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954B1 - 파티션 고정구 - Google Patents

파티션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954B1
KR101155954B1 KR1020120035024A KR20120035024A KR101155954B1 KR 101155954 B1 KR101155954 B1 KR 101155954B1 KR 1020120035024 A KR1020120035024 A KR 1020120035024A KR 20120035024 A KR20120035024 A KR 20120035024A KR 101155954 B1 KR101155954 B1 KR 101155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nut
bolt
fram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5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용 택 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연
Priority to KR1020120035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이나 연결프레임(80)에 형성된 고정구멍(72)에 삽입 고정되는 볼트부(51)와; 상기 볼트부와 마주보는 반대편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이나 연결프레임(80)에 형성된 고정구멍으로 삽입되는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52)로 구성이 되고,
상기 볼트부(51)는 중앙에 고정판(53)을 형성하고, 이의 좌우측에는 나사산(54,55)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52)는 내부에 너트(61)가 매립된 몸체(58)와, 이 몸체의 우측에 연하여 형성되는 파지부(59)와, 이 파지부에 형성되는 체결용 홈(60)으로 구성하여서 된 파티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51)를 구성하는 고정판(53)과, 이의 우측 나사산(55)과의 사이에 경사면(57)을 형성하여서 파티션들을 연결 고정할 때 상기 볼트부(51)가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이나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구멍(72)에 삽입되면서, 너트부(52)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볼트부(51)의 경사면(57)이 고정구멍(72)의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을 깎으면서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의 분해 조립 시 파티션의 볼트부가 너트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당김 현상과 동시에 파티션의 측면 세로프레임이나 연결프레임의 고정구멍에 꼭 맞게 조이게 되어, 파티션 체결과정에서 볼트부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파티션 체결 후 너트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파티션 고정구{Connector of Partition}
본 발명은 사무용 가구의 파티션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는 파티션 고정구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파티션의 분해 조립 시 파티션의 볼트부가 너트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당김 현상과 동시에 파티션의 측면 세로프레임이나 연결프레임의 고정구멍에 꼭 맞게 조이게 되어, 파티션 고정 시 고정구에 별도의 와셔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파티션 체결과정에서 볼트부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티션 체결 후 너트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파티션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파티션(Partition)이란 사무실의 업무효율 향상과 깨끗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사무실을 각각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레이아웃 방법에 따라 -자형, ㄱ자형, T자형 및 X자형 등 다양하게 사무공간을 구획할 수 있으며, 근무환경을 개선하여 업무집중력을 향상시키고, 각 부서의 공간을 외부와 간접적으로 차단하여 개인의 사생활과 창조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사무용 가구에 있어 파티션이 보편화되어 있어 파티션은 단순한 칸막이 역할을 떠나 고객이 원하는 아늑한 나만의 전용공간을 연출하여 기업의 이미지나 개인의 업무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음효과로 사생활을 보호하고 미려한 디자인으로 화이트칼라 계층에게 항상 새로운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쾌적함을 주도록 개발되고 있다.
파티션은 높이와 넓이에 따라 일에 대한 집중력과 구성원 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사무자동화와 더불어 컴퓨터 등 다양한 첨단 기기의 사용에 따라 복잡한 각종 전선을 파티션 내부의 닥트를 통해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고, 레이아웃 변경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등 다용도로 실용성 있게 개발되고 있다.
보급형 파티션은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파티션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선택할 수 있어 사무실의 부서별 칸막이, 학원 보급형, PC방 등에 적합하고, 상단부에 유리를 갖는 파티션은 파티션의 상단부를 투명하게 하여서 응접실, 휴게실, 다용도실, 흡연구역 등에 적합하며, 기타 용도와 여건에 따라 전면유리 파티션이나 블록 파티션 등이 개발되어 있다.
그러므로 업무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파티션은, 일반적인 보급형 파티션과 상단에 유리를 갖는 파티션으로 대별되는데, 이들 파티션들은 모두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측면을 서로 연결하여 조립되는 것이다.
