figures 3 to 9 are for explaining the structural shape of each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y block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shows the reference block 110 and Figure 4 shows the direction change block 120.
  • FIG. 5 shows the top block 130
  • FIG. 6 shows the opening end block 140
  • FIG. 7 shows the opening top block 150
  • FIG. 8 shows the opening top block 160. Each is shown in relation to each other.
  • the assembled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temporary wall to be constructed only with the self-binding structure provided in each block 100 that constitutes it, without using separate fastening means such as pieces or nails, thereby improving the speed and speed of temporary wall installation. It allows for ease of use.
  • each block 100 is provided with a binding means for coupling with the adjacent block 100, and each block 100 is sl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enable coupling by the binding means. Let it come true.
  • binding means include a longitudinal protrusion 101 or a transverse protrusion 102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100, and a longitudinal protrusion 101 or transverse protrusion 102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100. It consists of a longitudinal groove 103 into which is inserted, and a U-shaped locking space 104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 100.
  •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01 is divided into a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 101a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block 100 and a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101b formed over half the length of the block 100
  • the longitudinal groove 103 is also divided into a longitudinal groove (103a)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block 100 and a longitudinal half groove (103b)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block 100.
  • the transverse protrusion 102 refers to a binding mean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lock 100.
  •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01 and the transverse protrusion 102 prefferably have a cross-sectional shape that cannot be separated between the vertically coupled blocks 100 by force ac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is is an example of the cross-sectional shape of an inverted trapezoid.
  • the longitudinal groove 103 must als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ccordingly, the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 (101a), the transverse projection (102), and the longitudinal half projection (101b) are inserted horizontally into the longitudinal barrel groove (103a) or the longitudinal half groove (103b), as described above, to form the adjacent block (100). Make them come together as one.
  • At least one of the above binding means is provided in each block 100 plac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mporary wall, and this i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 the reference block 110 shown in FIG. 3 is mainly located in a portion where the temporary wall is continuous in a straight direction, and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barrel projection 101a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barrel groove 103a on the lower surface.
  • the reference block 110 may be composed of a reference barrel block 110A shown in (a) of FIG. 3 and a reference half block 110B shown in (b) of FIG. 3 depending on its length.
  • the whole block (110A) only has twice the length of the reference half block (110B),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 remaining configuration. That is, longitudinal half protrusions 101b and longitudinal half grooves 103b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ference half block 110B, respectively.
  • the reference half block 110B matches the irregular surfaces of the side edges of the temporary wall that occur as the blocks 100 are combined at lengths that are offset from each other at the top and bottom, so that the side edges of the temporary wall are finished vertically.
  • the direction change block 120 of FIG. 4 is us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he temporary wall while maintain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the temporary wall even in the bent portion when the temporary wall is b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is to be protruded and bent in a T-shape. It has an inducing function.
  • this direction change block 120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101b and a transverse protrusion 102 perpendicular thereto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groove 103a on the lower surface.
  • the top block 130 of FIG. 5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temporary wall o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temporary wall, and finishes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ry wall flat or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flat.
  • This upper block 130 has a flat upper surface 105 and a longitudinal groove 103a on the lower surface.
  • the upper block 130 is divided into the upper barrel block 130A shown in (a) of Figure 5 and the upper half block 130B shown in (b) of Figure 5 according to its length. ), and the upper barrel block (130A) has twice the length of the upper half block (130B).
  • the opening end block 140 of FIG. 6 is located at the corners of both ends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temporary wall, and has a misaligned coupling relationship with the upper or lower block 100 located on the side of the opening. , so that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can be finished flat.
  • This opening end block 140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101b or a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 101a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barrel groove 103a or longitudinal half groove 103b on the lower surface, and the location of the opening to be installed. Accordingly, it can be divided into an opening lower end block 140A and an opening upper end block 140B.
  • the opening lower end block 140A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half projection 101b on its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groove 103a on its lower surface.
  • the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101b) and the longitudinal groove (103a) are combined with the block 100 in the part where the opening is not located, and the remaining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lower end block (140A) where the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101b) is not formed is This becomes a flat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 the open upper end block 140B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barrel projection 101a on its upper surface and a longitudinal half groove 103b on its lower surface.
  • the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 (101a) and the longitudinal half groove (103b) are also combined with the block (100) in the portion where the opening is not located, and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upper end block (140B) in which the longitudinal half groove (103b) is not formed. becomes the flat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 the opening upper surface block 150 of FIG. 7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formed in the temporary wall, and finishes the upper surface flat.
  • This open upper surface block 150 is provided with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s 101a on the upper surface and a flat surface 105 on the lower surface.
  • the opening upper surface block 150 is divided into an opening upper surface barrel block 150A shown in (a) of FIG. 7 and an opening upper surface half block 150B shown in (b) of FIG. 7 according to its length. It may be configured, and the opening upper surface barrel block (150A) has twice the length of the opening upper surface half block (150B).
  • the opening top barrel block 150A and the opening top half block 150B may be installed together, or only the opening top barrel block 150A may be installed alone.
