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343Y1 - 파티션 고정구 - Google Patents

파티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343Y1
KR200446343Y1 KR2020070017099U KR20070017099U KR200446343Y1 KR 200446343 Y1 KR200446343 Y1 KR 200446343Y1 KR 2020070017099 U KR2020070017099 U KR 2020070017099U KR 20070017099 U KR20070017099 U KR 20070017099U KR 200446343 Y1 KR200446343 Y1 KR 2004463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bolt
frame
fixtur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7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896U (ko
Inventor
용 택 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연
Priority to KR2020070017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343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8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8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3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3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4Partitio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는,
착탈 가능한 패널(4)을 구비하는 파티션(1)과 파티션(1)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1)과 연결프레임(2)의 측면에 고정프레임(3)을 설치하여서 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 상에 하나 이상의 통공(5)을 형성하고, 고정프레임(3)의 내부면에는 돌출단부(6)를 형성하며, 상기 통공에는 파티션 고정구(10)를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되,
상기 파티션 고정구(10)는,
상하단 우측에 돌출편을 구비하는 볼트두부(13)와, 이의 우측에 고정되어 볼트부의 처짐을 완화시키는 볼트처짐방지편(17)을 구비하는 볼트부(11)와;
일측면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11)에 나사결합되고,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며, 두부에 체결구멍(15)을 구비하는 너트부(12)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과 파티션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파티션 고정구를 지극히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선하므로서 드라이버와 같은 조립공구 하나만 있으면 언제든지 이들의 분해조립이 가능하여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무용 공간을 편리하게 구획할 수 있는 것이다.
파티션, 연결프레임, 고정프레임, 파티션 고정구, 볼트부, 너트부

