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317B1 -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317B1
KR102570317B1 KR1020220126420A KR20220126420A KR102570317B1 KR 102570317 B1 KR102570317 B1 KR 102570317B1 KR 1020220126420 A KR1020220126420 A KR 1020220126420A KR 20220126420 A KR20220126420 A KR 20220126420A KR 102570317 B1 KR102570317 B1 KR 102570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terminal
assembly
groo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유준
Original Assignee
장유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유준 filed Critical 장유준
Priority to KR1020220126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317B1/ko
Priority to PCT/KR2023/014824 priority patent/WO20240760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20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스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자체 결속구조만으로 건축물의 실내에서 공간을 구획하거나 장식물 안치를 위한 칸막이 등의 가벽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쉽게 구축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기준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와 횡단돌기가 함께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방향전환블록과, 상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상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 또는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이 구비된 개구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평탄면이 구비된 개구상부면블록과, 일측에 ㄷ자형 걸림공간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과 하면에 평탄면과 종단하프돌기가 각각 구비된 개구상단면블록과, 종단통돌기와 횡단돌기 및 종단하프돌기는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THREADLESS ASSEMBLY BLOCK ASSEMBLY FOR TEMPORARY WALLS}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에서 공간을 구획하거나 장식물 안치를 위한 구조물의 가벽 설치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스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 자체 결속구조만으로 칸막이 등의 가벽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블록에 관한 것이다.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획하기 위하여 칸막이벽를 설치하거나 벽체에 장식물 안치대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실내에 가벽을 설치한다.
이러한 가벽, 예컨대 칸막이벽은 통상적으로 목재나 경량스터드를 이용하여 벽체틀을 시공하고, 상기 벽체틀의 내외면에 석고보드 등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가벽의 시공은 숙련된 기술이 요구될 뿐 아니라, 일단 가벽의 시공이 완료되면 이를 쉽게 이동시키거나 디자인에 변화를 주는 것이 쉽지 않게 된다. 예컨대 구획할 공간크기의 변화에 따라 가벽을 이동시키거나 연장시키고자 할 경우, 또는 새로운 디자인으로 가벽을 변화시키고자 할 경우 기존의 가벽은 철거후 건축폐기물로 처리되고 다시 새로운 부재로 시공해야 하므로, 시공의 번잡성은 물론 자재 낭비와 더불어 환경을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00095호는 도 1에 도시된 조립식 벽돌(10)과 보조 벽돌(20) 및 모서리 벽돌(30)로 이루어진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조립식 벽돌(10)은, 상단에 걸림돌기(14)가 형성되고 하단에 상기 걸림돌기(14)에 대응하는 걸림홈(12)이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장공(15,1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조 벽돌(20) 역시 상술한 조립식 벽돌(10)과 동일한 형상의 걸림돌기(24)와 걸림홈(22) 및 장공(25,26)을 구비하되 그 규모만을 달리 한다.
아울러, 모서리 벽돌(30)은 전면과 우측면 중심부에 각 1개씩 2개의 걸림홈(32,33)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단 중심부에는 장공(35)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립식 벽돌(10)과 보조 벽돌(20) 및 모서리 벽돌(30)에 의한 벽체의 시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 벽돌(10)의 세로(c1)면이 수직이 되게하여 걸림돌기(14) 부분이 시공방향으로 향하게 한 다음, 보조 벽돌(20)의 세로(c2)면을 수직으로 하여 보조 벽돌(20)의 걸림홈(22)이 조립식 벽돌(10)의 걸림 돌기(14)와 결합되게 하고, 이를 반복하여 시공하다가 벽면이 ㄱ자로 꺾이는 지점에 모서리 벽돌(30)을 수평으로 안착시켜, 수직으로 형성된 모서리 벽돌(30)의 한 쪽 걸림홈(32)에 조립식 벽돌(10)의 걸림돌기(14) 부분이 결합되게 하며, 모서리 벽돌의 다른 한쪽 걸림홈(33)에 조립식 벽돌(10)의 걸림 돌기(14)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그런데, 상기의 등록번호 20-0400095호의 조립식 벽돌 세트는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걸림홈(12,22,32,33)과 걸림돌기(14,24)가 결합되는 것이므로, 천장 하면에 근접한 부분에서의 시공이 난해할 뿐 아니라, 개구의 형성과 ㅗ자형 돌출벽의 형성 등 다양한 디자인의 창출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KR 20-0400095 Y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결합방식을 개선하여 위치에 제한없이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상의 개구 구조와 다양한 평면의 연속된 절곡 구조를 가진 디자인의 가벽을 누구나 쉽게 시공하거나 해체할 수 있으며, 반복 재사용으로 자재의 낭비를 제거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기준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와 횡단돌기가 함께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방향전환블록과, 상면이 평탄면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상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 또는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이 구비된 개구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평탄면이 구비된 개구상부면블록과, 일측에 ㄷ자형 걸림공간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과 하면에 평탄면과 종단하프홈이 각각 구비된 개구상단면블록과, 종단통돌기와 횡단돌기 및 종단하프돌기는 종단통홈 또는 종단하프홈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기준블록은 기준하프블록과 기준통블록으로, 상단블록은 상단하프블록과 상단통블록으로, 개구상부면블록은 개구상부면하프블록과 개구상부면통블록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으며, 기준통블록과 상단통블록 및 개구상부면통블록은 기준하프블록과 상단하프블록 및 개구상부면하프블록의 2배길이를 가져야 한다.