  • the open upper cross-section block 160 of FIG. 8 differs from the blocks 100 described so far in that the hexahedral body is provided with only a protrusion structure such as a longitudinal protrusion 101 and a groove structure of a longitudinal groove 103,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 a U-shaped locking space 104 is formed in each.
  • a flat surface 10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where the U-shaped locking space 104 is not formed, and a longitudinal half groove 103b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side.
  • the opening top section block 160 configured in this way can be installed whe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opening and the top and bottom widths of the temporary wall from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to the upper part of the temporary wall are only about the length and height of one block, respectively.
  • Each block 100 described so far does not need to be particularly limited in its material, and can be manufactured by processing wood or injection molding synthetic resin, and in addition, foamed synthetic resin or glass fiber 106 is added thereto. It can have a filled structure.
  • Figure 9 shows the reference block 110 as an example, cut open to show the state in which glass fibers 106 are filled.
  • the expanded synthetic resin or glass fiber 106 filled inside the block 100 holds the tip of the hanging means such as a piece or nail to hang an ornament such as a clock or picture frame on the temporary wall, so that the hanging means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 the structure with completely separated spaces has the effect of soundproofing and thermal insulation.
  • the indoor floor surface (F) on which the assembly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is uneven.
  • the constructed temporary wall may need to be fixed to the floor (F) so that it does not easily move due to unexpected impacts.
  • the assembly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loor bottom plate 200 that is installed on the floor F and allows the blocks 100 to be constructed on a flat surface while fixing the temporary wall.
  • the upper surface It is provided with a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 (101a) to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ngitudinal groove (103) of the reference block (110), etc., and has a cross-sectional structure with an adhesive filling groove (201) on the lower surface.
  • the assembly block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illar unit 300 installed on the ceiling surface (S) to secure the temporary wall.
  • Figures 11 and 12 show each embodiment of the pillar unit 300.
  • the pillar unit 300 consists of an upper fixture 310, a lower fixture 320, and a finishing pillar 330.
  • the upper fixture 310 is for fixing the pillar unit 300 to the ceiling surface (S), and is used for coupling with the fixing plate 311 fixed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S) and the lower fixture 320. It consists of an upper coupling pillar (313) integral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311).
  • the fixing plate 311 is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S) through a piece. Therefore, the fixing plate 31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iece hole 312.
  • the upper coupling pillar 313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314 inside.
  • the upper fixture 310 and the lower fixture 3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a lower coupling pillar 32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to the coupling groove 314.
  • the lower fixture 320 surrounds the upper fixture 310 to prevent fastening means such as pieces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finishes the joint portion between the ceiling surface (S) and the column unit 300 to create a joint portion. Make sure the appearance is not impaired by .
  • This lower fixture 320 consists of a finishing cover 321 and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described above.
  • the finishing cover 321 has a funnel shape with the upper and lower sides.
  • the upper cross section of the finishing cover 321 matches or is larger than the cross section of the fixing plate 311 of the upper fixture 310 to cover the fixing plate 311 so that i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 the finishing cover 321 may be configured to slide up and do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and as described later, means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pillar unit 300. In this case, the finishing cover 321 can be fixed to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as shown in FIG. 12.
  •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314 of the upper coupling pillar 313 and is coupled so that they are integrated.
  • a fastening groove 324 open downward is formed in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 the finishing pillar 330 is coupled to the lower fixture 320 with its lower e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ry wall, so that the pillar unit 300 is fixed between the temporary wall and the ceiling surface (S).
  • the top of the finishing pillar 33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324 of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so that the finishing pillar 330 is coupled to the lower fixture 320.
  • a longitudinal groove (103a) or a transverse groov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nishing pillar 330, and is coupled to the block 100 located at the top of the temporary wall. Therefore, the block 100 located at the top of the temporary wall in the area where the pillar unit 300 is installed must be provided with longitudinal protrusions 101 or transverse protrusions 102 on the upper surface like the reference block 110.
  • a fine gap may be formed between the upper part of the column unit 300 installed on the temporary wall and the ceiling surface (S). By eliminating the gap, structural stability and appearance are impaired. There is a need to prevent this from happening.
  • the pillar unit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means for adjusting its length.
  • a screw fastening method is used.
  • the total length of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and the finishing pillar 330 combined, and further, the length of the pillar unit 300 itself can be adjusted.
  • Figure 13 illustrates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floor plate 200 on the indoor floor surface (F) at the location where the temporary wall is to be installed.
  • the bottom plate 200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condition of the floor surface (F), the purpose of the temporary wall, etc., but when installing it, first attach the bottom plate 200 to the floor surface (F) using double-sided tape. After attaching and fixing the position, the adhesive filling groove 201 is filled with adhesive such as silicone 401 to completely fix the bottom plate 200 so that it does not move on the floor surface (F).
  • a filling hole 202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0, and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floor surface (F), the filling hole 202 may be used without using adhesive.
  • the bottom plate 200 may be fixed to the floor surface (F) with a piece, but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floor surface (F).
  • Figure 14 illustrates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reference block 110 on the bottom plate 200.
