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5232Y1 -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5232Y1
KR200185232Y1 KR2019980001491U KR19980001491U KR200185232Y1 KR 200185232 Y1 KR200185232 Y1 KR 200185232Y1 KR 2019980001491 U KR2019980001491 U KR 2019980001491U KR 19980001491 U KR19980001491 U KR 19980001491U KR 200185232 Y1 KR200185232 Y1 KR 2001852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upport
head
clamp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5817U (ko
Inventor
심영식
Original Assignee
심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영식 filed Critical 심영식
Priority to KR2019980001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5232Y1/ko
Publication of KR19990035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52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52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14Stands for performing hairdressing work; Postiche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미용 교육실습용 마네킹헤드를 끼워서 위치를 고정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두부의 지지봉을 떠받치면서 조여 붙임에 의해 임의각도로 조정하는 받침구의 이탈을 방지하여 클램프의 고정을 용이하게 한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단에 공간부(36)와 상,하부 관통공(16)(26)이 연통된 두부(6) 및 하단에 수직상의 나사공(7)을 구비한 알루미늄합금제의 "C"자형 본체(2)와, 상기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을 통해 차례로 삽입하는 지지봉(3) 및 받침구(4)와 상기 나사공(7)에 나사봉(15)을 끼운 후 빠져나온 선단에 압지판(25)을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반대편에 손잡이(35)를 고정한 조임구(5)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상단에 위치하는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 입구에 일체로 형성한 돌출테(8)와, 상기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을 통해 삽입하는 받침구(4)의 하부에 돌출테(8)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한 걸림턱(9)으로 이뤄지게 하고, 하부 관통공(26)을 통해 지지봉(3)과 걸림턱(9)이 밑으로 향하도록 한 받침구(4)를 삽입한 후 하부 관통공(26) 입구의 돌출테(8)를 향심 방향으로 압착하여 절곡부(18)가 받침구(4)의 걸림턱(9)을 받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본 고안은 이미용 교육실습용 마네킹헤드의 위치고정을 가능하게 한 마네킹 헤드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마네킹헤드를 끼우는 지지봉 하단의 구체(球體)를 떠받치면서 조여 붙임에 의해 지지봉을 임의각도로 조정하는 받침구의 이탈을 방지하여 클램프의 고정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이제까지 사용되고 있는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는 "C"자형 본체의 상단에 위치하는 두부의 하부 관통공으로 지지봉의 끼움부를 삽입하여 상부 관통공으로 빠져나오게 한 후 공간부에서 구체를 떠받침과 동시에 고정하는 받침구를 밀어넣고, 하단의 수직상 나사공에는 손잡이를 부착한 나사봉을 끼워서 선단에 압지판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는 두부의 관통공으로 지지봉을 삽입후 공간부에서 구체를 떠받침과 동시에 고정을 위해 밀어 넣는 원형 받침구가 헐거운 상태로 밀려들어가게 한 것이므로, 조립과정이나 이미용 실습을 위해 탁자등의 상판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클램프를 세우기만 하면 받침구가 밑으로 흘러서 쉽게 빠져나가게 됨에 따라 조립이나 사용를 위한 고정작업이 불편한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받침구의 이탈이 없어 클램프의 조립 및 고정을 보다 용이하게 한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는, 알루미늄합금재로 성형한 본체의 두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관통공의 입구에 돌출테를 일체로 형성하고, 받침구의 하부에는 돌출테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하부 관통공을 통해 지지봉과 받침구를 차례로 밀어 넣은 다음, 관통공 입구의 돌출테를 향심(向心) 방향으로 압착시켜서 형성되는 절곡부가 받침구의 걸림턱을 받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상이 본 고안의 특징이며, 이같은 구성에 따라 당초의 의도대로 소기의 목적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의 전체사시도
제 2도는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의 종단정면도
제 3도는 클램프의 받침구 부위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본체 3 : 지지봉
4 : 받침구 5 : 조임구
6 : 두부 7 : 나사공
8 : 돌출테 9 : 걸림턱
16 : 상부 관통공 18 : 절곡부
26 : 하부 관통공 36 : 공간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1)는 본체(2)와 지지봉(3), 받침구(4) 및 조임구(5)로 구성된다.
