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3897Y1 - 장식용 벽돌 - Google Patents

장식용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3897Y1
KR940003897Y1 KR92001263U KR920001263U KR940003897Y1 KR 940003897 Y1 KR940003897 Y1 KR 940003897Y1 KR 92001263 U KR92001263 U KR 92001263U KR 920001263 U KR920001263 U KR 920001263U KR 940003897 Y1 KR940003897 Y1 KR 9400038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panel portion
decorative
plat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012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270U (ko
Inventor
김성호
김성수
Original Assignee
정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수 filed Critical 정한수
Priority to KR92001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3897Y1/ko
Publication of KR9300182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2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38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8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E04F13/08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the visible surface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E04F13/1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tiled surface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식용 벽돌
제1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일부 예시한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고정판에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일부 확대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고정판들이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일부를 예시한 배면도.
제7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벽돌을 일예로 나타낸 배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넬부 11 : 판체
14 : 조립구멍 20 : 벽돌장식부
21 : 벽돌부재 24,24' : 돌기
30 : 협지부 31 : 지지편
33 : 걸림돌기 40 : 위치결정수단
41 : 연장판 43 : 조립봉
본 고안은 주로 장식용으로 벽돌의 모형과 같이 설치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식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현재 건축되는 건물들은 고전미나, 자연미를 위하여 그 외관과 내부를 단위크기의 벽돌로 쌓는 방법으로 치장하는 경우가 많다. 상기 벽돌은 기초된 벽체의 외부와 내부로 별도로 적재하여 몰타르 등에 의해 단위크기의 모양들이 양각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게 된다. 따라서, 몰타르와는 이색(異色)으로 표현되는 장신미를 갖게 하고, 이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하여, 몰타르 부위에 벽돌과는 다른 색상으로 돋보이게 하는 재료로 덧붙이거나, 페인트작업 등을 별도로 수행하여 벽돌의 형상과 모양이 아름답게 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처리된 그 표면은 보는 이로 하여금 자연적인 장식효과를 느끼도록 하므로서, 고전적인 건축미를 부가하게 된다.
최근에는 각종 서비스업종과 요식업 등에서는 실내작식용, 즉 인테리어의 장식기능을 위해, 칸막이와 내부벽면을 벽돌로 적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는 비교적 고가인 벽돌을 다량 구입하고, 이를 일일이 몰타르 작업에 의해 적재토록 하므로서, 많은 인력의 낭비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폭과 두께가 큰 벽돌들을 쌓는 관계로 내부공간이 줄어 그 활동범위가 축소되어 전체적인 공간활용이 비효율적으로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감안하여 본인이 선 출원(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91-15147호)한 것과 같이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경량화된 장식용 벽돌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이미 제안한 바 있다.
상기한 본인의 선 출원 고안에 의하면, 조립구멍들이 전면에 다수개 일정간격 뚫어지는 판넬부와, 결착수단이 형성된 벽돌부재들이 상기 판넬부에 조립설치되는 벽돌장식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선 출원 고안은 비교적 가볍고, 조립이 용이한 상태로 장식을 할 수 있도록 유용한 구조를 갖게 되었으나, 단위 크기로 생산되는 판넬부를 반복하여 설치위치에 고정시키는 경우, 동일한 위치로 정확히 부착하는 데 숙련과 노력이 요구되어 비교적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토록 함과 동시에, 상기 판넬부에 부착된 벽돌부재가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고의로 약간의 힘을 가할 경우 판넬로부터 벽돌부재가 분리되어 분실토록 하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경량의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마치 벽돌과 같은 장식미를 갖는 벽돌판넬을 보다 간단하고 견고히 부착하도록 된 장식용 벽돌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벽돌부재들을 부착토록 벽면에 설치되는 판넬들을 간단하고 신속히 동일위치로 연속하여 설치토록 된 장식용 벽돌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일정두께로 펼쳐진 판체(11)의 전면판(12)에 조립구멍(14)들이 일정간격 뚫어지고, 설치되는 벽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15)이 그 전면판(12) 내지는 배면판(13)에 형성된 판넬부(10)와, 상기 판넬부(10)에 뚫어진 조립구멍(14)들로 상하부와 양측면이 세워진 측벽(22)와 정면판(23)이 일체로 꺽여지는 형상을 갖는 벽돌부재(21)들을 위치시켜, 상기 벽돌부재(21)들의 배면으로 형성된 결착수단(25)에 의해 상기 벽돌부재(21)와 판넬부(10)를 결착시키도록 된 벽돌장식부(20)와, 상기 벽돌부재(21)의 설치위치에서 상기 판넬부(10)로부터 그 해제를 방지토록 된 협지부(30)에 의해 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크기의 판넬부(10)가 다음으로 이어지는 다른 판넬부(10)의 연결 위치로 위치결정수단(4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넬부(10)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적 얇은 일정 두께로 펼쳐지며, 그 전면판(12)으로 뚫어진 조립구멍(14)들의 위치로 상기 벽돌부재(21)를 조립하여, 마치 통상의 건축에 의해 제작된 내화벽돌 등의 몰타르 작업의 느낌을 갖도록 하는 구조부이다.
