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0554Y1 - 조립식 천정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천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0554Y1
KR200250554Y1 KR2020010020145U KR20010020145U KR200250554Y1 KR 200250554 Y1 KR200250554 Y1 KR 200250554Y1 KR 2020010020145 U KR2020010020145 U KR 2020010020145U KR 20010020145 U KR20010020145 U KR 20010020145U KR 200250554 Y1 KR200250554 Y1 KR 200250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ceiling plate
ceiling
plate
wall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1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수
Original Assignee
임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진수 filed Critical 임진수
Priority to KR20200100201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0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0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0554Y1/ko

Links

Landscapes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각판상의 장식판부와, 상기 장식판부의 네 변을 따라 형성되는 측벽부를 갖는 조립식 천정판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중 상호 연접하는 양 측벽부의 판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가 외향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양 측벽부에 각각 대향하는 타측 양 측벽부의 상단부는 상기 플렌지부의 하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측 양 측벽부에는 각각 상기 장공의 크기에 대응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장공의 크기에 비해 작은 처짐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조립 후 각 천정판 간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천정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천정판{CEILING PLATE}
본 고안은, 조립식 천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마무리 시공과정에서 행해지는 천정마감공사는 석고보드 등의 천정판을 작업자가 천정에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천정판의 결합은 천정면적에 대응하는 많은 량의 천정판을 작업자가 일일이 시공하여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모된다. 이에 의해, 공정 및 인건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석고보드 등의 천정판 같은 경우에는 각 천정판의 네변에 작업자가 일일이 스크류를 체결해야 하므로 작업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2-20278호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식으로 시공할 수 있는 천정판을 개시하고 있다. 이 천정판(101)은 사각판상의 장식면(120)과, 장식면(120)의 네 변을 따라 형성된 제1 내지 제4측벽(111,112,113,114)을 가지고 있다.
제1측벽(111)에는 끼움편(131)이 형성되어 있고, 제1측벽(111)에 인접한 제2측벽(112) 및 제1측벽(111)과 대향하는 제3측벽(113)에는 끼움편(131)이 삽입되는 조립구멍(1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및 제3측벽(112,113)의 상단부에는 체결공(145)을 갖는 플랜지(141,142)가 외향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복수개의 천정판(101) 중 하나의 천정판(101)을 먼저 천정에 부착시킨 다음, 이 천정판(1)의 제3측벽(113)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구멍(123)에 다른 천정판의 제1측벽(111)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편(131)이 삽입되도록 결합하고, 이 천정판(1)의 제2측벽(112)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141,142)가 또 다른 천정판의 제4측벽(114) 상단부에 얹혀지도록 하여 복수의 천정판을 조립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천정판에 있어서는, 제4측벽이 다른 천정판의 제2측벽과 단순히 접면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고, 제4측벽의 상단부에 다른 천정판의 제2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가 얹혀지기 때문에, 복수의 천정판을 조립시공하고 난 후에는 천정판의 무게에 의해 제4측벽 영역에서 처짐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각 천정판 간의 단차가 발생하여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 후 각 천정판 간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천정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천정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조립식 천정판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립식 천정판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종래 천정판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13,14 : 측벽부 20 : 장식판부
21 : 장공 23 : 장공
31 : 결합돌기 33 : 처짐방지돌기
41 : 제1플렌지부 42 : 제2플렌지부
45 : 체결공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사각판상의 장식판부와, 상기 장식판부의 네 변을 따라 형성되는 측벽부를 갖는 조립식 천정판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중 상호 연접하는 양 측벽부의 판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가 외향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양 측벽부에 각각 대향하는 타측 양 측벽부의 상단부는 상기 플렌지부의 하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측 양 측벽부에는 각각 상기 장공의 크기에 대응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장공의 크기에 비해 작은 처짐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정판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천정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조립식 천정판 측단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조립식 천정판(1)은, 사각판상의 장식판부(20)와, 장식판부(20)의 네 변에 일체로 형성된 측벽부(11,12,13,14)(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네 측벽부를 제1, 제2, 제3, 제4측벽부로 칭한다)를 갖는다.