파티션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는 다종 다양한 형태가 개발되어 있으나 파티션을 연결하는 구조가 복잡하여서 파티션을 분해하거나 조립하는데 고도의 숙련도를 요구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아울러, 파티션과 파티션을 수평으로 이어서 연결하거나 아니면 직각배치를 위해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을 ㄱ자로 연결하는 경우 이들을 서로 고정시키는 파티션 고정구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러한 형태의 파티션 고정구는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분해 조립시 다양한 조립공구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서, 파티션을 분해하거나 조립하는데 여러 가지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파티션 고정구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보급형 파티션은, 사각형상의 수직 또는 수평의 단위 프레임에 사각판형으로 형성된 파티션 패널이 결합되고, 그 상,하부에는 마감부재로 상단마감바와 하부커버가 각각 설치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보급형 파티션(100)의 구조는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프레임(110,120)의 전후면에 설치되는 패널(130)과, 상기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단부를 마감처리하는 하부커버(140)와, 상기 패널의 상부 가로프레임에 설치되는 상단마감바(15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파티션(100)들은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을 고정수단으로 서로 조립하여서 다양한 형태의 사무 공간을 구획하게 되는데, 모든 파티션들은 사무용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을 연결하기 위해서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측면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고정수단들은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측면에 고정프레임이 별도로 부착되거나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프레임 상에는 고정브라켓을 구비하고 있으며, 별도의 고정구들을 이용하여 이들을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체결하여서 사무용 공간을 구획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존의 개발된 모든 형태의 파티션들은 양측면을 연결하는 구조가 복잡하여서 조립시 많은 시간과 숙련공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연결구조가 복잡하여서 다양한 형태의 조립공구를 필요로 하게 되며, 일반소비자들은 파티션의 레이아웃을 하고 싶어도 파티션의 연결구조를 이해하지 못하여서 사무 공간을 재배치할 때 많은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파티션 체결구의 구조를 개선하고자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2009-3896호(실용신안등록 제20-446343호)와 같은 '파티션 고정구'를 개발한 바 있다.
이러한 파티션 고정구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 가능한 패널(4)을 구비하는 파티션(1)과 파티션(1)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1)과 연결프레임(2)의 측면에 고정프레임(3)을 설치하여서 된 파티션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3) 상에 하나 이상의 통공(5)을 형성하고, 고정프레임(3)의 내부면에는 돌출단부(6)를 형성하며, 상기 통공에는 파티션 고정구(10)를 나사결합으로 고정하되,
상기 파티션 고정구(10)는, 상하단 우측에 돌출편을 구비하는 볼트두부(13)와, 이의 우측에 고정되어 볼트부의 처짐을 완화시키는 볼트처짐방지편(17)을 구비하는 볼트부(11)와;
일측면 중앙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볼트부(11)에 나사결합되고, 일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미세한 돌기(14)가 형성되며, 두부에 체결구멍(15)을 구비하는 너트부(12)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구조를 지닌 파티션 고정구는 종래의 파티션 고정구에 비해 파티션의 분해 및 조립이 지극히 간단하고 편리한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파티션 고정구의 체결 구조를 좀더 단순화시켜 전체 제조 원가를 절감하면서 파티션의 조립 및 분해가 더한층 용이하도록, 체결 구조를 좀더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1)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4-5736호 '파티션 연결장치' (2)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6-128425호 '파티션의 연결구조' (3)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99648호 '파티션 연결장치' (4)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19781호 '파티션의 체결구조' (5)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9-57800호 '파티션 연결장치' (6) 한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9-3896호 '파티션 고정구' (7) 한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09-3938호 '파티션의 연결구' (8) 한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0-11445호 '파티션 체결용 커넥터' (9) 한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10545호 '조립식 파티션 연결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과 파티션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을 고정하는 파티션 고정구의 구조를 지극히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선하여서 드라이버와 같은 조립공구 하나만 있으면 언제든지 이들의 분해조립이 가능하여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무용 공간을 구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티션 고정구를 구성하는 볼트부의 구조를 개선하여서 파티션의 분해 조립 시 파티션의 볼트부가 너트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당김 현상과 동시에 지정된 고정구멍에 꼭 맞게 조이게 되어, 파티션 고정 시 고정구에 별도의 와셔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파티션 체결과정에서 볼트부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파티션 체결 후 너트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티션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의 세로프레임이나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삽입 고정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와 마주보는 반대편 파티션의 세로프레임이나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구멍으로 삽입되는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로 구성이 되고,