상기 판넬부(10)는 합성수지재로 위에서 밝힌 바 있듯이 몰타르의 느낌을 주기 위한 색상으로 제작하며, 그 전면판(12)으로는 다수개의 조립구멍(14)들을 일정간격 뚫는다. 상기 조립구멍(14)들을 벽돌부재(21)가 부착되는 위치를 감안하여 일정간격 뚫어지게 한다. 상기 판넬부(10)는 설치되는 전체면적으로 크게 제작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단위크기로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좌, 우측면과 상, 하로 연접되게 부착하여, 설치부의 크기와 면적과 무관하게 생산된 단위크기의 상기 판넬부(10)를 부착한 후, 이의 끝부분만을 설치위치에 따라 절단하는 방법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부위에 전체적으로 우선 판체(11)를 설치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대략 가로로는 2개의 벽돌부재(21)가 조립되게 하고, 세로로는 6개의 벽돌부재(21)가 조립되는 단위크기로, 한개의 판체(11)에 12개의 벽돌부재(21)가 조립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조립되는 숫자를 더 연장하거나, 축소하여도 무방하나, 제작에 필요한 금형의 크기와 사출기의 용량 등을 감안하여 적당한 숫자의 벽돌부재(21)가 조립될 수 있는 것을 선택하게 된다.
상기 판체(11)는 최소한 두면, 즉 도면과 같이 우측단과 하단에 상기 조립구멍(14)의 일측이 트여지게 된다. 그 이유는 동일간격으로 계속 반복되는 벽돌부재(21)들이 부착하기 위하여 단위크기의 판체(11)들이 연접하여 설치될 때, 다음의 판체(11)에 수직, 또는 수평살(15)(16)들이 이어질 경우 그 설치간격이 불규칙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판체(11)의 각 모서리중 2개는 수직살(15)과 수평살(16)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다음으로 이어지는 판체(11)의 수직, 수평살(15)(16)들로 하여금 일정한 간격을 유지토록 하여, 전체적으로 동일한 조립상태를 갖게 한다.
상기 판넬부(10)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기존의 벽체 외부로 부착하게 되므로 벽체에 상기 판체(11)들을 견고히 부착시키기 위한 고정수단(15)이 그 전면판(12), 내지는 배면판(13)에 형성된다. 제1도에서는 상기 판체(11)의 전면판(12)으로 수개의 구멍(18)들을 뚫어 이에 나사못(3)이나 작은나사등을 이용하여 부착토록 하는 고정수단(15)을 도시하였으며, 제5b도에서는 배면판(13)으로 양면테이프(4)를 설치하여 기존의 벽체에 부착토록 하는 고정수단(15)의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상기에서 양면테이프(4)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경우 그 수명과 열변형등을 감안하여 구멍(18)에 작은나사등을 함께 결착시켜 보다 견고히 부착토록 할 수도 있으며, 양면테이프(4)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제6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은 위치로 판넬부(10)의 배면에 일정간격 단위크기로 된 것을 다수개 설치토록 하는 것이 보다 경제적이다.