  • the reference block 110 is sli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longitudinal barrel protrusion 101a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00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groove 103a of the standard block 110, thereby inserting the reference block into the bottom plate 200.
  • Fix (110)
  • the reference barrel block (110A) may be installed, or the reference half block (110B) may be installed along with it.
  • Figure 15 shows a case where a bend occurs in the temporary wall, (a) shows a T-shaped bend, and (b) shows a case of an L-shaped bend.
  • the direction change block 120 is installed so that the end barrel protrusion 101a of the reference barrel block 110A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groove 103a of the direction change block 120, and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rection change block 120.
  • the transverse protrusion 102 is placed at the bent position.
  • the direction change block 120 maintains its integrity with respect to the existing direction of the temporary wall by the longitudinal groove 103a, and the bending of the temporary wall by the transverse protrusion 102 Integrity is maintained even for parts.
  • the reference half block (110B)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groove (103a) of the direction change block (120), thereby completing the end of the temporary wall in the existing direction.
  • 16 to 20 illustrate the formation of openings of various shapes in the temporary wall.
  • Figure 16 shows various embodiments of an opening formed in a temporary wall using the block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ion of these openings i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manner.
  • An opening lower end block 140A is installed at the lower edge of the opening.
  • the opening lower end block 140A has a longitudinal half protrusion 101b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located inside the temporary wall, and the remaining flat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forms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opening. placed to form.
  • An opening upper end block 140B is installed at the upper edge of the opening.
  • the longitudinal half groove 103b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is located inside the temporary wall, and the remaining flat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forms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placed to form.
  • the upper block 130 or the opening upper surface block 150 is installed as shown in FIG. 18. do.
  • the opening lower end block 140A or the opening upper end block 140B is installed to the other edge of the opening. Install.
  • an opening upper cross-section block 160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19.
  • Figure 20 illustrates the case where a vertical bend is placed inside the opening to change its shape.
  • an opening upper surface block (150) is installed, and depending on the block (100) located at the top, an opening upper surface barrel block (150A) or an opening upper surface half block (150B) is installed. Install . When it is desired to bend to form a corner at the bottom, an upper barrel block (130A) or an upper half block (130B) is installed.
  • Figure 21 relates to installing the column unit 300 between the top of the temporary wall and the ceiling surface (S) after the installation construction of the blocks 100 is completed, and the finishing cover as shown in (a) of Figure 11 (321) is shown as an example of a structure that slides up and do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 the pillar unit 300 is installed so that the longitudinal protrusion 101 or the transverse protrusion 10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ry wall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groove 103a or the transverse groov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nishing pillar 330. Install (300).
  • the upper fixture 310 is fixed to the ceiling surface (S).
  • the fixation of the upper fixture 310 to the ceiling surface (S) is accomplished by sewing a fastening means such as a piece on the fixing plate 311 to the ceiling surface (S), and the work of sewing these fastening means is performed on the finishing cover 321. This is done after lowering to the lower part of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 the finishing cover 321 is moved upward so that the fastening means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n an adhesive means such as silicone 401 or a separate The finishing cover 321 is fixed to the upper fixture 310 to the lower coupling pillar 323 by means of fixing means.
  • the present invention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because it enables the installation of a temporary wall to partition a space or place decorations inside a building using only a self-binding structure without fastening means such as 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자체 결속구조만으로 건축물의 실내에서 공간을 구획하거나 장식물 안치를 위한 칸막이 등의 가벽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쉽게 구축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기준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와 횡단돌기가 함께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방향전환블록과, 상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상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 또는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이 구비된 개구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평탄면이 구비된 개구상부면블록과, 일측에 ㄷ자형 걸림공간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과 하면에 평탄면과 종단하프돌기가 각각 구비된 개구상단면블록과, 종단통돌기와 횡단돌기 및 종단하프돌기는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에서 공간을 구획하거나 장식물 안치를 위한 구조물의 가벽 설치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스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자체 결속구조만으로 칸막이 등의 가벽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블록에 관한 것이다.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하여 칸막이벽를 설치하거나 벽체에 장식물 안치대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실내에 가벽을 설치한다.
이러한 가벽, 예컨대 칸막이벽은 통상적으로 목재나 경량스터드를 이용하여 벽체틀을 시공하고, 상기 벽체틀의 내외면에 석고보드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가벽의 시공은 숙련된 기술이 요구될 뿐 아니라, 일단 가벽의 시공이 완료되면 이를 쉽게 이동시키거나 디자인에 변화를 주는 것이 쉽지 않게 된다. 예컨대 구획할 공간크기의 변화에 따라 가벽을 이동시키거나 연장시키고자 할 경우, 또는 새로운 디자인으로 가벽을 변화시키고자 할 경우 기존의 가벽은 철거후 건축폐기물로 처리되고 다시 새로운 부재로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의 번잡성은 물론 자재 낭비와 더불어 환경을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00095호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벽돌(10)과 보조 벽돌(20) 및 모서리 벽돌(30)로 이루어진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조립식 벽돌(10)은, 상단에 걸림돌기(14)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걸림돌기(14)에 대응하는 걸림홈(12)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장공(15,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벽돌(20) 역시 상술한 조립식 벽돌(10)과 동일한 형상의 걸림돌기(24)와 걸림홈(22) 및 장공(25,26)을 구비하되 그 규모만을 달리 한다.