또한 개구단블록은 상면에 종단하프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이 구비된 개구하부단블록과,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하프홈이 구비된 개구상부단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의 각 블록은 그 내부에 발포 합성수지 또는 유리섬유가 충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본 발명의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에는 실내 바닥면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면에 종단통돌기가 구비되고, 하면에는 접착재 충진홈이 구비된 바닥밑판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또는 이와 별도로, 천장면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기둥유닛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둥유닛은, 천정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고정판과 상부결합기둥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체와, 상기 상부고정체와 결합되것으로서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가지는 마감덮개와 하부결합기둥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고정체 및, 상기 하부고정체와 결합되는 마감기둥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중 마감덮개는 하부결합기둥의 외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시키거나, 하부결합기둥과 마감기둥의 결합을 이들의 전체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블록들을 수평방향으로 끼움 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블록의 설치 위치가 천장면에 근접하여도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설치구조 및 장소에 제한없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고, 가벽의 모든 꺽임구조에 대하여 단순히 수평방향으로 끼우는 작업만으로 가벽의 구축이 가능하여 누구나 쉽게 다양한 디자인의 가벽을 형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누구나 가벽을 단시간에 쉽게 분해하고 조립할 수 있어 수시로 가벽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벽의 설치 및 철거비용이 들지 아니하여 경제적이고, 분해된 각 블록들은 그대로 재사용되어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환경오염의 문제가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조립식 벽돌 세트의 조립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기준블록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방향전환블록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상단블록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개구단블록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개구상부면블록에 관한 각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개구상단면블록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기준블록의 절개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바닥밑판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1, 12는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 중 기둥유닛에 관한 각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상기 바닥밑판의 설치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상기 기준블록의 설치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상기 방향전환블록의 설치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16 내지 20은 본 발명의 가벽에 개구부를 설치하는 것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가벽에 기둥유닛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준으로 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블록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각 블록들의 구조적 형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은 기준블록(110)에 관하여, 도 4는 방향전환블록(120)에 관하여, 도 5는 상단블록(130)에 관하여, 도 6은 개구단블록(140)에 관하여, 도 7은 개구상부면블록(150)에 관하여, 도 8은 개구상단면블록(160)에 관하여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는, 피스나 못 등의 별도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이를 구성하는 각 블록(100)들에 구비된 자체 결속구조만으로 가벽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벽설치의 신속성과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각 블록(100)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인접한 블록(100)과의 결합을 위한 결속수단이 구비되며, 각 블록(100)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결속수단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결속수단은, 블록(100)의 상면에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종단돌기(101) 또는 횡단돌기(102)와, 블록(100)의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종단돌기(101) 또는 횡단돌기(102)가 삽입되는 종단홈(103) 및, 블록(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ㄷ자형 걸림공간(104)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종단돌기(101)는 블록(100)의 길이 전체에 대하여 형성되는 종단통돌기(101a)와 블록(100)의 길이 절반에 대하여 형성되는 종단하프돌기(101b)로 구분되며, 종단홈(103) 역시 블록(100)의 길이 전체에 대하여 형성되는 종단통홈(103a)과 블록(100)의 길이 전반에 대하여 형성되는 종단하프홈(103b)으로 구분된다. 횡단돌기(102)는 블록(100)의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결속수단을 의미한다.