Description

파티션 고정구{Connector of Partition}
본 고안은 사무용 가구의 파티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극히 간단한 구조의 파티션 고정구로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여서 파티션의 조립 및 분해가 지극히 간단하고 편리하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파티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파티션(Partition)이란 사무실의 업무효율 향상과 깨끗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무실을 각각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레이아웃 방법에 따라 -자형, ㄱ자형, T자형 및 X자형으로 사무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업무집중력을 향상시키고, 각 부서의 공간을 외부와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창조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사무용 가구에 있어 파티션이 보편화되어 있어 파티션은 단순한 칸막이 역할을 떠나 고객이 원하는 아늑한 나만의 전용공간을 연출하여 기업의 이미지나 개인의 업무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효과로 사생활을 보호하고 미려한 디자인으로 화이트칼라 계층에게 항상 새로운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쾌적함을 주도록 개발되고 있다.
파티션은 높이와 넓이에 따라 일에 대한 집중력과 구성원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사무자동화와 더불어 컴퓨터 등 다양한 첨단 기기의 사용에 따라 복잡한 각종 전선을 파티션 내부의 닥트를 통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레이아웃 변경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실용성 있게 개발되고 있다.
보급형 파티션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파티션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어 사무실의 부서별 칸막이, 학원 보급형, PC방 등에 적합하고, 상단부에 유리를 갖는 파티션은 파티션의 상단부를 투명하게 하여서 응접실, 휴게실, 다용도실, 흡연구역 등에 적합하며, 기타 용도와 여건에 따라 전면유리 파티션이나 블록 파티션 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므로 업무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파티션은, 일반적인 보급형 파티션과 상단에 유리를 갖는 파티션으로 대별되는데, 이들 파티션들은 모두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되는 것이다.
파티션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는 다종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있으나 파티션을 연결하는 구조가 복잡하여서 파티션을 분해하거나 조립하는데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아울러, 파티션과 파티션을 수평으로 이어서 연결하거나 아니면 직각배치를 위해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을 ㄱ자로 연결하는 경우 이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파티션 고정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러한 형태의 파티션 고정구는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분 해 조립시 다양한 조립공구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서 파티션을 분해하거나 조립하는데 여러 가지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의 이러한 파티션 고정구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보급형 파티션은, 사각형상의 수직 또는 수평의 단위 프레임에 사각판형으로 형성된 파티션 패널이 결합되고, 그 상,하부에는 마감부재로 상단마감바와 하부커버가 각각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보급형 파티션(100)의 구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프레임(110,120)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패널(130)과, 상기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단부를 마감처리하는 하부커버(140)와, 상기 패널의 상부 가로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단마감바(1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티션(100)들은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을 고정수단으로 서로 조립하여서 다양한 형태의 사무 공간을 구획하게 되는데, 모든 파티션들은 사무용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을 연결하기 위해서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측면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들은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측면에 고정프레임이 별도로 부착되거나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프레임 상에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하고 있 으며, 별도의 고정구들을 이용하여 이들을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체결하여서 사무용 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개발된 모든 형태의 파티션들은 양측면을 연결하는 구조가 복잡하여서 조립시 많은 시간과 숙련공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연결구조가 복잡하여서 다양한 형태의 조립공구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일반소비자들은 파티션들의 레이아웃을 하고 싶어도 파티션의 연결구조를 이해하지 못하여서 사무 공간을 재배치할 때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과 파티션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양측면 고정구조를 지극히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선하여서 드라이버와 같은 조립공구 하나만 있으면 언제든지 이들의 분해조립이 가능하여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무용 공간을 구획할 수 있도록 하는 파티션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는,
착탈 가능한 패널을 구비하는 파티션과 파티션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측면에 고정프레임을 설치하여서 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하나 이상의 통공을 형성하고, 고정프레임의 내부면에는 돌출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통공에는 파티션 고정구를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되,
상기 파티션 고정구는,
상하단 우측에 돌출편을 구비하는 볼트두부와, 이의 우측에 고정되어 볼트부의 처짐을 완화시키는 볼트처짐방지편을 구비하는 볼트부와;
일측면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에 나사결합되고,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미세한 돌기가 형성되며, 두부에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너트부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과 파티션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파티션 고정구의 구조를 지극히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선하므로서 드라이버와 같은 조립공구 하나만 있으면 언제든지 이들의 분해조립이 가능하여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사무용 공간을 편리하게 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는 사무용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서 도 3 과 같이 파티션(1)과 파티션(1)의 양측면을 연결하거나 아니면 도 4 와 같이 직각배치를 위해 파티션(1)과 연결프레임(2)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모든 형태의 연결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일반적인 파티션(1)들은 파티션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3)과, 이 고정프레임의 앞면과 뒷면에 고정되고 직물로 감싸여진 2장의 패널(4)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파티션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100)에는 파티션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이 구성되는 바,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가로프레임(120)과, 이 가로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게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일정간격의 상,하 폭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세로프레임(11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프레임(110,120)의 양편에는 패널(130)이 결합되고, 이 패널(130)의 표면에는 직물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의 상,하부 가로 및 세로프레임(110,120)에는 마감부재로서 상단마감바(150)와 하부커버(140)가 각각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술구성은 파티션의 일반적인 구성이다.