아울러, 모서리 벽돌(30)은 전면과 우측면 중심부에 각 1개씩 2개의 걸림홈(32,33)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단 중심부에는 장공(35)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식 벽돌(10)과 보조 벽돌(20) 및 모서리 벽돌(30)에 의한 벽체의 시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벽돌(10)의 세로(c1)면이 수직이 되게하여 걸림돌기(14) 부분이 시공방향으로 향하게 한 다음, 보조 벽돌(20)의 세로(c2)면을 수직으로 하여 보조 벽돌(20)의 걸림홈(22)이 조립식 벽돌(10)의 걸림 돌기(14)와 결합되게 하고, 이를 반복하여 시공하다가 벽면이 ㄱ자로 꺾이는 지점에 모서리 벽돌(30)을 수평으로 안착시켜, 수직으로 형성된 모서리 벽돌(30)의 한 쪽 걸림홈(32)에 조립식 벽돌(10)의 걸림돌기(14) 부분이 결합되게 하며, 모서리 벽돌의 다른 한쪽 걸림홈(33)에 조립식 벽돌(10)의 걸림 돌기(14)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상기의 등록번호 20-0400095호의 조립식 벽돌 세트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걸림홈(12,22,32,33)과 걸림돌기(14,24)가 결합되는 것이므로, 천장 하면에 근접한 부분에서의 시공이 난해할 뿐 아니라, 개구의 형성과 ㅗ자형 돌출벽의 형성 등 다양한 디자인의 창출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방식을 개선하여 위치에 제한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상의 개구 구조와 다양한 평면의 연속된 절곡 구조를 가진 디자인의 가벽을 누구나 쉽게 시공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며, 반복 재사용으로 자재의 낭비를 제거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기준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와 횡단돌기가 함께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방향전환블록과, 상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상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 또는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이 구비된 개구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평탄면이 구비된 개구상부면블록과, 일측에 ㄷ자형 걸림공간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과 하면에 평탄면과 종단하프홈이 각각 구비된 개구상단면블록과, 종단통돌기와 횡단돌기 및 종단하프돌기는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기준블록은 기준하프블록과 기준통블록으로, 상단블록은 상단하프블록과 상단통블록으로, 개구상부면블록은 개구상부면하프블록과 개구상부면통블록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기준통블록과 상단통블록 및 개구상부면통블록은 기준하프블록과 상단하프블록 및 개구상부면하프블록의 2배길이를 가져야 한다.
또한 개구단블록은 상면에 종단하프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개구하부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하프홈이 구비된 개구상부단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각 블록은 그 내부에 발포 합성수지 또는 유리섬유가 충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본 발명의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에는 실내 바닥면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는 접착재 충진홈이 구비된 바닥밑판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별도로, 천장면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기둥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둥유닛은, 천정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정판과 상부결합기둥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체와, 상기 상부고정체와 결합되것으로서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마감덮개와 하부결합기둥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고정체 및, 상기 하부고정체와 결합되는 마감기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마감덮개는 하부결합기둥의 외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시키거나, 하부결합기둥과 마감기둥의 결합을 이들의 전체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들을 수평방향으로 끼움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블록의 설치 위치가 천장면에 근접하여도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설치구조 및 장소에 제한없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가벽의 모든 꺽임구조에 대하여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끼우는 작업만으로 가벽의 구축이 가능하여 누구나 쉽게 다양한 디자인의 가벽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가벽을 단시간에 쉽게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어 수시로 가벽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벽의 설치 및 철거비용이 들지 아니하여 경제적이고, 분해된 각 블록들은 그대로 재사용되어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조립식 벽돌 세트의 조립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기준블록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방향전환블록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상단블록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개구단블록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개구상부면블록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개구상단면블록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기준블록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바닥밑판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1, 12는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기둥유닛에 관한 각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상기 바닥밑판의 설치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상기 기준블록의 설치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방향전환블록의 설치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의 가벽에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가벽에 기둥유닛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는,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기준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와 횡단돌기가 함께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방향전환블록과, 상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상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 또는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이 구비된 개구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평탄면이 구비된 개구상부면블록과, 일측에 ㄷ자형 걸림공간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과 하면에 평탄면과 종단하프홈이 각각 구비된 개구상단면블록과, 종단통돌기와 횡단돌기 및 종단하프돌기는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블록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블록들의 구조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은 기준블록(110)에 관하여, 도 4는 방향전환블록(120)에 관하여, 도 5는 상단블록(130)에 관하여, 도 6은 개구단블록(140)에 관하여, 도 7은 개구상부면블록(150)에 관하여, 도 8은 개구상단면블록(160)에 관하여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는, 피스나 못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이를 구성하는 각 블록(100)들에 구비된 자체 결속구조만으로 가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벽설치의 신속성과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각 블록(10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인접한 블록(100)과의 결합을 위한 결속수단이 구비되며, 각 블록(100)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결속수단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결속수단은, 블록(10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종단돌기(101) 또는 횡단돌기(102)와, 블록(100)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종단돌기(101) 또는 횡단돌기(102)가 삽입되는 종단홈(103) 및, 블록(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ㄷ자형 걸림공간(10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단돌기(101)는 블록(100)의 길이 전체에 대하여 형성되는 종단통돌기(101a)와 블록(100)의 길이 절반에 대하여 형성되는 종단하프돌기(101b)로 구분되며, 종단홈(103) 역시 블록(100)의 길이 전체에 대하여 형성되는 종단통홈(103a)과 블록(100)의 길이 전반에 대하여 형성되는 종단하프홈(103b)으로 구분된다. 횡단돌기(102)는 블록(1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의미한다.