상기의 종단돌기(101)와 횡단돌기(102)는 상하로 결합된 블록(100)들 사이가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는 분리될 수 없는 단면형상을 가지면 족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역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예로 한 것이다. 종단홈(103) 역시 이와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종단통돌기(101a)와 횡단돌기(102) 및 종단하프돌기(101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단통홈(103a) 또는 종단하프홈(103b)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인접한 블록(100)들이 일체로 결합하게 한다.
상기의 각 결속수단들은 가벽의 위치특성에 따라 놓여지는 각 블록(10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기준블록(110)은 주로 가벽이 직선방향으로 연속된 부분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다.
상기 기준블록(110)은 그 길이에 따라 도 3의 (a)에 도시된 기준통블록(110A)과, 도 3의 (b)에 도시된 기준하프블록(110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기준통블록(110A)은 기준하프블록(110B)의 2배 길이를 가지는 것일 뿐, 나머지의 구성에는 차이가 없다. 즉 기준하프블록(110B)의 상면과 하면에는 종단하프돌기(101b)와 종단하프홈(103b)가 각각 구비된다.
기준하프블록(110B)은 블록(100)들이 상하에서 상호 어긋난 길이로 결합됨에 따라 발생되는 가벽 측단의 불규칙한 면을 일치시킴으로써 가벽 측단이 수직으로 마무리 되도록 한다.
도 4의 방향전환블록(120)은 가벽이 수직방향으로 꺽이거나 T자 형상으로 돌출 꺽임 진행되어야 할 때, 꺽임된 부분에도 가벽의 구조적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가벽의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록 이를 유도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방향전환블록(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와 이에 수직한 횡단돌기(102)가 함께 구비되고, 하면에는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다.
도 5의 상단블록(130)은 가벽의 최상단에 위치하거나 가벽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부면에 위치하여, 가벽의 상단면을 평탄하게 마무리 하거나 개구부의 하부면을 평탄하게 마무리한다.
이러한 상단블록(130)은 상면이 평탄면(105)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는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단블록(130) 역시 기준블록(110)과 마찬가지로, 그 길이에 따라 도 5의 (a)에 도시된 상단통블록(130A)과, 도 5의 (b)에 도시된 상단하프블록(130B)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단통블록(130A)은 상단하프블록(130B)의 2배 길이를 가진다.
도 6의 개구단블록(140)은 개구단블록(140)은 가벽에 형성된 개구부의 양측 단부 모서리부분에 위치하여, 개구부의 측면에 위치한 상부 또는 하부의 블록(100)과 어긋난 결합관계를 가지게 하면서, 개구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이 평탄하게 마무리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구단블록(140)은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 또는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 또는 종단하프홈(103b)이 구비되며, 설치되는 개구부의 위치에 따라 개구하부단블록(140A)과 개구상부단블록(140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개구하부단블록(140A)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다. 상기 종단하프돌기(101b)와 종단통홈(103a)은 개구부가 위치하지 아니한 부분의 블록(100)과 결합되고 종단하프돌기(101b)가 형성되지 아니한 개구하부단블록(140A)의 상면 나머지 부분은 개구부의 평탄한 하부면이 된다.
개구상부단블록(140B)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하프홈(103b)이 구비된다. 상기 종단통돌기(101a)와 종단하프홈(103b) 역시 개구부가 위치하지 아니한 부분의 블록(100)과 결합되고 종단하프홈(103b)이 형성되지 아니한 개구상부단블록(140B)의 하면 나머지 부분은 개구부의 평탄한 상부면이 된다.
도 7의 개구상부면블록(150)은 가벽에 형성된 개구부의 상부면에 위치하여, 상기 상부면을 평탄하게 마무리한다.
이러한 개구상부면블록(150)은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평탄면(10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구상부면블록(150)은 그 길이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된 개구상부면통블록(150A)과, 도 7의 (b)에 도시된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개구상부면통블록(150A)은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의 2배 길이를 가진다.