장식판부(20)의 하부면에는 도 2를 기준으로 판면이 천정측으로 상향 융기된(도 1을 기준으로 할 때는 하향 함몰됨) 복수의 장식패턴(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식패턴(25)은 도 1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다각형상 및 다양한 문양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측벽부(11,12,13,14)는 장식판부(20)의 네 변을 따라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들 측벽부(11,12,13,14) 중 모서리가 상호 연접하는 제1측벽부(11) 및 제2측벽부(12)의 판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장공(21,23)이 형성되어 있다.
제1측벽부(11)에 대향하는 제3측벽부(13)에는 장공(21)의 크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측벽부(12)에 대향하는 제4측벽부(14)에는 장공(23)에 삽입되는 복수의 처짐방지돌기(3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처짐방지돌기(33)는 그 크기가 장공(23)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돌기(31)의 폭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천정판(1)을 시공할 때, 제2천정판(1b)의 처짐방지돌기(33b)와 제3천정판(1c)의 결합돌기(31c)에 제4천정판(1d)의 장공(21a,21b)이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및 제2측벽부(11,12)의 상단부에는 각각 천정(5)에 접면하는 제1 및 제2플렌지부(41,42)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플렌지부(41,42)는 제1 및 제2측벽부(11,12)의 상단부로부터 천정(5)면과 평행하게 외향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플렌지부(41,4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공(4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3 및 제4측벽부(13,14)의 상단부는 제1 및 제2플렌지부(41,42)의 하부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는 높이를 갖는다. 즉, 제1 및 제2플렌지부(41,42)는 제3 및 제4측벽부(13,14)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한다. 이에 의해, 각 플렌지부(41,42)가 천정(5)면에 접면하면 제3측벽부(13) 및 제4측벽부(14)의 상단부와 천정(5)면 사이에 플렌지부(41,42)의 두께만큼 틈이 형성된다.(도 2의 'A')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천정판(1)을 시공할 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5)면의 면적에 대응하는 복수의 천정판(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고안에 따른 천정판을 4개(제1 내지 제4천정판(1a,1b,1c,1d))로 시공하는 것으로 설명한다)을 마련한다.
그리고, 제1천정판(1a)을 제1 및 제2플렌지부(41a,42a)가 적절한 위치의 천정(5)면에 접면하도록 배치시킨다. 그런 다음, 제1 및 제2플렌지부(41a,42a)의 체결공(45a)을 통해 천정(5)면으로 스크류(71)를 체결함으로써, 제1천정판(1a)을 고정시킨다. 이때, 제1천정판(1a)의 제3측벽부(13a) 및 제4측벽부(14a)의 상단부와 천정(5)면 사이에는 플렌지부(41a,42a)의 두께만큼 틈(도 2의 표시부 'A')이 형성된다.
제1천정판(1a)의 고정이 완료된 다음, 제2천정판(1b)을 조립 시공할 때는,제2천정판(1b)의 제1측벽부(11b)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21b)에 제1천정판(1a)의 제3측벽부(13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기(31a)가 삽입되도록 제2천정판(1b)을 제1천정판(1a)에 조립한다. 그런 다음, 제2천정판(1b)의 제2플렌지(42b)에 형성된 체결공(45)을 통해 천정(5)면으로 스크류(71)를 체결함으로써, 제2천정판(1b)을 고정시킨다. 이때, 제2천정판(1b)의 제3측벽부(13b) 및 제4측벽부(14b)의 상단부와 천정(5)면 사이에는 제1천정판(1a)과 마찬가지로 플렌지부의 두께만큼 틈이 형성된다.
제2천정판(1b)의 고정이 완료된 다음, 제3천정판(1c)을 조립시공할 때는, 제3천정판(1c)의 제2측벽부(12c)에 형성되어 있는 제2플렌지부(42c)가 제1천정판(1a)의 제4측벽부(14a) 상단부와 천정(5)면 사이에 형성된 틈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제1천정판(1a)의 제4측벽부(14a)에 형성되어 있는 처짐방지돌기(33a)는 제3천정판(1c)의 제2측벽부(12c)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공(23c)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1천정판(1a)의 제4측벽부(14a)와 제3천정판(1c)의 제2측벽부(12c) 간에 단차 및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런 다음, 제3천정판(1c)의 제1측벽부(11c)에 형성된 제1플렌지부(41c)의 체결공(45c)을 통해 천정(5)면으로 스크류(71)를 체결함으로써, 제3천정판(1c)을 고정시킨다. 이때, 제3천정판(1c)의 제3측벽부(13c) 및 제4측벽부(14c)의 상단부와 천정(5)면 사이에는 제1 및 제2천정판(1a,1b)과 마찬가지로 플렌지부(41c,42c)의 두께만큼 틈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3천정판(1a,1b,1c)의 조립시공이 완료된 다음, 제4천정판(1d)을조립시공할 때는, 제4천정판(1d)의 제1측벽부(11d)와 제2측벽부(12d)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플렌지부(41d,42d)를 각각 제3천정판(1c)의 제3측벽부(13c)의 상단부와 천정(5)면 사이에 형성된 틈과, 제2천정판(1b)의 제4측벽부(14b)의 상단부와 천정(5)면 사이에 형성된 틈으로 끼워맞춘다.
이때, 제4천정판(1d)의 제2측벽부(12d)에 형성된 장공(23d)이 먼저 제2천정판(1b)의 처짐방지돌기(33b)에 끼워지고 난 다음 제4천정판(1d)을 제3천정판(1c)쪽으로 밀어서 제4천정판(1d)의 제1측벽부(11d)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21d)이 제3천정판(1c)의 결합돌기(31c)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제2천정판(1b)의 제4측벽부(14b)와 제4천정판(1d)의 제2측벽부(12d) 간에 단차 및 처짐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제4천정판(1d)은 스크류(71)를 이용하지 않고도 천정(5)에 고정된 제2천정판(1b)과 제3천정판(1c)에 지지된다.
제1내지 제4천정판(1a,1b,1c,1d)의 시공이 완료되면 이들 결합된 상태의 천정판(1a,1b,1c,1d)의 테두리영역을 몰딩처리하여 시공을 마감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천정판은, 전술한 시공방법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천정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제2,제3천정판의 플렌지부만을 천정에 스크류체결하면, 천정의 나머지 영역에 위치하는 천정판들을 상호 끼워맞춤시켜서 천정의 마감처리를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조립시공을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각 천정판의 제4측벽부에 형성된 처짐방지돌기가 상대 천청판의 제2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공에 삽입되므로 각 천정판 간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이에 의해, 천정판 시공 후 처짐이 발생하지 않아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립 후 각 천정판 간의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천정판이 제공된다.