상기 볼트부는 중앙에 고정판을 형성하고, 이의 좌우측에는 나사산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는 내부에 너트가 매립된 몸체와, 이 몸체의 우측에 연하여 형성되는 파지부와, 이 파지부에 형성되는 체결용 홈으로 구성하여서 된 파티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를 구성하는 고정판과, 고정판의 우측 나사산과의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하여서 파티션들을 연결 고정할 때 상기 볼트부가 파티션의 세로프레임이나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삽입되면서, 너트부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볼트부의 경사면이 고정구멍의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을 깎으면서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과 파티션의 양측면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고정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파티션 고정구의 구조를 지극히 간단하고 편리하게 개선하므로서 드라이버와 같은 조립공구 하나만 있으면 언제든지 이들의 분해조립이 가능하여서 사용자가 소망하는 사무용 공간을 편리하게 구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는 파티션의 분해 조립 시 파티션의 볼트부가 너트부의 나사결합에 의해 당김 현상과 동시에 파티션의 측면 세로프레임이나 연결프레임의 고정구멍에 꼭 맞게 조이게 되어, 파티션 체결과정에서 볼트부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파티션 체결 후 너트부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의 일례를 보인 파티션의 분해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파티션 고정구가 파티션을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 은 도 2의 파티션 고정구가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나타낸 파티션 고정구의 사시도
도 5 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가 파티션의 측면 세로프레임을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분해 사시도
도 7 은 도 6의 파티션 고정구가 파티션의 세로프레임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도 6의 파티션 고정구가 파티션의 세로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9 는 도 6의 파티션 고정구에 대한 중요 부분확대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로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을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설치상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는 사무용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도 6,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션(70)과 파티션(70)의 양측면을 연결하거나, 직각배치를 위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션(70)과 연결프레임(80)의 양측면을 연결하는 모든 형태의 연결구조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일반적인 파티션들은 파티션의 양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이 고정프레임의 앞면과 뒷면에 고정되고 직물로 감싸여진 2장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설명하기에 앞서, 파티션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티션(100)에는 파티션의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이 구성되는 바, 상기 프레임은 다수의 가로프레임(120)과, 이 가로프레임의 길이에 대응하게 이격되어 그 사이에 일정간격의 상,하 폭을 유지하는 복수 개의 세로프레임(110)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프레임(110,120)의 양편에는 패널(130)이 결합되고, 이 패널(130)의 표면에는 직물이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의 상,하부 가로 및 세로프레임(110,120)에는 마감부재로서 상단마감바(150)와 하부커버(140)가 각각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기술구성은 파티션의 일반적인 구성이다.
도 4 내지 도 10 에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파티션 고정구(50)는,
도 6, 7과 같이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이나 연결프레임(80)의 돌출단부에 형성된 고정구멍(72)에 삽입 고정되는 볼트부(51)와;
상기 볼트부와 마주보는 반대편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이나 연결프레임(80)의 돌출단부에 형성된 고정구멍에 삽입되는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파티션 고정구(50)는, 파티션(70)의 양측면 세로프레임(71)의 돌출단부나 연결프레임(80) 상의 돌출단부에 상,하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멍(72)에 삽입 고정되어서 이들 파티션들을 수평이나 직각으로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볼트부(51)는 중앙에 고정판(53)을 형성하고, 이의 좌우측에는 나사산(54,55)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부의 우측 측면에는 드라이버홈(56)을 형성하였다.