개구부의 폭에 따라, 개구상부면통블록(150A)과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이 함께 설치될 수도 있고 개구상부면통블록(150A)만이 단독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8의 개구상단면블록(160)은 지금까지 설명한 블록(100)들이 육면체의 본체에 종단돌기(101) 등의 돌기구성과 종단홈(103)의 홈구성만이 구비되는 것과는 달리 본체의 일측에 ㄷ자형 걸림공간(104)이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ㄷ자형 걸림공간(104)이 형성되지 아니한 타측 상면에 평탄면(105)이 구비되고 타측 하면에 종단하프홈(103b)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개구상단면블록(160)은 개구부의 좌우 폭과 개구부 상단부에서 가벽 상단까지의 가벽 상하 폭이 각각 하나의 블록 길이와 높이 정도에 불과한 경우에 설치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각 블록(100)들은 그 재질을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서, 목재를 가공하거나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그 내부에 발포 합성수지나 유리섬유(106)가 충진된 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9은 기준블록(110)을 예로 하여 그 내부에 유리섬유(106)가 충진된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이를 절개하여 도시한 것이다.
블록(100)의 내부에 충진된 발포 합성수지나 유리섬유(106)는 가벽에 시계나 액자 등의 장식품을 걸어 주기 위해 피스나 못 등의 걸이수단을 박을 때 그의 선단부를 잡아주어 걸이수단이 하부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공간을 완전히 분리시킨 구조에서는 방음과 단열의 효과를 가지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가 시공되는 실내 바닥면(F)이 고르지 못한 경우도 있다. 아울러 시공된 가벽은 예측하지 못한 충격에 쉽게 움직이지 않도록 바닥면(F)에 고정되어야 할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에는 바닥면(F)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면서 블록(100)들이 평탄한 면에서 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바닥밑판(2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바닥밑판(200)은 실내 바닥면(F)에 설치되어 상기한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것이면 그 단면의 형상을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게 하여 기준블록(110) 등의 종단홈(103)에 삽입 결합되도록 하고, 하면에는 접착제 충진홈(201)이 구비된 단면의 구조를 가진다.
또한 실내 바닥면(F)에서와 마찬가지로, 가벽의 상단을 천장면(S)에 고정시킬 필요도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에는 천장면(S)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기둥유닛(3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1, 12는 상기 기둥유닛(300)의 각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기둥유닛(300)은, 상부고정체(310)와 하부고정체(320) 및 마감기둥(330)으로 이루어진다.
상부고정체(310)는 기둥유닛(300)을 천장면(S)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천장면(S)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판(311)과, 하부고정체(320)와의 결합을 위해 고정판(311)의 하면에 일체로 고정된 상부결합기둥(313)으로 이루어진다.
고정판(311)은 피스를 통해 천장면(S)에 고정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311)에는 피스공(312)을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상부결합기둥(313)은 내부에 결합홈(314)이 구비된다. 상기 결합홈(314)에는 후술하는 하부결합기둥(323)이 삽입됨으로써 상부고정체(310)와 하부고정체(320)가 결합된다.
하부고정체(320)는 상부고정체(310)를 감싸아 피스 등의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천장면(S)과 기둥유닛(300)의 결합부위에 대한 마감처리를 하여 결합부위에 의해 외관이 저해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하부고정체(320)는 마감덮개(321)와 상술한 하부결합기둥(323)으로 이루어진다.
마감덮개(321)는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가진다. 아울러 마감덮개(321)의 상부단면은 상부고정체(310)의 고정판(311) 단면과 일치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고정판(3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준다. 상기 마감덮개(32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결합기둥(323)의 외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둥유닛(300)의 길이를 조절하는 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덮개(321)가 하부결합기둥(323)에 고정된 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다.
하부결합기둥(3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결합기둥(313)의 결합홈(314)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가 일체가 되도록 결합된다. 하부결합기둥(323)에는 하부로 개방된 체결홈(324)이 형성된다.
마감기둥(330)은 하단이 가벽의 상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하부고정체(320)와 결합됨으로써 기둥유닛(300)이 가벽과 천장면(S) 사이에 고정되도록 한다.
