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372Y1 -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372Y1
KR0133372Y1 KR2019950024643U KR19950024643U KR0133372Y1 KR 0133372 Y1 KR0133372 Y1 KR 0133372Y1 KR 2019950024643 U KR2019950024643 U KR 2019950024643U KR 19950024643 U KR19950024643 U KR 19950024643U KR 0133372 Y1 KR0133372 Y1 KR 01333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device
fixing member
frame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46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876U (ko
Inventor
손동창
Original Assignee
손동창
주식회사 퍼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동창, 주식회사 퍼시스 filed Critical 손동창
Priority to KR20199500246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372Y1/ko
Publication of KR970013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3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3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7Releasable locking means or connectors for fastening together parts of furni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무실등의 공간을 구획시키는 칸막이장치 및 책상등과 같은 가구에 소요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1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장공홈과, 상기 장공홈을 통과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에 위치도되록 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제1프레임에 위치되도록 일단부에 돌설편이 돌설되고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이 천공된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결합장치의 제작시에 제조코스트가 다운되고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합장치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결합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예에 적용된는 결합장치로써 프레임과 프레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결합장치로써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상태를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결합장치로써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결합장치로써 칸막이장치의 프레임과 포스트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1프레임 12 : 제2프레임
20 : 고정부재 21 ; 지지봉
22 : 돌설편 30 : 체결부재
31 : 관통홀 32 : 각형부
40 : 와셔 111 : 장공홈
121 : 장공홈 112 : 볼록부
122 : 볼록부 211 : 나사산
221 : 내측접촉부.
본 고안은 사무실등의 공간을 구획시키는 칸막이장치 및 책상등과 같은 가구에 소요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가구에 소요되는 프레임에 장공홈을 형성하여서 용이하게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에 소요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로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결합장치의 일예로써는 1983년 3월 30일자로 대한민국에 실용신안출원되어서 1985년 2월 15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고 85-170호의 조립식 탁자받침대의 협지구가 있다.
종래예에 의한 실용신안 공고 85-170호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주(1')(3')를 접한 상하부에 중단지지편(8)(8')을 돌출하고 볼트구(7)(7')를 형성한 협지구(6)(6')를 볼트(9)로써 체결하여 지주(1')(3')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결합장치는, 지주(이하, 프레임이라 칭함)를 형사이 복잡한 2개의 협지구(6)(6')로 협지시킨 후 볼트(9)로써프레임(1')과 프레임(3')을 결합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의 결합장치는 협지구(6)(6')를 제작하는데 과다한 제조공수가 소요되어 상기 협지구(6)(6')의 제작시 제조코스트가 상승됨은 물론이고 생산성이 저하되었다.
또한, 상기 협지구(6)(6')의 내부에 상기 프레임(1')(3')을 수용하여 상기 프레임(1')(3')이 유동되지 않도록 한후 상기 볼트(9)를 상기 협지구(6)(6')의 볼트구(7)(7')에 체결시켜야 하므로써 상기 프레임(1')(3')을 결합하는데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고 결합이 난이하여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었다.
즉, 종래의 결합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시 제조코스트가 상승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고, 프레임을 결합하는데 과다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으 목적은 구조를 콤팩트화시켜 제작시 제조코스트를 다운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결합시간을 절감하고 소비자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결합장치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장공홈과, 상기 장공홈을 통과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제1프레임에 위치되도록 일단부에 돌설편이 돌설되고 타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이 천공된 체결부재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결합장치에 의하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장공홈에 고정부재를 삽입한 후 고정부재를 체결부재로써 조이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유동됨이 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결합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결합장치로써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상태를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결합장치로써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결합장치로써 칸막이장치의 프레임과 포스트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있어서, (11)(12)는 칸막이장치 및 책상등과 같은 가구에 적용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으로써, 소정의 위치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가 통과되도록 장공홈(111)(12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에 각각 형성된 장공홈(111)(121)의 대체로 중앙에는 후술하는 고정부재가 유동되지 않도록 볼록부(112)(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20)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을 결합할 경우 상기 장공홈(111)(121)을 통과하는 고정부재로써,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의 장공홈(111)(121)을 통과하여서 상기 제2프레임과(12)과 면접촉되도록 내측저촉부(221)가 형성된 돌설편(22)과, 상기 돌설편(2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의 블록부(112)에 삽입되어서 유동됨이 없도록 환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나사산(211)이 형성된 지지봉(21)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부재(20)의 지지봉(21)에 형성되는 나사산(211)에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을 견고하게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0)가 나사결합된다.