본체(2)는 "C"자형을 이루는 알루미늄합금재로 성형한 것으로, 상단에는 두부(6)와 하단에는 수직상의 나사공(7)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두부(6)의 상부에는 이후 설명할 지지봉(3) 하단의 구체(13)의 구경보다 작은 직경의 관통공(16)과 하부에는 구체(13)는 물론 받침구(4)의 출입이 가능한 직경의 관통공(26)이 뚫려 있고, 이들 상,하부 관통공(16)(26)은 내부의 공간부(36)와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두부(6)의 상부 관통공(16)을 구체(13)의 구경보다 작게 한 것은 하부 관통공(26)으로 삽입되는 지지봉(3)을 그 하단의 구체(13)가 관통공(16)에 걸리게하여 공간부(36)를 벗어날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지지봉(3)은 상반부에 마네킹헤드(10)의 저면 중앙에 뚫은 수직공(20)을 끼울수 있는 끼움부(23)와 하단에는 조여 붙이는 과정에서 각도조정을 용이하게 한 구체(1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받침구(4)는 원형으로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으로 밀어 넣어서 먼저 삽입한 지지봉(3)의 구체(13)를 밑에서 받쳐지게 함과 동시에 지지봉(3)을 임의 각도에서 고정할 때 조여 붙이는 임무를 가진다.
조임구(5)는 나사봉(15)과 압지판(25) 및 손잡이(35)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2)의 하단에 뚫은 수직상의 나사공(7)에 나사봉(15)을 먼저 끼운 후 빠져나온 선단에 압지판(25)을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반대편의 하단에는 손잡이(35)를 고정한다.
그러나, 이같은 구성은 통상의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와 다를 바가 없다.
본 고안에서 특이한 점은 클램프의 본체 상단에 위치하는 두부내에서 구체를 받쳐지게 함과 동시에 고정을 위해 조여 붙이는 임무를 가진 받침구가 밑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되게 한 구성에 있다.
즉, 알루미늄합금재로 성형되는 본체(2) 상단의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 입구에 돌출테(8)를 일체로 형성하고, 받침구(4)의 하부에는 상기 돌출테(8)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걸림턱(9)을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통상의 방법과 같이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으로 지지봉(3)의 선단쪽을 삽입하여 끼움부(23)쪽이 상부 관통공(16)으로 빠져나오게 한 후, 먼저 삽입한 지지봉(3) 하단의 구체(13)를 받쳐서 조이는 받침구(4)를 걸림턱(9)이 밑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하부 관통공(26)을 통하여 공간부(36)로 밀어 넣는다.
지지봉(3)과 받침구(4)를 차례로 밀어 넣은 다음에 하부 관통공(26) 입구의 돌출테(8)를 향심 방향으로 압착하고, 돌출테(8)의 압착으로 형성되는 절곡부(18)가 받침구(4)의 걸림턱(9)을 받치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0은 탁상 등의 상판을 표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2) 상단에 위치하는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으로 지지봉(3)의 끼움부(23)쪽을 삽입하여 상반부가 상부 관통공(16)을 통해 빠져나오게 하면 그 하단의 구체(13)는 구체(13)보다 직경이 작은 관통공(16)에 걸려서 공간부(36)를 벗어날 수 없게 된다.
이어서, 받침구(4)를 걸림턱(9)이 밑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하부 관통공(26)을 통하여 공간부(36)로 밀어 넣어서 먼저 삽입한 지지봉(3) 하단의 구체(13)를 받치는 상태에서 하부 관통공(26) 입구의 돌출테(8)를 압착기에서 향심 방향으로 압착한다.
이때, 돌출테(8)의 선단 쪽에서 향심방향을 향하는 절곡부(18)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18)가 받침구(4) 하부의 걸림턱(9)을 받치게 되므로 받침구(4)가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상기 돌출테(8)의 압착에 따라 그 선단 쪽에 절곡부(18)가 무리 없이 형성되는 것은 알루미늄합금을 소재로 하여 성형한 본체(2)의 특성 때문이다.
다음으로 본체(2) 하단의 조임구(5)는 수직상의 나사공(7)에 나사봉(15)을 끼운 후 빠져나온 선단에 압지판(25)을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반대편의 하단에 손잡이(35)를 고정시키면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1)는 조립이 완료되어 도 1과 같은 모습을 취하게 된다.
이미용 실습 때에는 클램프(1)의 조임구(5)를 조작하여 받침구(4)와 압지판(25)간의 간격을 벌리고 탁상 등의 상판(30) 일측변에 끼운 다음에 손잡이(35)를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압지판(25)이 상승하여 상판(30)과 같이 그 위의 받침구(4)를 조여 붙이게 된다.
따라서, 클램프(1)는 받침구(4)의 저면과 압지판(25)의 상면이 상,하에서 상판(30)을 조여서 견고하게 고정되며, 또한 조임구(5)를 조일 때 받침구(4)는 마네킹헤드(10)를 끼운 지지봉(3) 하단의 구체(13)를 조여 붙이므로 이 과정에서 지지봉(3)을 실습에 편리한 각도로 맞추면서 조여 붙일 수 있다.