마감기둥(330)의 상단은 하부결합기둥(323)의 체결홈(324)에 삽입됨으로써 마감기둥(330)이 하부고정체(320)와 결합되도록 한다. 마감기둥(330)의 하단면에 종단통홈(103a) 내지 횡단홈(미도시)이 구비되어, 가벽의 최상단에 위치한 블록(100)과 결합된다. 따라서 기둥유닛(300)이 설치되는 부분의 가벽 최상단에 위치한 블록(100)은 기준블록(110)과 같이 상면에 종단돌기(101)나 횡단돌기(102)가 구비된 것이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건축물의 천장높이에 따라 가벽에 설치된 기둥유닛(300)의 상부와 천장면(S) 사이에 미세한 간극이 형성될 수 있는 바, 상기의 간극을 제거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되고 외관이 저해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기둥유닛(300)에는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하부결합기둥(323)의 체결홈(324)에 암나사(325)를 구비시키고, 마감기둥(330)의 상부에 수나사(332)가 구비된 체결봉(331)을 구비시킴으로써, 나사체결방식으로 하부결합기둥(323)과 마감기둥(330)이 결합된 전체길이, 나아가 기둥유닛(300) 자체의 길이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조립블록 어셈블리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하였는 바, 다음으로는 이를 이용하여 가벽을 시공하는 방법에 관하여 도 13 내지 20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가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의 실내 바닥면(F)에 바닥밑판(200)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상기 바닥밑판(200)은 바닥면(F)의 상태, 가벽의 용도 등의 필요에 따라 설치되는 것이나, 이를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양면 테이프를 이용하여 바닥밑판(200)을 바닥면(F)에 부착하여 위치를 고정시킨 다음, 접착제 충진홈(201)에 실리콘(401) 등의 접착제를 충진시켜 바닥밑판(200)이 바닥면(F)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완전하게 고정시킨다.
접착제의 상기한 충진을 위하여 바닥밑판(200)의 상면에 충진공(202)을 더 구비시킬 수 있으며, 바닥면(F)의 재질에 따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충진공(202)을 이용하여 피스로도 바닥밑판(200)을 바닥면(F)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바닥면(F)에 손상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도 14는 바닥밑판(200)에 기준블록(110)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다.
기준블록(110)의 종단통홈(103a)에 바닥밑판(200)의 상면에 구비된 종단통돌기(101a)가 삽입되도록 기준블록(110)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바닥밑판(200)에 기준블록(110)을 고정시킨다.
이때 가벽의 수평길이에 따라 기준통블록(110A)만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와 함께 기준하프블록(110B)이 설치될 수도 있다.
가벽에 꺽임과 개구부가 없는 일직선 평면의 부분에 대하여는 상기와 같이 기준블록(110)을 연속하여 설치하는 작업만이 진행된다.
도 15는 가벽에 꺽임이 발생하는 경우로서 (a)는 T자 꺽임의 경우를, (b)는 ㄱ자 꺽임의 경우를 각 도시한 것이다.
방향전환블록(120)의 종단통홈(103a)에 기준통블록(110A)의 종단통돌기(101a)가 삽입되도록 상기 방향전환블록(120)을 설치하되, 방향전환블록(120)의 상면에 구비된 횡단돌기(102)가 꺽임의 위치에 놓여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방향전환블록(120)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통홈(103a)에 의해 가벽의 기존 방향에 대하여 일체성이 유지되고, 횡단돌기(102)에 의해 가벽의 꺽인 부분에 대하여도 일체성이 유지된다.
도 15의 (b)에서와 같이 ㄱ자 꺽임된 경우에는 방향전환블록(120)의 종단통홈(103a)에 기준하프블록(110B)이 설치됨으로써 가벽의 기존 방향에 대한 단부 마무리가 이루어진다.
도 16 내지 20은 가벽에 다양한 형상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에 관하여 각 설명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블록(100)을 이용하여 가벽에 형성시킨 개구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개구부의 시공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개구부의 하부 모서리에는 개구하부단블록(140A)이 설치된다.
상기 개구하부단블록(140A)은,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구비된 종단하프돌기(101b)가 가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면의 나머지 평탄한 부분이 개구부의 하부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놓여진다.
개구부의 상부 모서리에는 개구상부단블록(140B)이 설치된다.
상기 개구상부단블록(140B) 역시,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에 구비된 종단하프홈(103b)이 가벽의 내측에 위치하고 하면의 나머지 평탄한 부분이 개구부의 상부면 일부를 형성하도록 놓여진다.
개구부의 일측 모서리에 대한 개구하부단블록(140A) 또는 개구상부단블록(140B)의 설치가 완료되면, 이어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블록(130) 또는 개구상부면블록(150)을 설치한다.
상단블록(130) 또는 개구상부면블록(150)에 의해 개구부의 하부면 또는 상부면에 대한 형성이 완료되면 개구부의 타측 모서리에 대하여 개구하부단블록(140A) 또는 개구상부단블록(140B)을 설치한다.
개구부의 좌우폭이 좁고 가벽의 상단과 개구부의 상부면 사이의 폭이 좁은 경우에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상단면블록(160)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0은 개구부의 형상에 변화를 주기 위하여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꺽임을 두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 것이다.