상기의 종단돌기(101)와 횡단돌기(102)는 상하로 결합된 블록(100)들 사이가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는 분리될 수 없는 단면형상을 가지면 족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역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예로 한 것이다. 종단홈(103) 역시 이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종단통돌기(101a)와 횡단돌기(102) 및 종단하프돌기(101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단통홈(103a) 또는 종단하프홈(103b)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인접한 블록(100)들이 일체로 결합하게 한다.
상기의 각 결속수단들은 가벽의 위치특성에 따라 놓여지는 각 블록(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기준블록(110)은 주로 가벽이 직선방향으로 연속된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다.
상기 기준블록(110)은 그 길이에 따라 도 3의 (a)에 도시된 기준통블록(110A)과, 도 3의 (b)에 도시된 기준하프블록(110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준통블록(110A)은 기준하프블록(110B)의 2배 길이를 가지는 것일 뿐, 나머지의 구성에는 차이가 없다. 즉 기준하프블록(110B)의 상면과 하면에는 종단하프돌기(101b)와 종단하프홈(103b)가 각각 구비된다.
기준하프블록(110B)은 블록(100)들이 상하에서 상호 어긋난 길이로 결합됨에 따라 발생되는 가벽 측단의 불규칙한 면을 일치시킴으로써 가벽 측단이 수직으로 마무리 되도록 한다.
도 4의 방향전환블록(120)은 가벽이 수직방향으로 꺽이거나 T자 형상으로 돌출 꺽임 진행되어야 할 때, 꺽임된 부분에도 가벽의 구조적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가벽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록 이를 유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향전환블록(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와 이에 수직한 횡단돌기(102)가 함께 구비되고, 하면에는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다.
도 5의 상단블록(130)은 가벽의 최상단에 위치하거나 가벽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가벽의 상단면을 평탄하게 마무리 하거나 개구부의 하부면을 평탄하게 마무리한다.
이러한 상단블록(130)은 상면이 평탄면(105)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는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단블록(130) 역시 기준블록(110)과 마찬가지로, 그 길이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상단통블록(130A)과, 도 5의 (b)에 도시된 상단하프블록(130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통블록(130A)은 상단하프블록(130B)의 2배 길이를 가진다.
도 6의 개구단블록(140)은 개구단블록(140)은 가벽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 단부 모서리부분에 위치하여, 개구부의 측면에 위치한 상부 또는 하부의 블록(100)과 어긋난 결합관계를 가지게 하면서, 개구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평탄하게 마무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구단블록(140)은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 또는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 또는 종단하프홈(103b)이 구비되며, 설치되는 개구부의 위치에 따라 개구하부단블록(140A)과 개구상부단블록(14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구하부단블록(140A)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다. 상기 종단하프돌기(101b)와 종단통홈(103a)은 개구부가 위치하지 아니한 부분의 블록(100)과 결합되고 종단하프돌기(101b)가 형성되지 아니한 개구하부단블록(140A)의 상면 나머지 부분은 개구부의 평탄한 하부면이 된다.
개구상부단블록(140B)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하프홈(103b)이 구비된다. 상기 종단통돌기(101a)와 종단하프홈(103b) 역시 개구부가 위치하지 아니한 부분의 블록(100)과 결합되고 종단하프홈(103b)이 형성되지 아니한 개구상부단블록(140B)의 하면 나머지 부분은 개구부의 평탄한 상부면이 된다.
도 7의 개구상부면블록(150)은 가벽에 형성된 개구부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면을 평탄하게 마무리한다.
이러한 개구상부면블록(150)은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평탄면(10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구상부면블록(150)은 그 길이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된 개구상부면통블록(150A)과, 도 7의 (b)에 도시된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개구상부면통블록(150A)은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의 2배 길이를 가진다.