상기 볼트부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판(53)은 볼트부가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이나 연결프레임의 돌출단부에 형성된 고정구멍(72)에 삽입될 때 고정구멍의 외부면에 당접되는 것이고,
고정판(53)의 좌우측에 형성된 나사산(54,55)은 서로 다른 피치로 예컨대, 좌측 나사산(54)은 2줄 나사산으로 형성하고, 우측 나사산(55)은 3줄 나사산으로 형성하여서 너트부(52)의 나사결합 및 나사해체가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볼트부(51)의 우측 측면에 형성된 드라이버홈(56)은 너트부(52)로 나사결합 및 나사해체가 용이하지 않을 때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로 볼트부(51)의 분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술 구성은 파티션 고정구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 구성으로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술 구성은 상기 볼트부(51)의 고정판(53)과, 이의 우측 나사산(55)과의 사이에 경사면(57)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볼트부(51)에 형성된 경사면(57)은 도 7,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티션을 연결하기 위해 2장의 파티션을 고정할 때 본 발명의 볼트부가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의 돌출단부나 연결프레임의 돌출단부에 형성된 고정구멍(72)에 삽입되면서,
너트부(52)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볼트부(51)의 경사면(57)이 고정구멍(72)의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을 깎으면서 진입하여 고정구멍에 꽉 끼면서 긴밀히 삽입되어 너트부의 풀림 방지와 나사결합이나 나사해체 시 볼트부를 조임 공구로 잡지 않더라도 볼트부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52)는 내부에 너트(61)가 매립된 몸체(58)와, 이 몸체의 우측에 연하여 형성되는 파지부(59)와, 이 파지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드라이브 이외의 체결용 공구로 너트부(52)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하는 체결용 홈(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52)의 몸체(58) 내부에는 도 7,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61)가 매립되어 있어서 상기 볼트부의 우측 나사산(55)과 나사결합 및 나사해체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 몸체의 우측에 연하여 형성된 파지부(59)는 손으로 돌려 고정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며, 손에 고정 저항을 주기 위해 음각 형태로 형성하고, 필요 시 더 강한 체결력이 요구될 때는 측면에 형성된 체결용 홈(60)에 별도의 체결용 공구를 이용하여 나사결합 및 나사해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지닌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수평으로 공간을 구획하거나 직각 배치를 위해 파티션으로 실내 공간을 구획할 경우 도 6, 7과 같이 파티션(70)과 파티션(70)의 양측면 또는 도 10과 같이 파티션(70)과 연결프레임(80)의 측면에 형성된 세로프레임(71)의 돌출단부를 서로 맞대고 난 다음,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세로프레임(71)의 돌출단부 상에 형성된 고정구멍(72)에,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50)를 구성하는 볼트부(51)를 삽입하면 볼트부의 중앙 고정판(53) 우측에 형성된 나사산(55)이 고정구멍(72)으로 삽입된다.
이때 반대편에서 너트부(52)를 손으로 잡고 나사 결합하면, 볼트부는 반대편 고정구멍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볼트부(51)의 고정판(53)과, 이의 우측 나사산(55)과의 사이에 형성된 경사면(57)이 고정구멍(72)에 삽입된다.
아울러, 너트부(52)의 조임력을 강하게 하면 상기 볼트부(51)의 경사면(57)이 고정구멍(72)의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을 깎으면서 진입하여 고정구멍에 꽉 끼면서 긴밀히 삽입되고, 이어서 고정판(53)의 측면이 고정구멍(72)과 근접하여 밀착되어서 너트부(52)의 풀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파티션(70)들을 연결 및 해체하기 위해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50)를 구성하는 너트부(52)를 나사 결합이나 나사 해체할 경우 볼트부(51)를 조임 공구로 잡지 않더라도 볼트부가 헛도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너트부(52)의 몸체(58) 우측에 연하여 형성된 파지부(59)에 의해 나사결합 시 미끌림을 방지하고, 손으로 최대한 돌려서 체결한 다음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파티션 고정구가 설치된 파티션과 파티션 또는 파티션과 연결프레임을 분해할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조립공구 하나만 있으면 상기 조립의 역순으로 분해하여서 사무공간을 다시 구획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티션 고정구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50 : 파티션 고정구 51 : 볼트부
52 : 너트부 53 : 고정판
54 : 나사산 55 : 나사산
56 : 드라이버홈 57 : 경사면
58 : 몸체 59 : 파지부
60 : 체결용 홈 61 : 너트
70 : 파티션 71 : 세로프레임
72 : 고정구멍 80 : 연결프레임

Claims (1)

  1.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이나 연결프레임(80)에 형성된 고정구멍(72)에 삽입 고정되는 볼트부(51)와;
    상기 볼트부와 마주보는 반대편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이나 연결프레임(80)에 형성된 고정구멍으로 삽입되는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52)로 구성이 되고,
    상기 볼트부(51)는 중앙에 고정판(53)을 형성하고, 이의 좌우측에는 나사산(54,55)을 형성하며;
    상기 볼트부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52)는 내부에 너트(61)가 매립된 몸체(58)와, 이 몸체의 우측에 연하여 형성되는 파지부(59)와, 이 파지부에 형성되는 체결용 홈(60)으로 구성하여서 된 파티션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볼트부(51)를 구성하는 고정판(53)과, 이의 우측 나사산(55)과의 사이에 경사면(57)을 형성하여서 파티션들을 연결 고정할 때 상기 볼트부(51)가 파티션(70)의 세로프레임(71)이나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고정구멍(72)에 삽입되면서, 너트부(52)의 조임력에 의해 상기 볼트부(51)의 경사면(57)이 고정구멍(72)의 가장자리 모서리 부분을 깎으면서 삽입되도록 한 것이 특징인 파티션 고정구.