상부쪽에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꺽임을 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개구상부면블록(150)을 설치하며 그 상부에 위치한 블록(100)에 따라 개구상부면통블록(150A) 또는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을 설치한다. 하부쪽에서 모서리가 형성되도록 꺽임을 두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단통블록(130A) 또는 상단하프블록(130B)이 설치된다.
도 21은 블록(100)들의 설치 시공이 완료된 후, 가벽의 상단과 천장면(S) 사이에 기둥유닛(300)을 설치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덮개(321)가 하부결합기둥(323)의 외면에서 상하 슬라이딩되는 구조를 예로 하여 도시한 것이다.
먼저 기둥유닛(300)을 조립한 상태에서 마감기둥(330)의 하단면에 구비된 종단통홈(103a) 내지 횡단홈에 가벽 상면의 종단돌기(101) 또는 횡단돌기(102)가 끼워지도록 기둥유닛(30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상부고정체(310)를 천장면(S)에 고정시킨다. 천장면(S)에 대한 상부고정체(310)의 고정은 고정판(311)에 피스 등의 체결수단을 천장면(S)에 박음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러한 체결수단의 박음 작업은 마감덮개(321)를 하부결합기둥(323)의 하부쪽으로 내려 놓은 후 이루어진다.
천장면(S)에 대한 상부고정체(310)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체결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덮개(321)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실리콘(401) 등의 접착수단 내지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마감덮개(321)를 상부고정체(310) 내지 하부결합기둥(323)에 고정시킨다.
상기한 기둥유닛(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필요에 따라 기둥유닛(300)의 외주면에 몰딩을 설치하여 천장을 마감하고, 아울러 실내 벽체에 접하는 가벽의 단부에도 실리콘(401) 처리로 가벽을 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블록 101; 종단돌기
101a; 종단통돌기 101b; 종단하프돌기
102; 횡단돌기 103; 종단홈
103a; 종단통홈 103b; 종단하프홈
104; 걸림공간 105; 평탄면
106; 유리섬유 110; 기준블록
110A; 기준통블록 110B; 기준하프블록
120; 방향전환블록 130; 상단블록
130A; 상단통블록 130B; 상단하프블록
140; 개구단블록 140A; 개구하부단블록
140B; 개구상부단블록 150; 개구상부면블록
150A; 개구상부면통블록 150B; 개구상부면하프블록
160; 개구상단면블록 200; 바닥밑판
201; 충진홈 202; 충진공
300; 기둥유닛 310; 상부고정체
311; 고정판 312; 피스공
313; 상부결합기둥 314; 결합홈
320; 하부고정체 321; 마감덮개
323; 하부결합기둥 324; 체결홈
325; 암나사 330; 마감기둥
331; 체결봉 332; 수나사
401; 실리콘 F; 바닥면
S; 천장면

Claims (13)

  1. 무피스 조립식으로 가벽을 시공하기 위한 블록(100)의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 기준블록(110)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와 횡단돌기(102)가 함께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 방향전환블록(120)과,
    상면이 평탄면(105)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 상단블록(130)과,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 또는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 또는 종단하프홈(103b)이 구비된 개구단블록(140)과,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평탄면(105)이 구비된 개구상부면블록(150)과,
    일측에 ㄷ자형 걸림공간(104)이 형성되고, 타측 상면과 하면에 평탄면(105)과 종단하프홈(103b)가 각각 구비된 개구상단면블록(160)과,
    종단통돌기(101a)와 횡단돌기(102) 및 종단하프돌기(101b)는 종단통홈(103a) 또는 종단하프홈(103b)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블록(110)은,
    기준하프블록(110B)과, 상기 기준하프블록(110B)의 2배 길이를 가지는 기준통블록(110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록(130)은,
    상단하프블록(130B)과, 상기 상단하프블록(130B)의 2배 길이를 가지는 상단통블록(130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단블록(140)은,
    상면에 종단하프돌기(101b)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통홈(103a)이 구비된 개구하부단블록(140A)과,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 종단하프홈(103b)이 구비된 개구상부단블록(14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상부면블록(150)은,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과, 상기 개구상부면하프블록(150B)의 2배 길이를 가지는 개구상부면통블록(150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각 블록(100)은 그 내부에 발포 합성수지 또는 유리섬유(106)가 충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실내 바닥면(F)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바닥밑판(2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밑판(200)은,
    상면에 종단통돌기(101a)가 구비되고, 하면에는 접착재 충진홈(201)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천장면(S)에 설치되어 가벽을 고정시키는 기둥유닛(3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유닛(300)은,
    상기 천장면(S)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체(310)와,
    상기 상부고정체(310)와 결합되는 하부고정체(320) 및,