개구부의 폭에 따라, 개구상부면통블록(150A)과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이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개구상부면통블록(150A)만이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의 개구상단면블록(160)은 지금까지 설명한 블록(100)들이 육면체의 본체에 종단돌기(101) 등의 돌기구성과 종단홈(103)의 홈구성만이 구비되는 것과는 달리 본체의 일측에 ㄷ자형 걸림공간(104)이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ㄷ자형 걸림공간(104)이 형성되지 아니한 타측 상면에 평탄면(105)이 구비되고 타측 하면에 종단하프홈(103b)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개구상단면블록(160)은 개구부의 좌우 폭과 개구부 상단부에서 가벽 상단까지의 가벽 상하 폭이 각각 하나의 블록 길이와 높이 정도에 불과한 경우에 설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각 블록(100)들은 그 재질을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서, 목재를 가공하거나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그 내부에 발포 합성수지나 유리섬유(106)가 충진된 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9은 기준블록(110)을 예로 하여 그 내부에 유리섬유(106)가 충진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이를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블록(100)의 내부에 충진된 발포 합성수지나 유리섬유(106)는 가벽에 시계나 액자 등의 장식품을 걸어 주기 위해 피스나 못 등의 걸이수단을 박을 때 그의 선단부를 잡아주어 걸이수단이 하부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공간을 완전히 분리시킨 구조에서는 방음과 단열의 효과를 가지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가 시공되는 실내 바닥면(F)이 고르지 못한 경우도 있다. 아울러 시공된 가벽은 예측하지 못한 충격에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바닥면(F)에 고정되어야 할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에는 바닥면(F)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면서 블록(100)들이 평탄한 면에서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밑판(2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닥밑판(200)은 실내 바닥면(F)에 설치되어 상기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면 그 단면의 형상을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게 하여 기준블록(110) 등의 종단홈(103)에 삽입 결합되도록 하고, 하면에는 접착제 충진홈(201)이 구비된 단면의 구조를 가진다.
또한 실내 바닥면(F)에서와 마찬가지로, 가벽의 상단을 천장면(S)에 고정시킬 필요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에는 천장면(S)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기둥유닛(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1, 12는 상기 기둥유닛(300)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기둥유닛(300)은, 상부고정체(310)와 하부고정체(320) 및 마감기둥(33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고정체(310)는 기둥유닛(300)을 천장면(S)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천장면(S)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판(311)과, 하부고정체(320)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판(311)의 하면에 일체로 고정된 상부결합기둥(313)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판(311)은 피스를 통해 천장면(S)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311)에는 피스공(312)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상부결합기둥(313)은 내부에 결합홈(314)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홈(314)에는 후술하는 하부결합기둥(323)이 삽입됨으로써 상부고정체(310)와 하부고정체(320)가 결합된다.
하부고정체(320)는 상부고정체(310)를 감싸아 피스 등의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천장면(S)과 기둥유닛(300)의 결합부위에 대한 마감처리를 하여 결합부위에 의해 외관이 저해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하부고정체(320)는 마감덮개(321)와 상술한 하부결합기둥(323)으로 이루어진다.
마감덮개(321)는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가진다. 아울러 마감덮개(321)의 상부단면은 상부고정체(310)의 고정판(311) 단면과 일치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고정판(3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준다. 상기 마감덮개(3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결합기둥(323)의 외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둥유닛(3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덮개(321)가 하부결합기둥(323)에 고정된 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하부결합기둥(3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결합기둥(313)의 결합홈(314)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가 일체가 되도록 결합된다. 하부결합기둥(323)에는 하부로 개방된 체결홈(324)이 형성된다.
마감기둥(330)은 하단이 가벽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고정체(320)와 결합됨으로써 기둥유닛(300)이 가벽과 천장면(S)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마감기둥(330)의 상단은 하부결합기둥(323)의 체결홈(324)에 삽입됨으로써 마감기둥(330)이 하부고정체(320)와 결합되도록 한다. 마감기둥(330)의 하단면에 종단통홈(103a) 내지 횡단홈(미도시)이 구비되어, 가벽의 최상단에 위치한 블록(100)과 결합된다. 따라서 기둥유닛(300)이 설치되는 부분의 가벽 최상단에 위치한 블록(100)은 기준블록(110)과 같이 상면에 종단돌기(101)나 횡단돌기(102)가 구비된 것이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건축물의 천장높이에 따라 가벽에 설치된 기둥유닛(300)의 상부와 천장면(S) 사이에 미세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의 간극을 제거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외관이 저해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기둥유닛(300)에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결합기둥(323)의 체결홈(324)에 암나사(325)를 구비시키고, 마감기둥(330)의 상부에 수나사(332)가 구비된 체결봉(331)을 구비시킴으로써, 나사체결방식으로 하부결합기둥(323)과 마감기둥(330)이 결합된 전체길이, 나아가 기둥유닛(300) 자체의 길이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였는 바, 다음으로는 이를 이용하여 가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3 내지 2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가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실내 바닥면(F)에 바닥밑판(200)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상기 바닥밑판(200)은 바닥면(F)의 상태, 가벽의 용도 등의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것이나, 이를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바닥밑판(200)을 바닥면(F)에 부착하여 위치를 고정시킨 다음, 접착제 충진홈(201)에 실리콘(401) 등의 접착제를 충진시켜 바닥밑판(200)이 바닥면(F)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완전하게 고정시킨다.