상기 판넬부(10)에 벽돌부재(21)를 부착하기 위해 뚫어지는 조립구멍(14)들은 본 고안에서는 2개가 일조로 하여 상기 벽돌부재(21)에 조립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통상의 벽돌들을 건축하는 경우 제2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각 열들이 지그재그식으로 엇갈리게 적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동일한 간격과 크기로 반복되는 상기 조립구멍(14)들 중 2개가 1개의 벽돌부재(21)와 조립토록 하므로서, 그 다음의 열에서는 이와 1개의 구멍위치가 엇갈린 상태로 조립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동일한 지그재그식 조립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이며,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서는 엇갈림이 없이 조립할 수도 있게 하여 어떠한 조립모양으로도 그 조립이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살(15)들은 동일한 간격으로 위치되므로 일정간격의 몰타르 작업부의 표시효과를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상기 벽돌장식부(20)는 단위크기로 일정하게 되는 벽돌부재(21)들을 상기 판넬부(20)에 부착하여 마치 벽돌과 같은 장식의 효과를 갖도록 하는 구조부이다. 상기 벽돌부재(21)들은 정상적인 벽돌 건축작업으로 몰타르작업 후, 외부로 노출되는 형상과 크기를 감안하여 측벽(22)들로 돌출되게 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정면판(23)은 벽돌의 정면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그 색상은 통상의 건축물로 사용되는 벽돌과 같은 느낌을 갖도록 주로 적색의 것으로 사출성형하며, 또는 대리석이나 화강암의 느낌을 갖도록 이와 동일한 색상으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제3도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벽돌부재(21)의 전면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갖는 거울장식판(29)을 부착하여 반사효과에 의한 장식면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벽돌부재(21)는 중량 등을 감안하여 속이 빈 형상을 갖으며, 상기 측벽(2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상기 판넬부(10)에 조립하기 위한 결착수단(25)을 설치한다.
상기 결착수단(25)으로는 본 고안에서 제1도와 3도로 보는 바와 같이 돌기(24)가 상기 측벽(22)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양측으로 각각 돌출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판넬부(10)에 결착토록 한다. 이러한 돌기(24)들에 의한 결착수단(25)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판체(11)에도 이를 걸려지게 하는 고정공(17)들이 상기 조립구멍(14)들의 하부로 뚫려진다. 상기 고정공(17)들은 벽돌부재(21)가 처음 조립되는 위치에 뚫어져, 상부의 돌기(24)가 판넬부(20)의 내부로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하부의 돌기(24´)가 상기 고정공(17)을 통해 조립토록 한 다음 벽돌부재(21)를 이동시키게 하는 방법으로 판넬부(10)와 벽돌장식부(20)의 조립이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조립작업들을 반복 수행하여 각각의 설치위치에 벽돌부재(21)들이 끼워지게 한다. 따라서, 벽돌부재(21)의 상측으로 형성된 돌기(24)는 상기 고정공(17)들에 끼워지는 것이며, 벽돌부재(21)의 하부로 형성된 돌기(24´)들은 조립구멍(14)의 하부면에 걸려지게 하므로서, 상기 벽돌부재(21)들의 상, 하부를 각각 걸려지게 부착상태를 지지하게 되는 방법으로 그 결착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방법들을 반복하여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벽돌부재(21)들을 각각 부착시켜 전체적으로 벽돌의 장식효과를 갖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결착수단(25)으로 벽돌부재(21)의 배면과 판체(11)의 접촉부를 접착제나,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경우도 무방하나, 수명과 조립작업의 효율성, 그리고 다시 분해하여 재조립하는 경우 등을 감안하여 상기의 돌기(24)(24´)들에 의한 조립방법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돌기(24)(24´)들에 의한 조립시에 상기 판체(11)의 배면판(13)으로 돌기(24)들에 의해 돌출되는 부위가 형성되어 벽체에 상기 판체(11)를 설치하는 경우,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되지 않는 경우를 방지하고, 판체(11)의 강도를 보강하는 목적으로 지지살(19)들을 상기 수평살(16)과 수직살(15)들의 배면 중앙으로 돌출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협지부(30)는 벽돌부재(21)가 판넬부(10)와 조립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토록 지지하는 구조부이다.
즉, 상기 결착수단(25)으로 조립되는 벽돌부재(21)들은 판넬부(10)로부터 전면측으로 분리되는 것은 돌기(24)(24´)들에 의해 방지토록 하였으나, 사용중 부주의로 진동과 충격이 가해지는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하여 상기 벽돌부재(21)들이 흔들리는 경우와, 심할 경우 좌우로 유동되며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협지수단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6도의 확대도에서 일 실시예로 보는 바와 같이 판체(11)의 배면으로는 일정간격 걸림돌기(33)들을 일체로 돌출되게 하고, 벽돌부재(21)들의 상부(또는 하부도 무방함)로 연장된 지지편(31)에 홈(32)을 파여지게 하여 상기 고정공(17)으로 하부의 돌기(24´)가 끼워진 상태에서 벽돌부재(21)를 위치이동하며 조립할 때, 상기 걸림돌기(33)가 지지편(31)의 홈(32)에 끼워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걸려지게 하므로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여도 그 유동을 방지케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33)와 지지편(31)은 합성수지재로 되는 판넬부(10)와 벽돌부재(21)에 일체로 성형되고, 비교적 얇은 두께로 성형되는 지지편(31)이 약간의 탄력을 갖게 되므로 약간의 외력을 가해지도록 힘을 가하면 그 걸림상태가 결착, 또는 해제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33) 내지는 지지편(31)에 파여지는 홈(32)의 위치는 제6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벽돌부재(21)가 조립된 정상적인 상태에서 결착되도록 그 설치위치를 감안하여 제작하게 되는 것이고, 그 갯수는 복수개로 설치하면 더욱 고정상태를 견고히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벽돌부재(21)의 조립상태를 견고히 유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제5b도에서 보는 것과 같이 벽돌부재(21)의 하부면에 미소돌기(28)를 돌출시켜, 벽돌부재(21)가 조립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미소돌기(28)가 조립구멍(42)에 걸려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기 협지부(30)에 의한 결착상태를 해재하는 경우, 벽돌부재(21)를 단지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으로는 작동되지 않토록 하여, 유아들이나 기타 본의 아닌 조작으로 그 설치상태를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토록 하였다.
