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8580Y1 - 패널고정브래킷 - Google Patents

패널고정브래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8580Y1
KR200188580Y1 KR2020000003233U KR20000003233U KR200188580Y1 KR 200188580 Y1 KR200188580 Y1 KR 200188580Y1 KR 2020000003233 U KR2020000003233 U KR 2020000003233U KR 20000003233 U KR20000003233 U KR 20000003233U KR 200188580 Y1 KR200188580 Y1 KR 2001885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racket
fixing bracket
fixing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32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용우
Original Assignee
천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용우 filed Critical 천용우
Priority to KR20200000032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85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85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85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08Three-dimensional corner connectors, the legs thereof being received within hollow, elongated frame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구의 외부 형상을 이루는 각 패널과, 상기 패널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패널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패널의 일 측 연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복수의 패널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패널을 상호 직각 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패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박스가구 등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작업공수 및 조립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박스가구 등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패널고정브래킷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패널고정브래킷{PANEL FOR FIXING BRACKET}
본 고안은, 패널과, 이 패널을 상호 연결 고정하여 박스가구 등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패널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규격화된 패널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박스가구 조립 및 분해시 그 작업이 용이토록 한 패널고정브래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 등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가구의 각 면을 규격화된 패널을 사용하여 외관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가구의 각면을 상호 조립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각면에 위치할 패널의 일정한 부위에 상호 나사공을 형성한 후 이에 나사 또는 별도의 고정금구 등을 사용하여 패널을 상호 조립함으로서 일정한 형상의 가구 등을 조립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박스가구의 조립방법은 나사 및 별도의 고정금구를 사용하여 상호 조립하는 관계로 상호 대향하여 연결될 패널에 나사를 삽입하는 작업이 간단하지 않을뿐더러, 필요에 따라 박스가구의 분해시 나사 또는 고정금구가 위치 및 삽입되어 있던 곳이 파손되거나 자국이 남아 패널의 외관을 저해하는 폐단이 있으며, 따라서 분해된 패널은 재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나사를 사용하여 조립 완성된 박스가구 등은 그 접촉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 개의 나사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는 관계로 일 측 및 사선방향으로부터 가해지는 중량을 감당하지 못하고 그 형상이 파손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패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견고하며, 특히 이에 따른 작업공수 및 시간을 줄임으로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패널고정브래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패널고정브래킷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고정브래킷을 사용하여 박스가구를 조립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Ⅲ-Ⅲ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패널 11 : 박스가구
20 : L형브래킷 23 : 제1패널수용부
23a : 제2패널수용부 30 : T형브래킷
31 : 제3패널수용부 33 : 제1패널수용부
33a : 제2패널수용부 40 : +형브래킷
41 : 제4패널수용부 50 : 걸림리브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가구의 외부 형상을 이루는 각 패널과, 상기 패널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패널고정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일 측 연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복수의 패널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패널을 상호 직각 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고정브래킷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수용부는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패널수용부가 형성된 L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패널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패널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는 제3패널수용부를 갖는 T형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패널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패널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는 제3패널수용부와, 상기 제3패널수용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제1 및 제2패널수용부와 상호 직각 되게 배치되는 제4패널수용부를 갖는 +형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 패널수용부에는 패널의 일 측 연부에 판면으로부터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각 자유단부로부터 두께방향을 따라 절곡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걸림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도면으로서 박스가구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을 상호 조립하는 패널고정브래킷에 대해 도시하고 있으며,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패널고정브래킷에 의한 박스가구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첨부 도면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패널고정브래킷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고정브래킷을 사용하여 박스가구를 조립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Ⅲ-Ⅲ선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패널고정브래킷은, 가구의 외부 형상 즉, 각면을 이루는 패널(10)들과, 상기 패널(10)들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L형브래킷(20)과, T형브래킷(30), 그리고 +형브래킷(40)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L형브래킷(20)과, T형브래킷(30), 그리고 +형브래킷(40)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길이로 압출 성형되며 따라서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각 브래킷은 알미늄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브래킷은 박스가구(11)의 양측 각 모서리와, 중앙의 상하 또는 양측 중앙과, 그리고 박스가구(11)의 정 중앙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위치한다. 여기서, 하기에서 설명될 패널(10) 즉, 박스가구(11)의 각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L형브래킷(20)은 패널(10)을 수용하는 패널수용부를 가지고 있는데, 이 패널수용부는 상하 직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패널수용부(23)(23a)로 구분시켜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박스가구(11)를 형성하는 외벽의 각 모서리에 위치하며 직각으로 배치되는 패널(10)을 각각 수용하여 외벽을 형성한다.
여기서 L형브래킷(20)을 박스가구(11)의 사방모서리에 위치시켜 이에 형성된 제 1 및 제2패널수용부(23)(23a)에 패널(10)을 사방으로 수용하면 하나의 박스가구(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일 측으로 연장되는 박스가구(11)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패널수용부(23)(23a)와, 제1 및 제2패널수용부(23)(23a) 중 어느 하나의 연장선상에는 패널수용부(33)(33a)와 제3패널수용부(31)를 갖는 T형브래킷(30)이 위치되며 일 측 또는 T형브래킷(30)의 위치 변동에 따라 상/하측으로 연장되는 패널(10)을 수용하게 된다.
또한,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패널수용부(23)(23a)와, 제1 및 제2패널수용부(23)(23a) 중 어느 하나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는 제3패널수용부(31)와, 제3패널수용부(31)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패널수용부(23)(23a)와 상호 직각 되게 배치되는 제4패널수용부(43)(43a)를 갖는 +형브래킷(40)과 이들 패널수용부에 수용된 각 패널(10)에 의해 상/하 좌/우 연장된 즉, 개구가 4개인 박스가구(11)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패널수용부(23)(23a)(33)(33a)(43)(43a)에는, 패널(10)의 일 측 연부에 판면으로부터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수용홈(15)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각 자유단부로부터 두께방향을 따라 절곡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걸림리브(50)를 형성하여 패널(10)의 유동을 방지하고 있으며, 여기서 걸림리브(50)는 대향하는 걸림리브(50)들과의 위치를 각기 달리함으로서 패널(10)의 걸림홈(15)이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지 않아 패널(10)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각 패널고정브래킷은, 박스가구(11) 등의 외관을 형성하는 각 패널(10)을 상호 수용할 수 있으므로 박스가구(11)의 개구가 하나인 형상과, 개구가 상/하 또는 좌/우로 형성되는 박스가구(11)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패널(10)의 일측 연부를 각 브래킷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패널수용부가 수용하고 있는 관계로 그 지지 및 접촉면이 면이 증가되고, 따라서 박스가구(11)가 견고하므로 박스가구(11)에 놓여진 물품의 중량에 관계없이 박스가구(11)의 형상이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패널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박스가구 등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따라서 작업공수 및 조립시간이 줄일 수 있으므로 박스가구 등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패널고정브래킷이 제공된다.