접착제의 상기한 충진을 위하여 바닥밑판(200)의 상면에 충진공(202)을 더 구비시킬 수 있으며, 바닥면(F)의 재질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충진공(202)을 이용하여 피스로도 바닥밑판(200)을 바닥면(F)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바닥면(F)에 손상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도 14는 바닥밑판(200)에 기준블록(110)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기준블록(110)의 종단통홈(103a)에 바닥밑판(200)의 상면에 구비된 종단통돌기(101a)가 삽입되도록 기준블록(110)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바닥밑판(200)에 기준블록(110)을 고정시킨다.
이때 가벽의 수평길이에 따라 기준통블록(110A)만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와 함께 기준하프블록(110B)이 설치될 수도 있다.
가벽에 꺽임과 개구부가 없는 일직선 평면의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와 같이 기준블록(110)을 연속하여 설치하는 작업만이 진행된다.
도 15는 가벽에 꺽임이 발생하는 경우로서 (a)는 T자 꺽임의 경우를, (b)는 ㄱ자 꺽임의 경우를 각 도시한 것이다.
방향전환블록(120)의 종단통홈(103a)에 기준통블록(110A)의 종단통돌기(101a)가 삽입되도록 상기 방향전환블록(120)을 설치하되, 방향전환블록(120)의 상면에 구비된 횡단돌기(102)가 꺽임의 위치에 놓여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방향전환블록(120)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통홈(103a)에 의해 가벽의 기존 방향에 대하여 일체성이 유지되고, 횡단돌기(102)에 의해 가벽의 꺽인 부분에 대하여도 일체성이 유지된다.
도 15의 (b)에서와 같이 ㄱ자 꺽임된 경우에는 방향전환블록(120)의 종단통홈(103a)에 기준하프블록(110B)이 설치됨으로써 가벽의 기존 방향에 대한 단부 마무리가 이루어진다.
도 16 내지 20은 가벽에 다양한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에 관하여 각 설명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블록(100)을 이용하여 가벽에 형성시킨 개구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개구부의 시공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에는 개구하부단블록(140A)이 설치된다.
상기 개구하부단블록(140A)은,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구비된 종단하프돌기(101b)가 가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면의 나머지 평탄한 부분이 개구부의 하부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놓여진다.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에는 개구상부단블록(140B)이 설치된다.
상기 개구상부단블록(140B) 역시,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구비된 종단하프홈(103b)이 가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하면의 나머지 평탄한 부분이 개구부의 상부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놓여진다.
개구부의 일측 모서리에 대한 개구하부단블록(140A) 또는 개구상부단블록(140B)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블록(130) 또는 개구상부면블록(150)을 설치한다.
상단블록(130) 또는 개구상부면블록(150)에 의해 개구부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 대한 형성이 완료되면 개구부의 타측 모서리에 대하여 개구하부단블록(140A) 또는 개구상부단블록(140B)을 설치한다.
개구부의 좌우폭이 좁고 가벽의 상단과 개구부의 상부면 사이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상단면블록(16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0은 개구부의 형상에 변화를 주기 위하여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꺽임을 두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다.
상부쪽에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꺽임을 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구상부면블록(150)을 설치하며 그 상부에 위치한 블록(100)에 따라 개구상부면통블록(150A) 또는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을 설치한다. 하부쪽에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꺽임을 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단통블록(130A) 또는 상단하프블록(130B)이 설치된다.
도 21은 블록(100)들의 설치 시공이 완료된 후, 가벽의 상단과 천장면(S) 사이에 기둥유닛(300)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덮개(321)가 하부결합기둥(323)의 외면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예로 하여 도시한 것이다.
먼저 기둥유닛(300)을 조립한 상태에서 마감기둥(330)의 하단면에 구비된 종단통홈(103a) 내지 횡단홈에 가벽 상면의 종단돌기(101) 또는 횡단돌기(102)가 끼워지도록 기둥유닛(30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부고정체(310)를 천장면(S)에 고정시킨다. 천장면(S)에 대한 상부고정체(310)의 고정은 고정판(311)에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천장면(S)에 박음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러한 체결수단의 박음 작업은 마감덮개(321)를 하부결합기둥(323)의 하부쪽으로 내려 놓은 후 이루어진다.