이 경우 필요에 의해 벽돌부재(21)를 분해시키고자 할 때는 상기 미소돌기(28)가 형성된 벽돌부재(21)의 일측단을 약간 당겨지게 하여 제5b도에서 가상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조립구멍(42)으로부터 미소돌기(28)의 걸림위치를 어긋나게 한 후, 상기한 협지부(30) 즉, 지지편(31)의 홈(32)이 걸림돌기(33)에 걸려진 상태를 해제토록 위치이동시키면, 그 분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해제방법을 인지하는 작업자 이외에는 분해가 불가능하도록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시켜, 고의나 부주의로 파손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서 상기 판넬부(10)의 설치작업시 작은나사(3)나 양면 테이프(4)를 이용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벽면에 부착할 때, 단위 크기로 제작된 판넬부(10)를 동일한 거리로 연속 반복되게 설치되게 함이 중요하게 된다.
그 이유는 제작성등을 감안하여 단위크기로 제작된 판넬부(10)의 상하, 좌우로 다른 판넬부(10)를 설치할 때, 그 위치가 어긋날 경우 이에 부착되는 벽돌부재(21)들이 정상적으로 조립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조립된다 하더라도 전체적으로 일체감이 결여되어 장식효과를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판넬부(10)의 이음부에 위치결정수단(40)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위치결정수단(40)은 판넬부(10)에 형성되는 조립구멍(42)들과 수직살, 또는 수평살(16)들의 조립 위치를 일체감 있도록 한 상태를 감안하여 수직살(15)과 수평살(16)의 트여진 끝단에는 배면측으로 절곡된 연장판(41)에 구멍(42)을 뚫어지게 하고, 이에 상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다음의 판넬부(10)에는 조립봉(43)을 돌출시켜 상기 구멍(42)에 조립봉(43)이 끼워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폭과 간격으로 모든 판넬부(10)가 전체적으로 일체감 있게 설치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위치결정수단(40)을 위해 연장되는 연장판(41)과 조립봉(43)은 도면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판넬부(10)의 외측 4면들 중에서 2방향은 연장판(41)에 구멍(42)을 뚫어지게 형성하고, 나머지 2면에는 조립봉(43)이 돌출되게 하는 바, 각면에 2개의 연장판(41) 내지는 조립봉(43)이 성형되게 하는 것이 견고성과 작업성을 감안하여 바람직하게 된다.
상기 연장판(41)은 판체(11)의 두께를 감안하여 배면측으로 절곡시켜 조립된 상태에서는 모든 판넬부(10)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판넬부(10)들은 상하, 좌우로 어떠한 위치에도 동일한 배열로 고정설치되는 것이다.