    상기 하부고정체(320)와 결합되는 마감기둥(330)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체(310)는, 천장면(S)에 접하여 고정되는 고정판(311)과, 상기 고정판(311)의 하면에 일체로 고정된 상부결합기둥(3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고정체(320)는, 상광하협의 깔대기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단면이 상부고정체(310)의 고정판(311) 단면과 일치하거나 더 크게 구성되어 상기 고정판(3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주는 마감덮개(321)와, 상부결합기둥(313)과 마감기둥(330)을 결합시키는 하부결합기둥(3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덮개(321)는 하부결합기둥(323)의 외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기둥(323)과 마감기둥(330)의 결합은 이들의 전체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KR1020220126420A 2022-10-04 2022-10-04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KR102570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420A KR102570317B1 (ko) 2022-10-04 2022-10-04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PCT/KR2023/014824 WO2024076082A1 (ko) 2022-10-04 2023-09-26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420A KR102570317B1 (ko) 2022-10-04 2022-10-04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317B1 true KR102570317B1 (ko) 2023-08-24

Family

ID=87841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420A KR102570317B1 (ko) 2022-10-04 2022-10-04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0317B1 (ko)
WO (1) WO20240760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82A1 (ko) * 2022-10-04 2024-04-11 장유준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5Y1 (ko) 2004-12-21 2005-11-02 이원식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20100092099A (ko) * 2009-02-12 2010-08-20 고한영 파 티클 블록
KR200467656Y1 (ko) * 2012-11-13 2013-07-09 (주)그린코리아 조립식 단열 강화 블록
KR101879291B1 (ko) * 2017-12-08 2018-07-18 동인구조기술주식회사 조적벽 전도방지용 보강 모듈
KR102266318B1 (ko) * 2020-11-04 2021-06-18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접착형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4303B1 (de) * 2013-05-06 2015-06-15 Resco Consulting Gmbh Dammstein, Hochwasserdamm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KR102570317B1 (ko) * 2022-10-04 2023-08-24 장유준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5Y1 (ko) 2004-12-21 2005-11-02 이원식 건축용 조립식 벽돌 세트
KR20100092099A (ko) * 2009-02-12 2010-08-20 고한영 파 티클 블록
KR200467656Y1 (ko) * 2012-11-13 2013-07-09 (주)그린코리아 조립식 단열 강화 블록
KR101879291B1 (ko) * 2017-12-08 2018-07-18 동인구조기술주식회사 조적벽 전도방지용 보강 모듈
KR102266318B1 (ko) * 2020-11-04 2021-06-18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접착형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082A1 (ko) * 2022-10-04 2024-04-11 장유준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6082A1 (ko)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7795B2 (en) Construction panel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same
KR101529009B1 (ko) 착탈식 벽체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570317B1 (ko)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JPH11131634A (ja) 熱可塑性樹脂組立ブロック
JPH07292824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CA2666284C (en) Caisson ceiling system
KR101826888B1 (ko)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지지바 및 이를 구비한 건물구조체
US3538660A (en) Prefabricated wall assembly for partitions and the like
KR20160063631A (ko) 벽체의 프레임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EP1132540A1 (en) A method of installing a set of ceiling panels
KR100659726B1 (ko) 공동주택의 조립식 내부 벽체 구조
KR100363524B1 (ko) 건축용외장패널
KR20180072267A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100381770B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101563551B1 (ko) 건축용 판상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25416B1 (ko) 초단축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가변형 모듈 판넬
KR200225503Y1 (ko) 벽체용 조립식 프레임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KR20030067288A (ko)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벽돌판넬
KR200289684Y1 (ko) 욕실용 천장패널
JP7217128B2 (ja) 空間構成用構造体
KR100462148B1 (ko) 천장틀
JP2001262745A (ja) 軽量間仕切り構造
KR940003897Y1 (ko) 장식용 벽돌
KR20030082662A (ko) 주택용 벽과 인테리어벽체 모양을 수시로 바꿀 수 있는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