KR1020120035024A 2012-04-04 2012-04-04 파티션 고정구 KR101155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24A KR101155954B1 (ko) 2012-04-04 2012-04-04 파티션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5024A KR101155954B1 (ko) 2012-04-04 2012-04-04 파티션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954B1 true KR101155954B1 (ko) 2012-06-26

Family

ID=4668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5024A KR101155954B1 (ko) 2012-04-04 2012-04-04 파티션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9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598B1 (ko) 2013-02-18 2013-12-05 주식회사 쏘피체 조립식 파티션
KR101898522B1 (ko) * 2017-12-07 2018-09-14 주식회사 월드플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KR20220105413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097Y1 (ko) * 1990-05-03 1992-06-20 주식회사 한샘퍼시스 낮은 간막이의 평조립구조
KR100587464B1 (ko) 2004-09-15 2006-06-09 주식회사 퍼시스 플러쉬형 칸막이의 연결장치
KR20100002061U (ko) * 2008-08-18 2010-02-26 주식회사 월드프랜 파티션 체결장치
KR20100011234U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아이비 트레이딩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4097Y1 (ko) * 1990-05-03 1992-06-20 주식회사 한샘퍼시스 낮은 간막이의 평조립구조
KR100587464B1 (ko) 2004-09-15 2006-06-09 주식회사 퍼시스 플러쉬형 칸막이의 연결장치
KR20100002061U (ko) * 2008-08-18 2010-02-26 주식회사 월드프랜 파티션 체결장치
KR20100011234U (ko) * 2009-05-08 2010-11-17 주식회사 아이비 트레이딩 칸막이용 프레임의 연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6598B1 (ko) 2013-02-18 2013-12-05 주식회사 쏘피체 조립식 파티션
KR101898522B1 (ko) * 2017-12-07 2018-09-14 주식회사 월드플랜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조립식 칸막이
KR20220105413A (ko) * 2021-01-20 2022-07-27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KR102649999B1 (ko) * 2021-01-20 2024-03-25 주식회사 하나에코텍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18686A (en) Railing system
KR100794286B1 (ko) 조립식 파티션
KR101155954B1 (ko) 파티션 고정구
KR200446343Y1 (ko) 파티션 고정구
US20130111827A1 (en) Tool-less modular panel system
KR100825251B1 (ko) 조립식 파티션 연결장치
JP5109846B2 (ja) 積上げ式間仕切装置
KR200449569Y1 (ko) 파티션 연결용 커넥터
CN209780110U (zh) 一种便于拆装的铝单板结构
KR200210940Y1 (ko) 구조물 조립 구조
KR200446342Y1 (ko) 파티션의 연결구조
KR20110004846U (ko) 전시패널 체결 시스템
KR20080099648A (ko) 파티션 연결장치
KR200439457Y1 (ko) 조립식 파티션
KR920002775Y1 (ko) 조립식 장식대용 블럭
KR20110010546U (ko) 파티션 조립 시스템
JP3201591U (ja) 胴縁付きメッシュパネル
US20210388598A1 (en) Structural component for modular walls
KR20110008823U (ko) 공간활용이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진열장
KR200284843Y1 (ko) 조립식 구조물용 커넥터와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20000063930A (ko) 구조물 조립 구조
KR200229310Y1 (ko) 파티션 체결용 고정장치
KR200395062Y1 (ko) 제품진열 및 전시용 조립식 구조물
KR200329082Y1 (ko) 파티션 연결용 프레임 조립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조립용부재
JP2010222798A (ja) 積上げ式間仕切装置のパネル落下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