제7도는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벽돌부재(21)들의 배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a도는 통상적인 벽돌을 감안한 크기와 형상으로 주로 판넬부(10)의 중간에 설치되며, b도에 도시한 벽돌부재(21)는 주로 판넬부(10)의 양단에 필요에 의해 상기 정상적인 벽돌부재(21)를 엇갈리게 설치하기 위하여 형성된 약 1/2크기의 공간으로 배치토록 하는 데 설치되는 데, 이때도 돌기(24)(24´)들과 협지부(30)가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간단히 조립하여 장식을 필요로 하는 설치위치에 동일크기로 된 판넬들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자연적인 벽돌의 장식효과를 갖게 하되, 그 판넬부의 설치 작업시간을 매우 단축함과 동시, 전체가 일률적으로 배치토록 하여 제품의 품위와 장식의 효과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부주의로 사용중 벽돌 부재가 분리되는 등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토록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9)

  1. 일정두께로 펼쳐진 판체(11)의 전면판(12)에 조립구멍(14)들이 일정간격 뚫어지고, 설치되는 벽체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수단(15)이 그 전면판(12) 내지는 배면판(13)에 형성된 판넬부(10)와, 상기 판넬부(10)에 뚫어진 조립구멍(14)들로 상하부와 양측면이 세워진 측벽(22)과 정면판(23)이 일체로 꺽여지는 형상을 갖는 벽돌부재(21)들을 위치시켜, 상기 벽돌부재(21)들의 배면으로 형성된 결착수단(25)에 의해 상기 벽돌부재(21)와 판넬부(10)를 결착시키도록 된 벽돌장식부(20)와, 상기 벽돌부재(21)의 설치위치에서 상기 판넬부(10)로부터 그 해제를 방지토록 된 협지부(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벽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크기의 판넬부(10)가 다음으로 이어지는 다른 판넬부(10)의 연결 위치로 위치 결정수단(4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30)는 판체(11)의 배면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3)와 상기 벽돌부재(21)에 일체로 연장된 지지편(31)의 홈(32)으로 결착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벽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40)은 판넬부(10)의 외주면들 중에서 1면에는 연장판(41)을 배면으로 절곡시켜 이에 뚫어진 구멍(42)과, 이에 상응하는 위치로 상기 판넬부(10)의 다른 2면에 형성된 조립봉(43)의 결합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벽돌.
  5.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10)의 고정수단(15)은 전면판(12)에 뚫어지는 구멍(18)으로 나사못(3)이나 작은나사를 통과케 하여 벽체에 고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벽돌.
  6.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넬부(10)의 고정수단(15)은 판체(11)의 배면판(13)에 양면테이프(4)를 부착하여서 된 것을 포함하는 장식용 벽돌.
  7.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장식부(20)의 벽돌부재(21)에 형성되는 결착수단(25)은 벽돌부재(21)의 상부와 하부측벽(22)에 일체로 돌출된 돌기(24)로 상기 판체(11)에 뚫어진 고정공(17)으로 끼워진 후, 일측으로 이동되며 걸림상태를 유지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벽돌.
  8.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체(11)의 배면판(13)에는 수평살(16)과 수직살(15)의 중앙으로 일정크기의 지지살(19)들을 일체로 돌출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벽돌.
  9.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부재(21)의 일측면 하단에는 상기 판넬부(10)의 조립구멍(42)에 걸려지는 위치로 미소돌기(28)를 일체로 돌출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용 벽돌.
KR92001263U 1992-01-28 1992-01-28 장식용 벽돌 KR9400038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263U KR940003897Y1 (ko) 1992-01-28 1992-01-28 장식용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01263U KR940003897Y1 (ko) 1992-01-28 1992-01-28 장식용 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270U KR930018270U (ko) 1993-08-21
KR940003897Y1 true KR940003897Y1 (ko) 1994-06-15

Family

ID=19328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01263U KR940003897Y1 (ko) 1992-01-28 1992-01-28 장식용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38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429B1 (ko) * 2021-06-01 2022-06-14 안기풍 인테리어용 장식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8429B1 (ko) * 2021-06-01 2022-06-14 안기풍 인테리어용 장식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270U (ko) 199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1477A (en) Partition panel system
US5713085A (en) Patio pond
WO2006075827A1 (en) A prefab block for use much
KR920004733Y1 (ko) 장식대용 조립식 블럭
US6520831B1 (en) Modular doll house
KR100544604B1 (ko) 장식판넬 고정장치
EP0320077A1 (en) Translucent end block
KR940003897Y1 (ko) 장식용 벽돌
US4984403A (en) Modular building block
KR940000444Y1 (ko) 장식용 벽돌
JP3070863U (ja) 間仕切りユニット
US5165209A (en) Transition element
JPH07229220A (ja) 間仕切り装置
KR100318048B1 (ko) 조립식칸막이
US20020139058A1 (en) Small-room structure for indoor installation
JP3227864U (ja) 組み立て式棚
RU205392U1 (ru) Интерьерное мозаичное зеркальное панно (варианты)
JP2002309786A (ja) 組立小間及びそのための部材
JPS623450Y2 (ko)
KR200250554Y1 (ko) 조립식 천정판
KR970004532Y1 (ko) 실내장식 기능과 선반기능을 갖는 조립식 벽판넬 시스템
KR20000072912A (ko) 모형 제조방법 및 그 모형
KR930008554Y1 (ko) 조립식 천정반자
JPH1136490A (ja) 建築用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間仕切壁構造並びに壁部構築方法
JPS633972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