Claims (5)

  1. 가구의 외부 형상을 이루는 각 패널과, 상기 패널을 상호 연결 고정하는 패널 고정브래킷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일 측 연부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복수의 패널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패널을 상호 직각 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고정브래킷.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수용부는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패널수용부가 형성된 L형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고정브래킷.
  3. 제 2항에 있어서,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패널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패널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는 제3패널수용부를 갖는 T형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고정브래킷.
  4. 제 3항에 있어서,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한 상의 제1 및 제2패널수용부와;
    상기 제1 및 제2패널수용부 중 어느 하나의 연장선상에 형성되는 제3패널수용부와;
    상기 제3패널수용부의 연장선상에 상기 제1 및 제2패널수용부와 상호 직각 되게 배치되는 제4패널수용부를 갖는 +형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고정브래킷.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널수용부에는 패널의 일 측 연부에 판면으로부터 함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리브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각 자유단부로부터 두께방향을 따라 절곡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걸림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고정브래킷.
KR2020000003233U 2000-02-08 2000-02-08 패널고정브래킷 KR2001885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233U KR200188580Y1 (ko) 2000-02-08 2000-02-08 패널고정브래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3233U KR200188580Y1 (ko) 2000-02-08 2000-02-08 패널고정브래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8580Y1 true KR200188580Y1 (ko) 2000-07-15

Family

ID=1964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3233U KR200188580Y1 (ko) 2000-02-08 2000-02-08 패널고정브래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85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403A (ko) * 2003-11-25 2005-05-31 명광호 블록타입의 가구조립용 체결구
KR200470013Y1 (ko) * 2011-05-02 2013-11-25 이한형 조립식 책장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0403A (ko) * 2003-11-25 2005-05-31 명광호 블록타입의 가구조립용 체결구
KR200470013Y1 (ko) * 2011-05-02 2013-11-25 이한형 조립식 책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356B2 (en) Panel assembly and accessories
US3195698A (en) Partition structures
US5546718A (en) Partition wall
US4430837A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abutting structural members
US5996299A (en) Partition wall material
US7155865B2 (en) Prefabricated housing structure
US11248377B1 (en) Plastic panel
JPH0622431A (ja) ケース
KR200168537Y1 (ko) 파티션 연결구조
KR200188580Y1 (ko) 패널고정브래킷
KR200429011Y1 (ko) 디아이와이 책장
JP3946269B2 (ja) 成形材を固定するための台座
WO2004032680A1 (en) Box-assembling device
KR0157240B1 (ko) 조립식 패널의 코너 연결부위용 조립 브라켓
WO2000043604A1 (en) Assembly system and components therefor
US7380385B2 (en) Adjustable length decoration panel
EP0306111B1 (en) Angle joint
KR200236235Y1 (ko) 천정판
US11646556B2 (en) Raceway system
KR200250554Y1 (ko) 조립식 천정판
JPS5844726Y2 (ja) 建物用外壁パネルの出角部構造
KR930008554Y1 (ko) 조립식 천정반자
KR200233340Y1 (ko) 패널 고정장치
JP3044171B2 (ja) ゲート
KR200364345Y1 (ko) 조립식 판넬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