도 2 내지 도 4 에서,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파티션 고정구는,
착탈 가능한 패널(4)을 구비하는 파티션(1)과 파티션(1)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1)과 연결프레임(2)의 측면에 고정프레임(3)을 설치하여서 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 상에 하나 이상의 통공(5)을 형성하고, 고정프레임(3)의 내부면에는 돌출단부(6)를 형성하며, 상기 통공에는 파티션 고정구(10)를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되,
상기 파티션 고정구(10)는,
상하단 우측에 돌출편을 구비하는 볼트두부(13)와, 이의 우측에 고정되어 볼트부의 처짐을 완화시키는 볼트처짐방지편(17)을 구비하는 볼트부(11)와;
일측면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11)에 나사결합되고,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며, 두부에 체결구멍(15)을 구비하는 너트부(12)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삭제
상기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10)는 돌출단부(6) 상에 형성된 통공(5)의 양측에서 볼트부(11)와 너트부(12)를 서로 나사결합하여서 파티션(1)과 파티션(1) 또는 파티션(1)과 연결프레임(2)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티션 고정구(10)의 체결을 위해서 파티션(1)의 양측면과 연결프레임(2)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프레임(3) 상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5)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3)의 내부면에는 파티션 고정구(1)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단면이 'ㄷ'와 같은 형상의 돌출단부(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볼트처짐방지편(17)은 볼트부(11)와 볼트두부(13)의 연결 부분에 공지의 작은홈을 형성하고, 이 작은홈의 내부에 볼트처짐방지편(17)을 억지끼워맞춤으로 삽입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볼트처짐방지편(17)은 볼트부(11)를 돌출단부(6)에 형성된 통공(5)에 삽입할 때 볼트처짐방지편이 통공(5)을 통과한 후, 돌출단부(6)의 내측에 맞닿아 볼트부(11)가 아래와 축 처지는 것을 방지(약간의 처짐 현상은 발생함)하도록 하는 보조적인 기술구성이다.
그러므로 상기 볼트처짐방지편(17)은 볼트두부(13)와 결합된 돌출단부(6)와 이격 설치되어 볼트부(11)를 통공(5)에 삽입시 약간의 처짐 현상은 발생하나 볼트처짐방지편(17)이 돌출단부(6)의 내측에 걸려서 볼트부(11)의 처짐을 줄여 주므로 반대쪽 너트부(12)의 조립작업이 한층 수월하다.
또한, 상기 볼트부(11)의 일측에 형성되는 볼트두부(13) 상에는 상하단 우측에 돌출편을 형성하여서 상기 볼트부가 고정프레임(3)의 통공(5)에 삽입시 상기 볼트두부에 형성된 돌출편이 돌출단부(6)에 맞닿아 너트부와 체결할 때 볼트부(11)가 헛돌지 않게 된다.
상기 볼트두부(13)에 형성되는 돌출편은 볼트두부의 우측을 '〔' 와 같은 형태로 절취하여서 자연스럽게 볼트두부의 상하단 우측에 돌출편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너트부(12)의 일측면 중앙에는 상기 볼트부(11)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너트부(12)의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다수의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4)는 너트부(12)를 성형할 때 너트부의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미세하게 일체로 성형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돌기는 너트부(12)가 볼트부(11)에 나사 결합될 때 상기 돌기(14)들이 돌출단부(6)의 배면 통공(5) 주변에 맞닿아 표면적을 넓혀서 너트부(12)가 자연적으로 풀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너트부(12)의 두부 외주연에는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6)를 형성하여서 사용자가 손으로 너트부(12)를 잡고 볼트부(11)에 체결할 경우 너트부의 두부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며, 손으로 최대한 돌려서 체결한 다음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최종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프레임(3)의 돌출단부(6) 상에는 상기 파티션 고정구(1)의 볼트부(11) 일측에 형성된 볼트두부(13)가 밀착되고, 볼트처짐방지편(17)이 초기 조립시 볼트부(11)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완화시키면서 너트부(12)를 계속 회전시키면 반대편 볼트부(11)를 잡지 않더라도 돌출단부(6)가 볼트두부(13)에 형성된 돌출편에 삽입되어 볼트부(11)가 헛돌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너트부(12)를 손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너트부의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돌기(14)가 돌출단부(6)의 배면 통공(5) 주변에 맞닿아 표면적을 넓혀 너트부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어서 두부에 형성된 체결구멍(15)에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삽입하여 끝까지 돌리면 이들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또한,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1)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1)과 연결프레임(2)을 고정할 때 상기 파티션과 파티션 및 연결프레임들을 서로 맞대고 이들 고정프레임(3) 상에 형성된 통공(5)과 돌출단부(6)에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1)를 구성하는 볼트부(11)와 너트부(12)를 서로 나사결합시키면 모든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수평으로 공간을 구획하거나 직각 배치를 위해 공간을 구획할 경우 파티션(1)과 파티션(1)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1)과 연결프레임(2)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프레임(3)을 서로 맞대고 난 다음,
상기 고정프레임(3) 상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통공(5)에,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10)의 볼트부(11)를 삽입하면 볼트부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두부(13)가 돌출단부(6)에 밀착되고, 볼트처짐방지편(17)이 통공(5)의 내측에 걸려 볼트부가 아래로 처지는 것을 완화시키면서 체결을 위해 너트부(12)를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너트부(12)의 두부 외주연에 형성된 다수의 미끄럼방지돌기(16)에 의해 미끌림을 방지하고, 손으로 최대한 돌려서 체결한 다음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파티션 고정구가 설치된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을 분해할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조립공구 하나만 있으면 상기 조립의 역순으로 분해하여서 사무공간을 다시 구획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티션 고정구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례를 보인 파티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파티션 고정구가 파티션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 는 도 3 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파티션 2 : 연결프레임
3 : 고정프레임 4 : 패널
5 : 통공 6 : 돌출단부
10 : 파티션 고정구 11 : 볼트부
12 : 너트부 13 : 볼트두부
14 : 돌기 15 : 체결구멍
16 : 미끄럼방지돌기 17 : 볼트처짐방지편
100 : 파티션 110 : 세로프레임
120 : 가로프레임 130 : 패널
140 : 하부커버 150 : 상단마감바

