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9334Y1 - 파이프고정구 - Google Patents

파이프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9334Y1
KR200399334Y1 KR20-2005-0019193U KR20050019193U KR200399334Y1 KR 200399334 Y1 KR200399334 Y1 KR 200399334Y1 KR 20050019193 U KR20050019193 U KR 20050019193U KR 200399334 Y1 KR200399334 Y1 KR 2003993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xing
fixture
fixing piece
pa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1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미자
김영은
Original Assignee
성미자
김영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미자, 김영은 filed Critical 성미자
Priority to KR20-2005-00191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93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93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93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두께를 갖되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이 다수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이루되 상기 패킹부재가 안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를 이루되 상기 파이프 연결관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그 외측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안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고정구{A pipe holding device}
본 고안은 다수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의 두께를 갖되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이 다수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이루되 상기 패킹부재가 안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를 이루되 상기 파이프 연결관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그 외측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안치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연결될 파이프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되 그 내부에 파이프가 나사식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홈이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나선이 형성된 파이프를 회전시켜 체결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는 그 체결부위의 기밀성이 좋지 못하여 종종 누수가 발생하였고, 체결시에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파이프 교체시에는 연결된 파이프의 이탈이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또한 체결되는 파이프가 연성재질인 경우에는 체결부위가 소성적으로 쉽게 변형되면서 연결된 부위가 빠지는 현상까지 발생되고 있어 정교하고 안정적인 배관형성에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위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81923호-이하"종래기술1"이라함)와,"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81922호-이하"종래기술2"이라함)가 개시된 바 있다.
도1 및 도2는 각각 종래기술1 및 2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기술1은 도1에서와 같이, 연결될 파이프(도 11 참조)가 삽입되는 개구된 다수의 연결부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1)에, 상기 연결부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편이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구(2)와, 상기 연결부에 내삽되어 상기 고정구(2)에 안치되되 그 내부에 파이프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링(3)과, 상기 연결부의 외측단에 상기 지지링(3)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몸체(1)와 연결되는 파이프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패킹부재(4)와, 그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패킹부재(4)와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5)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종래기술2는 도2에서와 같이, 연결될 파이프(도 11 참조)가 삽입되는 개구된 다수의 연결부가 형성된 중공의 몸체(1a)에, 상기 연결부의 내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1a)와 연결되는 파이프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패킹부재(4a)와, 상기 연결부에 내삽되어 상기 패킹부재(4a)에 밀착되되 그 상부에 내면이 하향축소되는 경사면을 갖는 지지링(3a)과, 상기 지지링(3a)의 경사면에 안치되어 밀착되되 상기 연결부 내측에 삽입되어 연결되는 파이프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하는 다수의 고정편이 형성된 고정구(2a)와, 그 내측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나사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고정구(2a)와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5a)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들 종래기술1 및 2(이하"종래의 기술들"이라함)는, 앞서 언급된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는 긍정적인 측면은 인정되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에는 공통적으로 상기 고정구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하고 상기 고정구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지지링이 필요하였고 이는 구성품의 증가로 이어졌으며, 이로 인하여 제조원가의 상승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에서 상기 고정구는 파이프의 체결작업시에는 그 내부에 설치된 지지링의 압박작용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어 상기 고정구가 보호되나, 파이프의 해체작업시에는 일방향으로는 삽입이 원활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쉽게 빠지지 않는 고정구의 구조상 더욱 많은 힘이 상기 고정구에 전달되나 이를 분산시키는 지지링은 이미 분리되었기 때문에 모든 힘이 상기 고정구에 전달되어 고정구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기술들은 그 구성품이 너무 많아 해체시 구성품이 분실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므로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품의 감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 연결장치에 사용되는 고정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성에 요구되는 구성품의 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체작업시에 발생되는 부품의 분실 및 고정구의 파손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기존의 고정구보다 더욱 견고하고 튼튼한 파이프고정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소정의 두께를 갖되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 내측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이 다수 설치된 고정부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이루되 상기 패킹부재가 안치되는 받침부와; 상기 몸체의 하부를 이루되 상기 파이프 연결관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그 외측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안치부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에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경면을 압압하고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부(30)를 원통형상의 몸체(20)에 설치하여 상기 고정부(30)에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삽입되는 파이프(10)를 고정하는 고정부(30)에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게 상기 고정부(30)가 설치되는 몸체(20)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받침부(40)와 안치부(50)가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 내지 도6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단면도이고; 도7 내지 도10은 각각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단면도이며; 도11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파이프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1 및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들에서 상기 고정구(A)는 파이프(10)의 체결작업시에는 그 내부에 설치된 