즉, 상기 체결부재(30)는 내부에 상기 나사산(211)과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31)의 외주에 체결이 용이하도록 각형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림에서 (40)은 상기 체결부재(30)가 상기 고정부재(20)에 체결되어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을 체결할 경우 느슨함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갖는 와셔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결합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의 장공홈(111)(121)과 볼록부(112)(122)가 일치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을 위치시킨후 상기 고정부재(20)를 상기 장공홈(111)(121)으로 제3도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시키면 상기 고정부재(20)의 돌설편(22)이 상기 제2프레임(12)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0)의 지지봉(21)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의 볼록부(112)(121)에 가이드되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에 배설되므로써 상기 고정부재(20)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에 배설된후 유동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고정부재(20)의 돌설편(22)이 상기 제2프레임(12)에 위치되도록 한후에는 상기 고정부재(20)를 제3도에 도시한 화살표 B혹은 C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킨후에 상기 고정부재(20)의 지지봉(21)에 상기 와셔(40)를 삽입하고 상기 고정부재(20)에 상기 체결부재(30)를 체결시킨다.
또, 상기 고정부재(20)에 상기 체결부재(30)를 체결시키면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의 내측접촉부(221)가 상기 제2프레임(12)과 면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와셔(40)가 상기 제1프레임(11)에 면접촉되므로써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이 유동됨이 없게 결합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 의한 결합장치에 의하면 콤팩트화된 구조로써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을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결합장치로써 사무실을 구획시키는 칸막이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본 고안에 의한 결합장치는 프레임에 흠을 형성하여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모든 고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결합장치에 의하면, 프레임과 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장공홈에 고정부재를 삽입한 후 고정부재를 체결부재로서 조이면 프레임과 프레임이 유동됨이 없이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결합장치의 제작시에 제조코스트가 다운되고 생산성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편리하게 프레임과 프레임을 결합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신뢰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을 결합시키는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11) 및 제2프레임(12)에 각각 형성된 장공홈(111)(121)과, 상기 장공홈(111)(121)을 통과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12)에 위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제1프레임(11)에 위치되도록 일단부에 돌설편(22)이 돌설되고 타단부에 나사산(211)이 형성된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의 나사산(211)과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제1프레임(11)과 상기 제2프레임(12)이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31)이 천공된 체결부재(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에 각각 형성된 장공홈(111)(121)의 대체로 중앙에는 상기 고정부재(20)의 지지봉(21)이 배설되어서 상기 고정부재(20)가 유동되지 않도록 볼록부(112)(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는, 일단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의 장공홈(111)(121)을 통과하여서 상기 제2프레임(22)과 면접촉되도록 내측접촉부(221)가 형성된 돌설편(22)과, 상기 돌설편(12)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12)의 볼록부(112)에 삽입되어서 유동됨이 없도록 환봉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단부에 나사산(211)이 형성된 지지봉(2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KR2019950024643U 1995-09-13 1995-09-13 결합장치 KR01333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643U KR0133372Y1 (ko) 1995-09-13 1995-09-13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643U KR0133372Y1 (ko) 1995-09-13 1995-09-13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76U KR970013876U (ko) 1997-04-28
KR0133372Y1 true KR0133372Y1 (ko) 1999-02-18

Family

ID=1942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4643U KR0133372Y1 (ko) 1995-09-13 1995-09-13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37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43Y1 (ko) * 2007-10-23 2009-10-20 주식회사 세연 파티션 고정구
KR20180107615A (ko) * 2017-03-22 2018-10-02 이재웅 프레임 체결체
KR102461371B1 (ko) * 2022-06-03 2022-10-31 주식회사 세계로 파티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9130A (ko) * 2001-04-13 2002-10-19 주식회사 퍼시스 칸막이의 연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343Y1 (ko) * 2007-10-23 2009-10-20 주식회사 세연 파티션 고정구
KR20180107615A (ko) * 2017-03-22 2018-10-02 이재웅 프레임 체결체
KR102461371B1 (ko) * 2022-06-03 2022-10-31 주식회사 세계로 파티션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파티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876U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3205A (en) Canopy clamp for a chair
KR0133372Y1 (ko) 결합장치
DE10139023C1 (de) Verbindungsbeschlag
JPH032209Y2 (ko)
KR200216404Y1 (ko) 상품진열용 폴
JPH08100520A (ja) 足場つなぎ構造
JPH0341550Y2 (ko)
KR960007289Y1 (ko) 전기스탠드의 지지간 꾸부림장치
KR960004663Y1 (ko) 의류진열용 옷걸이의 지주 및 횡간체결장치
JPS6140854Y2 (ko)
KR200185232Y1 (ko)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KR960004630Y1 (ko) 골조 조립용 연결구
KR0177904B1 (ko) 파이프 등의 골조물 고정구
JPS628785Y2 (ko)
KR0119286Y1 (ko) 씽크대용 프레임 연결구
JPS623498Y2 (ko)
KR200178334Y1 (ko) 목판에의 파이프형 프레임 고정장치
JP3476536B2 (ja) 防護柵用継ぎ手
JPS6212090Y2 (ko)
JPH0129344Y2 (ko)
JPH068171Y2 (ja) 格子状枠
JPH09264309A (ja) パイプ等の枠体連結金具
JPH0237933Y2 (ko)
JPH0231866Y2 (ko)
KR800000140Y1 (ko) 조립식 학교용 걸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