그리고, 클램프(1)를 상판(30)에 고정하기 전의 선행 작업으로 받침구(4)와 압지판(25)간의 간격을 벌어지게 하기 위해 조임구(5)를 조작하여 압지판(25)을 하강시키더라도 받침구(4)는 관통공(26) 입구의 절곡부(18)에 걸려 흘러내리지 않아 이탈의 염려가 없으므로 클램프의 조립이나 고정작업이 편리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는 본체의 두부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관통공의 입구에 돌출테를 형성하고, 받침구의 하부에 돌출테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하부 관통공을 통해 지지봉과 받침구를 차례로 밀어 넣은 후, 관통공 입구의 돌출테를 향심 방향으로 압착시킴으로써 절곡부가 받침구의 걸림턱을 받쳐서 이탈을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로서 받침구의 흘러내림에 의한 이탈이 전무하여 클램프의 조립작업 및 이미용 실습을 위한 고정작업이 보다 용이한 등의 효과가 기대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단에 공간부(36)와 상,하부 관통공(16)(26)이 연통된 두부(6) 및 하단에 수직상의 나사공(7)을 구비한 알루미늄합금제의 "C"자형 본체(2)와, 상기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을 통해 차례로 삽입하는 지지봉(3) 및 받침구(4)와, 상기 나사공(7)에 나사봉(15)을 끼운 후 빠져나온 선단에 압지판(25)을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반대편에 손잡이(35)를 고정한 조임구(5)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2)의 상단에 위치하는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 입구에 일체로 형성한 돌출테(8)와, 상기 두부(6)의 하부 관통공(26)을 통해 삽입하는 받침구(4)의 하부에 돌출테(8)의 내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한 걸림턱(9)으로 이뤄지게 하고, 하부 관통공(26)을 통해 지지봉(3)과 걸림턱(9)이 밑으로 향하도록 한 받침구(4)를 삽입한 후 하부 관통공(26) 입구의 돌출테(8)를 향심 방향으로 압착하여 절곡부(18)가 받침구(4)의 걸림턱(9)을 받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KR2019980001491U 1998-02-10 1998-02-10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KR2001852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91U KR200185232Y1 (ko) 1998-02-10 1998-02-10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491U KR200185232Y1 (ko) 1998-02-10 1998-02-10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17U KR19990035817U (ko) 1999-09-15
KR200185232Y1 true KR200185232Y1 (ko) 2000-06-15

Family

ID=1953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491U KR200185232Y1 (ko) 1998-02-10 1998-02-10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52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887A (ko) * 2018-12-27 2020-07-07 심영식 마네킹 헤드 고정용 클램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1868A1 (en) * 2021-09-22 2023-03-23 Synthia Schmidt Salon Chair Buddy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0887A (ko) * 2018-12-27 2020-07-07 심영식 마네킹 헤드 고정용 클램프
KR102180940B1 (ko) 2018-12-27 2020-11-19 심영식 마네킹 헤드 고정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817U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6012A (en) Towel support
EP0133165B1 (fr) Raquette munie d'un système de fixation des cordes
US6695267B2 (en) Standing device for a spray gun
KR200185232Y1 (ko)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DE50302567D1 (de) Knochenschraube
US6011209A (en) Cymbal fixture
KR20010002131U (ko)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
JP3195220B2 (ja) スプリンクラー散水パイプの固定金具
JPH0639075A (ja) スキー板に附属品を組み付けるための装置
KR100457207B1 (ko) 수납선반용 결속구
JP3089735U (ja) スプリンクラー散水パイプの固定金具
US6615686B1 (en) Bike stem clamping device
JP2002323027A5 (ko)
JPS6333570Y2 (ko)
CN211207938U (zh) 一种可快速拆卸紧固的吊镲
JPH0754894Y2 (ja) ワイヤ懸吊具
JPH0639125Y2 (ja) 載置台類の支持支柱取付用クランプ
KR200162428Y1 (ko) 미용기구 스탠드의 높이조절장치
KR200302877Y1 (ko) 고압호스조임장치
KR920000983Y1 (ko) 스탠드 옷걸이의 걸이구 체결장치
JPH08166046A (ja) ワイヤ緊張装置
JPH0342040Y2 (ko)
KR200399334Y1 (ko) 파이프고정구
KR860001225Y1 (ko) 천막지주 연결구
JPH02307321A (ja) 引留ク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