지지링의 압박작용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분산되어 상기 고정구(A)가 보호되나, 파이프(10)의 해체작업시에는 일방향으로는 삽입이 원활하고 그 역방향으로는 쉽게 빠지지 않는 고정구(A)의 구조상 더욱 많은 힘이 상기 고정구(A)에 전달되나 이를 분산시키는 지지링은 이미 분리되었기 때문에 모든 힘이 상기 고정구(A)에 전달되어 고정구(A)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삽입되는 파이프(10)를 고정하는 고정구(A)와 상기 고정구(A)에 안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10)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패킹부재(B)가 중앙이 통개된 파이프연결관(C)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연결관(C)의 통개단부에 상기 패킹부재(B)에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D)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로킹너트(D)에 파이프(10)를 내삽시켜 파이프(10)를 연결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고정구(A)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A)는: 소정의 두께를 갖되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 내측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2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31)이 다수 설치된 고정부(30)와; 상기 몸체(20)의 상부를 이루되 상기 패킹부재(B)가 안치되는 받침부(40)와; 상기 몸체(20)의 하부를 이루되 상기 파이프연결관(C)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그 외측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안치부(50)로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도3 내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되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 내측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2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31)이 다수 설치된 고정부(30)와; 상기 몸체(20)의 상부를 이루되 상기 패킹부재(B)가 안치되는 받침부(40)와; 상기 몸체(20)의 하부를 이루되 상기 파이프연결관(C)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그 외측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안치부(50)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에 파이프(10)를 체결할 때에는 삽입된 파이프(10)는 상기 고정부(30)에 경사지게 형성된 고정편(31) 때문에 삽입은 원활하나 이탈은 곤란하여 파이프(10)가 몸체(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파이프(10)의 해체 작업시에는 종래의 기술들에서 고정구(A)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고정구(A)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고 보호하는 지지링의 역할을 수행하는 원통형상의 몸체(20)가 상기 파이프(10)로부터 빠지면서 전달되는 힘을 상기 고정부(30)로부터 상하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면으로 분산시켜 상기 고정구(A)가 파손없이 안정적으로 이탈된다.
본 고안은 상기 고정구(A)를 더욱 견고히 고정하고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구(A)의 상방 또는 하방에 안치되어 설치되는 지지링의 역할을 본 고안 자체만으로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통형상의 몸체(20) 내부에 다수의 고정편(31)이 설치되는 고정부(30)를 설치하되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몸체(20)의 내측 중심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30)로부터 상하 양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면이 상기 지지링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도7 내지 도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되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 내측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2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31)이 다수 설치된 고정부(30)와; 상기 몸체(20)의 상부를 이루되 상기 패킹부재(B)가 안치되는 받침부(40)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고정부(30)는 원통형상의 몸체(20)의 최외각 하단에 설치되므로 종래의 기술들에서 사용되는 지지링의 역할을 상기 몸체(20)의 상부에 형성된 패킹부재(B)가 안치되는 받침부(40)가 단독으로 수행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소정의 두께를 갖되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 내측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2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31)이 다수 설치된 고정부(30)와; 상기 몸체(20)의 하부를 이루되 상기 파이프연결관(C)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그 외측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안치부(50)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도면 미도시)
즉, 상기 고정부(30)는 원통형상의 몸체(20)의 최외각 상단에 설치되므로 종래의 기술들에서 사용되는 지지링의 역할을 상기 몸체(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연결관(C)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안치부(50)가 단독으로 수행한다.
본 고안의 받침부(40)는 그 내측에 삽입된 파이프(10)의 외경면을 압압하며 상기 파이프(10)의 인출을 단속하는 상기 고정편(31)이 역삽입방향의 외력에도 꺽이지 않도록 상기 고정편(31)을 지지하는 차단면(41)이 상기 고정편(31)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즉, 상기 차단면(41)은 상기 고정편(31)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안치부(50)는 그 내측에 파이프(10)의 삽입에 따라 눌려지며 벌어지는 상기 고정편(31)이 일정간격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편(31)을 단속하는 경사면(51)이 상기 고정편(31)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사면(51)은 상기 고정편(31)이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면(51)과 차단면(41)은 상기 고정편(31)과 유사한 각도로 상기 몸체(20)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고정편(31)의 일측에 당접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2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0)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파이프(10)를 체결하는 파이프연결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파이프연결장치는 상기 파이프연결관(C)의 내측에 본 고안이 설치되고, 본 고안의 상측에는 누출액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 패킹부재(B)가 설치되고, 상기 패킹부재(B)는 나선이 형성되어 회전체결되는 로킹너트(D)에 단속되며 상기 로킹너트(D)는 상기 파이프연결관(C)과 체결되된 후 파이프(1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사용되는 고정구를 형성함에 있어, 삽입되는 파이프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상기 파이프 연결장치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고정부를 원통형상의 몸체에 설치하여 상기 고정부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시켜 해체작업시에 발생하는 고정구의 파손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기존의 고정구보다 더욱 견고하고 튼튼한 파이프고정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들에서 요구되는 구성품(지지링)의 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해체작업시에 발생하는 부품의 분실 문제까지 해결하여 배관작업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기술들에서 요구되는 구성보다 적은 구성으로 인하여 상기 본 고안이 사용되는 파이프 연결장치는 그 체결과 분리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내부 부품들의 교체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는 등 다대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기술1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2는 종래기술2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정면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배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9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면도
도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11은 본 고안이 설치되는 파이프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고정구 B: 패킹부재
C: 파이프연결관 D: 로킹너트
10: 파이프 20: 몸체
30: 고정부 31: 고정편
40: 받침부 41: 차단면
50: 안치부 51: 경사면