Claims (1)

  1. 착탈 가능한 패널(4)을 구비하는 파티션(1)과 파티션(1)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1)과 연결프레임(2)의 측면에 고정프레임(3)을 설치하여서 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 상에 하나 이상의 통공(5)을 형성하고, 고정프레임(3)의 내부면에는 돌출단부(6)를 형성하며, 상기 통공에는 파티션 고정구(10)를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되,
    상기 파티션 고정구(10)는,
    상하단 우측에 돌출편을 구비하는 볼트두부(13)와, 이의 우측에 고정되어 볼트부의 처짐을 완화시키는 볼트처짐방지편(17)을 구비하는 볼트부(11)와;
    일측면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11)에 나사결합되고,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며, 두부에 체결구멍(15)을 구비하는 너트부(12)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파티션 고정구.
KR2020070017099U 2007-10-23 2007-10-23 파티션 고정구 KR2004463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99U KR200446343Y1 (ko) 2007-10-23 2007-10-23 파티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7099U KR200446343Y1 (ko) 2007-10-23 2007-10-23 파티션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96U KR20090003896U (ko) 2009-04-28
KR200446343Y1 true KR200446343Y1 (ko) 2009-10-20

Family

ID=4128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7099U KR200446343Y1 (ko) 2007-10-23 2007-10-23 파티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34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615A (ko) * 2017-03-22 2018-10-02 이재웅 프레임 체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35B1 (ko) * 2013-05-06 2013-08-28 주식회사 오피스안건사 파티션 연결장치
KR101465512B1 (ko) * 2014-06-02 2014-11-26 주식회사 모자이크스 파티션 연결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425U (ja) * 1993-03-11 1994-09-30 三明電機株式会社 ナット
KR19980042287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안전 볼트
KR0133372Y1 (ko) * 1995-09-13 1999-02-18 손동창 결합장치
KR100194974B1 (ko) 1995-09-13 1999-06-15 권동열 칸막이장치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9425U (ja) * 1993-03-11 1994-09-30 三明電機株式会社 ナット
KR0133372Y1 (ko) * 1995-09-13 1999-02-18 손동창 결합장치
KR100194974B1 (ko) 1995-09-13 1999-06-15 권동열 칸막이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9980042287U (ko) * 1996-12-24 1998-09-25 박병재 안전 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615A (ko) * 2017-03-22 2018-10-02 이재웅 프레임 체결체
KR102033766B1 (ko) * 2017-03-22 2019-10-22 이재웅 프레임 체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896U (ko) 2009-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343Y1 (ko) 파티션 고정구
KR100794286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1155954B1 (ko) 파티션 고정구
CA2476368A1 (en) Adjustable wall system
KR20200117431A (ko) 파티션의 체결구조
KR200486872Y1 (ko) 가변형 조립식 책상
KR200446342Y1 (ko) 파티션의 연결구조
KR200295294Y1 (ko) 천장용 판넬 조립구조
KR20090001283U (ko) 파티션
JP2006322180A (ja) 窓枠体
JP3910113B2 (ja) 間仕切装置
KR100929009B1 (ko) 높이 및 폭 조절이 자유로운 블록형 파티션
KR200463791Y1 (ko) 파티션 조립 시스템
KR200431374Y1 (ko)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책상
JP3227864U (ja) 組み立て式棚
KR200310923Y1 (ko) 사무용 칸막이의 유리틀 결합구조
TWI822557B (zh) 可更換外部橫框之門窗
KR920002775Y1 (ko) 조립식 장식대용 블럭
KR200439457Y1 (ko) 조립식 파티션
KR20090003981U (ko) 파티션용 패널 고정클립
KR20110073649A (ko) 칸막이 조립체
KR200395290Y1 (ko) 서랍용 함체
KR20110008823U (ko)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진열장
KR20210060145A (ko) 테이블용 파티션
KR200236491Y1 (ko) 보조바닥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