Claims (1)

  1. 사각판상의 장식판부와, 상기 장식판부의 네 변을 따라 형성되는 측벽부를 갖는 조립식 천정판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 중 상호 연접하는 양 측벽부의 판면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 측벽부의 상단부에는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플렌지부가 외향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양 측벽부에 각각 대향하는 타측 양 측벽부의 상단부는 상기 플렌지부의 하부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측 양 측벽부에는 각각 상기 장공의 크기에 대응하는 결합돌기와, 상기 장공의 크기에 비해 작은 처짐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천정판.
KR2020010020145U 2001-07-04 2001-07-04 조립식 천정판 KR200250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45U KR200250554Y1 (ko) 2001-07-04 2001-07-04 조립식 천정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145U KR200250554Y1 (ko) 2001-07-04 2001-07-04 조립식 천정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0554Y1 true KR200250554Y1 (ko) 2001-11-16

Family

ID=7306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145U KR200250554Y1 (ko) 2001-07-04 2001-07-04 조립식 천정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05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07359A1 (en) Panels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rough a locking element
US7155865B2 (en)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JPH0622746Y2 (ja) 壁板で覆われた壁面角部の覆板
KR200250554Y1 (ko) 조립식 천정판
KR100811773B1 (ko) 칸막이 코너 연결 구조
KR200236235Y1 (ko) 천정판
JP4107887B2 (ja) 手摺隅部の構造
KR101056522B1 (ko) 장식용 조립식상자
JPS592259Y2 (ja) ケンチクヨウガイソウバンノ コ−ナヒフクグ
JPH0642075A (ja) 押出セメント板の横積み構造
KR200188580Y1 (ko) 패널고정브래킷
KR940003897Y1 (ko) 장식용 벽돌
JPH0246561Y2 (ko)
KR200155279Y1 (ko) 2중 바닥판의 조이너 조립구조
KR960005791Y1 (ko) 벽판넬의 코너부 조립구조
KR930008554Y1 (ko) 조립식 천정반자
KR200279948Y1 (ko) 건축용 칸막이 패널
KR200174975Y1 (ko) 요철면을 가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거푸집
KR200351249Y1 (ko) 지지목과 천장판넬의 결합구조
JPH0522625Y2 (ko)
KR200200439Y1 (ko) 우물천장 조립 보드
KR0123864Y1 (ko) 건축용패널 고정구조립체
KR100665226B1 (ko) 사방 조립형 패널
KR970000256Y1 (ko) 조립식 모서리 장식장
KR101311044B1 (ko) 인테리어 아트홀과 등박스 모듈 및 인테리어 아트홀과 등박스 모듈을 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