천장면(S)에 대한 상부고정체(310)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덮개(321)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실리콘(401) 등의 접착수단 내지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마감덮개(321)를 상부고정체(310) 내지 하부결합기둥(323)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기둥유닛(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필요에 따라 기둥유닛(300)의 외주면에 몰딩을 설치하여 천장을 마감하고, 아울러 실내 벽체에 접하는 가벽의 단부에도 실리콘(401) 처리로 가벽을 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피스 등의 체결수단 없이 자체 결속구조만으로 건축물의 실내에서 공간을 구획하거나 장식물을 안치시키기 위한 가벽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3)

  1. 무피스 조립식으로 가벽을 시공하기 위한 블록(100)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 기준블록(110)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와 횡단돌기(102)가 함께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 방향전환블록(120)과,
    상면이 평탄면(105)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 상단블록(130)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 또는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 또는 종단하프홈(103b)이 구비된 개구단블록(140)과,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평탄면(105)이 구비된 개구상부면블록(150)과,
    일측에 ㄷ자형 걸림공간(104)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과 하면에 평탄면(105)과 종단하프홈(103b)가 각각 구비된 개구상단면블록(160)과,
    종단통돌기(101a)와 횡단돌기(102) 및 종단하프돌기(101b)는 종단통홈(103a) 또는 종단하프홈(103b)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블록(110)은,
    기준하프블록(110B)과, 상기 기준하프블록(110B)의 2배 길이를 가지는 기준통블록(110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록(130)은,
    상단하프블록(130B)과, 상기 상단하프블록(130B)의 2배 길이를 가지는 상단통블록(130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단블록(140)은,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 개구하부단블록(140A)과,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하프홈(103b)이 구비된 개구상부단블록(14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상부면블록(150)은,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과, 상기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의 2배 길이를 가지는 개구상부면통블록(150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블록(100)은 그 내부에 발포 합성수지 또는 유리섬유(106)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실내 바닥면(F)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바닥밑판(2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밑판(200)은,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는 접착재 충진홈(20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천장면(S)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기둥유닛(3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유닛(300)은,
    상기 천장면(S)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체(310)와,
    상기 상부고정체(310)와 결합되는 하부고정체(320) 및,
    상기 하부고정체(320)와 결합되는 마감기둥(3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체(310)는, 천장면(S)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판(311)과, 상기 고정판(311)의 하면에 일체로 고정된 상부결합기둥(3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고정체(320)는,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단면이 상부고정체(310)의 고정판(311) 단면과 일치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고정판(3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마감덮개(321)와, 상부결합기둥(313)과 마감기둥(330)을 결합시키는 하부결합기둥(3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덮개(321)는 하부결합기둥(323)의 외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기둥(323)과 마감기둥(330)의 결합은 이들의 전체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PCT/KR2023/014824 2022-10-04 2023-09-26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WO202407608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420A KR102570317B1 (ko) 2022-10-04 2022-10-04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KR10-2022-0126420 2022-10-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6082A1 true WO2024076082A1 (ko) 2024-04-11

Family

ID=8784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4824 WO2024076082A1 (ko) 2022-10-04 2023-09-26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0317B1 (ko)
WO (1) WO20240760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317B1 (ko) * 2022-10-04 2023-08-24 장유준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099A (ko) * 2009-02-12 2010-08-20 고한영 파 티클 블록
KR200467656Y1 (ko) * 2012-11-13 2013-07-09 (주)그린코리아 조립식 단열 강화 블록
US20160090705A1 (en) * 2013-05-06 2016-03-31 Resco Consulting Gmbh Block, flood protection barri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arrier of this type
KR101879291B1 (ko) * 2017-12-08 2018-07-18 동인구조기술주식회사 조적벽 전도방지용 보강 모듈
KR102266318B1 (ko) * 2020-11-04 2021-06-18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접착형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KR102570317B1 (ko) * 2022-10-04 2023-08-24 장유준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5Y1 (ko) 2004-12-21 2005-11-02 이원식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099A (ko) * 2009-02-12 2010-08-20 고한영 파 티클 블록
KR200467656Y1 (ko) * 2012-11-13 2013-07-09 (주)그린코리아 조립식 단열 강화 블록
US20160090705A1 (en) * 2013-05-06 2016-03-31 Resco Consulting Gmbh Block, flood protection barri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arrier of this type
KR101879291B1 (ko) * 2017-12-08 2018-07-18 동인구조기술주식회사 조적벽 전도방지용 보강 모듈
KR102266318B1 (ko) * 2020-11-04 2021-06-18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접착형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KR102570317B1 (ko) * 2022-10-04 2023-08-24 장유준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317B1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4076082A1 (ko)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WO2016039495A1 (ko) 선반의 맞춤형 설치가 가능한 아트월
WO2017222197A1 (ko) 줄눈환기형 외벽체 및 이 줄눈환기형 외벽체의 시공방법
WO2013062277A1 (ko) 조립식 건축물의 벽체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WO2013042826A1 (ko) 패널조립구조체
WO2010114236A2 (ko) 바닥재
WO2015016426A1 (ko) 벽체 마감장치
WO2014168353A1 (ko) 목재벽돌조립체
JPH07292824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US5020290A (en) Modular wall
WO2014046496A2 (ko) 벽체 시공용 앵글유닛
WO2017057797A1 (ko) 커튼월 프레임
WO2021025354A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WO2018143534A1 (ko) 거푸집 조립체
WO2014021498A1 (ko) 건축 내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14010788A1 (ko) 내/외장재 일체형 모듈러 셀블록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CN106401119A (zh) 一种共挤压花挂板及其安装连接方法和安装连接件
WO2013154357A1 (ko) 건축용 몰딩장치
US6170211B1 (en) Demountable wall system
WO2023101140A1 (ko) 열교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단열재 어셈블리
WO2019235677A1 (ko) 건축용 부재
WO2015199514A1 (ko) 건축물 조립 구조체
WO2018212391A1 (ko) 에어 단열 건축자재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WO2014137167A1 (ko) 인테리어용 몰딩재와 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용 판형 마감재 설치 방법
WO2021107571A1 (ko) 보조 프레임 설치가 용이한 벽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87514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