Claims (4)

  1. 삽입되는 파이프(10)를 고정하는 고정구(A)와 상기 고정구(A)에 안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10)의 기밀성을 확보하는 패킹부재(B)가 중앙이 통개된 파이프연결관(C)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연결관(C)의 통개단부에 상기 패킹부재(B)에 밀착 고정되는 로킹너트(D)가 나사식으로 체결되며 상기 로킹너트(D)에 파이프(10)를 내삽시켜 파이프(10)를 연결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고정구(A)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A)는:
    소정의 두께를 갖되 중앙이 통개되어 파이프(10)가 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몸체(20)와;
    상기 몸체(20) 내측에 설치되어 삽입되는 파이프(10)의 외경면을 압압하여 고정시키도록 상기 몸체(20)의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 고정편(31)이 다수 설치된 고정부(30)와;
    상기 몸체(20)의 상부를 이루되 상기 패킹부재(B)가 안치되는 받침부(40)와;
    상기 몸체(20)의 하부를 이루되 상기 파이프연결관(C)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그 외측 단부가 평평하게 형성된 안치부(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40)의 내측은 삽입된 파이프(10)의 외경면을 압압하며 상기 파이프(10)의 인출을 단속하는 상기 고정편(31)이 역삽입방향의 외력에도 꺽이지 않도록 상기 고정편(31)을 지지하는 차단면(41)이 상기 고정편(31)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부(50)의 내측은 파이프(10)의 삽입에 따라 눌려지며 벌어지는 상기 고정편(31)이 일정간격 이상 벌어지지 않도록 상기 고정편(31)을 단속하는 경사면(51)이 상기 고정편(31)과 동일한 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0)는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0)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고정구.
KR20-2005-0019193U 2005-07-01 2005-07-01 파이프고정구 KR2003993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93U KR200399334Y1 (ko) 2005-07-01 2005-07-01 파이프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193U KR200399334Y1 (ko) 2005-07-01 2005-07-01 파이프고정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237 Division 2005-07-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9334Y1 true KR200399334Y1 (ko) 2005-10-25

Family

ID=4370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193U KR200399334Y1 (ko) 2005-07-01 2005-07-01 파이프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93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31960C (en) Clamp for circular objects
US6807692B2 (en) Water lock tap
EP0237688B1 (fr) Collier support de tuyau
KR200318911Y1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200386397Y1 (ko) 유체이송관의 분기소켓 설치구조
KR200399334Y1 (ko) 파이프고정구
KR20010002131U (ko) 주방가구의 다리 체결장치
KR200381922Y1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1210682B1 (ko) 조립식선반용 클램프
KR20060132153A (ko) 수도전 고정구
KR100615858B1 (ko) 파이프 고정 장치
KR200381923Y1 (ko) 로킹너트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KR100646015B1 (ko) 수납선반 고정클램프
JP2011516807A (ja) 内部式パイプ連結装置
KR200413855Y1 (ko) 볼조인트
KR200342609Y1 (ko) 수도꼭지 연결용 커플링.
KR20010067996A (ko) 가요관 연결용 조인트
KR101593206B1 (ko) 건축용 체결 고정구
CN104344370A (zh) 一种灯具安装支架
KR20060082236A (ko) 패킹부재를 구비한 파이프 연결장치
JP2005006387A (ja) ケーブル用固定具
KR101082263B1 (ko) 링 단자 연결용 커넥터
JP3089735U (ja) スプリンクラー散水パイプの固定金具
JP2009103158A (ja) 緩み止めマウンティングボルト及びこれを用いた固定具
KR200185232Y1 (ko) 마네킹헤드 고정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